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039B1 -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및 베일 랩핑 기기 - Google Patents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및 베일 랩핑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039B1
KR102067039B1 KR1020157002095A KR20157002095A KR102067039B1 KR 102067039 B1 KR102067039 B1 KR 102067039B1 KR 1020157002095 A KR1020157002095 A KR 1020157002095A KR 20157002095 A KR20157002095 A KR 20157002095A KR 102067039 B1 KR102067039 B1 KR 10206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e
support frame
lapping
baler
wr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254A (ko
Inventor
시무스 발레이
Original Assignee
크버네랜드 그룹 라베나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버네랜드 그룹 라베나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크버네랜드 그룹 라베나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5002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15/0715Wrapping the bale in the press chamber before opening said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3Features related to the horizontal rotating arm of a wrapping device of the satellite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35Combined machines that include a press bale and a wrapping device in a further step, e.g. turning table, not in the same closed press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4Mechanisms for discharging a bale from the wrapping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55Configuration of support surfaces which can move in order to rotate a bale around at least one axis while wrap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200)가 제공되고, 섬유 재료로부터 베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베일러(100), 그리고 지지 프레임(210, 211)이 제공되는 베일 랩핑 기기를 포함하며, 지지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210, 211)이 베일러(100)로부터 릴리즈된 베일을 수용하고 랩핑 재료로 랩핑하기 위한 베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폐쇄 위치와, 지지 프레임(210, 211)이 베일러(100)로부터 릴리즈된 베일이 지지 프레임에 또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지 않으면서 지지 프레임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베일 랩핑 기기와 농장 차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및 베일 랩핑 기기 {A COMBINED BALER AND BALE WRAPPING APPARATUS AND A BALE WRA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합된 베일러(baler)와 베일 랩핑 기기 및 베일 랩핑 기기에 관한 것이다.
섬유 물질의 베일링은 베일을 형성하는 베일링 기기(베일러)를 사용하여 일어난다. 베일링 기기가 특별한 크기의 베일을 제조할 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베일 주위에 이 재료를 랩핑하는 다음 스테이지에 앞서 베일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재료의 복수의 층들이 베일의 둘레 주위에 가해진다.
시장에 공지된 2가지 타입들의 베일 랩핑 기기가 있다. 이러한 베일 랩핑 기기는 각각 단독 베일 랩핑 기기로서 그리고 베일러 조합 시스템들로서 널리 지칭된다.
단독 베일 랩핑 시스템들에서, 베일링 기기는 먼저 베일을 형성하고 메쉬, 플라스틱 또는 노끈 재료를 베일에 가하고 베일 형성 챔버로부터 지면으로 직접 베일을 통과시킨다. 단독 베일 랩핑 기기는 그 후 보통은 트랙터에 부착되어 나오고 지면으로부터 베일을 제거하고 베일 주위에 플라스틱 재료를 도포하기 위해 베일을 그의 지지 테이블 상으로 전달한다.
조합 시스템은 베일링 및 베일 랩핑의 2개의 프로세스들을 함께 하나의 기기에서 조합한다. 2개의 유닛들은 조합 기기를 연계되게 하는 베일 랩핑 기기(또한 본원에 "베일 랩퍼"라고 지칭됨)와 베일링 기기(또한 본원에 "베일러"라고 지칭됨) 사이에 피봇 지점을 갖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들이 있지만 보통 단일 섀시 상에 장착된다. 현재 이용 가능한 조합 시스템들은 2개의 공지된 타입들의 랩핑 시스템들 중 하나를 가지며 : 하나의 공지된 랩핑 시스템은 단일 축선 주위로 베일을 회전시키지만 플라스틱 디스펜서들은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별개로 회전되고, 디스펜서들이 수직 평면 또는 수평 평면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공지된 랩핑 시스템은 2개의 축선들 상의 베일들을 회전시키는 지지 테이블을 갖지만 2개의 플라스틱 디스펜서들은 고정된 위치로 남아있다. 제 2 베일 랩핑 시스템의 단점은 베일이 2개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베일 랩핑 사이클 동안 베일이 더 불안정할 것이라는 것이다.
조합 시스템들의 이점은 2개의, 보통은 별개의 작업들이 이제 단일 작업자 그리고 예컨대 트랙터와 같은 동력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조합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베일 기기의 베일 형성 챔버로부터 베일 랩핑을 위한 베일 지지 테이블 상으로 섬유 재료의 베일을 전달하기 위해 일부 전달 메커니즘의 형태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달 메커니즘들은 베일러/베일 랩핑 유닛과 통합시키기에 복잡하고 비쌀 수 있다.
이하에 주어진 종래 기술의 예들에서, 전달 메커니즘들은 또한 베일링 및 베일 랩핑 작업들을 느리게 한다. 또한 현재의 조합 시스템들에 의한 다른 단점은 공지된 조합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작업자가 섬유 재료를 베일링하고 임의의 플라스틱을 도포하지 않을 필요가 있을 때, 재료의 베일이 항상 베일 랩퍼 상으로 전달되어야만 하고 그 후 기계에 의한 이동들의 시퀀스에서 지면 상으로 통과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베일의 이러한 불필요한 이동으로 인해, 베일러/베일러 랩퍼들의 유압 시스템들이 사용되고, 그리하여 시스템 동력 유닛에 로드를 발생한다.
문서 EP 2 292 084 A1은 통합된 베일러/베일 랩핑 유닛의 예를 개시한다. 베일 형성 챔버로부터 베일 랩퍼로의 베일의 전달을 위한 전달 메커니즘은 베일 형성 챔버의 일부로서 통합된다. 이러한 시스템에 관한 단점들은 베일 형성 챔버로부터 베일 랩퍼로 베일을 전달하기 위해, 베일 형성 챔버가 2개의 이동 가능한 부분들로 분할되고, 베일을 베일 랩퍼 상으로 전달하기 위해, 베일 형성 챔버 도어 개방 시스템이 섬유 재료의 베일을 전달하기 위해 그의 전달 메커니즘을 위해 부가적인 연장부만큼 상방으로 연장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둥근 베일링 기기와 비교하여 부가적인 시간이 걸린다. 챔버 내측의 이러한 베일의 리프팅은 또한 여분의 원치않는 응력을 베일 형성 챔버 도어 개방 시스템 및 챔버 도어 힌지 지점들에 생성한다.
