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711B1 - 미닫이 장롱용 레일 - Google Patents

미닫이 장롱용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711B1
KR101939711B1 KR1020180106701A KR20180106701A KR101939711B1 KR 101939711 B1 KR101939711 B1 KR 101939711B1 KR 1020180106701 A KR1020180106701 A KR 1020180106701A KR 20180106701 A KR20180106701 A KR 20180106701A KR 101939711 B1 KR101939711 B1 KR 10193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il
door
weigh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빛
Priority to KR102018010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91Top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6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미닫이 장롱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레일을 장롱에서 분리한 후, 장롱 만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장롱에서 레일이 돌출되지 않아 장롱의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도중 간섭으로 인해 장롱이 손상되지 않는 미닫이 장롱용 레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미닫이 장롱용 레일{RAIL FOR CHEST FURNITURE}
본 발명은 미닫이 장롱용 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장롱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레일을 장롱에서 분리한 후, 장롱 만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장롱에서 레일이 돌출되지 않아 장롱의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도중 간섭으로 인해 장롱이 손상되지 않게 구성되며, 레일을 장롱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미닫이 장롱용 레일에 관한 것이다.
장롱이란 옷이나 이불들을 수납하는 도구로서, 문짝을 회전시켜 여닫는 여닫이 장롱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간편하게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미닫이 장롱이 주로 애용되는 데, 이러한 미닫이 장롱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함체, 상기 함체에 수납되는 서랍, 상기 함체의 상측과 하측에 장착되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그리고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함체를 개폐하는 문짝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미닫이 장롱의 일례가 도 1에는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종래의 미닫이 장롱은 상판(11)과 구획판(12)을 측판(13)에 비해 돌출되게 형성하여 돌출된 상판(11) 저면에는 상부레일(21)을 일체로 장착하고 돌출된 구획판 상면에는 하부레일(22)을 일체로 장착하고, 상기 돌출된 상판 상면에는 상부마감판(23)을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미닫이 장롱은 레일이 일체로 장착된 돌출된 상판(11)과 구획판(12)이 운반도중에 다른 물건과 간섭되어 장롱이 손상되는 등 운반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판과 구획판의 일부를 돌출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돌출된 부분 만큼 재료단가가 상승하여 장롱의 제품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레일이 설치된 상판(11)과 구획판(12)이 운반도중에 다른 물건과 간섭되어 변형되거나 파손되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문짝의 개폐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미닫이 장롱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레일을 장롱에서 분리한 후, 장롱 만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장롱에서 레일이 돌출되지 않아 장롱의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도중 간섭으로 인해 장롱이 손상되지 않으며 레일을 장롱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미닫이 장롱용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문짝과 레일의 일체 결합에 의한 견고성으로 외관 변형의 우려가 없고, 문짝의 구동이 원활하여 문짝의 개폐가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미닫이 장롱용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측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상단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는 상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하단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는 하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후단에 고정되는 후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중간 하단부분 사이에 고정되어 내부를 상부수납공간과 하부수납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좌우측판의 상판 직하단부분에는 상부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판의 구획판 직상단부분에는 하부설치홈이 형성된 다수의 함체로 이루어지는 장롱에 설치되되, 저면에는 문짝의 상단을 안내하는 상부레일이 형성되며, 후면 상단에는 저면이 상기 상판 상면에 당접하는 지지판이 형성되며, 후면 하단에는 상기 상부설치홈에 삽입되어 상면이 상기 상판 하면에 당접하고 피스를 통해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상부설치판이 형성된 상부레일부와,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원형 파이프형상의 내측 상부에 4각 형상의 레일홈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레일홈의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문짝의 하단을 안내하는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과 동일한 곡면을 갖고 상기 하부레일의 상면에 안착 이동되는 슬라이더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문짝의 저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하단에 롤러가 축설 형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홈에 지지대에 축설된 롤러를 삽입하여 문짝을 슬라이딩 구동되게 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수평판 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마감판과; 상기 수평판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후면을 마감하는 후면마감판과; 상기 후면마감판의 상단부에서 측면으로 돌설되어 상기 구획판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구획판과 결합되는 하부설치판으로 구성되는 하부레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장롱용 레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고정구가 