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663B1 -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663B1
KR102068663B1 KR1020130080880A KR20130080880A KR102068663B1 KR 102068663 B1 KR102068663 B1 KR 102068663B1 KR 1020130080880 A KR1020130080880 A KR 1020130080880A KR 20130080880 A KR20130080880 A KR 20130080880A KR 102068663 B1 KR102068663 B1 KR 102068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 line
graphic effect
applying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388A (ko
Inventor
강재현
송세준
한영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663B1/ko
Priority to CN201480033145.XA priority patent/CN105283906B/zh
Priority to PCT/KR2014/006204 priority patent/WO2015005696A1/en
Priority to US14/890,797 priority patent/US10134161B2/en
Priority to EP14823064.2A priority patent/EP3020026B1/en
Publication of KR2015000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80Creating or modifying a manually drawn or painted image using a manual input device, e.g. mouse, light pen, direction keys on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그래픽 효과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채우기 선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GRAPHIC EFFECT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전자 기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는 현대인에게 필수품이 되었으며,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는 통화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 기능, 방송 수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지도 서비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는 그리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그리기 기능은 색 칠하기, 명암, 그라데이션(Grad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그래픽 효과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폐곡선, 도형 내부 등을 특정 색상으로 채우거나, 명암, 그라데이션 등의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자 기기는 폐곡선, 도형 내부 등에 다양한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다수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종래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채우기 메뉴를 선택하여 채우기 메뉴 팝업 창을 출력하고, 상기 팝업 창에 포함된 하위 메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설정값들(Setting values) 예컨대 색상, 방향, 각도, 투명도 등을 설정하여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은 직관적이지 못하고, 효율적이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은 데스크 탑 PC 등과 같이 비교적 큰 화면을 가지는 전자 기기를 기반으로 고안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불편함 및/또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직관적인 방법을 통해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은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그래픽 효과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채우기 선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이미지에 적용할 그래픽 효과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채우기 선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적용할 그래픽 효과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채우기 선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는 다수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명암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등과 같은 그래픽 효과를 이미지 전체 또는 일부 객체에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우기 선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명암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의 일부 객체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전체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 전자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nel Computer),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 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노트북(Notebook PC), 데스크 탑(Desk Top) PC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채우기 선"은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그래픽 효과의 속성 정보(또는 설정값)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채우기 선은 갈지자, 다수의 평행선, 교차선, 나선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기 채우기 선의 밀집도, 색상, 기울기 등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적용되는 그래픽 효과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의 사용자는 채우기 선의 색상, 밀집도, 기울기 등을 다르게 입력하는 간단한 행위를 통해 원하는 그래픽 효과를 이미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우기 선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터치스크린(130), 입력부(140) 및 오디오 처리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표시부(131) 및 터치 감지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선 속성 인식부(111) 및 그래픽 효과 적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신호,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 저장부(12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및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60)는 그래픽 효과 제공에 따른 다양한 효과음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는 사용자 설정 및 전자 기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40)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마우스(Mouse), 키보드(keyboard)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140)는 전자 기기(100)가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경우 볼륨 키, 전원키, 메뉴키, 취소키, 홈키 등과 같은 일부 기능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40)는 그리기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입력 신호, 명암 모드 또는 그라데이션 모드를 활성화하는 입력 신호, 명암 모드 또는 그라데이션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입력 신호, 그래픽 효과 적용을 명령하는 입력 신호, 채우기 선의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표시부(131) 및 터치 감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1)는 전자 기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3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1)는 전자 기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컨대 홈 화면, 메뉴 화면, 웹 페이지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1)는 그리기 화면, 채우기 선 입력을 통해 그래픽 효과가 적용된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화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감지부(132)는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터치입력장치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Stylus), 전자 펜 등이 접촉 또는 근접되는 경우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터치 감지부(132)는 터치입력장치의 접촉 또는 근접에 따른 물리량(예컨대 정전 용량, 저항값 등)의 변화를 통해 터치 이벤트의 발생을 인식하고, 발생된 터치 이벤트의 종류 및 터치 위치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의 종류는 탭(Tap), 터치 이동(예컨대 드래그(Drag), 플릭(Flick) 등), 롱 터치(Long touch), 더블 터치(Double touch), 멀티 터치(Multi-tou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132)는 채우기 선 입력을 통해 그래픽 효과 적용 절차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신호는 그리기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터치 신호, 명암 모드 또는 그라데이션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터치 신호, 그래픽 효과 적용을 명령하는 터치 신호, 채우기 