베일 형성 챔버의 바닥 타이어에 의한 베일의 전달은 베일의 궤도가 처음에는 베일을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푸싱 동작이 뒤따르는 상방인 것을 의미하고, 기계의 무게 중심은 특히 필드들이 전체적으로 편평하지 않은 경우에서 종종 있는 것과 같이 기계가 슬로프(slope)의 측에서 작업되는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로 옮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베일이 동작하는 동안, 베일의 횡단 이동이 있을 가능성이 더 있는 것을 의미하며, 그리하여 그 이후의 베일 랩핑을 위해 지지 테이블로 운반될 때 베일의 오정렬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EP 2 292 084 A1에 개시된 기기에 의한 다른 단점은 베일 랩퍼의 수직 랩핑 링 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며; 베일 랩퍼들의 레벨은 랩핑 링의 구조물에 의해 제한되고 높은 수평 위치에 영구적으로 위치되어야만 하며 이는 베일에 대한 높은 전달 레벨을 초래한다.
EP 2 292 084 A1에 논의된 기기에 대하여, 베일이 플라스틱 뚜껑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베일은 지지 테이블 상으로 통과되고 제 2 이동에서 지면 상으로 통과되어야만 하는 것이 여전히 요구되며, 이는 물론 기계를 구동하는 동력 플랜트 상으로 불필요한 로드를 부과하고 그리하여 부가적인 연료 소비를 발생시킨다. 베일러의 랩퍼는 기계들이 길이가 로드 전달에 대하여 변할 수 없다는 결과로서 고정된 위치에 있다. 베일러의 챔버와 통합된 베일 전달 메커니즘으로 인해, 이러한 특정 챔버 타입의 제작은 베일러를 베일러/베일러 랩퍼 조합으로 제한하며, 다시 말하면, 베일러는 단독 베일러로서 이러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없다.
종래 기술의 다른 예는 문서 EP 1 266 563 A1의 기기이고 이는 상기 명시된 것과 일부 동일한 단점들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전달 메커니즘은 베일 형성 챔버로부터 분리된다. 작업 동안, 베일 형성 챔버 도어는 개방되고 베일은 전달 메커니즘 상으로 이동한다. 전달 메커니즘이 베일 형성 챔버와 베일러의 랩퍼 사이에 위치된다는 사실로 인해, 전달 메커니즘은 기계에 상당한 길이를 부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기계의 대부분의 예들에서, 바퀴들을 구비한 부가적인 축이 기계의 길이에 의한 불균형 및 부가적인 중량을 지지하기 위해 요구된다.
다시 EP 1 266 563 A1의 기기에 의하면, 베일 형성 챔버 내에 형성되고 플라스틱 뚜껑을 요구하지 않는 베일들의 경우에, 전달 메커니즘은 베일을 베일 지지 테이블 상으로 전달하는 것이 요구되며, 다른 이동에서, 베일은 베일 지지 테이블의 하방 기울기에 의해 지면으로 오프 로딩된다. 다시, 언급된 EP 2 292 084 A1의 기기에 의한 일반적인 다른 단점은 전달을 위해 기계의 길이가 변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른 기계가 DE 20 2005 008 468에 개시된다. 베일이 베일 형성 챔버 내에 형성되었을 때, 챔버 도어는 개방되고 베일은 더 낮은 레벨에 위치되는 베일 전달 기계 상으로 릴리즈되고, 베일 형성 챔버는 전달 메커니즘이 베일을 지지 테이블 상으로 전달할 때까지 폐쇄가 가능하지 않은데 이는 그렇지 않다면 도어가 폐쇄 위치로 하방으로 이동할 때 베일 형성 챔버의 도어가 베일과 충돌하게 되는 사실 때문이다. 이는 전체 프로세스가 상당히 느려지는 것을 의미한다. 베일러/베일 랩퍼의 전체 길이는 전달 메커니즘으로 인해 상당히 더 길고, 기계는 로드 전달에 대하여 변할 수 없는 고정된 길이를 갖고; 플라스틱 재료로 볼의 랩핑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베일은 지지 테이블 상으로 전달되고 그 후 지지 테이블의 낮춤에 의해 지면 상으로 전달되어야만 한다.
또한, 문서 EP 0 865 723 A1에서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가 설명된다.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된 후에, 베일은 전달 메커니즘에 의해 베일 랩핑 장치로 전달된다.
문서 EP 1386 532 A1은 복수의 랩핑 재료 디스펜서들을 포함하는 랩핑 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를 위한 개선된 베일 랩핑 기술 및 종래 기술의 문제들을 극복하는 베일 랩핑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가 제공된다.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는 섬유 재료로부터 베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베일러, 지지 프레임이 제공되는 베일 랩핑 기기를 포함한다. 베일 지지 프레임으로써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이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된 베일을 수용하고 랩핑 재료에 의해 랩핑하기 위해 베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폐쇄 위치와 지지 프레임이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된 베일이 지지 프레임에 또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지 않으면서 지지 프레임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섬유 재료로부터의 베일을 랩핑하기 위한 베일 랩핑 기기가 제공된다. 베일 랩핑 기기는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에 수용되는 랩핑 장치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이 랩핑 장치에 의해 랩핑 재료에 의한 랩핑을 위해 전에 베일러에 의해 형성되는 베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폐쇄 위치와, 지지 프레임이 전에 베일러에 의해 형성되는 베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랩핑 재료에 의해 랩핑되는 베일이 릴리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베일 랩핑 기기는 또한 랩핑 공정 전에 농업 섬유 재료로부터의 베일을 준비하는 베일러와 조합되지 않거나 기능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단독 랩핑 장치로서 지칭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의 구성은 베일 수용 모드 및 전달 메커니즘에 대한 필요를 제거하는 베일 랩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일러에서 베일은 베일 형성 챔버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 섬유 재료, 예컨대 작물 재료 또는 다른 농업 줄기 재료가 제공된다. 베일링 챔버는 고정된 챔버 또는 가변 챔버일 수 있다. 베일은 원통형 베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는 형성된 베일이 릴리즈되는 베일러의 출력에 작업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베일 지지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의 폐쇄 위치는 사용 중인 베일 랩핑 위치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일 랩핑 기기의 개방 위치는 비사용 베일 랩핑 위치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사용 중 또는 폐쇄 위치에서 베일 랩핑 기기는, 예컨대 지지 프레임에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롤러들에 의해 지면 접촉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베일 랩핑 기기는 개방 및 폐쇄 위치 모두에서 지면 접촉이 없이 위치된다.
