KR102069606B1 - 곡물 조선기 - Google Patents

곡물 조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606B1
KR102069606B1 KR1020180088563A KR20180088563A KR102069606B1 KR 102069606 B1 KR102069606 B1 KR 102069606B1 KR 1020180088563 A KR1020180088563 A KR 1020180088563A KR 20180088563 A KR20180088563 A KR 20180088563A KR 102069606 B1 KR102069606 B1 KR 102069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grain
sorting
oscillat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규
Original Assignee
최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보규 filed Critical 최보규
Priority to KR1020180088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4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perpendicularly or approximately perpendiculary to the plane of the 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선별체를 서랍식으로 구성하되 폭방향으로 3개~6개로 분리 구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슬라이딩 방식으로 쉽게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도록 하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상하부 선별체를 한꺼번에 클램핑(Clamping)시키거나 언클램핑(Unclamping)시킬 수 있어서 작업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곡물 조선기에 관한 것으로, 곡물 조선기에 설치되는 요동체(20)와, 요동체 내부 양측에 정품 배출구(28)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상하 슬라이드홈(49)(50)과, 상하 슬라이드홈(49)(50)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대칭 설치되는 클램프(51)와, 상하 슬라이드홈(49)(50)에 결합되고 클램프(51)에 의해 로딩 및 언로딩되는 상하부 선별체(29)(30)를 포함하며, 상하부 선별체(29)(30)는 3~6개의 복수 조각 선별체이다. 상기 클램프(51)는, 클램프(51)의 선단부에 클램프(5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52)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52)는 요동체(2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회전도구를 조작부(52)에 결합시킨 다음 클램프(5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하 이동부재(71)(72)를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홈(49)(50)에 끼워진 상하부 선별체(29)(30)가 클램핑 및 언클램핑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곡물 조선기{Selection machine of grain separator}
본 발명은 곡물 조선기(또는 곡물 정선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하부 선별체를 서랍식으로 구성하되 여러개로 분리 구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도록 하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상하부 선별체를 한꺼번에 신속히 클램핑(Clamping)시키거나 언클램핑(Unclamping)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조선기의 내부에는 요동운동하는 선별체가 상하로 설치되어 있어 곡물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시켜 정선하게 되며, 이때 곡물의 품종이나 크기 등이 달라지면 이에 적합한 사양(규격)의 선별체로 교체하게 되며, 손상이나 마모된 경우에도 새로운 선별체로 교체하거나 수리하게 된다.
종래 곡물 조선기의 선별체 교체방식은, 요동체 커버를 상부로 열어젖힌 다음 평면적이 크고 무거운 상하부 선별체를 요동체로부터 들어내고 새로운 선별체(또는 수리한 선별체)로 교체한 다음 열어젖힌 커버를 닫아 체결하는 방식이므로 선별체 교체작업이 힘들 뿐 아니라, 교체된 선별체는 복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요동체 측면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복수의 볼트를 일일이 풀고 조는 과정이 필요하여 체결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등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상하부 선별체를 서랍식으로 구성하여 요동체 전면으로 로딩시키거나 언로딩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곡물 조선기가 안출된 바 있으나, 상부 선별체 및 하부 선별체가 하나로 구성되어 평면적이 매우 큰 편이므로 선별체를 로딩 및 언로딩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는 선별체의 평면적보다 큰 공간이 필요할 뿐 아니라,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마찬가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떨어지며, 교체된 선별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복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요동체에 고정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3650호(발명의 명칭:조선기, 2002. 02. 07.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1996-0011241호(발명의 명칭: 곡물 조선기, 1996. 08. 21. 특허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9572호(고안의 명칭: 곡물 조선기, 2001. 01. 15. 실용신안공고)
본 발명은 상하부 선별체를 서랍식으로 구성하되 폭방향으로 3개~6개로 분리 구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슬라이딩 방식으로 쉽게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도록 하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상하부 선별체를 한꺼번에 신속히 클램핑(Clamping)시키거나 언클램핑(Unclamping)시킬 수 있어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곡물 조선기(정선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곡물 조선기는, 곡물 조선기에 설치되는 요동체와, 상기 요동체 내부 양측에 정품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하 슬라이드홈과, 상기 상하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클램프와, 상기 상하 슬라이드홈에 결합되고 클램프에 의해 로딩 및 언로딩되는 상하부 선별체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요동체의 측부재 내측면에 피스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하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하로 각각 연장되는 수직평면부로 구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수직평면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핀과, 상기 핀에 장공이 결합되는 상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핀에 결합되는 와셔 및 분할핀과, 상기 고정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통공에 헐겁게 결합되어 회전 및 전후로 이동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블럭과, 블럭이 작동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작동봉의 선후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스토퍼와, 상기 블럭의 상하부에 핀으로 축설치되는 링크의 하단부와, 상기 이동부재의 개방홈에 끼워지는 링크의 상단부를 이동부재에 축설치하는 핀과, 상기 요동체의 선단부에 브라켓으로 고정되고 작동봉의 조작부 후단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고 조작부를 고정시키는 잠금너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 선별체는, 3~6개로 분리 구성되는 복수 조각의 선별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각 선별체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격자로 결합된 복수의 칸막이 구조이고,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상부에는 소정 크기의 선별 구멍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타공망이 설치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하부에는 소정 메쉬의 철망이 고정되고, 상기 타공망과 철망 사이 공간에는 복수의 실리콘 볼이 수납되고, 상기 복수의 조각 선별체는 결합돌부와 결합홈으로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의 선단부에 클램프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요동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회전도구를 조작부에 결합시킨 다음 클램프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클램프의 상하 이동부재가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홈에 끼워진 상하부 선별체가 클램핑 및 언클램핑된다.