돌출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하부설치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하부설치판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보스와, 저면 중앙에 상기 작동보스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작동보스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설치판의 상측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구와, 중앙에 상기 작동보스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저면에 가압고무판이 부착되어 상기 하부설치판의 상면을 가압하게 구성되는 상부가압판과, 중앙에 상기 작동보스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가압고무판이 부착되며 후면에 상기 고정구가 선택적으로 수용 및 배출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의 저면을 가압하게 구성되는 하부가압판과, 상기 스프링지지구와 상부가압판 사이에 개재되고 작동보스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통해 작동보스를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하부가압판의 고정홈에서 고정구가 배출되고, 동시에 스프링지지구가 스프링을 하방으로 압축하면서 상부가압판이 하부설치판의 상면 및 하부가압판이 구획판의 저면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고정되고,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고정구가 회전되면서 하부가압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부가압판 및 하부가압판의 구획판 및 하부설치판에 대한 가압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면에는 제1수지조성물이 코팅되고, 상기 하부레일의 외면에는 제2수지조성물이 코팅되되, 상기 제1수지조성물은, 질화붕소(BN) 분말 10중량%와, 그라파이트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메타크릴산 2.5중량%와, 팔미트산 3.5중량%와, 키토산화이버 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에폭시수지 5중량% 및 나머지 CNT가 분산된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지조성물은, 카본블랙 5중량%와, 0.1㎛의 입도를 갖는 일라이트분말 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5중량%와, 올레아미드 3.5중량%와, 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이산화티탄 4.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 3.5중량% 및 나머지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레일을 장롱에서 분리한 후, 장롱 만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장롱에서 레일이 돌출되지 않아 장롱의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도중 간섭으로 인해 장롱이 손상되지 않으며, 레일을 장롱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장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이 적용된 미닫이 장롱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이 적용된 미닫이 장롱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하부레일에 문짝이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를 통해 구획판에 하부설치판을 결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이 적용된 미닫이 장롱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이 적용된 미닫이 장롱의 결합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은 좌우측판(11,12)과, 상기 좌우측판(11,12)의 상단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는 상판(13)과, 상기 좌우측판(11,12)의 하단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는 하판(14)과, 상기 좌우측판(11,12)의 후단에 고정되는 후판(15)과, 상기 좌우측판(11,12)의 중간 하단부분 사이에 고정되어 내부를 상부수납공간과 하부수납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판(16)으로 구성되되, 상기 좌우측판(11,12)의 상판 직하단부분에는 상부설치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판(11,12)의 구획판 직상단부분에는 하부설치홈(18)이 형성된 다수의 함체(10)로 이루어지는 장롱에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수납공간으로는 서랍(19)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필요에 따라 상부수납공간(S1)은 분할판(16a)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롱의 전면 상단 및 하단부에 설치되어 미닫이 문짝(20)의 상하단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레일부(100)과 하부레일부(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레일부(100)는 문짝(20)의 상단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저면에는 상부레일(110)이 형성되며, 후면 상단에는 저면이 상기 상판(13) 상면에 당접하는 지지판(120)이 형성되며, 후면 하단에는 상기 상부설치홈(17)에 삽입되어 상면이 상기 상판(13) 하면에 당접하고 피스(P)를 통해 상기 상판(13)에 결합되는 상부설치판(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레일부는(100)는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압출된 프레임형상의 재료를 사용하는게 바람직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상기 상부레일부(100)은 그 후면에 지지판(120)과 제1설치판(130)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20)과 제1설치판(130) 사이의 공간으로 상판(13)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에 따라 상부레일(110)과 상판(13)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레일부(200)는 문짝(20)의 하단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21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부레일(220)이 형성되며, 상기 문짝(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220)을 따라 문짝(20)을 슬라이딩 구동되게 하는 슬라이더(23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210) 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마감판(24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210)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후면을 마감하는 후면마감판(250)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마감판(250)의 상단부에서 후면으로 돌설되어 상기 구획판(16)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설치홈(18)에 삽입되어 고정부재(300)를 통해 상기 구획판(16)과 결합되는 하부설치판(26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레일부(200)은 그 후면에 형성된 하부설치판(260)이 