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471Y1 - 장신용 체인_ - Google Patents
장신용 체인_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7471Y1 KR200237471Y1 KR2019980020767U KR19980020767U KR200237471Y1 KR 200237471 Y1 KR200237471 Y1 KR 200237471Y1 KR 2019980020767 U KR2019980020767 U KR 2019980020767U KR 19980020767 U KR19980020767 U KR 19980020767U KR 200237471 Y1 KR200237471 Y1 KR 2002374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 shape
- present
- connection
- fitting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용 체인에 관한 것으로, 체인에 사용되는 소자는 그 형상과 모양에 차이는 있으나 거의 모두 일정한 폭을 갖는 절개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절개부를 통하여 소자에 동일한 절개부를 갖는 다른 소자를 서로 연결하므로서 체인을 구성하게 되고, 상기한 절개부는 소자에 연결된 소자가 이탈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절개부를 오무리거나 이를 용접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소자가 지극히 소형이어서 용접작업이 지극히 곤란 할 뿐만 아니라 용접열이 소자에 미쳐서 이를 훼손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일정한 길이를 갖는 체인을 구성하였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소자에 두 개의 소자가 연결되는 것이므로 사용할 때 서로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자에 반드시 형성되는 끼움통로부를 막이대부의 동작에 의해 이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있도록 하고, 또한 막이대부에 의해 구성되는 두 개의 연결고리부에 각각 하나의 소자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소자와 소자간의 연결을 지극히 용이하게 조립할수 있고, 사용중 꼬일 우려가 없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장신용 체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체인을 구성하는 소자와 소자간의 연결작업을 지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체인이 서로 꼬이거나 얽히지 않도록 한 장신용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용 체인은 목걸이, 팔찌등의 장신용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신용 체인은 일정한 형상을 갖는 소자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체인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체인을 첨부한 도면 도 1에 의거하여 종래에 흔히 사용되어온 체인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에도 체인을 구성하기 위해 다수개의 소자(1)들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소자(1)는 그 형상과 모양에 차이는 있으나 거의 모두 일정한 폭을 갖는 절개부(2)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절개부(2)를 통하여 소자(1)에 동일한 절개부(2)를 갖는 다른 소자(1') 및 상기한 소자(1)에 동일한 절개부(2)를 갖는 또 다른 소자(1")를 서로 연결함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체인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절개부(2)에서 소자(1)에 연결된 소자(1') 및 소자(1")가 이탈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절개부(2)의 양측단을 오무리거나 이를 용접하여 왔다.
이러한 절개부(2)를 오무리기 위해서는 지극히 소형인 소자(1)의 양측단을 잡고 가압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곤란하여 숙련이 요구되고, 이를 용접하는 경우에는 지극히 소형이어서 용접작업이 곤란 할 뿐만 아니라 용접열이 소자(1)에 미쳐서 이를 훼손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일정한 길이를 갖는 체인을 구성하였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소자(1)에 양측으로 소자(1'),(1")가 연결되는 것이므로 사용할 때 서로 꼬이거나 얽히게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않고, 약간의 인장력이 가해져도 연결부위가 쉽게 절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소자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막이대부로서 개방 또는 폐쇄할 수있도록 하고, 또한 막이대부에 의해 구성되는 두 개의 연결고리부에 각각 하나의 소자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소자와 소자간의 연결을 지극히 용이하게 조립할수 있도록하는데 목적이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용 체인을구성하는 소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체인의 조립 구성도,
도 4부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체인소자 11:외곽링부 12:끼움통로부
13:막이대부 14:연결고리부
본 고안 장신용 체인은 전체적으로 그 외형이 타원링의 형상으로 이루어 지는 것으로, 일측에 끼움통로부(12)가 절개되며 링의 형상을 가지는 외곽링부(11)와,
상기 끼움통로부(12)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갖는 일단을 상기 끼움통로부(12)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하고, 타단은 상기 끼움통로부(12)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외곽링부(11)에 일체로 고정되는 막이대부(13)를 가지는 체인소자(10)들을 연결하여서 만들어 진다.
이때 상기한 막이대부(13)에 의해 상기 외곽링부(11)내측 좌,우에 두 개의 연결고리부(14),(14')가 구획되게 되어지고, 상기한 막이대부(13)는 소자(10)를 제조할 때 동시에 성형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장신용체인을 구성하는 것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 도 2 및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한 본 고안의 소자(10)에서 구성하고 있는 막이대부(13)를 가압하여 어느 일측으로 절곡시켜서 상기한 끼움통로부(12)와 막이대부(13)사이를 개방하여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준다.
이러한 공간을 통하여 상기한 본 고안의 소자(1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른 소자(10')를 삽입하여서 이 소자(10')는 상기한 소자(10)의 연결고리부(14) 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의 소자(1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또다른 소자(10")를 삽입하여서 이 소자(10")는 상기한 소자(10')가 위치하고 있는 다른 어느 연결고리부(14') 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막이대부(13)을 눌러서 그 일단이 원래의 위치인 끼움통로부(12)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일련의 조립과정을 마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상기한 소자(10)에 또 다른 소자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한 소자(10)에 또 다른 소자를 계속하여 연결하므로서 본 고안에서 요구하는 체인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체인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소자는 소자에 구획되어 있는 두 개의 연결고리부(14) ,(14')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기 때문에 서로 엇갈리지 않아 절대로 꼬이지 않게 된다.