베일 랩핑 기기는 결국 베일러가 제공될 수 있는 농업 차량에 떨어질 수 있게 또는 떨어질 수 없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단일 섀시에 떨어질 수 있게 또는 떨어질 수 없게 수용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는 농업 차량 및 베일러 중 하나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기기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베일 랩핑 기기는 농업 차량의 전방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는 그 자체가 공지된 것일 수 있는 상이한 타입들의 베일러와 조합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업그레이드로서 베일러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는 베일러, 예컨대 단독 베일러를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시스템 또는 기기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구조 킷(construction kit)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를 위한 구조 킷이 제공될 수 있고, 이 킷은 지지 프레임을 위한 구조 요소들을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은 베일러에 장착될 때 지지 프레임이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되는 베일을 수용하고 랩핑 재료로 랩핑하기 위해 베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폐쇄 위치와, 지지 프레임이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된 베일이 지지 프레임에 또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지 않으면서 지지 프레임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농장 차량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적어도 폐쇄 위치에서 작업 공간을 에워싸거나 둘러쌀 수 있고 여기서 베일은 지지 프레임 부재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예컨대 2개 또는 3개의 측들 또는 전체적으로 4개의 측들을 랩핑하기 위해 위치된다. 둘러싸는 것은 예컨대 둘러싸는 위치를 벗어나는 지지 프레임의 부재들의 변위에 의해 지지 프레임의 개방 위치에서는 없을 수 있다. 변위는 피봇팅 부재들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의 에워싸는 부분은 본질적으로는 수평 평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게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의 원위부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지지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차량 또는 베일 랩핑 기기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베일러에 대한 베일 랩핑 기기의 위치에 의존하여, 프레임의 원위부는 또한 각각 뒷부분 및 전방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을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전에 베일러에 의해 형성되는 베일이 통하여 지지 프레임에 들어갈 수 있는 및/또는 랩핑된 베일이 통하여 릴리즈될 수 있는 전달 공간 또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조합된 베일러 및 랩핑 기기의 경우,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되는 베일은 지지 프레임에 또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지 않으면서 통과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되는 베일은 중력에 의해 단지 베일 랩핑 기기 안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는 임의의 힘 전달 메커니즘이 없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달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고, 전달 메커니즘은 베일을 베일러로부터 베일 랩핑 기기 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전달 메커니즘은 형성된 베일을 베일러로부터 베일 랩핑 기기 안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푸시 메커니즘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전달 메커니즘은 중력 원인인 전달과 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부재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다. 베일 지지 프레임은 피봇 지점, 예컨대 베일 지지 프레임을 따라 대략 절반에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로 나누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백 롤러(back roller)가 상방으로 피봇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에 의해 지지 프레임의 제 2 부재를 랩핑된 재료의 베일에 대한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서 지면 상으로 통과하게 된다. 제 2 부재는 프레임의 원위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부재들의 조합은 베일이 랩핑을 위해 배치되는 작업 공간의 대향 측들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는 베일 주위에 도포하기 위한 베일 랩핑 재료를 분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베일 랩핑 재료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재료 디스펜서 수단이 제공될 수 있지만, 예컨대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가 연속적인 성질일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연속적인 베일링 및 랩핑으로부터의 베일들의 출력은 시간당 개수가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작업의 연속적인 베일링 양태는 출력을 최대 50% 및 이를 넘어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업의 랩핑 요소의 출력은 이러한 증가된 출력을 매칭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연속적인 베일링 요소에 맞추기 위해 디스펜서 수단,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 수단의 개수는 2개를 초과하는 개수로 증가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베일 랩핑 재료 디스펜서는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구조물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에 장착된다. 회전 가능한 구조물은 베일을 랩핑하기 위한 본질적으로 수직 평면의 본질적으로 수평 축선 주위의 하나 이상의 베일 랩핑 재료 디스펜서의 회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베일 랩핑 재료 디스펜서는 지지 프레임의 제 2 부재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구조물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에 장착될 수 있다. 제 2 부재는 지지 프레임의 뒷면(원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베일 랩핑 동안 베일을 회전하기 위한 및/또는 베일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베일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베일 지지 롤러는 지지부가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이동되는(재위치 되는) 지지 프레임의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지 롤러는 지지 프레임의 제 2 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베일 지지 롤러는 제 1 베일 지지 프레임 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베일 지지 롤러는 제 2 베일 지지 프레임 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베일 지지 롤러는 지지 및/또는 회전 베일일 수 있다. 재료 디스펜서 수단은 함께 이동하고 피봇할 수 있어서, 이에 의해 베일이 베일 랩핑 기기로부터 지면 상으로 릴리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베일 랩핑 기기는 폐쇄 위치 및/또는 개방 위치에 있는 지지 프레임이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베일 수용 위치와 베일 랩핑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질적인 수직 이동을 제공하는 결합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일 수용 위치는 베일러로부터 중력에 의해 베일을 수용하기 위해 낮은 레벨에 있을 수 있다. 베일러와 조합되지 않은 베일 랩핑 기기에 대하여, 지지 프레임의 개방 위치와 조합된 베일 수용 위치는 전에 형성된 베일이 예컨대 지면으로부터 베일을 집어 올림으로써 지지 프레임에 수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의 개방 위치와 조합하여, 베일 수용 위치는 랩핑 공정 후에 랩핑된 베일을 릴리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베일 랩핑 위치는 랩핑 재료 분배 수단이 본질적으로 수직 평면의 본질적으로 수평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더 높은 레벨에 있을 수 있다. 이는 랩핑 기기가 베일러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베일을 중력에 의해 베일 랩핑 기기 상으로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베일 랩핑 기기의 골조는 랩핑 재료 분배 수단의 경로 외측에 제공될 수 있고, 그리하여 분배 아암들이 실질적으로 수직 경로로 이동하기 위한 방해받지 않는 경로를 제공한다.
재료 디스펜서 수단은 슬루 링(slew ring)의 외부 링에 부착되는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아암들에 부착될 수 있다. 너트 및 볼트 타입 연결의 사용이 제공될 수 있다. 원형 판 구조물은 백 랩핑 롤러 및 그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디스펜서 아암들의 회전의 라인을 넘어서 중심 지지 샤프트가 방해받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외경 및 내경 컷 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슬루 링, 슬루 링 구조물, 랩핑 디스펜서 아암 구조물, 중심 지지 샤프트 및 백 랩핑 롤러 및 백 랩핑 롤러 구조물의 이러한 배열은 플라스틱 디스펜서 수단이 섬유 재료의 베일에 플라스틱 재료를 도포하기 위해 대부분 수직 평면을 중심으로 방해받지 않고 그리고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재료 디스펜서 수단은 슬루 링의 외부 링에 부착되는 지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아암들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의 구조물은 베일러의 메인 프레임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의 구조물은 베일러의 메인 프레임 구조물에 떨어질 수 있게 또는 떨어질 수 없게 연결될 수 있다.