상기 하부설치홈(18)으로 삽입고정되는 방식으로 이에 따라 하부레일부(200)와 구획판(18)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하부레일(220)에 문짝(20)의 하단이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부레일(220)은 상기 수평판(21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원형 파이프형상의 내측 상부에 4각 형상의 레일홈(221)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레일홈(221)의 상부에 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문짝(20)의 하단을 안내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30)는 상기 하부레일(220)과 동일한 곡면을 갖고 상기 하부레일(220)의 상면에 안착 이동되는 슬라이더본체(231)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23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문짝(20)의 저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구(232)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본체(231)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하단에 롤러(R)가 축설 형성되는 지지대(2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레일홈(221)에 지지대(233)에 축설된 롤러(R)를 삽입하여 문짝(20)을 슬라이딩 구동되게 한다. 따라서, 롤러(R)가 레일홈(221)내에서 원활하게 구름과 동시에 지지대(233)가 가이드홈(222)에 의해 좌우 유동이 없어 슬라이더본체(231)의 원활하고 고른 이동이 가능하여 문짝(20)의 개폐가 부드럽게 되는 것이며, 슬라이더(230)가 하부레일(220)로부터 이탈될 우려도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하부레일부(2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견고하고 문짝(20)의 부드러운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해 알루미늄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압출된 프레임형상의 재료를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획판(16)에 하부설치판(260)을 결합는 고정부재가 피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되는 고정부재(300)를 적용하여 하부설치판(260)을 구획판(16)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단에 수나사부(311)가 형성되고 하단에 손잡이부(312)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고정구(313)가 돌출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구획판(16)을 관통하여 하부설치판(26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하부설치판(26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보스(310)와, 저면 중앙에 상기 작동보스의 수나사부(3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321)가 형성되어 작동보스(310)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설치판(260)의 상측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구(320)와, 중앙에 상기 작동보스(310)가 끼워지는 끼움공(331)이 형성되고 저면에 가압고무판(332)이 부착되어 상기 하부설치판(260)의 상면을 가압하게 구성되는 상부가압판(330)과, 중앙에 상기 작동보스(310)가 관통되는 관통공(341)이 형성되고 상면에 가압고무판(342)이 부착되며 저면에 상기 고정구(313)가 선택적으로 수용 및 배출되는 고정홈(343)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16)의 저면을 가압하게 구성되는 하부가압판(340)과, 상기 스프링지지구(320)와 상부가압판(260) 사이에 개재되고 작동보스(3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12)를 통해 작동보스(310)를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하부가압판의 고정홈(342)에서 고정구(313)가 배출되고, 동시에 스프링지지구(320)가 스프링(350)을 하방으로 압축하면서 상부가압판(330)이 하부설치판(260)의 상면 및 하부가압판(340)이 구획판(16)의 저면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고정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12)를 회전시키면 고정구(313)가 회전되면서 하부가압판(340)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부가압판(330) 및 하부가압판(340)의 구획판(16) 및 하부설치판(260)에 대한 가압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재(300)를 통해 하부설치판(260)을 구획판(16)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의 조립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은 상부레일부(100)과 하부레일부(200)를 함체에(10) 결합하는 데 이 때 상부레일부(100)은 그 후면 하단에 형성된 상부설치판(130)을 상부치홈(17)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부레일부(100)의 지지판(120)은 상판(13)의 상면에 밀착지지되고 상부레일부의 상부설치판(130)은 상판(13)의 저면에 밀착지지되는 데 이 상태에서 피스(P)를 통해 상부설치판(130)과 상판(13)이 서로 결합된다. 또한, 하부레일부(200)은 그 후면 상단에 형성된 하부설치판(260)을 하부설치홈(18)에 삽입시키면 상기 하부설치판(260)은 구획판(16)의 상면에 밀착지지되는 데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300)를 통해 상부설치판(130)과 구획판(16)을 서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부레일부(100)와 하부레일부(200)가 함체(10)에 결합되면 하부수납공간에 서랍(19)을 수납시킨 다음 문짝(20)을 상부레일부(100)과 하부레일부(200)에 끼워 맞추면 그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레일은 상부레일부와 하부레일부가 미닫이 장롱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레일을 장롱에서 분리한 후, 장롱 만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장롱에서 레일이 돌출되지 않아 장롱의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도중 간섭으로 인해 장롱이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장롱용 레일은 단순히 피스를 통해 레일과 함체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레일부와 하부레일부를 함체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시켜 상판 및 구획판에 지지시킨 다음, 피스 및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하므로 레일을 함체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문짝을 슬라이시키는 슬라이더 및 하부레일을 준비할 때, 이들의 외면에 항균방오층을 더 형성하되, 슬라이더의 외면에는 상기 항균방오층에 의해 하부레일에 대해 슬립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 방열성과 슬립성을 더욱 강화하고, 노출면적이 더 큰 하부레일의 외면에서는 방열, 방습, 방오성이 더욱 강화되도록 항균방오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항균방오층을 구현하기 위한 수지조성물을 스프레이방식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코팅한다.
