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777B1 -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 Google Patents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777B1
KR102067777B1 KR1020180049319A KR20180049319A KR102067777B1 KR 102067777 B1 KR102067777 B1 KR 102067777B1 KR 1020180049319 A KR1020180049319 A KR 1020180049319A KR 20180049319 A KR20180049319 A KR 20180049319A KR 102067777 B1 KR102067777 B1 KR 10206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hain
present
resin body
r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053A (ko
Inventor
정대욱
Original Assignee
정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욱 filed Critical 정대욱
Priority to KR102018004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7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류에 적용되는 장신구 체인에 있어서: 폐쇄형 구조를 지닌 고리체(10)의 일부 영역에 수지체(30)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제1부재; 및 개폐 가능한 구조를 지닌 결합체(20)의 일부 영역에 수지체(30)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특히 여성이 휴대하는 각종 가방에 부착되는 부자재로 사용함에 경량성, 장식성, 내구성, 인체 무해성을 동시에 갖출 수 있어 품질과 상품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Accessory chain for bag products}
본 발명은 장신구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가방에 부착되는 부자재로 사용함에 요구되는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휴대용 가방에 줄 형태로 부착되는 체인은 중요한 장신용 부자재로서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별도로 판매하기도 한다. 특히 여성용 가방류 체인의 경우 중량이 가벼우면서 하중을 지탱할 강도를 지니는 외에 의상과 조화를 이루는 미감이 요구된다.
이러한 체인과 관련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7738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36260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심지체인은 야광도료가 포함되어 소정형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야광수지줄로 형성되고, 야광수지줄에 권취된 외부체인의 이격부를 통하여 야광수지줄이 표출될 수 있도록 심지체인에 후 요입부가 형성된다.
선행문헌 2는 중공형의 고리를 비틀어서 형성하되 표면 일부분에 절삭면과 그에 의해 중공이 노출되는 형태의 구멍이 형성된 단위체; 단위체의 절삭면에 형성된 구멍을 메우되 특정 색상을 갖는 제1에폭시수지층; 단위체의 절삭면과 제1수지층에 도포된 제2에폭시수지층;을 포함한다.
상기한 선행문헌이 가방류의 부자재로 사용될 수 있기는 하지만 경량성, 장식성, 내구성을 동시에 갖추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7738호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 (공개일자 : 2001.03.0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36260호 "장신용 체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체인" (공개일자 : 2010.09.0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여성이 휴대하는 각종 가방에 부착되는 부자재로 사용함에 경량성, 장식성, 내구성을 동시에 갖출 수 있는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방류 체인에서 사용자의 피부 접촉이 우려되는 영역으로 인체 무해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방류에 적용되는 장신구 체인에 있어서: 폐쇄형 구조를 지닌 고리체의 일부 영역에 수지체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제1부재; 및 개폐 가능한 구조를 지닌 결합체의 일부 영역에 수지체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부재는 고리체 상에서 수지체와 접하는 부분에 돌기 또는 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2부재는 바디의 일단 결합대에 형성된 원형공과 바디의 타단 결합대에 형성된 리벳을 맞물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2부재는 중량을 감소하기 위한 슬랏, 강도를 증대하기 위한 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수지체는 인서트몰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여성이 휴대하는 각종 가방에 부착되는 부자재로 사용함에 경량성, 장식성, 내구성, 인체 무해성을 동시에 갖출 수 있어 품질과 상품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의 제1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의 제2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가방류에 적용되는 장신구 체인에 관하여 제안한다. 각종 물품을 휴대하고 다니기 위한 여성용 가방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신구 체인은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교호로 연결되는 구조로 예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부재는 폐쇄형 구조를 지닌 고리체(10)의 일부 영역에 수지체(30)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도 2에서 고리체(10)는 금속 소재의 직선부(11)와 곡선부(12)를 연결한 폐쇄형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리체(10)는 미려한 표면과 양산의 생산성을 고려하여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고리체(10)의 표면에 장식성과 내마모성을 높이는 도금을 처리할 수도 있다. 수지체(30)는 고리체(10)에서 사용자의 피부 또는 의복 접촉이 유발되기 쉬운 영역에 일체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1부재의 내측 영역으로 고리체(10)가 배치되고 외측 영역으로 수지체(30)가 배치된다.