또한 끼움통로부(12)를 막이대부(13)의 동작에의해 개방 및 폐쇄를 지극히 용이하게 취할 수 있으므로 숙련 노동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생산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한 막이대부(13)는 첨부한 도면 제 4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통로부(12)에 위치하는 끝단을 티이(T)형상으로 하여 끼움통로부(12)의 개방시에 발생하는 삽입공간을 최대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면 제 5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자(10)의 형상을 마름모꼴의 소자(10)로 형성하여, 일단이 화살촉형상을 갖는 막이대부(13)를 모서리에 형성시킨 끼움통로부(12)에 위치하도록 할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위에서 예시하고 있는 예이외에도 얼마든지 소자의 형상에 따라 그 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상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자에 형성되는 끼움통로부를 막이대부의 동작에 의해 이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있도록 하고, 또한 소자에 의해 구성되는 두 개의 연결고리부에 각각 하나의 소자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소자와 소자간의 연결을 지극히 용이하게 조립할수 있고, 사용중 꼬이거나 얽힐 우려가 없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것이다.
Claims (3)
- 전체적으로 그 외형이 타원링의 형상으로 이루어 지는 것으로, 일측에 끼움통로부(12)가 절개되며 링의 형상을 가지는 외곽링부(11)와, 상기 끼움통로부(12)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갖는 일단을 상기 끼움통로부(12)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하고, 타단은 상기 끼움통로부(12)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외곽링부(11)에 일체로 고정되는 형상을 가지는 막이대부(13)를 가지는 체인소자(10)들을 연결하여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체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대부(13)의 좌우측에 연결고리부(14),(14')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체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대부(13)는 티이(T)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체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0767U KR200237471Y1 (ko) | 1998-10-29 | 1998-10-29 | 장신용 체인_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0767U KR200237471Y1 (ko) | 1998-10-29 | 1998-10-29 | 장신용 체인_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8897U KR20000008897U (ko) | 2000-05-25 |
KR200237471Y1 true KR200237471Y1 (ko) | 2001-09-06 |
Family
ID=6952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0767U KR200237471Y1 (ko) | 1998-10-29 | 1998-10-29 | 장신용 체인_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7471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0282B1 (ko) * | 2002-08-30 | 2005-05-17 | 현병대 | 장신용 체인의 제조방법 |
KR20170001501U (ko) * | 2015-10-20 | 2017-04-28 | 이석호 | 볼 연결구조를 갖는 장신구용 체인 |
KR101994402B1 (ko) * | 2018-02-26 | 2019-06-28 | 이용수 | 체결이 간편한 악세사리용 체결구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7777B1 (ko) * | 2018-04-27 | 2020-01-17 | 정대욱 | 가방류용 장신구 체인 |
-
1998
- 1998-10-29 KR KR2019980020767U patent/KR2002374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0282B1 (ko) * | 2002-08-30 | 2005-05-17 | 현병대 | 장신용 체인의 제조방법 |
KR20170001501U (ko) * | 2015-10-20 | 2017-04-28 | 이석호 | 볼 연결구조를 갖는 장신구용 체인 |
KR200484134Y1 (ko) | 2015-10-20 | 2017-08-10 | 이석호 | 볼 연결구조를 갖는 장신구용 체인 |
KR101994402B1 (ko) * | 2018-02-26 | 2019-06-28 | 이용수 | 체결이 간편한 악세사리용 체결구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8897U (ko) | 2000-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848187B2 (en) | Cord end stopper | |
US4269026A (en) | Connector pin for link bracelets | |
KR200237471Y1 (ko) | 장신용 체인_ | |
US4499634A (en) | Jewelry clasp | |
ITMI20030454U1 (it) | Terminale per guarnizioni con fermagli | |
US2303294A (en) | Jewelry | |
KR910002849Y1 (ko) | 분리 가능한 견인 탭이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 |
US6681598B2 (en) | Stringless bead connector | |
US3353372A (en) | Piercing earr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
US3974547A (en) | Jewelry clasp member | |
US4030287A (en) | Articulated bracelet | |
KR200277366Y1 (ko) | 사슬 체인의 연결구조 | |
JPH11235212A (ja) | 腕輪を連結材により時計に取付けた腕時計 | |
KR100350856B1 (ko) | 끈 단말 커버 | |
US4987655A (en) | End connector for expansible watch band | |
KR970000465Y1 (ko) | 진주목걸이의 구조 | |
KR0135095Y1 (ko) | 고정수단이 형성된 부쉬 | |
KR200293747Y1 (ko) | 목걸이용 단위체의 결합구조 | |
US5660308A (en) | Connector for expansible watchband sections | |
US2780052A (en) | Expansion bracelet with two rows of bottom links | |
JPH0339047Y2 (ko) | ||
KR200189124Y1 (ko) | 장신줄 연결구 | |
KR200208968Y1 (ko) | 전구망 살을 일단으로 제작한 전구망 | |
US2549650A (en) | Ornamental chain for bracelets or necklaces | |
KR0119878Y1 (ko) | 무선호출기용 체인 결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