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278B1 -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278B1
KR102069278B1 KR1020190027098A KR20190027098A KR102069278B1 KR 102069278 B1 KR102069278 B1 KR 102069278B1 KR 1020190027098 A KR1020190027098 A KR 1020190027098A KR 20190027098 A KR20190027098 A KR 20190027098A KR 102069278 B1 KR102069278 B1 KR 102069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ain body
value
uni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우
송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케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케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케앤코
Priority to KR102019002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34Ring or other apertured gauges, e.g. "go/no-go"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5/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지를 착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에 최적의 착용감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관통구멍(110)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센서가 설치된 밴드와, 반지의 폭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입력된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표시부와, 상기 센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값과 상기 표시부에 표지된 입력 값을 이용하여 반지의 내경 값으로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 된 반지의 내경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Measurement device of ring size}
본 발명의 반지를 착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각기 다른 손가락에 최적의 착용감과 심미감을 제공하여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반지 사이즈를 결정할 때에는 도 1 및 아래 표1에 나타난 각호별로 제작된 각각의 내경 크기를 가지는 다수 개의 링을 이용하여 반지를 착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 외경 크기를 순차적으로 끼워 반지의 내경을 결정하였다.
Figure 112019024215918-pat00001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착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반지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각 나라마다 다르며 단위의 1/2, 1/3 등의 중간단계를 체크하지 못하며, 장비의 노후화 등의 문제로 인한 오류가 발생함은 물론, 현재의 링 사이즈 측정도구를 이용해서 사이즈를 측정 및 제작하는 방법은 다양한 디자인과 넓은 폭의 반지사이즈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으며, 사용자의 특수한 신체적 특성을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기술은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10-1993-0020141호의 반지크기 재는 기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래 -
상기 반지크기 재는 기구(10)는, 하부벽(12)에 인입구(13)가 형성되고 하부벽(12)의 측면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되며 상부벽(15)에 투시창(16) 및 (18)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7)가 형성된 하우징(11)과, 한 단부에 손잡이(21)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눈금표시부(2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나선부(23)가 형성되고 나선부(23)의 외부에는 회전축(24)이 돌출된 상기 하우징(11)의 공간부(17)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봉상의 측정부(20) 및, 한 단부(31)가 상기 하우징(11)의 하부벽(12)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32)는 상기 하우징(11)의 하부벽(12)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32)는 상기 하우징(11)의 인입구(13)를 지나 배출구(14)를 통하여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하며, 일측 모서리에는 나선부(34)가 형성된 눈금(33)이 새겨진 스트립(30)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반지크기 재는 기구(10)는, 하부벽(12)에 인입구(13)가 형성되고 하부벽(12)의 측면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되며, 상부벽(15)에 투시창(16) 및 (18)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7)가 형성된 하우징(11)과, 한 단부(31)가 상기 하우징(11)의 인입구(13)를 지나 배출구(14)를 통하여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하며, 일측 모서리에는 나선부(34)가 형성된 눈금(33)이 새겨진 스트립(30)과, 한 단부에 손잡이(51)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눈금표시부(5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나선부(53)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11)의 공간부(17)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봉상의 측정부(50) 및, 양측으로 하우징(11)의 측벽에 지지되는 선회축(54)이 돌출되고 상부 모서리에는 하우징(11)의 상부벽(15)으로부터 압축스프링(56)이 고정되는 돌기(57)가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50)의 손잡이(51)와 눈금표시부(5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의 공간부(16)내에서 상기 선회축(54)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 슬리이브(5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한국공개특허 10-1993-0020141호의 반지크기 재는 기구도 다양한 디자인과 넓은 폭의 반지사이즈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음은 물론, 사용자의 특수한 신체적 특성을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1993-0020141호 : 반지크기 재는 기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기 다른 사람의 손가락의 크기에 맞는 반지의 내경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반지 착용감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 구성은,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10)을 형성시켜 된 본체(100)가 마련되고, 일 측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 