이때, 수지체(30)는 고리체(10)보다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지 않으나 장식성, 내마모성, 무해성과 더불어 양산의 생산성을 고려하여 양호한 성형성이 요구된다. 수지체(30)는 투명한 것이 선호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하나의 체인에 다양한 색상과 모양의 수지체(30)를 혼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부재는 고리체(10) 상에서 수지체(30)와 접하는 부분에 돌기(15) 또는 요홈(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돌기(15)와 요홈(17)을 동시에 표현하지만 실제로 별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5)는 고리체(10)의 일면에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돌출되는 형태이다. 요홈(17)은 고리체(10)의 일면에서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는 형태이다. 어느 경우에나 수지체(30)가 돌기(15) 또는 요홈(17)을 이용하여 결합되면 고리체(10)에 대한 결합력 증대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부재는 개폐 가능한 구조를 지닌 결합체(20)의 일부 영역에 수지체(30)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부재의 결합체(20)는 도 2의 고리체(10)를 대략 2분할한 구조로 예시한다. 즉, 결합체(20)를 도 2와 대비하여 설명하면 직선부(11)를 중심으로 양측에 호형의 곡선부(12)가 연장된 형태이다. 제2부재를 이루는 한 쌍의 결합체(20)는 상호 맞물림을 단속함에 따라 개방형 또는 폐쇄형 구조로 전환 가능하다. 제2부재의 수지체(30)는 제1부재의 수지체(30)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결합체(20)는 고리체(10)와 마찬가지로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형단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결합체(20)의 표면에 장식성과 내마모성을 높이는 도금을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2부재는 바디(21)의 일단 결합대(22)에 형성된 원형공(25)과 바디(21)의 타단 결합대(22)에 형성된 리벳(26)을 맞물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 소재인 바디(21)의 일단과 타단에는 동일한 크기의 결합대(22)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일측 결합대(22)의 원형공(25)과 타측 결합대(22)의 리벳(26)은 상호 맞물림 가능한 대칭적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동형 구조를 지닌 결합체(20)로 제2부재를 구성하면 양산을 위한 자재관리 및 조립작업의 용이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때, 결합체(20)의 바디(21)와 결합대(22)는 두께(직경)를 차등화하고 경계 영역에 단턱(23)을 형성할 수 있다. 단턱(23)은 바디(21)에 수지체(30)를 배치하기 위한 경계 영역으로 활용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2부재는 중량을 감소하기 위한 슬랏(27), 강도를 증대하기 위한 리브(2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결합체(20)의 바디(21)가 중앙의 리브(28)와 그 양측의 슬랏(27)을 지닌 상태를 예시한다. 슬랏(27)과 리브(28)는 결합체(20)의 다이캐스팅 과정에서 생성하거나 별도의 가공으로 생성할 수 있다. 바디(21)의 두께가 축소되고 슬랏(27)에 의하여 강도 약화가 우려되는 경우 리브(28)를 적용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수지체(30)는 인서트몰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부재의 금속제 고리체(10)를 사출용 금형에 삽입한 후에 고리체(10)의 외곽으로 용융 수지를 압출시켜 수지체(30)의 결합을 완료한다. 제2부재의 금속제 결합체(20)를 사출용 금형에 삽입한 후에 바디(21)의 외곽으로 용융 수지를 압출시켜 수지체(30)의 결합을 완료한다.
제1부재 및 제2부재에서 수지체(30)가 금속제를 대신하여 피부 또는 의복 접촉되므로 감촉이 개선되고 마찰로 인한 의복 손상도 방지된다.