아울러, 상기 항균방오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조성물은 슬라이더의 외면에 코팅되는 제1수지조성물과, 하부레일의 외면에 코팅되는 제2수지조성물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수지조성물은 질화붕소(BN) 분말 10중량%와, 그라파이트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메타크릴산 2.5중량%와, 팔미트산 3.5중량%와, 키토산화이버 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에폭시수지 5중량% 및 나머지 CNT가 분산된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질화붕소는 육방정 결정구조를 갖는 물질로서, 열전도율이 높아 방열특성이 좋고,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는 경량화와 높은 방사율 특성을 얻으면서 분산효과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특히 입자모양이 플레이크 타입을 갖도록 함으로써 고분자수지(베이스수지인 폴리프로필렌수지) 사이에 긴밀히 혼입되게 하여 열전도 특성과 원만한 분산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것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 사용되는 부분이 열팽창에 의해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수명화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은 수지조성물의 분산 안정성과 방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이 방수성 유기물이기 때문에 발수성도 강화시키고 오염물질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메타크릴산은 산에 강하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팔미트산 화학식은 CH3(CH2)14COOH의 화학식을 갖는 밀랍 모양의 고체 지방산으로서 슬립성을 증대시켜 하부레일에서 스티키성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키토산화이버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는 항균성과 면역성을 강화시키는 천연 항균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약품 형태의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 항균제를 사용함으로써 인체 유해성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는 암팔라야(Bitter Melon), 황련 뿌리, 매발톱나무 뿌리에서 추출되는 추출물로서 곰팡이는 물론 살모넬라균 등 널리 알려진 균류에 대한 천연 항균제이다.
또한, 에폭시수지는 접착성을 강화시켜 계면 분리를 막고, 안정적인 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며, CNT(Carbon Nano Tube)가 분산된 폴리프로필렌수지는 CNT의 균일분산을 유도하여 방열특성을 강화하고, 부착안정성,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베이스수지이다.
특히, CNT는 육각형의 벌집모양으로 이루어진 그라펜시트가 직경이 수 나노미터 크기로 둥글게 말려 튜브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초음파분산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수지에 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10중량부의 범위로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사용한다. 이것은 CNT의 방열향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수지조성물은 카본블랙 5중량%와, 0.1㎛의 입도를 갖는 일라이트분말 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5중량%와, 올레아미드 3.5중량%와, 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이산화티탄 4.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 3.5중량% 및 나머지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카본블랙은 내마멸성과 내연마성을 확보하고 경량화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일라이트분말은 원적외선 방사량이 탁월하여 탈취, 소취, 공기정화이 있고, 특히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에 대한 정균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물, 대기, 토양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과 각종 유도가스를 흡착, 탈취, 분해 제거하는 용도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바, 이의 용도를 위해 본 발명에서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포타슘실리케이트는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올레아미드(Oleamide)는 도포시 원활한 흐름성과 도포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은 결정을 미세화하여 코팅층의 강성, 내열변형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은 수지조성물의 분산 안정성과 방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이 방수성 유기물이기 때문에 발수성도 강화시키고 오염물질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산화티탄은 자외선 광촉매반응을 일으켜 살균은 물론 유해물질 분해에 따른 탈취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이산화티탄은 자외선을 받아 O2 + e- → O2 -, H2O + h+ → -OH + H와 같이 광촉매반응하면서 살균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는 암팔라야(Bitter Melon), 황련 뿌리, 매발톱나무 뿌리에서 추출되는 추출물로서 곰팡이는 물론 살모넬라균 등 널리 알려진 균류에 대한 천연 항균제이다.