삭제
본 발명은 요동체(20)에 설치되는 상하부 선별체(29)(30)를 서랍식으로 구성하되 폭방향으로 3개~6개로 분리 구성하여 크기와 평면적을 줄임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슬라이딩 방식(서랍식)으로 쉽게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좁은 장소나 좁은 공간에도 곡물 조선기(1)를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하부 선별체(29)(30)를 로딩 또는 언로딩할 때 클램프(51)를 이용하여 요동체(20) 부분에 한꺼번에 신속히 클램핑(Clamping)시키거나 언클램핑(Unclamping)시킬 수 있어서 작업성이 우수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입구(25)로 투입되는 곡물은 상부 선별체(29)의 타공망(294)을 통과하여 선별되면서 하부 선별체(30)의 출구방향에 위치하는 정품 배출구(28)로 배출되고, 곡물과 함께 입구(25)로 투입되는 이물질 중에서 곡물보다 크기가 큰 자갈, 깜부기, 잡초씨, 검불, 지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상부 선별체(29)의 출구로 이동하여 제1 배출구(27)로 배출되며, 곡물과 함께 입구(25)로 투입되는 이물질 중에서 곡물보다 크기가 작은 사모래, 흙, 굵은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부 선별체(29)의 타공망(294)을 통과하여 하부 선별체(30)로 낙하한 다음 하부 선별체(30)의 타공망(304)을 통과하여 경사형 바닥판(31)으로 떨어져 제2 배출구(26)로 배출되면서 각종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선별 제거되고 정품 곡물은 정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하부 선별체(29)(30)가 요동운동할 때 타공망(294)(304)과 철망(295)(305)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실리콘 볼(296)(306)이 요동운동하면서 타공망(294)(304)을 타격하게 되므로 곡물과 이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선별될 뿐 아니라, 선별 구멍(293)(303)의 구멍 막힘이 방지되고 상하부 선별체(29)(30)에 잔여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의 결합부분에는 결합돌부(298)(298)와 결합홈(299)(309)이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암수 결합되므로 결합부분의 쳐짐이나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곡물의 종류나 품종에 따라 적합한 사양(규격)의 상하부 선별체(29)(30)를 슬라이딩 방식(서랍식)으로 신속 간편하게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어서 상하부 선별체(29)(30)의 수리 및 보수 및 교체가 쉬워 작업성과 전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그물망 부분 정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요동체 부분 정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요동체 부분 평면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요동체 부분 단면도.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요동체 부분 측면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완충지지수단 및 브레이크 부분 정면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 부분 단면도로, 이동부재가 오무려진 상태.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 부분 단면도로, 이동부재가 벌어진 상태.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의 조작부 부분 단면도.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 이동부재가 벌어진 상태의 단면도.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 이동부재가 오무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1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의 링크 부분 단면도.
도 1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 이동부재가 지지부재의 통공에 끼워져 지지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 이동부재의 정면도로,
(a) 이동부재가 벌어진 상태도 (b) 이동부재가 오무려진 상태도
도 1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상부 선별체의 평면도.
도 1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상부 선별체가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
도 1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하부 선별체의 평면도.
도 2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하부 선별체가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
도 2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상하부 선별체를 요동체로부터 분리하기 전의 단면도.
도 2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상하부 선별체를 요동체로부터 분리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2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의 이동부재가 벌어져 상하부 선별체가 지지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2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의 이동부재가 오무려지면서 상하부 선별체의 상부에 틈이 각각 발생된 상태의 단면도.
도 2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클램프 부분 단면도로, 상하부 선별체가 슬라이드홈에서 분리 제거된 상태도.
도 2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 23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2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 24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2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 25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2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상하부 선별체 당김도구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곡물 조선기(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단면 구성도로, 기대(2) 상부 일측에 풍력식 곡물선별기(3)가 설치되어 곡물 조선기(1)로 공급되는 산물벼(산지에서 탈곡되어 이물이 많이 혼합되고 함수율이 높은 물벼)에 함유된 쭉정이, 잡초씨, 굵은 먼지, 검불, 지푸라기, 모래, 깜부기, 돌 등의 이물질이 풍력(風力)에 의해 선별된 다음 풍력식 곡물선별기(3) 하부의 정량공급부(4)로 공급된다.
상기 정량공급부(4)의 상부에는 풍력식 곡물선별기(3)로부터 풍력 선별된 곡물이 낙하 투입되는 투입구(5)가 형성되고, 투입구(5) 하부에는 조절구(6a)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각도를 조절하면서 곡물 투입량을 조절하는 투입량 조절부(6) 및 정량공급롤러(7)가 설치된다.
