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827B1 - 텐션봉 - Google Patents

텐션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827B1
KR102068827B1 KR1020180091501A KR20180091501A KR102068827B1 KR 102068827 B1 KR102068827 B1 KR 102068827B1 KR 1020180091501 A KR1020180091501 A KR 1020180091501A KR 20180091501 A KR20180091501 A KR 20180091501A KR 102068827 B1 KR102068827 B1 KR 102068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weight
pipe
outer pipe
in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
Priority to KR102018009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2Curtain rods
    • A47H1/022Curtain rods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2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for fastening kitchen utensi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D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제조가 용이하여 제품단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갖는 텐션봉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텐션봉{TENSION PIPE}
본 발명은 텐션봉 및 텐션봉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하여 제품단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갖는 텐션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텐션봉이란 스프링을 통해 내부파이프와 외부파이프가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벽과 벽 사이에 고정되는 봉으로, 공간을 분리하거나 일부공간을 외부에 차단하기 커튼이나 레이스를 걸거나 주방에서 필요한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1에는 종래의 텐션봉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텐션봉은 내부파이프(10), 스프링(20), 외부파이프(30)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20)은 피치가 동일한 코일스프링이며 일단에는 고리(21)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20)은 내부파이프(10)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고 내부파이프 가장자리 부근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1)가 스프링(20)의 피치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어 있다. 또한, 외부파이프(30)의 단부에는 고정핀(31)이 외부파이프(30)의 내경을 가로지르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31)에는 상기 스프링(20)의 고리(21)가 결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텐션봉은 내부파이프(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0)은 외부파이프(3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파이프의 돌기(11)가 스프링(20)의 피치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일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외부파이프(30)에서 인출되어 텐션봉의 길이가 증가하고, 내부파이프(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파이프의 돌기(11)가 스프링(20)의 피치 사이의 공간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외부파이프(30) 내부로 인입되어 텐션봉의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텐션봉은 설치되고자 하는 벽과 벽 사이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어 벽과 벽 사이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된 텐션봉에 커튼이나 레이스를 걸거나 주방에서 필요한 물건을 걸어 둘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텐션봉은, 스프링(20)을 외부파이프(30)에 고정하기 위해 스프링에 고리(21)를 형성해야 하고, 외부파이프의 단부에는 고정핀(31)을 고정해야 하며, 스프링의 고리(21)를 고정핀(31)에 고정해야 하므로, 제조방법이 복잡해서 제품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여 제품단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갖는 텐션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가 삽입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1스프링부에서 연장되며 외부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스프링부로 구성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스프링부는 소정간격의 피치를 갖도록 선회되고 상기 제2스프링부는 피치가 없는 무피치간격으로 선회되며, 내부파이프의 가장자리 부근의 일점을 내경방향으로 가압하여 내부파이프 내측으로 돌출된 선회돌기가 상기 제1스프링부의 피치 사이로 삽입되게 하고, 외부파이프의 가장자리를 균등한 간격으로 내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외부파이프 내측으로 돌출된 결속돌기가 상기 제2스프링부의 스프링편과 스프링편 사이로 끼워들어가 제2스프링부가 외부파이프와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봉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가 삽입되는 외부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와; 소정간격의 피치를 갖도록 선회되며 상기 내부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스프링부에서 연장되며 피치가 없는 무피치간격으로 선회되며 상기 외부파이프에 삽입되는 제2스프링부로 구성되는 스프링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파이프에 스프링의 제1스프링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파이프의 가장자리 부근의 일점을 내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스프링부의 피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선회돌기를 내부파이프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파이프 외부로 외부파이프를 삽입하여 제2스프링부가 외부파이프 내부에 삽입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가장자리를 균등한 간격으로 내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2스프링부의 스프링편과 스프링편 사이로 끼워들어가 제2스프링부가 외부파이프와 고정되게 하는 다수의 결속돌기를 외부파이프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봉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조가 용이하여 제품단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갖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텐션봉 단면도이며,
도2는 종래의 텐션봉 작용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의 결합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의 결합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의 작용도이며,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의 분리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은 내부파이프(110)와 상기 내부파이프가 삽입되는 외부파이프(120)를 포함하고, 스프링(130)에 의해 내부파이프(110)가 외부파이프(120)에서 인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면서 벽과 벽 사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30)은 제1스프링부(131)와 제2스프링부(1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부(131)는 소정간격의 피치를 갖도록 선회되고 상기 제2스프링부(132)는 피치가 없는 무피치간격으로 선회된다. 소정간격의 피치는 후술할 선회돌기(111)가 삽입되어 선회될 수 있는 간격의 피치를 의미하며 무피치간격은 실질적으로 제2스프링부(132)의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의미한다.