베일러의 메인 프레임 구조물 및 베일 랩핑 기기의 구조물은 다른 결합 시스템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일 랩핑 재료 디스펜서(들)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에서 베일 랩핑 기기가 위 그리고 아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업되는 상이한 표현(wording)이 사용되어야 한다.
베일 랩핑 기기를 운반하기 위한 구조물 골조는 베일러의 바퀴들 위에 제공될 수 있다. 구조물 골조는 베일 랩핑 기기로부터 베일러의 전방으로 중량을 전달하기 위해 베일러의 전방 부분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일 랩핑 기기의 지지 프레임 상으로 베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매끄러운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베일러의 챔버 도어에 기능적으로 할당되는 경사 골조가 제공될 수 있다.
베일 랩퍼의 백 롤러는 베일 랩핑 디스펜서들이 부착되고 360도 경로로 회전하는 슬루 링의 중심으로 통하여 보내어지는 베일 랩퍼 메인 골조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적 골조에 운반될 수 있다. 골조는 베일 랩퍼의 전방 롤러를 지지하면서 또한 베일 랩퍼의 메인 외부 골조를 강화할 수 있다.
백 롤러 및 랩퍼 디스펜서들은 베일을 릴리즈 하기 위해 개방하도록 피봇하고 또한 랩퍼가 비사용 모드(지지 프레임의 개방 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베일들이 베일 형성 챔버(베일러)로부터 지면으로 직접 릴리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베일 랩퍼 골조는 베일 랩퍼 외부 골조를 따라 뒷면의 대략 중간의 피봇 지점에서 나누어질 수 있고 이는 베일 랩퍼 백 롤러가 랩핑된 재료의 베일이 지면 상으로 통과하기 위해 위로 피봇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베일 랩퍼는 랩핑 재료 디스펜서(들)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수직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달 메커니즘에 대한 요구가 없어질 수 있다. 베일 랩퍼는 베일링 기기의 챔버(베일러)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위치될 수 있어서 베일러가 2 또는 그 초과의 바퀴들을 갖는 하나의 축에 그의 중량을 지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베일 랩핑 기기(랩퍼)는 매우 낮은 수평 레벨에서 베일을 수용할 수 있다. 랩퍼는 연결 결합부에 의해 베일 수용 위치로 낮춰질 수 있다.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경우에, 베일러의 챔버 도어는 랩퍼의 베일이 그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즉시 폐쇄될 수 있다. 형성된 베일을 수용할 때 베일 랩퍼의 이러한 낮은 수평 레벨 위치의 부가적인 이점은 기계의 무게 중심이 냉혹한 언덕이 많은 지형에 대하여 바람직한 레벨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베일을 수용하기 위한 낮은 수평 레벨의 다른 이점은 베일이 어떠한 높이로부터 낙하하고 그리하여 심지어 오르막 상황들에서도 경로를 따라 중단 없이 포지티브한 전진력에 의해 지지 테이블로 직접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및 랩핑 기기의 전체 길이는 베일러로부터 베일 랩핑 기기로의 베일의 전달을 위한 전달 메커니즘의 부재로 인해 최소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시스템이 베일 랩퍼를 랩핑 위치로 낮추기 위해 구성될 수 있고 이는 회전 아암들의 플라스틱 재료의 수직 회전이다.
랩핑 재료가 섬유 재료의 베일에 가해지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랩핑 기기는 개방 위치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는 백 롤러가 피봇된 개방 위치로 남아있을 수 있고,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경우에, 베일이 방해받지 않고 베일러의 챔버로부터 랩핑 기기(랩퍼)의 제 1 롤러 상으로 그리고 그 후 베일 랩핑 기기(랩퍼)를 통과하여 지면 상으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베일이 재료로 랩핑될 필요가 없을 때, 베일은 지지 프레임 상으로 통과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백 롤러가 피봇된 개방 위치에 남아있을 때, 베일은 유지될 필요 없이 지지 프레임을 통과하고 그 후 지면으로 통과할 수 있다.
랩퍼는 로드 전달을 위한 개방 위치로 남아있을 수 있고 이는 전체 기계 또는 차량 길이를 감소시킨다.
섬유 재료의 베일을 베일 랩퍼로 전달하기 위해 전달 메커니즘을 요구하지 않는 베일 랩퍼로 인해,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베일 랩퍼는 연속(non-stop) 베일러 타입 그리고 또한 종래의 베일러 타입과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일러들은 고정된 챔버 롤러 타입이거나 가변 챔버 벨트 타입일 수 있다.
베일러가 연속적인 성질일 때, 베일러로부터의 베일들의 출력은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고 연속적인 베일러가 이들을 제조하는 시간 미만의 시간에 랩핑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랩퍼는 2개 초과의 복수의 플라스틱 디스펜서들을 수용할 수 있다.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는 예컨대 트랙터인 적절한 차량 또는 부착된 수단을 사용하여 임의의 다른 적절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일러와 조합되지 않은 랩핑 기기(단독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베일 랩퍼를 운반하기 위한 구조물 골조는 베일러의 바퀴들 위에 제공될 수 있고 골조는 베일 랩퍼로부터 베일러의 전방으로 중량을 전달하기 위해 베일러의 전방 부분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경사 골조가 베일을 지지 프레임 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매끄러운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베일러 챔버 도어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프레임을 확장하고 수축하기 위한 절첩(telescope)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절첩 메커니즘에는 절첩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이한 크기의 베일들을 위한 지지 프레임의 조정이 제공될 수 있다. 