상기 정량공급롤러(7)는 모터(도시안됨)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량 조절부(6)의 협조 하에 곡물을 넓은 폭으로 고르게 펴주면서 곡물을 낙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량공급롤러(7)의 하부에는 모터(8)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회전망체(9)가 축 설치되고, 정량공급롤러(7)의 하부에는 회전망체(9)의 일측면과 접촉하면서 회전망체(9)로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조절판(10)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조절판(10)은 도 1에 도시된 조절구(10a)에 의해 경사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회전망체(9)의 타측에는, 예컨대 조절판(10)의 반대편에는 회전망체(9)의 외주면에 면접촉하는 고무 등의 연질로 구성되는 스크레이퍼(11)가 회전 또는 고정 상태로 설치되고, 스크레이퍼(11)의 하부 일측에는 회전망체(9)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을 곡물 조선기(1)의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회전망체(9)의 외면에 달라붙은 검불, 지푸라기, 쭉정이 등이 스크레이퍼(11)에 의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구(12)에는 도 1에 도시된 퀵 클램프(13a)에 의해 탈부착되는 배출관(13)이 설치되어 배출구(12) 및/또는 배출관(13)이 막히는 경우 배출관(13)을 쉽게 분리시켜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입량 조절부(6)와 정량공급롤러(7)와 회전망체(9)와 조절판(10)과 스크레이퍼(11)는 곡물 조선기(1)의 폭방향 길이와 거의 같거나 조금 짧게 구성함으로써 투입되는 다량의 곡물이 넓은 폭으로 펴지면서 정량 공급된다.
상기 스크레이퍼(11)의 축봉의 외면에는 연질이면서 정전기를 띄지 않는 재질의 루버가 설치되어 회전망체(9)의 외면에 달라붙은 검불, 지푸라기, 쭉정이 등이 분리된 다음 배출구(12)와 배출관(13)을 통하여 곡물 조선기(1) 바깥으로 배출된다.
상기 정량공급롤러(7)는 축봉 외면에 사각봉체가 고정되고, 사각봉체의 4면에 플레트 바가 고정되며,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량 조절부(6)의 협조 하에 곡물을 넓은 폭으로 고르게 펴주면서 회전망체(9)로 낙하 공급하게된다.
상기 회전망체(9)의 외주연에는 도 2, 도 3과 같이 가로와 세로 크기가 약 20㎜ 전후인 격자형 그물망(14)이 빙둘러 고정되고, 회전망체(9) 내부에는 복수의 경사유도판(15)이 설치되어 검불, 지푸라기, 쭉정이 등이 제거된 곡물이 회전망체(9) 하부로 빠져 나온 다음 하부의 출구(16)를 통하여 요동체(20) 입구(25)로 낙하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대(2) 일측 상부에는 풍력으로 먼지. 지푸라기 등 가벼운 이물질을 흡인시키는 집진구(37)가 설치되고, 정량공급부(4)와 집진구(37)는 제1 덕트(38)로 연결되어 정량공급부(4)의 먼지, 지푸라기와 같은 가벼운 이물질 등이 1차 풍선(풍력 선별)으로 제거되고, 상기 집진구(37)와 정품 배출구(28)가 제2 덕트(39)로 연결되어 정선 곡물 중에 함유된 먼지, 미분(곡분) 등이 2차 풍선으로 제거된다. 상기 제1, 2 덕트(38)(39)에는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38a)(39a)가 축설치되고, 상기 조절구(38a)(39a)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38b)(39b)에 의해 조절된다.
기대(2) 하측에는 요동체(20)가 설치된다.
상기 요동체(20)의 네모서리 부분은 기대(2)에 상부가 설치되는 완충지지수단(21)의 하부에 메달려 지지되고, 요동체(20)의 일측에는 요동 정도가 조절되는 요동수단(23)이 설치되고, 요동체(20) 내부에는 상하부 선별체(29)(30)가 설치되며, 따라서 상하부 선별체(29)(30)가 요동체(20)를 따라 요동 운동하면서 풍력식 곡물선별기(3)로부터 투입되는 곡물이 선별된다.
상기 완충지지수단(21)의 상부는 브라켓(21a)을 이용하여 기대(2)의 상부판(2a)이나 측판에 설치되고, 완충지지수단(21)의 하부는 브라켓(21b)을 이용하여 요동체(20)의 측면에 고정시키되 요동 전달이 적은 와이어 로프(21c)로 각각 연결시켜 상하부 선별체(29)(30)가 요동수단(23)에 의해 요동운동하더라도 요동에 따른 완충이 달성되고 소음이 대폭 줄어들며 사용 수명은 연장된다.
상기 브라켓(21a)에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21c)의 상부에는 너트(21d)가 체결되는 나사부에 형성된다. 상기 너트(21d)의 체결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요동체(2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곡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요동체(20) 및 상하부 선별체(29)(30)의 경사도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된다.
또한, 요동수단(23)이 가까이 위치하면서 요동 강도가 심한 요동체(20)의 선단 양측에는 도 8과 같이 브레이크(22)를 설치하여 요동수단(23)의 모터(40)를 정지시키면 요동 운동이 멈추면서 상기 브레이크(22)에 의해 요동체(20)가 신속히 제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요동체(20)는 케이스(24)의 상부 일측에 입구(25)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25)에는 풍력식 곡물선별기(3)의 출구(16)가 헐겁게 삽입되어 요동체(20)의 요동운동을 방해하거나 간섭하지 않으면서 곡물을 입구(25)로 낙하시켜 투입하게 된다.