측 길이방향으로는 센서(210)가 설치되어 손가락을 감씨며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밴드(200)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착용자가 선택한 반지(A)의 폭(W)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300)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표면에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표시부(40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관통구멍의 상부에는, 상기 센서를 감지하는 감지부(500)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값과 상기 표시부에 표지된 입력 값을 이용하여 반지의 내경 값으로 연산하는 연산부(600)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표면 일 측에는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 된 반지의 내경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700)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사람의 손가락의 크기에 맞는 반지의 내경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반지 착용감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지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사람의 손가락의 크기를 측정하는 다수의 링을 나타낸 사진,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의 반지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사람의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반지를 착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각기 다른 손가락에 최적의 착용감과 심미감을 제공하여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도 3은 본 발명의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에서 본체(100)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밴드(200)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1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관통구멍(110)이 형성된 본체(100)의 일 측 출구 측에는 밴드(200)의 일 측이 연결되는데, 그 연결방법의 실시 예는, 도 3에 나타낸 비와 같이 밴드(200)의 일 측이 본체(100)의 일 측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밴드(200)의 일 측이 본체(100)의 일 측과 분해결합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200)는, 신축성이 없는 수지 또는 금속재 밴드 중 어느 하나를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손가락의 외경을 측정할 때에 상기 밴드(200)의 길이가 변하게 되면 반지의 내경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밴드(200)는 길이변화가 없는 재질의 것이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밴드(200)의 재질은, 수지 또는 금속재 외에도 신축성이 없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110)을 통과하는 밴드(200)의 선단 부분 길이방향으로는 센서(210)가 설치되는데, 그 센서(210)를 밴드(200)의 선단 부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이유는, 사람의 손가락 외경 사이즈는 각기 다르기 때문에 그 각기 다른 사람의 손가락 외경 사이즈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본체(100)의 일 측에는 착용자가 선택한 반지(A)의 폭(W)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300)가 마련되는데, 그 입력부(300)를 마련하는 이유는, 반지의 내경이 동일하다 해도 손가락과 반지의 내경 간의 접촉면적이 다르면 착용감이 다르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지(A)의 폭(W)에 따라 반지의 내경 크기를 다르게 하여 반지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입력부(300)의 실시 예는, 본체(100)의 일 측에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지(A)의 폭(W) 값을 숫자로 입력하는 숫자 업/다운 버튼(310)을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일 측면에 눈금이 형성된 장 홀(320)이 형성되고, 그 장 홀(320)에는 눈금을 따라 이동하며 반지(A)의 폭(W) 값을 상기 표시부(400)에 표출되게 하는 레버(33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표면에는 상기 입력부(300)에서 입력된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표시부(40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반지 착용자가 선택한 반지(A)의 폭(W)을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함과 동시에 반지(A)의 폭(W) 값이 오차가 발생했을 경우 그 오차 값을 수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100)에는 감지부(500)가 설치되어 상기 밴드(200)에 설치된 센서(210)를 감지하고, 그 감지부(500)에서 감지된 감지 값과 상기 표시부(400)에 표지된 입력 값을 사람이 착용하는 반지의 내경 값으로 연산하는 연산부(600)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0)에 마련되는데, 그 연산부(600)의 설치 위치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표면 일 측에는 상기 연산부(600)에서 연산 된 반지의 내경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700)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그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반지의 내경 값을 도출하고 표출시킨다.
단 본 발명의 관통구멍(110) 입구 또는 출구 측 중 어느 일 측의 본체(100)에는 본체(100)에는 밴드(200)를 이용한 사람의 손가락 외경 크기 측정을 완료한 후 밴드(2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토퍼(800)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800)는 본체(100)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손가락의 외경 크기를 측정 후 밴드(200)가 관통구멍(110)으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800)를 이동시켜 스토퍼(800)의 끝단이 밴드(200)의 표면을 긴밀하게 누르도록 한다.
또 상기의 손가락의 외경 크기 측정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밴드(200)의 표면을 누르고 있던 스토퍼(800)의 누름 력을 해제시켜 밴드(200)를 관통구멍(110)으로부터 인출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반지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지 착용자가 원하는 반지의 형태(무게, 폭, 디자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반지(A)의 폭(W)을 측정한 후 그 측정된 값을 본체(100)의 일 측에 마련된 입력부(300)를 통하여 입력하여 표시부(400)에 숫자로 표시되게 한다.