절첩 이동은 수평적일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어떠한 각도로 절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어느 옵션이라도 랩핑 롤러들 상의 최적의 위치에 베일을 안착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조정을 제공한다. 지지 프레임의 절첩 섹션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는 옵션, 그리고 상이한 크기의 베일들에 대하여 요구되는 조정은 지지 프레임의 더 높은 피봇팅 지점을 사용하고 지지 프레임의 뒷면을 표준 베일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베일이 랩핑 롤러들의 중앙에 안착되도록 랩핑 롤러들 사이의 비워진(clear) 치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회전시켜서 실행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달성될 수 있는 기울어진 각도에서의 수직 축선에 대하여 랩핑하는 랩핑 아암들을 또한 초래할 수 있다. 약 1m 내지 약 1.6m의 베일들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 예상될 수 있다. 랩퍼 기기는 다시 약 2m 초과일 수 있는 더 큰 직경의 베일들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일들은 랩퍼가 아닐 수 있지만 랩핑 기기는 이러한 베일들이 지지 프레임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백 롤러 및 프레임을 이동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는 지지 프레임의 절첩 이동에 의해 또는 경로를 비우기 위해 백 프레임 및 롤러의 회전 직경을 최대로 하기 위한 더 높은 피봇팅 지점에 의해 달성될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그 변형예들 및 조합들에 대한 상기 설명된 피쳐들은 또한 베일러와 조합되지 않는 랩핑 기기에 대하여 예측될 수 있다. 랩핑 기기는 농장 차량, 예컨대 트랙터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단독)랩핑은 농장 차량의 전방 부분 또는 후방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후에, 상이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다른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연속적인 베일러의 메인 골조를 포함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횡단 평면도이고;
도 2는 개방 위치에 있는 베일러의 챔버 도어 및 랩핑 프로세스의 시작을 위해 베일 랩퍼 롤러들 상의 베일 경사를 통과하여 내려가는 베일을 도시하는 도 1의 기기의 횡단 측면도이고;
도 3은 베일이 베일러로부터 통과된 후 그리고 베일러의 챔버 도어가 폐쇄된 후에 베일 랩퍼에 안착되는 베일러 랩퍼 및 연속적인 베일러를 도시하는 도 1 의 기기의 횡단 측면도이고;
도 3a는 조합된 랩퍼가 베일 수용 모드에 있을 때 디스펜서 아암 및 디스펜서 놓임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베일 랩핑 위치로 상승된 베일 랩퍼 및 연속적인 베일러를 도시하는 도 1의 횡단 측면도이고 랩핑이 시작되었다. 랩핑 재료 디스펜서들은 주로 수직 평면에 위치되는 중간 사이클이다;
도 5는 랩핑 디스펜서들이 주로 수평 축선을 따라 위치되는 랩핑 사이클의 완료시의 베일 랩퍼 및 연속적인 베일러를 도시하는 도 1의 횡단 측면도이고; 백 랩핑 롤러는 베일이 베일 랩퍼로부터 지면 상으로 통과되기 위해 개방 위치로 피봇된다;
도 6은 베일 수용 위치가 복귀되어(resume), 베일러의 베일 형성 챔버로부터 다음 베일이 릴리즈되기 위해 준비된 도 1의 기기의 횡단 측면도이고;
도 7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의 기기의 횡단 측면도. 베일 랩퍼의 이러한 개방 위치는 랩핑 재료가 연속적인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되는 섬유 베일 재료에 가해질 필요가 없다면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베일 랩퍼의 뒷면에 위치된 롤러의 단면 정면 입면도. 도 8은 랩핑 롤러, 롤러를 지지하는 골조, 롤러 및 롤러의 골조를 지지하기 위해 슬루 링 메커니즘의 중심을 통하여 돌출하는 중심 지지 샤프트를 도시한다;
도 9는 베일 랩퍼의 뒷면에 위치된 롤러의 단면 평면도. 도 9는 백 랩핑 롤러, 지지 골조, 슬루 링 메커니즘의 중심을 통하여 돌출하는 중심 지지 샤프트를 포함한다;
도 10은 베일 랩퍼의 뒷면에 위치된 롤러의 단면 측면 입면도. 도 10은 백 랩핑 롤러, 지지 골조, 슬루 링 메커니즘의 중심을 통하여 돌출하는 중심 지지 샤프트를 포함한다;
도 11은 베일링 기기(베일러)로부터 베일을 수용하기 위한 낮춰진 위치에 실린더 타입 액추에이터가 있는 결합 시스템의 단면 측면 입면도. 도 11에는 랩핑된 베일을 지면 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백 롤러의 피봇팅을 위한 실린더 타입 액추에이터와 함께 전방 롤러를 위한 골조가 또한 도시된다;
도 12는 플라스틱 타입 재료의 베일의 랩핑을 위한 상승된 위치에 실린더 타입 액추에이터가 있는 결합 시스템의 단면 측면 입면도. 티핑 오프(tipping off) 사이클을 위한 실린더 타입 액추에이터와 함께 전방 롤러를 위한 골조가 또한 도시된다.
도 13은 700으로 나타낸 종래의 베일러 타입의 메인 골조와 조합된 베일 랩핑 기기의 횡단 평면도이고;
도 14는 개방 위치에 있는 종래의 베일러 챔버 도어 및 랩핑 프로세스의 시작을 위해 베일 랩퍼 롤러들 상으로 베일 경사를 아래로 배출하는 베일을 도시하는 도 1의 횡단 측면도;
도 15는 베일러로부터 통과된 후의 베일 랩퍼에 안착된 베일 및 베일을 릴리즈한 후에 폐쇄된 종래의 베일러의 챔버 도어를 도시하는 도 1의 횡단 측면도이고;
도 16은 베일 랩핑 위치로 상승되고 랩핑이 시작되는 종래의 베일러와 베일러 랩퍼를 도시하는 도 1의 횡단 측면도. 랩핑 플라스틱 디스펜서들은 주로 수직 평면에 위치되는 중간 사이클에 있다;
도 17은 도 1의 횡단 측면도이며, 종래의 베일러와 베일러 랩퍼는 랩핑 사이클의 완료를 도시하며 여기서 랩핑 디스펜서들은 주로 수평 축선을 따라 위치되고 뒷면 랩핑 롤러는 베일이 베일 랩퍼로부터 지면 상으로 통과하게 하기 위해 개방 위치로 피봇된다;
도 18은 베일러의 베일 챔버로부터 다음 베일을 위해 준비된 수용 위치에 있는 종래의 베일러와 베일러 랩퍼를 도시하는 도 1의 횡단 측면도이고;
도 19는 개방 위치에 있는 종래의 베일러와 베일러 랩퍼 뒷면을 도시하는 도 1의 횡단 측면도. 이러한 위치는 랩핑 재료가 섬유 베일 재료에 가해질 필요가 없다면 선택될 수 있다;
도 20은 백 롤러 및 골조(221 및 220)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디스펜서 타입 배열을 도시하는 단면 정면 입면도. 이러한 롤러 골조는 중심 지지 샤프트(213)에 부착된다. 롤러(221) 뒤에, 골조(220), 디스펜서 아암(250a 및 250b)들이 너트 및 볼트 타입 연결에 의해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212)에 각각 부착된다;
도 21은 중심 지지 샤프트(213)에 부착되는 골조(220) 및 백 롤러(221)를 도시하는 랩퍼의 테이블의 단면 평면도. 중심 지지 샤프트는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의 중심을 통하여 다시 골조 구조물(214)에 연결된다. 디스펜서 아암(250a 및 250b)들은 슬루 링(212)에 부착된다;