상기 요동체(20)의 케이스(24) 내부에는 정품 배출구(28)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사각형상의 상부 선별체(29) 및 하부 선별체(30)가 설치되어 요동체(20)를 따라 같이 요동 운동하면서 곡물을 정선하게 되며, 하부 선별체(30)의 하부에는 사모래, 흙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형 바닥판(31)이 이격 설치되고, 경사형 바닥판(31)의 저점 또는 최저 위치에는 제2 배출구(26)가 구성된다.
상기 요동체(20)의 출구 방향(상하부 선별체(29)(30)가 낮은 부분이나 방향)에는 곡물보다 크기가 커서 상부 선별체(29)를 통과하지 못한 검불, 지푸라기 등이 1차 배출되는 제1 배출구(27)와, 곡물보다 크기가 작아 상하부 선별체(29)(30)를 통과한 다음 바닥판(31)으로 떨어지는 잡초, 굵은 먼지, 사모래, 흙 등이 배출되는 제2 배출구(26)와, 상부 선별체(29)는 통과하고 하부 선별체(30)는 통과하지 못한 정품 곡물이 배출되는 정품 배출구(2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요동체(20)의 상부에는 도 5와 같이 손잡이(34)를 갖는 복수의 개폐형 도어(35)가 힌지(32)로 축설되고 퀵클램프(33)에 의해 클램핑된다. 상기 도어(35)에는 투명창(36)이 설치되어 선별되는 곡물을 육안 또는 디지털 감시카메라 등으로 관망하거나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요동수단(23)은 요동체(2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어기의 제어를 받는 모터(40)와, 모터(40)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풀리(41)와, 요동체(20)의 저부면 일단에 축 설치되는 회전체(42)와, 회전체(42)에 고정되는 카운터 바란스 또는 편심추(43)와, 회전체(42)에 고정되는 풀리(44)와, 상기 풀리(41)와 풀리(44)를 연결하는 벨트(45)로 구성되며, 편심추(43)가 회전체(42)를 따라 회전하면서 요동하게 되므로 요동체(20)가 요동 운동하게 되고, 요동체(20) 내부에 설치된 상하부 선별체(29)(30) 또한 요동하면서 곡물을 선별 정선하게 된다. 상기 요동체(20)는 원운동과 직선운동의 복합 요동운동에 의해 매우 효과적인 곡물 정선이 달성된다.
상기에서 벨트(45)가 걸림되는 풀리(41) 및 풀리(44)는 외경을 달리함으로써 회전체(42)의 회전수를 변경하거나, 모터(40)를 인버터 모터로 구성하여 회전수를 가변하는 등의 방법으로 요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편심추(43)의 편심정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요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요동체(20)는 케이스(24) 내부 양측에 정품 배출구(28)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상하 슬라이드홈(49)(50)이 각각 구비되어 상하부 선별체(29)(30)의 양측부가 상하 슬라이드홈(49)(50)에 결합되어 로딩 결합되거나 언로딩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하 슬라이드홈(49)(50)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대칭 설치되는 클램프(51)에 의해 상하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51)는 상하 슬라이드홈(49)(50)의 길이방향 중앙에 설치되고, 클램프(51)의 선단부에는 클램프(5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52)가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52)는 요동체(2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회전도구(도시안됨)를 조작부(52)에 결합시킨 다음 클램프(5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하 이동부재(71)(72)가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홈(49)(50)에 끼워진 상하부 선별체(29)(30)가 클램핑(Clamping)되거나 언클램핑(Unclamping)된다.
상기 요동체(20)의 전면부에는 상하부 선별체(29)(30)를 상하 슬라이드홈(49)(50)에 로딩 또는 언로딩시킬 때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53)가 구비된 개폐판(54)이 설치되며, 개폐판(54)이 분리되면 요동체(20)의 전면 일부가 개방되면서 상하부 선별체(29)(30)의 전면이 완전 노출된다. 따라서 도 29에 예시된 당김도구(95)를 이용하여 도 22와 같이 개방 공간으로 노출된 상하부 선별체(29)(30)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킬 수 있게 되고, 상하부 선별체(29)(30)의 로딩이 완료되면 도 21과 같이 요동체(20)의 전면부에 상하로 돌출 고정된 복수의 나사봉(55) 부분에 개폐판(54)의 구멍(56)을 끼운다음 너트(57)로 체결하면 개폐판(54)이 요동체(20) 전면에 고정되므로 상하부 선별체(29)(30)가 요동체(20)를 이탈하지 않게된다. 미 설명 부호 (54a)는 개폐판(54)에 설치되는 투명창이다.
상기 당김도구(95)는 길이가 긴 봉체(96) 일측에 손잡이(97)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봉체(96)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약간 돌출되는 걸림부(98)가 형성되며,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를 언로딩시킬 때 걸림부(98)를 가로 프레임(291)(301)의 저부, 또는 가로 프레임(291)(301)의 상부나 하부에 형성되는 구멍(도시안됨)에 끼운 다음 걸어 잡아당기면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가 슬라이드홈(49)(50)을 따라 요동체(20) 바깥으로 빠져 나오면서 분리된다.