그리고, 상기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는 수지와의 교합성을 증대시키면서 계면활성 기능을 제공하고, 특히 산화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는 접합성과 교합성을 높이면서 성분간 바인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의 외면과, 하부레일의 외면에 별도의 각각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항균성은 물론 방오성, 방습성 및 내열성(방열성)에 따른 변형 방지, 장수명화 달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상부레일부 110: 상부레일
120: 지지판 130: 상부설치판
200: 하부레일부 210: 수평판
220: 하부레일 230: 슬라이더
240: 전면마감판 250: 후면마감판
260: 하부설치판 300: 고정부재

Claims (3)

  1. 좌우측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상단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는 상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하단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는 하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후단에 고정되는 후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중간 하단부분 사이에 고정되어 내부를 상부수납공간과 하부수납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좌우측판의 상판 직하단부분에는 상부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판의 구획판 직상단부분에는 하부설치홈이 형성된 다수의 함체로 이루어지는 장롱에 설치되되,
    저면에는 문짝의 상단을 안내하는 상부레일이 형성되며, 후면 상단에는 저면이 상기 상판 상면에 당접하는 지지판이 형성되며, 후면 하단에는 상기 상부설치홈에 삽입되어 상면이 상기 상판 하면에 당접하고 피스를 통해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상부설치판이 형성된 상부레일부와,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원형 파이프형상의 내측 상부에 4각 형상의 레일홈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레일홈의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문짝의 하단을 안내하는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과 동일한 곡면을 갖고 상기 하부레일의 상면에 안착 이동되는 슬라이더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문짝의 저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하단에 롤러가 축설 형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홈에 지지대에 축설된 롤러를 삽입하여 문짝을 슬라이딩 구동되게 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수평판 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마감판과; 상기 수평판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후면을 마감하는 후면마감판과; 상기 후면마감판의 상단부에서 후면으로 돌설되어 상기 구획판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구획판과 결합되는 하부설치판으로 구성되는 하부레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장롱용 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고정구가 돌출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하부설치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하부설치판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보스와,
    저면 중앙에 상기 작동보스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작동보스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설치판의 상측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구와,
    중앙에 상기 작동보스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저면에 가압고무판이 부착되어 상기 하부설치판의 상면을 가압하게 구성되는 상부가압판과,
    중앙에 상기 작동보스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가압고무판이 부착되며 저면에 상기 고정구가 선택적으로 수용 및 배출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의 저면을 가압하게 구성되는 하부가압판과,
    상기 스프링지지구와 상부가압판 사이에 개재되고 작동보스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통해 작동보스를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하부가압판의 고정홈에서 고정구가 배출되고, 동시에 스프링지지구가 스프링을 하방으로 압축하면서 상부가압판이 하부설치판의 상면 및 하부가압판이 구획판의 저면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고정되고,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고정구가 회전되면서 하부가압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부가압판 및 하부가압판의 구획판 및 하부설치판에 대한 가압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장롱용 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면에는 제1수지조성물이 코팅되고, 상기 하부레일의 외면에는 제2수지조성물이 코팅되되,
    상기 제1수지조성물은, 질화붕소(BN) 분말 10중량%와, 그라파이트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메타크릴산 2.5중량%와, 팔미트산 3.5중량%와, 키토산화이버 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에폭시수지 5중량% 및 나머지 CNT가 분산된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지조성물은, 카본블랙 5중량%와, 0.1㎛의 입도를 갖는 일라이트분말 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5중량%와, 올레아미드 3.5중량%와, 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이산화티탄 4.5중량%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5중량%와,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 3.5중량% 및 나머지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장롱용 레일.