선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전자 기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 게임 데이터, 음악 데이터, 영화 데이터, 지도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채우기 선 입력을 통한 그래픽 효과 적용 절차를 제어하는 그래픽 효과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효과 제어 프로그램은 그리기 모드의 활성화(ON)/비활성화(OFF)를 제어하는 루틴,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하는 루틴, 채우기 선 입력을 제어하는 루틴, 입력된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는 선 속성 인식 루틴,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그래픽 효과 적용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 속성 인식 루틴은 채우기 선의 색상을 추출하는 색상 산출 루틴, 채우기 선의 밀집도를 산출하는 밀집도 산출 루틴, 채우기 선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기울기 산출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집도 산출 루틴은 인접하는 선들의 간격, 다른 방향을 가지는 선의 중첩, 또는 단위 면적당 선의 수를 통해 채우기 선의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전자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기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 AP)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싱글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채우기 선을 통해 그래픽 효과 적용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선 속성 인식부(111) 및 그래픽 효과 적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 속성 인식부(111)는 채우기 선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채우기 선의 색상, 밀집도, 기울기 등과 같은 속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우기 선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채우기 선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우기 선은 도 2의 식별 부호 2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지자 형태, 식별 부호 2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선 형태, 식별 부호 2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선 형태, 식별 부호 2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상기 도 2에 도시된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선 속성 인식부(111)는 현재 설정된 펜의 색상 정보를 채우기 선의 색상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선 속성 인식부(111)는 채우기 선의 기울기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 속성 인식부(111)는 채우기 선이 다수의 평행선인 경우 상기 다수의 평행선들과 직각을 이루는 선과 가로 방향의 선 사이의 각을 기울기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선 속성 인식부(111)는 인접된 선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 속성 인식부(111)는 인접된 선들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밀집도가 큰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 속성 인식부(111)는 채우기 선이 입력된 영역을 다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단위 영역에 포함된 선의 수를 측정하여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 속성 인식부(111)는 단위 영역에 포함된 선의 수가 많을수록 밀집도가 큰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효과 적용부(112)는 선 속성 인식부(111)에 의해 인식된 속성 정보에 따라 폐곡선, 텍스트, 아이콘 또는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효과는 명암 효과 또는 그라데이션 효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화면 예시도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 기기(100)는 이미지/동영상 촬영 또는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예컨대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10)는 301 동작에서 그리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그리기 화면은 메모, 포토샵, 페인터, 일러스트레이터 등과 같은 그림 또는 필기 입력이 가능한 프로그램(또는 앱)의 실행 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303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채우기 선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의 식별 부호 410의 도면과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그리기 화면의 원형 이미지(41)의 내부에서 갈지자 형태의 채우기 선(4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그리기 화면은 인디케이터 영역(indicator area, 10), 프로그램 명칭을 표시하는 명칭 영역(title area, 20), 그리기 도구 영역(30) 및 드로잉 영역(drawing area, 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10)은 수신 신호 강도, 배터리 잔량,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명칭 영역(20)은 실행된 프로그램의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그리기 도구 영역(30)은 그림을 그리기 위한 펜의 종류, 펜의 색상, 펜의 굵기, 투명도 등을 설정할 수 있는 펜 메뉴(31), 그림을 지우기 위한 지우개 메뉴(32), 그래픽 효과 적용을 명령하는 그래픽 효과 적용 메뉴(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효과 적용 메뉴(33)는 명암 메뉴 또는 그라데이션 메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명암 메뉴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305 동작에서 그래픽 효과 적용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효과 적용 명령은 기 정의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효과 적용 명령은 더블 탭(Double Tap), 특정 패턴의 제스처, 상기 그래픽 효과 적용 메뉴(33) 또는 기 정의된 키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305 동작에서 그래픽 효과 적용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3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305 동작에서 그래픽 효과 적용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307 동작으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도 4의 식별 부호 4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 탭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입력된 채우기 선(42)의 속성을 인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10)는 선 속성 인식부(111)를 통해 밀집도, 기울기(방향), 색상 등의 속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309 동작에서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도 4의 식별 부호 4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이미지(41)의 내부에 명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효과 적용부(112)를 제어 하여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갈수록 어두워지도록 명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갈수록 채우기 선(42)의 밀집도가 커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311 동작에서 그리기 모드 종료가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그리기 모드 종료가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303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그리기 모드 종료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효과 제공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10)는 501 동작에서 그리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그리기 화면은 메모, 포토샵, 페인터, 일러스트레이터 등과 같은 그림 또는 필기 입력이 가능한 프로그램(또는 앱)의 실행 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그리기 화면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503 동작에서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도 6의 식별 부호 6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효과 적용 메뉴(63)가 터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는 다양한 터치 이벤트(예컨대 롱 터치 이벤트, 특정 패턴의 제스처) 또는 기 정의된 키 입력 등을 통해 활성화될 수도 있다. 상기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는 명암 효과 모드 또는 그라데이션 효과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503 동작에서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05 동작으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후술하는 517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펜 메뉴(61)를 통해 펜의 속성(색상, 굵기, 투명도 등)을 설정하거나, 지우개 메뉴(62)를 통해 이전에 그린 그림을 지울 수 있다.