제1스프링부(131)는 내부파이프(110) 내부로 삽입되며, 제2스프링부(132)는 외부파이프(120) 내부로 삽입되며, 제2스프링부(132)의 직경은 제1스프링부(131)의 직경 보다 크다.
제1스프링부(131)가 내부파이프(110) 내부로 삽입되면 직경이 제1스프링부(131) 보다 큰 제2스프링부(132)는 내부파이프(110)에 삽입되지 않고 내부파이프의 단부에 제2스프링부(132)가 걸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부파이프(110) 외측으로 외부파이프(120)를 끼우면 제2스프링부(132)가 외부파이프(120)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파이프에는 선회돌기(111)가 형성된다. 상기 선회돌기(111)는 내부파이프(110)의 가장자리 부근의 일점을 내경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내부파이프 내측으로 돌출된 선회돌기(111)가 상기 제1스프링부(131)의 피치 사이로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파이프에는 다수개의 결속돌기(121)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돌기(121)는 외부파이프(120) 가장자리를 균등한 간격으로 내경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외부파이프 내측으로 돌출된 결속돌기(121)가 상기 제2스프링부(132)의 스프링편과 스프링편 사이로 끼워들어가 제2스프링부(132)가 외부파이프(1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은 외부파이프(120) 내부에 내부파이프(110)가 삽입되어 있고 스프링(130)은 제1스프링부(131)가 내부파이프(110)에, 제2스프링부(132)가 외부파이프(120)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파이프의 선회돌기(111)는 제1스프링부(131)의 피치 사이로 인입되어 있고 외부파이프의 결속돌기(131)는 제2스프링부(132)의 스프링편과 스프링편 사이로 끼워져 외부파이프(120)와 제2스프링부(132)는 서로 고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파이프(1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부파이프(110)의 선회돌기(111)는 제1스프링부(131)의 피치 사이의 공간을 선회하면서 내부파이프(110)가 외부파이프(120)에서 인출되어 텐션봉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설치하고자 하는 벽과 벽 사이의 길이에 맞게 텐션봉의 길이를 늘여 텐션봉을 벽과 벽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파이프(1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파이프의 선회돌기(111)는 제1스프링부(131)의 피치 사이의 공간을 선회하면서 내부파이프(110)가 외부파이프(120)에서 인입되어 텐션봉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설치된 텐션봉을 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은 스프링(130)를 내부파이프(110)에 삽입되는 제1스프링부(131)와 외부파이프(120)에 삽입되는 제2스프링부(132)로 구성하고 내부파이프(110)에는 선회돌기(111)를 외부파이프(120)에는 결속돌기(121)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텐션봉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여 제품단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갖는 텐션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내부파이프(110)와 상기 내부파이프가 삽입되는 외부파이프(120)를 준비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간격의 피치를 갖도록 선회되며 상기 내부파이프(110)에 삽입되는 제1스프링(131)과 상기 제1스프링부에서 연장되며 피치가 없는 무피치간격으로 선회되며 상기 외부파이프(120)에 삽입되는 제2스프링부(132)로 구성되는 스프링(130)을 준비한다.
이 후에는 상기 내부파이프(110)에 스프링(130)의 제1스프링부(131)를 삽입한 다음 상기 내부파이프(110)의 가장자리 부근의 일점을 내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스프링부의 피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선회돌기(111)를 내부파이프(110)에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선회돌기를 내부파이프에 형성하는 바람직한 일례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6의 (a)을 참고하면 내부파이프 안착면(211)을 갖는 하부금형(210)에 상기 제1스프링부가 삽입된(도면에는 미도시) 내부파이프(110)를 안착시킨 다음 내부파이프 가압면(221)을 갖으며 가압면상에는 내부파이프 가압돌기(222)가 형성된 상부금형(220)을 하부금형(210)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의 내부파이프 가압돌기(222)가 내부파이프(110)의 일점을 가압하여 내부파이프 내경방향으로 선회돌기(111)가 형성되며, 상기 선회돌기(111)가 제1스프링부(131)의 피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후에는 내부파이프(110) 외부로 외부파이프(120)를 삽입하여 제2스프링부(132)가 외부파이프(120) 내부에 삽입되게 한다.