상기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를 끄집어낼때 제일 앞에 위치하는 상하 조각 선별체(29a)(30a)는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끄집어 낼 수 있으며, 2번째 및 3번째(마지막 번째)에 위치하는 상하 조각 선별체(29b)(29c)(30b)(30c)는 요동체(20)의 안쪽에 위치하므로 당김도구(95)의 걸림부(98)를 가로 프레임(291)(301)의 저부에 걸어 잡아당기면 조각 선별체(29b)(29c)(30b)(30c)가 요동체(20) 바깥으로 쉽게 분리된다.
상기 클램프(51)는, 도 9 내지 도 16과 같이 요동체(20)의 측부재(58)의 내측면에 피스(59)로 고정되는 고정부(60)와, 고정부(60)의 상하로 연장되는 경사부(61)(62)와, 경사부(61)(62)의 상하로 각각 연장되는 수직평면부(63)(64)로 구성된 "
Figure 112018075170845-pat00001
" 형상의 고정부재(65)와, 수직평면부(63)(64)에 등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핀(67)(68)과,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핀(67)(68)에 장공(69)(70)이 결합되는 "
Figure 112018075170845-pat00002
" 형상의 상하 이동부재(71)(72)와, 이동부재(71)(7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핀(67)(68)에 결합되는 와셔(73)(74) 및 분할핀(75)(76)과, 고정부(60)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77)와, 지지부재(77)에 형성되는 통공(78)과, 통공(78)에 헐겁게 결합되어 회전 및 전후(길이방향)로 이동하는 작동봉(79)과, 작동봉(79)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블럭(81)과, 블럭(81)이 작동봉(7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작동봉(79)의 선후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스토퍼(82)(83)와, 블럭(81)의 상하부에 핀(84)(85)으로 축설치되는 링크(86)(87)의 하단부와, 이동부재(71)(72)의 개방홈(88)(89)에 끼워지는 링크(86)(87)의 상단부를 이동부재(71)(72)에 축설치하는 핀(90)(91)과, 요동체(20)의 선단부에 브라켓(93a)으로 고정되고 작동봉(79)의 조작부(52) 후단에 형성되는 나사부(92)에 체결되는 너트(93)와, 나사부(92)에 체결되고 조작부(52)를 고정시키는 잠금너트(94)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25)에 위치하는 상하부 선별체(29)(30)의 설치높이는 높고, 정품 배출구(28)에 위치하는 상하부 선별체(29)(30)의 설치높이는 낮도록 구성함으로써 소정의 경사각도가 유지되어 입구(25)로 투입되는 곡물이 상하부 선별체(29)(3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선별 및 배출된다.
도 17, 도 19는 본 발명 상하부 선별체(29)(30)의 평면도로, 상하부 선별체(29)(30)는 폭방향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조각, 이를테면 3~6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며, 도 18, 도 20은 상부 선별체(29) 및 하부 선별체(30)를 각각 3개의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로 분리 구성한 평면 예시도이다.
상기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는, 가로 프레임(291)(301)과 세로 프레임(292)(302)이 격자로 결합된 복수의 칸막이 구조이며, 가로 프레임(291)(301)과 세로 프레임(292)(302)의 상부에는 소정 크기의 선별 구멍(293)(303)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타공망(294)(304)이 설치되고, 가로 프레임(291)(301)과 세로 프레임(292)(302)의 하부에는 소정 메쉬의 철망(295)(305)이 고정되고, 타공망(294)(304)과 철망(295)(305) 사이 공간에는 복수의 실리콘 볼(296)(306)이 수납되어 상하부 선별체(29)(30)가 요동운동할 때 공간내에서 요동운동하면서 타공망(294)(304)에 타격(충격)을 가함으로써 곡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선별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291)(301)과 세로 프레임(292)(302)은 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는 목재,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타공망(294)(304)과 철망(295)(305) 사이의 이격거리는 실리콘 볼(296)(306) 지름(직경)의 1.5~5배로 구성하여 실리콘 볼(296)(306)이 격자형 칸막이를 자유로이 운동하면서 타공망(294)(304)을 충분히 타격하면서 선별 구멍(293)(303)의 구멍 막힘이 방지되며, 또한 상하부 선별체(29)(30)에 잔여 이물질이 남거나 잔류하지 않게된다.