한편, 상기 503 동작에서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07 동작으로 진행하여 채우기 선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6의 식별 부호 6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그리기 화면의 사각형(64)의 내부에서 다수의 평행 선(65)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509 동작에서 채우기 선 입력이 완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해제 후 일정 시간(예컨대 1초)이 경과한 경우 채우기 선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기 정의된 터치 이벤트(예컨대 더블 탭, 특정 패턴의 제스처) 또는 기 정의된 키 입력 시 채우기 선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509 동작에서 채우기 선 입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07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509 동작에서 채우기 선 입력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11 동작으로 진행하여 입력된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의 선 속성 인식부(111)는 색상, 기울기, 밀집도와 같은 속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 부호 620의 도면과 같이 평행선들이 완전하게 평행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선 속성 인식부(111)는 다수의 지점에서 평행선들(65)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고, 평균값으로 밀집도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513 동작에서 상기 인식된 선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도 6의 식별 부호 6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65)의 내부에 명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사각형(64)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갈수록 밝게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갈수록 평행 선(65)들의 간격이 커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515 동작에서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515 동작에서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17 동작으로 진행하여 그리기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517 동작에서 그리기 모드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03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517 동작에서 그리기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효과 제공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515 동작에서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19 동작으로 진행하여 그리기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519 동작에서 그리기 모드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07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519 동작에서 그리기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효과 제공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명암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다수의 평행선(73)을 통해 다수의 영역을 가지는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7a의 식별 부호 7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71)에만 평행선(73)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7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이미지(70)의 제1영역(71)에만 명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평행선(73)의 밀집도(예컨대 간격)에 따라 명암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7a의 식별 부호 7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71) 및 제2영역(72) 모두에 평행선(73)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7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71) 및 제2영역(72) 모두에 명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평행선(73)의 밀집도(예컨대 간격)에 따라 명암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이미지 상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때, 일부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그래픽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하나의 영역을 가지는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식별 부호 75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이미지(80)의 일측에 채우기 선(74)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채우기 선(74)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76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우기 선(74)의 외곽을 따라 영역(75)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영역(75)의 구획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77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된 영역(75)에 명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하나의 영역을 가지는 이미지 상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때, 일부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덧칠하기를 이용하여 이미지에 명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는 평행선들을 중첩시켜 명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식별 부호 78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모양의 이미지 내부에 제1방향(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평행선(76)을 그리고, 제2방향(예컨대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평행선(77)을 그리며, 제3방향(예컨대 대각선 방향)으로 다수의 평행선(78)을 그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다수 방향의 평행선이 중첩될수록 밀집도가 큰 것으로 판단하여 명암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부호 79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이미지는 좌측 하단에서 가장 어두운 명암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다른 방향의 평행선들을 중첩시킴으로써, 밀집도를 변화시키고, 밀집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명암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다수의 색상의 채우기 선을 입력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도 8의 식별 부호 8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고자 하는 이미지 상에 제1색상(예컨대 하늘색)의 채우기 선(81), 제2색상(예컨대 빨간색)의 채우기 선(82) 및 제3색상(예컨대 검정색)의 채우기 선(83)을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색상의 채우기 선(81, 82, 83)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8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색상(하늘색), 제2색상(빨간색) 및 제3색상(검정색)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라데이션의 방향은 제1채우기 선(81)의 평균 기울기(?)와 직각 방향이고, 제1색상 내지 제3색상은 제1색상의 채우기 선(81) 내지 제3 색상의 채우기 선(83)들의 경계 지점을 기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채우기 선(81)의 평균 기울기(?) 산출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1채우기 선(8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5개의 직선(81a, 81b, 81c, 81d, 81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채우기 선(81)의 평균 기울기(?)는 제1직선(81a), 제3직선(81b), 제5직선(81c)의 기울기의 평균값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에서는 제1채우기 선(81)의 평균 기울기(?)