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486B1 -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486B1
KR102067486B1 KR1020180131347A KR20180131347A KR102067486B1 KR 102067486 B1 KR102067486 B1 KR 102067486B1 KR 1020180131347 A KR1020180131347 A KR 1020180131347A KR 20180131347 A KR20180131347 A KR 20180131347A KR 102067486 B1 KR102067486 B1 KR 10206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ilt
input unit
tilt correction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진
이대원
오달석
황륜정
강경원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두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두원테크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2003/467Colour compu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 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한 계측장치를 검사장치에 고정할 때 계측장치의 수평을 유지해야하는 번거러움 없이 고정된 계측장치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검사 포인트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검사장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피 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돌출되어 피 검사체의 색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 측정부와 상기 기울기 측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입력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입력부의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a measuring device capable of tilt correction}
본 발명은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 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한 계측장치를 검사장치에 고정할 때 계측장치의 수평을 유지해야하는 번거러움 없이 고정된 계측장치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검사 포인트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상검사는 숙련된 검사관에 의해 수작업으로 검사가 진행되어 왔으나, 카메라를 이용한 비전인식을 비롯하여, 다양한 계측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디지털화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밀한 검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계측장치를 통해 검사가 진행되는 포인트에 맞춰 피 검사체를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매우 간단하게 색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취득된 색상정보를 바탕으로 매우 빠르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기술의 하나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37176호 "색상 검사 장치 및 색상 검사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색상을 검사하기 위한 계측장치를 설치할 때, 계측장치를 통해 측정되는 검사 포인트가 정 위치할 수 있도록 계측장치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설치와 해제를 반복하여 검사 포인트를 조절하면 설치해야만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고정된 검사 포인트에 대해서만 검사가 진행될 수 있음에 따라, 검사 포인트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피 검사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를 정밀하게 이송시켜 재 설치하거나, 계측장치의 고정위치를 수작업으로 변경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피 검사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를 분해한 후 정밀하게 이송시켜 재 설치하거나, 계측장치의 재 설치를 진행하여 검사 포인트를 다시 정 위치하기에는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디스플레이의 픽셀 및 색상검사도 자동화된 검사장치를 통해 검사가 실시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는 피 검사체와 계측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피검사체와의 거리 및 기울기를 정밀하게 조절하면서 설치해야함에 따라, 더욱 많은 설치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3차원으로 이송되는 다축 로봇팔과 같은 가공장치에 검사장치가 검사장치가 일체형으로 설치된 경우 다축 로봇팔의 동작 변경시마다 미세하게 기울기가 변경되어 검사 포인트가 기 설정된 검사 포인트로부터 벗어나거나, 계측장치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매우 간단하게 계측장치를 검사장치에 단순설치한 다음 계측장치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기울기를 보정하거나, 미세하게 기울어지더라도 자체적으로 기울기를 측정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37176호 "색상 검사 장치 및 색상 검사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검사장치에 계측장치를 설치할 때 계측장치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조절하지 않고, 단순 설치한 이후에 계측장치를 통해 검사가 실시되는 검사 포인트를 변경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검사 포인트를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는 검사장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피 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돌출되어 피 검사체의 색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 측정부와 상기 기울기 측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입력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입력부의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 보정부는 상기 입력부와 기울기 측정부가 배치되는 틸팅부와 상기 틸팅부의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틸팅부의 일측을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 보정부는 상기 틸팅부의 일측을 지지하여 회동각도를 조절하기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와 피 검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피 검사체와의 사이 거리를 검사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취득된 색상정보를 무선통신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송신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울기 보정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좌표별로 다른 색상을 