상기의 작업이 완료되면 센서(210)가 설치된 밴드(200)를 이용하여 반지를 착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감싸며 상기 밴드(200)의 선단을 본체(100)에 형성된 관통구멍(110)의 입구를 통하여 출구 측으로 관통시키며 상기 밴드(200)가 손가락을 적정하게 감싸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밴드(200)가 손가락을 감싸게 되면 감지부(500)에서 상기 밴드(200)의 센서(210)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외경을 측정하고, 그 손가락의 외경 측정값을 연산부(600)로 보내며, 상기 연산부(600)에서는 상기 손가락의 외경 측정값과 표시부(400)의 값을 이용하여 반지의 내경 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700)에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표시부(400)에 나타나는 숫자와 감지부(500)에 의한 손가락의 외경 측정값을 이용하여 연산부(600)에서 연산 된 숫자를 디스플레이부(700)에 나타내는 실시 예는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9024215918-pat0000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반지의 폭과 사람의 손가락의 크기에 맞는 반지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에게 최적의 반지 착용감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 관통구멍
200 : 밴드 210 : 센서
300 : 입력부 310 : 버튼
320 : 장 홀 330 : 레버
400 : 표시부 500 : 감지부
600 : 연산부 700 : 디스플레이부
800 : 스토퍼 A : 반지
W : 폭

Claims (6)

  1.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10)을 형성시켜 된 본체(100)가 마련되고,
    일 측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 측 길이방향으로는 센서(210)가 설치되어 손가락을 감싸며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밴드(200)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착용자가 선택한 반지(A)의 폭(W)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300)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표면에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표시부(40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관통구멍의 상부에는, 상기 센서를 감지하는 감지부(500)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값과 상기 표시부에 표지된 입력 값을 이용하여 반지의 내경 값으로 연산하는 연산부(600)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표면 일 측에는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 된 반지의 내경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700)를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일 측은, 상기 본체의 일 측으로부터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의 폭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는, 숫자를 업/다운하는 버튼(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의 폭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눈금이 형성된 장 홀(320)이 형성되고, 그 장 홀에는 눈금을 따라 이동하며 반지의 폭 값을 상기 표시부에 표출되게 하는 레버(33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입구 또는 출구 중 어느 일 측의 본체에는, 반지 착용자의 손가락 외경 사이즈를 측정 완료한 후 밴드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토퍼(8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신축성이 없는 수지 또는 금속재 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KR1020190027098A 2019-03-08 2019-03-08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KR10206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98A KR102069278B1 (ko) 2019-03-08 2019-03-08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98A KR102069278B1 (ko) 2019-03-08 2019-03-08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278B1 true KR102069278B1 (ko) 2020-03-02

Family

ID=6980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098A KR102069278B1 (ko) 2019-03-08 2019-03-08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53B1 (ko) 2020-03-31 2020-09-10 김은정 반지 치수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141A (ko) 1992-03-11 1993-10-19 민덕기 반지크기 재는 기구
KR100545345B1 (ko) * 2003-08-13 2006-01-24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디지탈 외경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0085A (ko) * 2005-03-16 2006-09-20 이상열 반지치수 측정용 보조기구
US7578070B1 (en) * 2006-07-31 2009-08-25 Stacy Lynch Digital ring siz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CN105651231A (zh) * 2016-03-28 2016-06-08 马根昌 戒指佩戴尺寸测量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141A (ko) 1992-03-11 1993-10-19 민덕기 반지크기 재는 기구
KR100545345B1 (ko) * 2003-08-13 2006-01-24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디지탈 외경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0085A (ko) * 2005-03-16 2006-09-20 이상열 반지치수 측정용 보조기구
US7578070B1 (en) * 2006-07-31 2009-08-25 Stacy Lynch Digital ring siz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CN105651231A (zh) * 2016-03-28 2016-06-08 马根昌 戒指佩戴尺寸测量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53B1 (ko) 2020-03-31 2020-09-10 김은정 반지 치수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000B1 (ko) 디지털 틈새 게이지 및 그 이용 방법
JP4886550B2 (ja) 生体情報取得装置
US7578070B1 (en) Digital ring siz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20120266479A1 (en) Portable measuring instrument
US4417401A (en) Garment measuring device
US5269069A (en) Finger ring size measuring instrument
KR102069278B1 (ko) 반지 사이즈 측정장치
WO2018091462A1 (fr) Dispositif de mesure de la circonférence d'un objet
CA2378100A1 (en) Regulator flow measurement apparatus
KR20200121005A (ko) 손가락별로 측정되는 악력 측정장치
US79501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interior dimensions of a glove
JP6552182B2 (ja) 体温計およびその装着部品
JPH06281404A (ja) 物体の長さおよび周長を測定する装置
US7322121B1 (en) Device for checking chamfers and radii
EP3130895A1 (en) Flow sensor devi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CN105651231A (zh) 戒指佩戴尺寸测量器
CN210843058U (zh) 用于深静脉血栓判断的腿围测量尺
GB2267758A (en) Airflow measuring device
KR20140002808U (ko) 의류재단용 곡선 측정장치
US933992A (en) Glove-measuring device.
MX2021006224A (es) Indicador de respiracion.
CN205352572U (zh) 一种新型的压力温度计
US991103A (en) Tape-measure attachment.
JP5316117B2 (ja) 腕帯選定装置
JP6137895B2 (ja) 血圧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