를 기반으로 그라데이션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색상의 채우기 선(81) 내지 제3색상의 채우기 선(83)의 기울기를 모두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기반으로 그라데이션의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텍스트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도 9a의 식별 부호 9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고자 하는 텍스트 상에 채우기 선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채우기 선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9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상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등을 통해 타이핑된 텍스트 및 터치스크린(130) 또는 터치 패드를 통한 필기 입력 방식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이미지와 필기 입력 방식의 텍스트가 같이 존재하는 경우 텍스트 인식 기능을 통해 이미지와 텍스트를 구분한 후 텍스트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아이콘(90)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도 9b의 식별 부호 9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고자 하는 아이콘(90) 상에 채우기 선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채우기 선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9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90)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우기 선이 아이콘(90)의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상기 제어부(110)는 아이콘(90)에만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의 일부 객체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객체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9c의 식별 부호 95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에서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고자 하는 객체(91)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자 기기(100)는 객체 인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식별 부호 96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객체(91) 상에 채우기 선(92)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채우기 선(92)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97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객체(91)에 상기 입력된 채우기 선(92)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9c에서는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다수의 객체를 선택하여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9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전체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9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미지 전체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도 9d의 식별 부호 98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이미지(예컨대 사진) 상에서 채우기 선(93)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식별 부호 99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우기 선(93)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상기 특정 이미지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전자 기기 110 : 제어부
111 : 선 속성 인식부 112 : 그래픽 효과 적용부
120 : 저장부 130 : 터치스크린
131 : 표시부 132 : 터치 감지부
140 : 입력부 160 : 오디오 처리부

Claims (25)

  1.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그래픽 효과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채우기 선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채우기 선의 밀집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은,
    상기 표시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채우기 선의 밀집도가 제1밀집도인 제1영역에 대해 제1밝기를 적용하고, 상기 표시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채우기 선의 밀집도가 제2밀집도인 제2영역에 대해 제2밝기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는 동작은
    상기 채우기 선의 색상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채우기 선의 기울기를 인식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우기 선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채우기 선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된 적어도 두 개의 채우기 선들의 경계를 기준으로 색상을 변경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전체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로부터 객체 인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로부터 특정 객체의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에만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텍스트가 표시된 영역에서 채우기 선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텍스트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채우기 선의 외곽을 따라 영역을 구획하는 동작; 및
    상기 구획된 영역에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은
    상기 채우기 선 입력 후 기 정의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수행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은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채우기 선이 입력되는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수행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우기 선은
    갈지자, 다수의 평행선, 교차선 및 나선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13.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이미지에 적용할 그래픽 효과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채우기 선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채우기 선의 밀집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채우기 선의 밀집도가 제1밀집도인 제1영역에 대해 제1밝기를 적용하고, 상기 표시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채우기 선의 밀집도가 제2밀집도인 제2영역에 대해 제2밝기를 적용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는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우기 선의 색상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인식하여 상기 채우기 선의 속성을 인식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채우기 선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적어도 두 개의 채우기 선들의 경계를 기준으로 색상을 변경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전체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객체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특정 객체의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에만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상에 채우기 선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에 상기 인식된 채우기 선의 속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채우기 선의 외곽을 따라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영역에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우기 선 입력 후 기 정의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그래픽 효과 적용 모드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채우기 선이 입력되는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우기 선은
    갈지자, 다수의 평행선, 교차선 및 나선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장치.