표현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취득된 색상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울기 보정부를 제어하여 검사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의하면, 검사장치에 계측장치를 단순 설치한 이후에 계측장치의 기울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입력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검사가 실시되는 검사 포인트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의하면, 무선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좌표별로 다른 색상을 표현하고, 계측장치를 통해 취득된 색상정보를 바탕으로 기울기를 보정하여 기 설정된 색상이 위치한 좌표로 검사 포인트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고정되거나, 다축 로봇팔에 의해 이송되는 검사장치(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피 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1)에 설치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하단에 돌출되어 피 검사체의 색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입력부(3)와 입력부(3)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3)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 측정부(4)가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어, 케이스(2)의 기울기에 맞춰 상기 기울기 보정부(5)가 입력부(3)를 기울임으로써, 입력부(3)의 기울기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3)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 측정부(4)가 입력부(3)에 배치되어, 입력부(3)의 기울기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기울기에 맞춰 상기 기울기 보정부(5)가 입력부(3)의 기울기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입력부(3)의 기울기는 항상 수평면에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거나,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케이스(2)의 외부에는 색상, 명암, 휘도와 같은 색상정보를 표시하거나, 기울기 측정부(4)를 통해 측정된 기울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17)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3)를 통해 취득된 색상정보를 무선통신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부(15)를 더 포함하여,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쉽고 간단하게 색상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상정보 이력을 기록,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5)가 기울기 측정부(4)를 통해 측정된 기울기를 무선통신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기울기 이력을 기록,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 보정부(5)는 케이스(2)의 외부로 돌출되어 인입량이 조절될 수 있는 나사형태의 조절부(도 2의 13 참조)를 포함하여 인입량에 따라 케이스(2) 내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입력부(3)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 기울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조절부는 전자제어를 통해 조절가능한 모터가 결합되어 입력부(3)를 일측으로 밀어주는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기울기 측정부(4)를 통해 측정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기울기 보정부(5)의 조절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입력부(3)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 자동으로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부(15)가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송신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울기 보정부(5)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케이스(2) 내부에 설치되는 기울기 보정부(5)는 상기 입력부(3)와 기울기 측정부(4)가 배치되는 틸팅부(11)와 상기 틸팅부(11)의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틸팅부(11)의 일측을 케이스(2)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부(3)가 고정된 틸팅부(11)의 타측이 자유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고정부(12)는 링 형태의 가이드(21)와 가이드(21)의 내주면에 X축 방향으로 돌출된 X축 회전축(22)과 가이드(21)의 외주면에 Y축 방향으로 돌출된 Y축 회전축(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21) 내주면에 형성된 X축 회전축(22)을 통해 틸팅부(11)가 축 결합되어 X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며, 가이드(21)의 회주면에 형성된 Y축 회전축(23)이 케이스(2)의 내부에 축 결합됨으로써, 틸팅부(11)와 고정부(12) 전체가 Y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틸팅부(11)가 X축을 중심으로한 회동과 Y축을 중심으로한 회동이 모두 가능할 경우, 상기 기울기 보정부(5)는 상기 틸팅부(11)의 일측을 지지하여 회동각도를 조절하기위한 조절부(13)가 X축에 평행하도록 하나가 배치되고, Y축에 평행하도록 다른 하나가 배치되어, X축 회동량과 Y축 회동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13)의 반대편에는 틸팅부(11)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체(16)가 배치되어, 조절부(13)에 틸팅부(11)를 밀착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부(3)와 피 검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부(14)를 더 포함하여, 피 검사체(6)와의 사이 거리를 검사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피 검사체로써 무선통신단말기(6)를 배치하고, 무선통신단말기(6)는 디스플레이의 좌표별로 다른 색상 및 명암이 표현되도록 설정되어 입력부를 통해 취득된 색상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검사 포인트(P1)의 위치를 연산하고, 기 설정된 검사 포인트의 색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단말기(6)가 제어명령을 송신하여 기울기 보정부를 제어함으로써, 검사 포인트를 조절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선통신단말기(6)를 통해 검사를 실시하고자하는 디스플레이의 좌표(P2)만 설정한 후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의 하부에 무선통신단말기(6)를 배치하는 매우 간단한 절차만으로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는 입력부를 통해 취득된 색상정보를 무선통신단말기(6)에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검사 포인트(P1)의 위치를 연산하여 설정된 위치좌표(P2)에 해당하는 색상정보를 취득하도록 기울기 보정부를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검사장치