상하부 선별체(29)(30)의 가로프레임(291)(301)과 중앙의 가로프레임(291)(301)과 하부의 가로프레임(291)(301)의 상부에는 소정 높이의 격리부재(297)(307)가 각각 설치되어 입구(25)로 투입되는 곡물과 이물질 들이 출구 방향(상하부 선별체(29)(30)가 낮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하부 선별체(29)(30) 바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 끼리 암수 결합되면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결합부분에는 결합돌부(298)(298)와 결합홈(299)(309)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는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결합돌부(298)(298)와 결합홈(299)(309)에 의해 암수 결합되면서 결합부분의 쳐짐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결합돌부(298)(298)와 결합홈(299)(309)은 길이가 길게 하나로 구성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조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하부 선별체(29)(30)의 입구 부분에서는 원운동이 이루어지고, 상하부 선별체(29)(30)의 중앙부분에서는 타원운동이 이루어지고, 상하부 선별체(29)(30)의 출구 부분에서는 직선 왕복운동 또는 직선에 가까운 왕복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요동체(20)의 입구(25)로 투입되는 곡물과 이물질은 원운동하는 상하부 선별체(29)(30)의 입구(25) 부분에서는 골고루 펼쳐지면서 경사도를 따라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선별되며, 타원운동하는 상하부 선별체(29)(30)의 중앙부분에서는 곡물과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선별되며, 직선 왕복 운동하는 상하부 선별체(29)(30)의 출구 부분에서 선별된 정품 곡물은 정품 배출구(28)로 배출되고, 곡물보다 크기가 큰 자갈, 깜부기, 잡초씨, 검불, 지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상부 선별체(29)의 출구를 통하여 양측의 제1 배출구(27)로 배출되고, 곡물보다 크기가 작은 사모래, 흙, 굵은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부 선별체(29)의 타공망(294)과, 하부 선별체(30)의 타공망(304)을 통과하여 경사형 바닥판(31)으로 떨어진다음 제2 배출구(26)로 배출된다.
상부 선별체(29)의 타공망(294) 크기는 곡물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하부 선별체(30)의 타공망(304) 크기는 곡물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만 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입구(25)로 투입되는 곡물은 상부 선별체(29)의 타공망(294)을 통과하여 선별되면서 하부 선별체(30)의 출구방향에 위치하는 정품 배출구(28)로 배출되고, 곡물과 함께 입구(25)로 투입되는 이물질 중에서 곡물보다 크기가 큰 자갈, 깜부기, 잡초씨, 검불, 지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상부 선별체(29)의 출구로 이동하여 제1 배출구(27)로 배출되며, 곡물과 함께 입구(25)로 투입되는 이물질 중에서 곡물보다 크기가 작은 사모래, 흙, 굵은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부 선별체(29)의 타공망(294)을 통과하여 하부 선별체(30)로 낙하한 다음 하부 선별체(30)의 타공망(304)을 통과하여 경사형 바닥판(31)으로 떨어지면서 제2 배출구(26)로 배출되며, 상하부 선별체(29)(30)가 요동운동할 때 타공망(294)(304)과 철망(295)(305)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실리콘 볼(296)(306)도 요동운동하면서 타공망(294)(304)을 타격하게 되므로 곡물과 이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선별될 뿐 아니라, 선별 구멍(293)(303)의 구멍 막힘이 방지되며, 상하부 선별체(29)(30)에 잔여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게 된다.
도 9는 조작부(52)를 이용하여 클램프(51)의 작동봉(79)을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상하 이동부재(71)(72)가 가까워지면서 오무려진 상태이다. 즉, 작동봉(79)의 나사부(92)는 고정 너트(93)에 체결되어 있어서 작동봉(79)을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작동봉(79)이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면서 우측(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작동봉(79)의 양측에 고정된 스토퍼(82)(83)에 의해 작동봉(79)에 결합된 블럭(81) 또한 우측(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며, 따라서, 블럭(81)에 축설된 링크(86)(87)의 하단부가 핀(84)(85)을 중심으로 우측(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링크(86)(87)의 상단부는 오무려지면서 가까워지게 되며, 링크(86)(87)의 상단부에 축결합되고 장공(69)(70)에 결합된 핀(67)(68)은 서로 가까워지게되며, 따라서 상기 핀(67)(68)에 장공(69)(70)이 결합되어 상하 운동만 허용되는 상하 이동부재(71)(72)는 소정 높이(h1)로 오무려지면서 가까워지게된다.
상기 작동봉(79)은 도 15와 같이 고정부(60)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77)의 통공(78)에 끼워져 지지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된다.
도 10은 조작부(52)를 이용하여 클램프(51)의 작동봉(79)을 시계방향으로 정회전시켜 상하 이동부재(71)(72)가 멀어지면서 벌어진 상태이다. 즉, 조작부(52)에 의해 작동봉(79)이 시계방향으로 정회전하면서 좌측(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작동봉(79)의 양측에 고정된 스토퍼(82)(83)에 의해 작동봉(79)에 결합된 블럭(81) 또한 좌측(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따라서 블럭(81)에 축설된 링크(86)(87)의 하단부가 핀(84)(85)을 중심으로 좌측(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링크(86)(87)의 상단부는 벌어지면서 멀어지게 되며, 링크(86)(87)의 상단부에 축결합되고 장공(69)(70)에 결합된 핀(67)(68)은 서로 멀어지게된다. 따라서 상기 핀(67)(68)에 장공(69)(70)이 결합되어 상하 운동만 허용되는 상하 이동부재(71)(72)는 소정 높이(h2)로 벌어지면서 멀어지게된다.
도 12는 도 10, 도 16의 (a)와 같이 상하 이동부재(71)(72)가 소정 높이(h2)로 벌어지면서 상부 이동부재(71)는 상승하여 슬라이드홈(49)에 결합된 상부 선별체(29)의 저부면을 가압지지하는 상태이고, 하부 이동부재(72)는 하강하여 슬라이드홈(50)에 결합된 하부 선별체(30)의 상부면을 가압지지하는 상태이다. 즉 슬라이드홈(49)(50)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가 클램프(51)에 의해 한꺼번에 신속히 클램핑된다.