그 후, 외부파이프(120)의 가장자리를 균등한 간격으로 내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2스프링부(132)의 스프링편과 스프링편 사이로 끼워들어가 제2스프링부(132)가 외부파이프(120)와 고정되게 하는 다수의 결속돌기(121)를 외부파이프(120)에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돌기(121)를 외부파이프(120)에 형성하는 바람직한 일례가 도7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도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파이프 안착면(311)을 갖으며 안착면에 외부파이프 가압돌기(312)가 형성된 하부금형(310)에 상기 제2스프링부가 삽입된(도면에는 미도시) 외부파이프(120)를 안착시킨 다음 외부파이프 가압면(321)을 갖으며 가압면에 외부파이프 가압돌기(322)가 형성된 상부금형(320)을 하부금형(310)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부금형의 외부파이프 가압돌기(322) 및 하부금형의 외부파이프 가압돌기(312)가 외부파이프(120)를 균등간격을 가압하여 외부파이프의 내경방향으로 결속돌기(121)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기(121)가 제2스프링부(132)의 스프링편과 스프링편 사이로 끼워들어가 외부파이프(120)와 제2스프링부(132)가 서로 결속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봉은 간단한 방법으로 텐션봉을 제조할 수 있어 제품단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갖는다는 잇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텐션봉을 구성하는 내부파이프(110)와 외부파이프(120)를 준비할 때 이들의 외주면에 항균방오층을 더 형성하되, 내부파이프(110)의 외주면은 상기 항균방오층에 의해 외부파이프(120)에 대해 슬립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 방열성과 슬립성을 더욱 강화하고, 노출면적이 더 큰 외부파이프(120)의 외주면에서는 항균방오층에 의해 방열, 방습, 방오성이 더욱 강화되도록 항균방오층 코팅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균방오층 코팅단계는 항균방오층을 구현하기 위한 수지조성물을 스프레이방식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코팅한다.
아울러, 상기 항균방오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조성물은 내부파이프(110)의 외주면에 코팅되는 제1수지조성물과, 외부파이프(120)의 외주면에 코팅되는 제2수지조성물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수지조성물은 질화붕소(BN) 분말 10중량%와, 그라파이트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메타크릴산 2.5중량%와, 팔미트산 3.5중량%와, 키토산화이버 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에폭시수지 5중량% 및 나머지 CNT가 분산된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질화붕소는 육방정 결정구조를 갖는 물질로서, 열전도율이 높아 방열특성이 좋고,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는 경량화와 높은 방사율 특성을 얻으면서 분산효과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특히 입자모양이 플레이크 타입을 갖도록 함으로써 고분자수지(베이스수지인 폴리프로필렌수지) 사이에 긴밀히 혼입되게 하여 열전도 특성과 원만한 분산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것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 사용되는 부분이 열팽창에 의해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수명화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은 수지조성물의 분산 안정성과 방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이 방수성 유기물이기 때문에 발수성도 강화시키고 오염물질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메타크릴산은 산에 강하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팔미트산 화학식은 CH3(CH2)14COOH의 화학식을 갖는 밀랍 모양의 고체 지방산으로서 슬립성을 증대시켜 외부파이프(120) 속에서 스티키성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키토산화이버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는 항균성과 면역성을 강화시키는 천연 항균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약품 형태의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 항균제를 사용함으로써 인체 유해성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는 암팔라야(Bitter Melon), 황련 뿌리, 매발톱나무 뿌리에서 추출되는 추출물로서 곰팡이는 물론 살모넬라균 등 널리 알려진 균류에 대한 천연 항균제이다.
또한, 에폭시수지는 접착성을 강화시켜 계면 분리를 막고, 안정적인 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며, CNT(Carbon Nano Tube)가 분산된 폴리프로필렌수지는 CNT의 균일분산을 유도하여 방열특성을 강화하고, 부착안정성,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베이스수지이다.
특히, CNT는 육각형의 벌집모양으로 이루어진 그라펜시트가 직경이 수 나노미터 크기로 둥글게 말려 튜브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초음파분산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수지에 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10중량부의 범위로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사용한다. 이것은 CNT의 방열향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수지조성물은 카본블랙 5중량%와, 0.1㎛의 입도를 갖는 일라이트분말 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5중량%와, 올레아미드 3.5중량%와, 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이산화티탄 4.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 3.5중량% 및 나머지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카본블랙은 내마멸성과 내연마성을 확보하고 경량화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일라이트분말은 원적외선 방사량이 탁월하여 탈취, 소취, 공기정화이 있고, 특히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에 대한 정균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물, 대기, 토양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과 각종 유도가스를 흡착, 탈취, 분해 제거하는 용도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바, 이의 용도를 위해 본 발명에서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포타슘실리케이트는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올레아미드(Oleamide)는 도포시 원활한 흐름성과 도포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은 결정을 미세화하여 코팅층의 강성, 내열변형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은 수지조성물의 분산 안정성과 방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이 방수성 유기물이기 때문에 발수성도 강화시키고 오염물질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산화티탄은 자외선 광촉매반응을 일으켜 살균은 물론 유해물질 분해에 따른 탈취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이산화티탄은 자외선을 받아 O2 + e- → O2 -, H2O + h+ → -OH + H와 같이 광촉매반응하면서 살균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는 암팔라야(Bitter Melon), 황련 뿌리, 매발톱나무 뿌리에서 추출되는 추출물로서 곰팡이는 물론 살모넬라균 등 널리 알려진 균류에 대한 천연 항균제이다.