2 : 케이스
3 : 입력부
4 : 기울기 측정부
5 : 기울기 보정부
11 : 틸팅부
12 : 고정부
13 : 조절부
14 : 거리 측정부
15 : 통신부
16 : 탄성체
17 : 표시창
21 : 가이드
22 : X축 회전축
23 : Y축 회전축

Claims (6)

  1. 삭제
  2. 검사장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피 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돌출되어 피 검사체의 색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 측정부와;
    상기 기울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입력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입력부의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 보정부는
    상기 입력부와 기울기 측정부가 배치되는 틸팅부와;
    상기 틸팅부의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틸팅부의 일측을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보정부는
    상기 틸팅부의 일측을 지지하여 회동각도를 조절하기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4. 검사장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피 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돌출되어 피 검사체의 색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 측정부와;
    상기 기울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입력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입력부의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와 피 검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피 검사체와의 사이 거리를 검사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5. 검사장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피 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돌출되어 피 검사체의 색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 측정부와;
    상기 기울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입력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입력부의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취득된 색상정보를 무선통신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송신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울기 보정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좌표별로 다른 색상을 표현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취득된 색상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울기 보정부를 제어하여 검사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KR1020180131347A 2018-10-30 2018-10-30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KR10206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47A KR102067486B1 (ko) 2018-10-30 2018-10-30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47A KR102067486B1 (ko) 2018-10-30 2018-10-30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486B1 true KR102067486B1 (ko) 2020-02-11

Family

ID=6956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347A KR102067486B1 (ko) 2018-10-30 2018-10-30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680B1 (ko) * 2020-10-19 2021-04-27 조영래 선박용 디지털 경사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8036A (ja) * 1993-04-22 1994-11-04 Takamisawa Denki Seisakusho:Kk 液晶表示画像検査方法
JP2007205800A (ja) * 2006-01-31 2007-08-16 Dainippon Printing Co Ltd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00137176A (ko) 2009-06-22 2010-12-30 김진호 색상 검사 장치 및 색상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8036A (ja) * 1993-04-22 1994-11-04 Takamisawa Denki Seisakusho:Kk 液晶表示画像検査方法
JP2007205800A (ja) * 2006-01-31 2007-08-16 Dainippon Printing Co Ltd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00137176A (ko) 2009-06-22 2010-12-30 김진호 색상 검사 장치 및 색상 검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680B1 (ko) * 2020-10-19 2021-04-27 조영래 선박용 디지털 경사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3604B1 (en) Vehicle wheel alignment measurement system camera and adas calibration support structure
US20200158501A1 (en) Live ride height measurement
US10648791B2 (en) Conformance test artifact for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US9182346B2 (en) Transmittance testing apparatus
JP2006330210A (ja) レンズの心出し方法及び装置
US10365084B2 (en) Bead measurement system
KR102067486B1 (ko) 기울기 보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JP2008219013A (ja) ディスク状の物体の保持装置
JP4095991B2 (ja) 全反射蛍光x線分析装置
CN111999316A (zh) 一种曲面玻璃检测系统及方法
KR102024206B1 (ko) 웨이퍼 표면 온도 측정용 적외선 온도센서
KR20160108192A (ko) 형상계측장치, 가공장치 및 형상계측장치의 교정방법
JP2018169216A (ja) 付着物の検査装置
KR102279236B1 (ko) 거리별 각도별 측정이 가능한 계측장치
KR20170119575A (ko) 펌프 설치를 위한 수평도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7024484B (zh) 显示屏缺陷评估装置及其维护方法和待检测显示屏
EP3771307A1 (en) Constitutive device quality determination server, inspection system, inspection system terminal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JPH08219999A (ja) 表面欠陥検査光学系の校正方法、及び装置
CN209842299U (zh) 打光设备
CN106980226B (zh) 光罩检测装置及其方法
KR101818061B1 (ko) 듀얼 오토포커싱을 적용한 영상 검출 시스템
US20190107385A1 (en) Bead measurement system with a movable camera
JP3272500B2 (ja) 球面測定装置
CN217304950U (zh) 外形检测设备
KR20150022359A (ko) 표면 굴곡을 가진 디펙을 검사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