상기에서 상부 선별체(29)의 상부면, 예컨대 가로프레임(291)(301)의 상부에 고정되는 격리부재(297)(307)의 상부면은 도 23, 도 26과 같이 상부 슬라이드홈(49) 상부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평부재(17)에 의해 지지되므로 견고하게 클램핑되며, 하부 선별체(30)의 저부면, 예컨대 세로프레임(292)(302)의 저부면은 하부 슬라이드홈(50)의 바닥부재(18)에 얹혀 지지된다.
상기 수평부재(17)는 스프링 탄지부재(19)에 의해 하향 탄지된다.
도 13은 도 9, 도 16의 (b)와 같이 상하 이동부재(71)(72)가 소정 높이(h1)로 오무려지고, 도 24, 도 27과 같이 상부 슬라이드홈(49)에 결합된 상부 선별체(29)가 밑으로 쳐지면서 수평부재(17)와 상부 선별체(29) 사이에 소정 높이(h3)의 틈이 발생되고, 하부 이동부재(72)의 상승에 의해 하부 슬라이드홈(50)에 결합된 하부 선별체(30)의 상부면 사이에도 소정 높이(h4)의 틈이 발생되면서 상하부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가 한꺼번에 신속히 언클램핑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하부 조각 선별체(29a)(29b)(29c)(30a)(30b)(30c)를 요동체(20) 바깥으로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된다.
도 25, 도 28은 상하 슬라이드홈(49)(50)에 결합되어 있던 상하부 선별체(29)(30)가 분리 제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입구(25)로 투입되는 곡물은 상부 선별체(29)의 타공망(294)을 통과하여 선별되면서 하부 선별체(30)의 출구방향에 위치하는 정품 배출구(28)로 배출되고, 곡물과 함께 입구(25)로 투입되는 이물질 중에서 곡물보다 크기가 큰 자갈, 깜부기, 잡초씨, 검불, 지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상부 선별체(29)의 출구로 이동하여 제1 배출구(27)로 배출되며, 곡물과 함께 입구(25)로 투입되는 이물질 중에서 곡물보다 크기가 작은 사모래, 흙, 굵은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부 선별체(29)의 타공망(294)을 통과하여 하부 선별체(30)로 낙하한 다음 하부 선별체(30)의 타공망(304)을 통과하여 경사형 바닥판(31)으로 떨어져 제2 배출구(26)로 배출되면서 각종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선별 제거되고 정품 곡물이 정선된다.
본 발명은 요동체(20)에 설치되는 상하부 선별체(29)(30)를 서랍식으로 구성하되 폭방향으로 3개~6개로 분리 구성하여 크기와 평면적을 줄임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슬라이딩 방식(서랍식)으로 쉽게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좁은 장소나 좁은 공간에도 곡물 조선기(1)를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부 선별체(29)(30)를 로딩 또는 언로딩할 때 클램프(51)를 이용하여 요동체(20) 부분에 한꺼번에 신속히 클램핑(Clamping)시키거나 언클램핑(Unclamping)시킬 수 있어서 작업성이 우수하며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하부 선별체(29)(30)가 요동운동할 때 타공망(294)(304)과 철망(295)(305)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실리콘 볼(296)(306)이 요동운동하면서 타공망(294)(304)을 타격하게 되므로 곡물과 이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선별될 뿐 아니라, 상하부 선별체(29)(30)의 선별 구멍(293)(303)의 구멍 막힘이 방지되고 잔여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곡물의 종류나 품종에 따라 적합한 사양(규격)의 상하부 선별체(29)(30)를 슬라이딩 방식(서랍식)으로 신속 간편하게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어서 상하부 선별체(29)(30)의 수리 및 보수 및 교체가 쉬워 작업성과 전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곡물조선기 (2)--기대
(3)--풍력식 곡물선별기 (4)--정량공급부
(5)--투입구 (6)--투입량 조절부
(7)--정량공급롤러 (8)(40)--모터
(9)--회전망체 (10)--조절판
(11)--스크레이퍼 (12)--배출구
(13)--배출관 (14)--그물망
(15)--경사유도판 (16)--출구
(17)--수평부재 (18)--바닥부재
(20)--요동체 (21)--완충지지수단
(21a)--브라켓 (22)--브레이크
(23)--요동수단 (24)--케이스
(25)--입구 (26)--제2 배출구
(27)--제1 배출구 (28)--정품 배출구
(29)(30)--선별체 (31)--바닥판
(32)--힌지 (33)--퀵클램프
(34)--손잡이 (35)--도어
(36)--투명창 (37)--집진구
(38)--제1 덕트 (39)--제2 덕트
(41)(44)--풀리 (42)--회전체
(43)--편심추 (45)--벨트
(49)(50)--슬라이드홈 (51)--클램프
(52)--조작부 (53)--손잡이
(54)--개폐판 (55)--나사봉
(56)--구멍 (57)--너트
(58)--측부재 (59)--피스
(60)--고정부 (61)(62)--경사부
(63)(64)--수직평면부 (65)--고정부재
(67)(68)(84)(85)--핀 (69)(70)--장공
(71)(72)--이동부재 (73)(74)--와셔
(75)(76)--분할핀 (77)--지지부재
(78)--통공 (79)--작동봉
(81)--블럭 (82)(83)--스토퍼
(86)(87)--링크 (88)(89)--개방홈
(90)(91)--핀 (92)--나사부
(93)--너트 (93a)--브라켓
(94)--잠금너트 (95)--당김도구
(h1)(h2)(h3)(h4)--높이

Claims (5)

  1. 곡물 조선기에 설치되는 요동체;
    상기 요동체 내부 양측에 정품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하 슬라이드홈;
    상기 상하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클램프;
    상기 상하 슬라이드홈에 결합되고 클램프에 의해 로딩 및 언로딩되는 상하부 선별체;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요동체의 측부재 내측면에 피스로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하로 연장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상하로 각각 연장되는 수직평면부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수직평면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핀;