그리고, 상기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는 수지와의 교합성을 증대시키면서 계면활성 기능을 제공하고, 특히 산화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는 접합성과 교합성을 높이면서 성분간 바인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이, 내부파이프(110)의 외경과, 외부파이프(120)의 외경에 별도의 각각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항균성은 물론 방오성, 방습성 및 내열성(방열성)에 따른 변형 방지, 장수명화 달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0: 내부파이프 111: 선회돌기
120: 외부파이프 121: 결속돌기
130: 스프링 131: 제1스프링부
132: 제2스프링부 210, 310: 하부금형
220: 320: 상부금형

Claims (5)

  1. 내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가 삽입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1스프링부에서 연장되며 외부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스프링부로 구성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스프링부는 소정간격의 피치를 갖도록 선회되고 상기 제2스프링부는 피치가 없는 무피치간격으로 선회되며,
    내부파이프의 가장자리 부근의 일점을 내경방향으로 가압하여 내부파이프 내측으로 돌출된 선회돌기가 상기 제1스프링부의 피치 사이로 삽입되게 하고, 외부파이프의 가장자리를 균등한 간격으로 내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외부파이프 내측으로 돌출된 결속돌기가 상기 제2스프링부의 스프링편과 스프링편 사이로 끼워들어가 제2스프링부가 외부파이프와 고정되도록 하며,
    내부파이프의 외경에는 제1수지조성물이 코팅되고, 외부파이프의 외경에는 제2수지조성물이 코팅되되,
    상기 제1수지조성물은, 질화붕소(BN) 분말 10중량%와, 그라파이트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메타크릴산 2.5중량%와, 팔미트산 3.5중량%와, 키토산화이버 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에폭시수지 5중량% 및 나머지 CNT가 분산된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지조성물은, 카본블랙 5중량%와, 0.1㎛의 입도를 갖는 일라이트분말 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5중량%와, 올레아미드 3.5중량%와, 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이산화티탄 4.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 3.5중량% 및 나머지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91501A 2018-08-06 2018-08-06 텐션봉 KR10206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01A KR102068827B1 (ko) 2018-08-06 2018-08-06 텐션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01A KR102068827B1 (ko) 2018-08-06 2018-08-06 텐션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827B1 true KR102068827B1 (ko) 2020-01-21

Family

ID=6936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501A KR102068827B1 (ko) 2018-08-06 2018-08-06 텐션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8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518B1 (ko) * 1997-03-13 2000-06-15 다가야 레이지 관체의 가공 방법
JP2001112602A (ja) * 1999-10-21 2001-04-24 Morito Co Ltd 突張り棒
KR101052722B1 (ko) * 2009-03-06 2011-07-29 이봉임 히트파이프 및 그 제조장치
KR20110089835A (ko) * 2011-07-13 2011-08-09 이재환 고밀도 나노 코팅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518B1 (ko) * 1997-03-13 2000-06-15 다가야 레이지 관체의 가공 방법
JP2001112602A (ja) * 1999-10-21 2001-04-24 Morito Co Ltd 突張り棒
KR101052722B1 (ko) * 2009-03-06 2011-07-29 이봉임 히트파이프 및 그 제조장치
KR20110089835A (ko) * 2011-07-13 2011-08-09 이재환 고밀도 나노 코팅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119772A3 (en) Coatings comprising carbon nanotubes
JP2016515298A5 (ko)
WO2004037714A3 (en) Carbon nanoparticles and composite particles and process of manufacture
ATE286943T1 (de) Schmierbeständiger, aus nanoverbundmaterial bestehender hartüberzug und methode zu seiner herstellung
JP2004534113A5 (ko)
BRPI0519295A2 (pt) pà da borracha composta de silicone, processo para produzir o pà da borracha composta de silicone, material de revestimento e material cosmÉtico
WO2009115535A3 (de) Polyamid-nanokomposite mit hyperverzweigten polyetheraminen
JP2006259712A5 (ko)
AR064201A1 (es) Agente mateante
WO2012169660A1 (ja) 光触媒塗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68827B1 (ko) 텐션봉
JP2017502134A5 (ko)
TW200507923A (en) Chemical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0037660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添加紙の製造方法
BRPI0608185A2 (pt) processo para redução do tamanho de partìcula de aripiprazol
KR101956116B1 (ko) 가구용 도어 손잡이
JP2007105705A5 (ko)
TW200508285A (en) Nano fluorinated water-and oil-repell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8307526A5 (ko)
Chae et al. Visible-light-driven photocatalysis with dopamine-derivatized titanium dioxide/N-doped carbon core/shell nanoparticles
JP2005220010A5 (ja) シリカ分散液
KR20170025624A (ko)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그래핀의 특성 연구
KR101939711B1 (ko) 미닫이 장롱용 레일
KR102360533B1 (ko) 보일러 튜브 프로텍터
JP201101244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