조립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폐쇄형의 제1부재에 한 쌍의 제2부재를 끼우고 원형공(25)과 리벳(26)을 맞물린 다음 리벳팅 작업으로 압착시킨다.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맞물려 연장하면 도 1과 같은 가방류용 체인이 완성된다. 물론 공차 관리로 리벳팅 압력을 작게 설정하는 경우 원형공(25)과 리벳(26)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용이하여 체인의 길이 조절 기능이 부가된다.
가방류의 사용 과정에서, 체인의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의 고리체(10) 및 결합체(20) 간의 금속 접촉이 발생하므로 수지체(30)의 내마모성이 약화되지 않아 전체적인 내구성 저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고리체 11: 직선부
12: 곡선부 15: 돌기
17: 요홈 20: 결합체
21: 바디 22: 결합대
23: 단턱 25: 원형공
26: 리벳 27: 슬랏
28: 리브 30: 수지체

Claims (5)

  1. 가방류에 적용되는 장신구 체인에 있어서:
    폐쇄형 구조를 지닌 고리체(10)의 외측 영역에 수지체(30)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제1부재; 및
    개폐 가능한 구조를 지닌 결합체(20)의 외측 영역에 수지체(30)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재는 고리체(10) 상에서 수지체(30)와 접하는 부분에 돌기(15) 또는 요홈(17)을 구비하고,
    상기 제2부재는 바디(21)의 일단 결합대(22)에 형성된 원형공(25)과 바디(21)의 타단 결합대(22)에 형성된 리벳(26)을 맞물려 결합하며,
    상기 고리체(10)와 결합체(20)는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부재는 중량을 감소하기 위한 슬랏(27), 강도를 증대하기 위한 리브(2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수지체(30)는 인서트몰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KR1020180049319A 2018-04-27 2018-04-27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KR10206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319A KR102067777B1 (ko) 2018-04-27 2018-04-27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319A KR102067777B1 (ko) 2018-04-27 2018-04-27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053A KR20190125053A (ko) 2019-11-06
KR102067777B1 true KR102067777B1 (ko) 2020-01-17

Family

ID=6854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319A KR102067777B1 (ko) 2018-04-27 2018-04-27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7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71Y1 (ko) * 1998-10-29 2001-09-06 조영조 장신용 체인_
KR100311738B1 (ko) 1999-08-13 2001-10-18 김규성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
KR101036260B1 (ko) 2009-02-26 2011-05-24 김진규 장신용 체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053A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20123A1 (en) Convertible swimsu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6670387B2 (ja) リストバン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298591A (en) Chain
USD928012S1 (en) Watch strap
US20070074984A1 (en) Tool case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283821B1 (en) Brassiere sash
KR102067777B1 (ko)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CN104082922B (zh) 可拆卸戒指
CN101474032B (zh) 饰品用挂钩及其生产方法
KR102134480B1 (ko) 악세서리 부자재용 평면형 체인
US7003854B2 (en) Cover and decorative cover for a clip and clip set and a nail cover in combination with a plastic clip
KR200374335Y1 (ko) 휴대폰 장신구
CN219182971U (zh) 一种隐藏绳头的拉链拉绳
CN206043655U (zh) 一种手镯扣
KR200329758Y1 (ko) 커플용 장신구
CN210929956U (zh) 饰品及挂饰
KR200410867Y1 (ko) 귀걸이 뒷장식
KR200335718Y1 (ko) 교체가능한 액세사리 취부구조
KR200362778Y1 (ko) 열쇠고리 또는 휴대폰 장신구
KR101952616B1 (ko) 비철금속 손톱깎이
CN201081981Y (zh) 吊坠
KR200475671Y1 (ko) 귀걸이
KR20220100485A (ko) 액세서리용 팔찌의 제조 방법
KR200276695Y1 (ko) 자석 장신구
KR200199839Y1 (ko)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