    상기 핀에 장공이 결합되는 상하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핀에 결합되는 와셔 및 분할핀;
    상기 고정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통공에 헐겁게 결합되어 회전 및 전후로 이동하는 작동봉;
    상기 작동봉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블럭;
    상기 블럭이 작동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작동봉의 선후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스토퍼;
    상기 블럭의 상하부에 핀으로 축설치되는 링크의 하단부;
    상기 이동부재의 개방홈에 끼워지는 링크의 상단부를 이동부재에 축설치하는 핀;
    상기 요동체의 선단부에 브라켓으로 고정되고 작동봉의 조작부 후단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고 조작부를 고정시키는 잠금너트;
    를 더 포함하는 곡물 조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선별체는 3~6개의 복수 조각 선별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조선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각 선별체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격자로 결합된 복수의 칸막이 구조이고,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상부에는 소정 크기의 선별 구멍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타공망이 설치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하부에는 소정 메쉬의 철망이 고정되고,
    상기 타공망과 철망 사이 공간에는 복수의 실리콘 볼이 수납되고,
    상기 복수의 조각 선별체는 결합돌부와 결합홈으로 결합되는 곡물 조선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의 선단부에 클램프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요동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회전도구를 조작부에 결합시킨 다음 클램프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클램프의 상하 이동부재가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홈에 끼워진 상하부 선별체가 클램핑 및 언클램핑되는 곡물 조선기.
  5. 삭제
KR1020180088563A 2018-07-30 2018-07-30 곡물 조선기 KR102069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63A KR102069606B1 (ko) 2018-07-30 2018-07-30 곡물 조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63A KR102069606B1 (ko) 2018-07-30 2018-07-30 곡물 조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606B1 true KR102069606B1 (ko) 2020-01-23

Family

ID=6936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563A KR102069606B1 (ko) 2018-07-30 2018-07-30 곡물 조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241A (ko) 1994-09-29 1996-04-20 조오지프 시이 맥닐 급속커넥터용 스터퍼핀조립체
KR100238746B1 (ko) * 1998-02-11 2000-01-15 최병준 곡물 조선기.
KR200209572Y1 (ko) 2000-07-25 2001-01-15 대원산업주식회사 곡물 조선기
KR100323650B1 (ko) 2000-02-23 2002-02-07 한대일 조선기
JP3962461B2 (ja) * 1997-11-07 2007-08-22 弘昭 杉山 貝類自動選別機
JP2009279526A (ja) * 2008-05-22 2009-1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振動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241A (ko) 1994-09-29 1996-04-20 조오지프 시이 맥닐 급속커넥터용 스터퍼핀조립체
JP3962461B2 (ja) * 1997-11-07 2007-08-22 弘昭 杉山 貝類自動選別機
KR100238746B1 (ko) * 1998-02-11 2000-01-15 최병준 곡물 조선기.
KR100323650B1 (ko) 2000-02-23 2002-02-07 한대일 조선기
KR200209572Y1 (ko) 2000-07-25 2001-01-15 대원산업주식회사 곡물 조선기
JP2009279526A (ja) * 2008-05-22 2009-1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振動スクリー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010B1 (ko) 고효율 곡물 정선기
KR100209104B1 (ko) 곡물 선별 장치
JP6255684B2 (ja) 粗選別装置
CZ286148B6 (cs) Zařízení pro rovinné vysévače
KR101177824B1 (ko) 진동 선별장치
KR102189681B1 (ko) 선별기
CN209476806U (zh) 新型矿石筛分装置
KR102069606B1 (ko) 곡물 조선기
CN109821743B (zh) 一种农作物种子筛选设备
KR200421116Y1 (ko) 풍력을 이용한 벼 선별기
KR100238746B1 (ko) 곡물 조선기.
CN211887829U (zh) 一种农业生产用筛选机
KR100532854B1 (ko) 콩 정선장치
KR200486548Y1 (ko) 잡곡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0465495A (zh) 一种高效种子清选机
CN208288406U (zh) 分级筛下料三通分选机构
CN210207647U (zh) 谷物精选机
KR200288679Y1 (ko) 풋콩 탈곡장치
KR100716675B1 (ko) 풍력을 이용한 곡물 선별장치
US399486A (en) Separator
US2296293A (en) Method of sifting
US1398275A (en) Grain cleaner, separator, and drier
KR20150054091A (ko) 입도 선별장치
RU2167725C2 (ru) Машина для очистки и калибровки семян
US253380A (en) Machine for clea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