KR1020180106701A 2018-09-06 2018-09-06 미닫이 장롱용 레일 KR10193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01A KR101939711B1 (ko) 2018-09-06 2018-09-06 미닫이 장롱용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01A KR101939711B1 (ko) 2018-09-06 2018-09-06 미닫이 장롱용 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711B1 true KR101939711B1 (ko) 2019-01-17

Family

ID=6527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701A KR101939711B1 (ko) 2018-09-06 2018-09-06 미닫이 장롱용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7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029A (ja) * 2003-11-20 2005-06-16 Bunka Shutter Co Ltd 引戸用レール
KR20060084472A (ko) * 2005-01-19 2006-07-24 (주) 파로마티디에스 피톤치드 은나노 혼합액을 가구에 도포하는 방법 및 그혼합액, 도포된 가구
KR200441299Y1 (ko) * 2007-11-19 2008-08-05 우병철 미닫이 장롱
KR100901994B1 (ko) * 2008-12-18 2009-06-11 김순석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
KR20110089835A (ko) * 2011-07-13 2011-08-09 이재환 고밀도 나노 코팅 조성물
KR101579571B1 (ko) * 2015-10-15 2015-12-22 (주)신원알텍 공구 진열대
KR101866539B1 (ko) * 2016-11-02 2018-06-11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029A (ja) * 2003-11-20 2005-06-16 Bunka Shutter Co Ltd 引戸用レール
KR20060084472A (ko) * 2005-01-19 2006-07-24 (주) 파로마티디에스 피톤치드 은나노 혼합액을 가구에 도포하는 방법 및 그혼합액, 도포된 가구
KR200441299Y1 (ko) * 2007-11-19 2008-08-05 우병철 미닫이 장롱
KR100901994B1 (ko) * 2008-12-18 2009-06-11 김순석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
KR20110089835A (ko) * 2011-07-13 2011-08-09 이재환 고밀도 나노 코팅 조성물
KR101579571B1 (ko) * 2015-10-15 2015-12-22 (주)신원알텍 공구 진열대
KR101866539B1 (ko) * 2016-11-02 2018-06-11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840285A (zh) 滑軌總成
CA2912404C (en) Interactive sliding-door device
EP1712235A3 (en) Combinational therapy involving a small molecule inhibitor of the MDM2: P53 interaction
KR101939711B1 (ko) 미닫이 장롱용 레일
IL218190A0 (en) Reaction chamber assemblies for measuring the lipopolysaccharide in exhaled breath condensate
JP2013530980A5 (ko)
KR101956116B1 (ko) 가구용 도어 손잡이
CL2012001742A1 (es) Uso de tp3 como agente de acoplamiento para la prepa racion de un intermediario de combretastatina.
ZA201106371B (en) Antitumoral compounds
ITMI20062001A1 (it) Stazione multifunzione per trattamenti d'asciugatura con riattivazione dei collanti e d'umidificazione o di stabilizzazione per prodotti in pelle ed affini eseguiti in camera sotto vuoto con lampade alogene nir
CN104896447B (zh) 驱动盒固定结构
KR101956115B1 (ko) 가구의 코너 마감구조
DE502004006422D1 (en) Pyrazolopyrimidine
UA101488C2 (ru) Антипа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т для двери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ATE435353T1 (de) Vorsatztür oder -fenster, insbesondere insektenschutztür oder -fenster
PT1399142E (pt) Utilizacao de acetil-l-carnitina em associacao com biotina para o tratamento de doentes com diabetes mellitus insulino-resistente do tipo 2
WO2010092376A3 (en) Radiographic projector
KR101923098B1 (ko) 회동식 테이블을 구비한 콘테이너
CY2545B1 (ko)
KR102068827B1 (ko) 텐션봉
GB2428734B (en) Panic latch assembly
SI1757586T1 (sl) Nove spojine polisubstituiranih 1,1-piridinilaminocikopropanaminov, postopek za pripravo le teh in farmacevtski sestavki, ki jih vsebujejo
CN211098269U (zh) 一种移动喷漆房用活性炭吸附箱
GB0325084D0 (en) The handle locking mechanism
Menezes et al. The affective dimension of education: European perspec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