도 22는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212)에 각각 연결되는 디스펜서 아암(250a, 250b 및 250c)들을 포함하는, 3개의 디스펜서 타입 배열을 도시하는 단면 정면 입면도. 다시 백 롤러(221) 및 롤러 골조(220)는 중심 샤프트(213)에 다시 연결된다;
도 23은 3개의 디스펜서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랩퍼 테이블의 단면 평면도. 이러한 레이아웃은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212)에 각각 연결되는 디스펜서 아암(250a, 250b 및 250c)들을 도시한다. 백 롤러(221) 및 롤러 골조(220)는 슬루 링의 중심을 통하여 배향되는 중심 지지 샤프트(213)에 연결된다;
도 24는 3개의 타입의 디스펜서 랩퍼 및 디스펜서 아암 배열의 단면 정면 입면도. 이러한 단면 정면 입면도에는 각각 플라스틱 재료 타입 디스펜서(251a, 251b 및 251c)들과 함께 디스펜서 아암(250a, 250b 및 250c)들이 각각 포함된다. 또한 플라스틱 타입 재료 롤(252a, 252b 및 252c)들이 각각 디스펜서들에 부착된다. 디스펜서들은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212)에 부착된다. 디스펜서 아암(250a 및 250c)들은 피봇 지점(286 및 287)들을 갖는다. 아암들의 피봇팅 작용은 피봇 지점(284 및 285)들에서 디스펜서 아암들에 부착되는 몇몇 종류의 액추에이터(283)에 의해 동력이 공급된다;
도 25는 3개의 타입의 디스펜서 랩퍼 및 디스펜서 아암 배열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고 여기서 디스펜서 아암(250a 및 250c)들은 다시 함께 접혀서 이들이 랩핑 사이클의 끝에서 플라스틱 절단 및 묶음(tying) 메커니즘(410a 및 410b)들의 절단 및 묶기 작업을 위해 대략 180도로 디스펜서 아암(250b)과 정렬된다;
도 26은 3개의 타입의 디스펜서 랩퍼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고 여기서 접음 디스펜서 아암(250a 및 250c)은 베일 랩핑 작업 후에 플라스틱 타입 재료의 절단 및 묶기 작업을 위해 함께 접힌다. 3개의 디스펜서 배열은 지지 테이블 상으로 다음 베일을 수용하기 위해 다시 제 위치에 있는다;
도 27은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개략도이고, 베일 랩핑 기기의 지지 프레임에는 절첩 섹션이 제공되고;
도 28은 도 27의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개략도이고, 절첩 섹션은 확장되거나 연장된 위치에 있고;
도 29는 도 27의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개략도이고, 랩핑 기기의 지지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고;
도 30은 도 27의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개략도이고, 절첩 섹션은 더 팽창되거나 연장된 위치에 있고 지지 프레임의 뒷면 섹션은 상방으로 피봇되고;
도 31은 베일러와 조합되지 않은 랩핑 기기의 평면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측면 입면도이고;
도 33은 다음 스테이지에 있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측면 입면도이고;
도 34는 베일 수용 및 베일 방출 위치에 있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정면 단면도이고;
도 35는 랩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해 롤러들 상으로 베일을 위로 롤링하고 푸싱하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정면 단면도이고; 및
도 36은 상승된 위치에 있고 섬유 재료의 베일에 플라스틱을 도포하기 위해 수평 축선 및 수직 평면을 중심으로 디스펜서들이 회전하는 베일 랩핑 모드에 있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고 여기서 베일 랩핑 기기는 연속적인 베일링 기기에 부착된다.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는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200으로 나타낸다.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200)는 이하에 약술된 것과 같이 복수의 구성 요소들로 만들어지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 시스템(270)에 의해 베일링 기기(100)에 연결된다. 결합 시스템(270)은 그 후 바퀴 아치 구조물(115)을 통하여 베일링 기기의 골조(110)에 연결된다.
베일링 기기 프레임(110)은 트랙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계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고정되는 견인봉(drawbar; 112)을 갖는다. 베일링 기기 프레임(110)은 축 구조물(114)에 놓이고 조합 베일러/베일 랩핑 기기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해 부착되는 바퀴(111)들을 갖는다.
베일링 기기 프레임(110)은 섬유 재료의 베일이 베일러 랩핑 기기 상으로 통과하기 위한 매끄러운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부착되는 경사 구조물(120)을 또한 갖는다.
결합 시스템(270)은 도 11 및 도 12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1은 베일 수용 모드를 위한 낮아진 위치에 있는 결합 시스템(270)을 도시한다. 베일 랩퍼의 프레임(211)은 베일러의 프레임(110) 및 바퀴 아치 구조물(115)에 고정된 길이의 결합 아암(271 및 272)들을 통하여 피봇 지점(275, 280, 276 및 279)들을 통해 연결된다. 랩핑 기기의 상승 및 낮춤을 위한 결합 액추에이터(273)가 피봇 핀 연결(287)에 의해 바퀴 아치 구조물(115)에 연결된다. 지면 상으로의 랩핑된 베일의 통과는 피봇 핀 연결부(277 및 278)들에 의해 베일 랩퍼 구조물에 연결된 액추에이터(274)에 의해 제어된다.
도 12는 랩핑 모드를 위한 상승된 위치에 있는 결합 시스템을 도시한다. 액추에이터(273)는 링크 아암(271 및 272)들이 상승된 연장된 위치로 도시된다.
도 12에 도시된, 이러한 특별한 결합부의 배열은 베일 랩퍼가 주로 수직 축선으로 상승되는 것을 보장하고 그리하여 베일 랩핑 기기는 높은 랩핑 위치와 낮은 베일 수용 위치 모두에서 베일러 기기로부터 유지하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랩핑된 베일의 통과는 액추에이터(274)에 의해 제어되고 본원에 롤러(221 및 230)들 사이에 유지되는 베일을 병진 운동시키는 연장된 위치로 도시된다. 플라스틱 재료로 랩핑된 베일 또는 랩핑되지 않은 베일의 시퀀스가 이후의 스테이지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단면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 내지 도 7은 단면 측면 입면도들을 도시한다.