  25.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80880A 2013-07-10 2013-07-10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 KR10206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880A KR102068663B1 (ko) 2013-07-10 2013-07-10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
CN201480033145.XA CN105283906B (zh) 2013-07-10 2014-07-10 在电子设备中应用图形效果的方法和装置
PCT/KR2014/006204 WO2015005696A1 (en) 2013-07-10 2014-07-10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graphic effect in electronic device
US14/890,797 US10134161B2 (en) 2013-07-10 2014-07-10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graphic effect in electronic device
EP14823064.2A EP3020026B1 (en) 2013-07-10 2014-07-10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graphic effect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880A KR102068663B1 (ko) 2013-07-10 2013-07-10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388A KR20150007388A (ko) 2015-01-21
KR102068663B1 true KR102068663B1 (ko) 2020-01-21

Family

ID=5228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880A KR102068663B1 (ko) 2013-07-10 2013-07-10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34161B2 (ko)
EP (1) EP3020026B1 (ko)
KR (1) KR102068663B1 (ko)
CN (1) CN105283906B (ko)
WO (1) WO2015005696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881A (ja) 1998-09-10 2000-03-31 Toshiba Corp オブジェクト強調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0339482A (ja) 1999-05-27 2000-12-08 Mutoh Ind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におけるコマンドメニュー表示方法
US6768488B1 (en) * 1999-05-25 2004-07-2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Image fill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ducing filling process in processing animation
US20070195109A1 (en) 2003-08-01 2007-08-23 Paquette Michael J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automated display of visual effects
US20070216684A1 (en) * 2006-03-17 2007-09-20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brush components
US20080212873A1 (en) * 2005-09-23 2008-09-04 Canon Kabushiki Kaisha Vectorisation of Colour Gradients
JP2009218774A (ja) 2008-03-10 2009-09-24 Roland Corp 映像効果装置
US20090303199A1 (en) * 2008-05-26 2009-12-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7375A (ja) * 1992-04-30 199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メージ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201549B1 (en) 1998-12-30 2001-03-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rawing and painting with bitmap brushes
AU1842700A (en) * 1999-04-22 2000-11-10 Fraunhofer Center For Research In Computer Graphics, Inc. Tools for interacting with virtual environments
EP1373967A2 (en) 2000-06-06 2004-01-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he extended virtual table: an optical extension for table-like projection systems
JP2005092588A (ja) 2003-09-18 2005-04-07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合成画像プリント装置及び画像編集方法
JP2006053665A (ja) * 2004-08-10 2006-02-23 Olympus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553378B2 (ja) * 2005-08-25 2010-09-29 株式会社メイクソフトウェア 画像編集装置、写真シール作成装置、画像編集方法及び画像編集プログラム
KR100784831B1 (ko) 2006-12-14 2007-12-14 (주)동아엘텍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 편집방법
CN101075349A (zh) * 2007-06-22 2007-11-21 珠海金山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在svg中表达演示动画效果的方法
KR101516361B1 (ko) * 2008-05-26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54834B2 (en) * 2008-09-26 2016-09-27 Nintendo Co., Lt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implementing controlled image display according to input coordinat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539385B2 (en) * 2010-01-26 2013-09-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cise positioning of objects
KR20110129674A (ko) * 2010-05-26 2011-12-02 (주) 위즈덤 베이글 온라인 상에서 그래픽 객체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2018644A (ja) 2010-07-09 2012-01-26 Brother Ind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737401A (zh) * 2011-05-06 2012-10-17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图形渲染中光栅化阶段的三角片填充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881A (ja) 1998-09-10 2000-03-31 Toshiba Corp オブジェクト強調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記憶媒体
US6768488B1 (en) * 1999-05-25 2004-07-2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Image fill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ducing filling process in processing animation
JP2000339482A (ja) 1999-05-27 2000-12-08 Mutoh Ind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におけるコマンドメニュー表示方法
US20070195109A1 (en) 2003-08-01 2007-08-23 Paquette Michael J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automated display of visual effects
US20080212873A1 (en) * 2005-09-23 2008-09-04 Canon Kabushiki Kaisha Vectorisation of Colour Gradients
US20070216684A1 (en) * 2006-03-17 2007-09-20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brush components
JP2009218774A (ja) 2008-03-10 2009-09-24 Roland Corp 映像効果装置
US20090303199A1 (en) * 2008-05-26 2009-12-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0026A1 (en) 2016-05-18
US10134161B2 (en) 2018-11-20
CN105283906A (zh) 2016-01-27
EP3020026B1 (en) 2019-01-02
US20160086364A1 (en) 2016-03-24
KR20150007388A (ko) 2015-01-21
CN105283906B (zh) 2018-10-30
EP3020026A4 (en) 2017-05-31
WO2015005696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349B1 (ko)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8136052B2 (en) Touch scree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89447B1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2007651B1 (ko) 터치스크린 키보드를 구성하는 방법,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EP30422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applications
US8276101B2 (en) Touch gestures for text-entry operations
KR102092132B1 (ko)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0904B1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20100273533A1 (en) Method for operating touch screen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same
BR102014006171A2 (pt) Dispositivo eletrônico e método para controlar exibição de tela usando temperatura e umidade
US8677263B2 (en) Pan grip controls
EP2755126A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croll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KR102087896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에서 텍스트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67334A (ko) 터치 입력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30097266A (ko)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편집 방법 및 장치
EP25440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n touch screen
JP6359862B2 (ja) タッチ操作入力装置、タッチ操作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685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device
KR102068663B1 (ko) 전자 기기의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
KR101985888B1 (ko) 전자 게시판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107611A (ko)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JP6475883B2 (ja) タッチ入力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08628B1 (ko) 휴대 장치의 문서 편집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