랩핑 기기의 지지 프레임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베일 랩퍼의 전방으로부터 시작하여, 결합 시스템(270)은 판형 구조물(281)에 연결되고 이는 그 후 메인 전방 프레임(210)에 연결된다. 메인 전방 프레임(210)은 고정되고; 어떠한 축선을 중심으로도 피봇하지 않지만 주로 수직 y 축선 평면에서 상승하고 낮춰진다. 메인 전방 프레임(210)에는 2개의 지지 골조 레그(290)들이 부착되고 이러한 레그 구조물(290)들에는 전방 롤러(230)가 부착된다. 메인 전방 프레임(210)은 예컨대 90도 회전하기 위해 뒷면 구조물(211)을 위한 2개의 피봇 지점들을 또한 포함하고, 이러한 회전 기능은 랩핑된 또는 랩핑되지 않은 섬유 재료의 베일이 지면으로 통과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은 작용기(218)에 의해 달성된다. 메인 전방 프레임(210)은 절단 및 유지 기능부(410)들을 또한 포함하며 이 기능부들은 단면 입면도들의 명쾌함을 허용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절단 및 유지 메커니즘은 각각의 베일 랩핑 사이클의 끝에서 플라스틱을 유지하고 절단한다.
베일(500)이 랩핑을 위해 위치되는 작업 공간은 전방 프레임(210) 및 뒷면 구조물(211)에 의해 둘러싸인다. 둘러싸인 위치는 뒷면 구조물이 상부 위치로 피봇될 때(도 5 참조) 부재한다("취소됨(cancelled)").
레그 구조물(290)들은 결국 베일(500)을 회전시키는 롤러(230)를 회전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구동 수단(261)을 또한 갖는다. 롤러가 회전 모드에 있지 않을 때, 롤러(230)는 구동 수단에 의해 양 회전 방향들로 정지 모드에 있다.
베일 랩퍼의 뒷면 구조물(211)은 피봇 지점(217)들로부터 베일 랩퍼의 뒷면 주위로 접힌다. 실린더 타입 액추에이터(274)를 포함하는 구동 수단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면 상으로의 섬유 재료의 랩핑된 베일의 통과를 위해 피봇 지점(277 및 278)을 통하여 뒷면 구조물(211)의 골조를 상승시키고 낮춘다. 베일이 플라스틱 타입 재료의 뚜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베일 랩퍼의 지지 프레임의 뒷면 구조물(211)은 랩핑되지 않은 베일들을 제조하는 동안 필요한 양의 시간 동안 개방 위치로 남아있는 것이 허용된다.
뒷면 구조물(211)은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이 부착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이 랩핑 사이클의 기간 동안 주로 수직 평면에서 연속적인 360도 회전으로 플라스틱 디스펜서 아암(250)들 주위를 회전하는 필요한 업무를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판형 구조물(214)을 포함한다.
도 13 내지 도 19는 도 1 내지 도 12에서와 동일한 프로세스들을 도시하지만 연속적인 타입의 베일러(100) 대신 종래의 베일러(700)에 의한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2개의 디스펜서 타입 랩핑 시스템들을 도시하며 도 22 내지 도 25는 3개의 디스펜서 타입 랩핑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2개의 디스펜서 타입 랩핑 시스템은 서로 180도로 위치된 2개의 플라스틱 타입 재료 디스펜서들을 갖는다. 디스펜서들은 베일에 가해질 필요가 있는 플라스틱 타입 재료의 층들의 개수에 의존하여 주로 수직 평면에서 x 회 회전한다. 랩핑 시퀀스가 사이클을 완료할 때 플라스틱 타입 재료(252a 및 252b)의 롤들을 갖는 디스펜서는 수평 축선에 약간 떨어져서 놓이게 되고 절단 및 묶음 메커니즘은 다음 사이클을 위한 플라스틱을 묶고 절단하기 위해 연결된다.
도 22 내지 도 26은 3개의 디스펜서 타입 랩핑 시스템을 도시한다.
3개의 디스펜서들은 서로에 대해 120도로 3개의 위치들에 고르게 위치된다. 다시 디스펜서는 주로 수직 평면 주위로 x 회 회전할 것이다. 랩핑 사이클이 완료될 때, 절단 및 묶기 작업들의 용이함을 위해, 디자인은 디스펜서들이 서로 대략 180도에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제 3 디스펜서는 정적인(static) 위치로 남아있게 하면서 2개의 디스펜서들을 함께 그룹화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도 24 및 도 25로부터 볼 수 있다. 도 24는 랩핑 사이클 동안 원 주위에 서로 120도로 위치되는 3개의 아암들을 도시한다. 디스펜서 아암(250b)은 고정된 정적인 위치에 있지만 아암들에 대한 피봇 지점(286 및 287)들을 갖는 디스펜서 아암(250a 및 250c)들은 절단 및 묶음 메커니즘을 위해 플라스틱과 맞물리도록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아암들은 피봇 지점(284 및 285)들에서 디스펜서 아암들에 고정되는 실린더 타입 액추에이터(283)에 의해 랩핑 사이클의 끝에서 함께 이동된다. 실린더 타입 액추에이터는 폐쇄되고 아암들은 피봇 지점(286 및 287)들에서 회전한다. 함께 당겨지는 아암들의 이러한 사이클은 도 25에서 완전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25는 디스펜서 아암(250b)은 정적으로 남아있지만 함께 그룹화되는 디스펜서 아암(250a 및 250c)들을 도시한다. 중요하게는 함께 그룹화된 디스펜서 아암들은 디스펜서 아암(250b)들에 대해 주로 180도의 위치에서 만난다. 이러한 위치로 인해 롤(252a 및 252c)들로부터의 플라스틱 타입 재료는 절단 및 묶음 메커니즘(410a)에 의해 절단되고 묶일 수 있는 반면 롤(252b)로부터의 플라스틱 타입 재료는 절단 및 묶음 메커니즘(410b)에 의해 절단되고 묶일 수 있다. 절단 및 묶음 메커니즘들은 이러한 경우에 수평 축선을 따라 위치되어 도시되고 이는 절단 및 묶음 메커니즘들이 롤(252b)들로부터의 플라스틱과 맞물리고 그 후 롤(252a 및 252c)들을 함께 맞물리게 하기 위해 디스펜서 아암들이 수평 축선에서 어떠한 지점 떨어져서(point off) 회전되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6은 다음 랩핑 사이클이 시작하기 직전의 위치를 도시한다. 플라스틱이 절단 및 묶음 메커니즘(410a 및 410b)에 의해 절단되고 묶일 때 디스펜서 아암들은 다음 베일이 플라스틱 재료로 랩핑되기 위한 시작 지점에서 주로 수평 축선 주위로 다시 회전한다. 다음 사이클이 시작될 때, 실린더 타입 액추에이터(283)는 3개의 아암들이 고르게, 이러한 경우 서로 120도로 간격을 가져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2개의 디스펜서 아암(250a 및 250c)들을 랩핑 위치로 이동시킨다.
디스펜서의 개수는 본원에 이러한 예들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동일한 디자인 원리들을 사용하여 3개로부터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아암들을 함께 그룹화하는 것은 절단 및 묶음 메커니즘만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랩핑 사이클이 완료된 후에 지면으로 전달될 베일을 위한 명확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또한 중요한 것에 유의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어떠한 개수이든 디스펜서들이 주로 수평 축선을 따라 위치되어서 백 롤러의 위로의 피봇이 일어날 때 디스펜서 아암들이 지면 레벨 상으로 통과하는 랩핑된 베일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디스펜서 아암들이 주로 수평 축선을 따라 위치되어 베일 챔버 도어가 경로에 위치된 디스펜서 아암에 의해 개방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플라스틱 디스펜서를 운반하기 위한 구조물이 도 8 내지 도 10 그리고 도 20 및 도 21에 상세하게 다루어진다.
도 8 내지 도 10은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을 갖는 백 롤러 구조물을 주로 도시한다. 플라스틱 디스펜서들은 명쾌함의 목적을 위해 이러한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메인 구성요소들은 백 롤러(221), 백 롤러 골조(220), 백 롤러 골조 지지 샤프트(213) 및 슬루 링 메커니즘(212)이다. 도 10은 디스펜서들이 약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하기 위해 남겨진 공간을 명백하게 도시한다. 단면 측면도로 도시된 공간은 백 롤러 골조(220)와 슬루 링 메커니즘(212)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원에서 디스펜서 수단이 방해받지 않은 수단으로 360도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0 및 도 21은 디스펜서들의 회전이 어떻게 가능하게 되는지를 추가로 도시하기 위해 부가된 디스펜서 수단을 갖는다. 도 21은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슬루 링 메커니즘(212)과 백 롤러 지지 골조(22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디스펜서 아암들 및 백 롤러 골조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슬루 링 메커니즘(212)을 통하여 돌출하는 중심 지지 샤프트(213)를 볼 수 있다. 백 롤러 지지 골조의 치수 폭이 디스펜서 아암들의 반경 치수 내에 있는 것이 설정에서 또한 중요하며, 이는 디스펜서 아암들이 그 경로에서의 방해들이 없이 회전시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플라스틱 또는 유사한 재료의 디스펜서 아암(250)들 및 디스펜서(251)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아암들 및 디스펜서들은 명백함의 목적을 위해 횡단 측면도인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되지 않는다. 베일 랩퍼는 베일러들의 출력의 디자인에 의존하여 플라스틱 디스펜서들의 상이한 개수들을 가질 수 있다.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200)는 2개의 바퀴들의 기기 타입이며 메인 지지 프레임(210 및 211), 2개의 지지 롤러(221 및 230)들을 각각 포함한다. 플라스틱 롤(252)들은 디스펜서(251)들에 부착되고 그 후 디스펜서 아암(250)들에 부착되며 주로 수직 평면에서 360도로 연속적으로 회전한다. 베일은 베일러로부터 지지 테이블 지지 롤러(221 및 230) 상으로 각각 통과된다. 베일의 랩핑 프로세스는 랩핑 디스펜서들이 정확한 플라스틱 겹침들을 보장하기 위해 롤러들의 속도에 비례하는 회전 속도로 회전하면서 베일이 그의 중앙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롤러(221 및 230)들에 의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시작된다. 랩핑 디스펜서들은 주로 수직 평면에서 베일 회전의 축선에 수직인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디스펜서들은 더 효율적인 것으로 발견된다면 수직 평면으로부터 떨어져서 회전하도록 또한 디자인될 수 있으며, 예컨대 베일 랩핑 롤러(230 및 221)들이 수평 축선에 정렬되지 않는다면, 백 롤러(221)는 베일 랩핑 롤러(230)에 대하여 더 높은 레벨에 있을 수 있고 따라서 플라스틱 디스펜서들은 이러한 요건에 적합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베일 랩퍼 롤러(230 및 221)들의 회전 속도는 섬유 재료의 베일에 가해질 때 플라스틱에 대한 정확한 겹침을 보장하기 위해 플라스틱 디스펜서 아암(250)들 및 디스펜서(251)들에 비례하는 속도로 베일이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명백함을 위해, 슬루에 연결되며 결국 플라스틱 디스펜서 아암들을 구동하는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을 위한 구동 수단은 도시되지 않는다. 구동 수단은 슬루 링의 더 큰 외부 링 기어를 구동하는 스프로켓(sprocket)을 갖는 유압식 모터의 성질일 수 있다. 구동 수단은 또한 슬루 링을 작동시키고 결국 플라스틱 재료 디스펜서 아암들을 구동하는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또한 백 롤러(221), 롤러 골조(220) 그리고 판형 슬루 링 구조물(212)에 연결하는 슬루 링 타입 메커니즘의 중심을 통하여 관통하는 구조적 샤프트(213)를 포함하고 판형 구조물은 그 후 메인 백 골조(211)에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백 롤러(221)를 위한 구동 수단(260)은 체인 및 스프로켓이 부착된 유압식 모터 종류일 수 있다. 이러한 특별한 구동 수단은 롤러(221)를 단지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만 동력을 공급할 것이며 대향 회전 방향은 자유롭게 남겨질 것이다. 이는 베일이 랩퍼로부터 통과되어 베일이 롤러(230)로부터 지면 상으로 롤링될 때 롤러가 베일(500)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될 때 필요하며, 롤러(221)의 이러한 자유 이동은 베일에 가해지는 랩핑 재료의 찢어짐 또는 잘라짐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27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고, 베일 랩핑 기기의 지지 프레임에는 절첩 섹션(800)이 제공된다. 대부분의 다른 피쳐들에 대하여,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는 상기 설명된 기기와 유사하다.
도 28은 도 27의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하고, 절첩 섹션(800)은 팽창된 또는 연장된 위치에 있다. 도 29는 도 27의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개략적인 도면을 묘사하며, 랩핑 기기의 지지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도 30은 도 27의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하며, 절첩 섹션(800)은 더 팽창 또는 연장된 위치에 있고 지지 프레임의 메인 백 골조(211)는 상방으로 피봇된다.
도 31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랩핑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 묘사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과는 상이하게, 랩핑 장치는 베일러와 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랩핑 장치는 단독 랩핑 장치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6에서 공통 피쳐들은 도 1 내지 도 30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지칭된다.
도 31은 베일러와 조합되지 않은 랩핑 기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과 비교하면, 랩핑 기기에 대하여 조합된 유닛의 결합 시스템(27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압 실린더들에 의해 동력이 공급되는 피봇 지점(323, 325)들에 의해 위아래로 이동하는 프레임(300)으로 대체된다. 프레임(300)은 또한 동력 유닛으로의 링크를 제공한다. 랩핑 기기는 견인바(307)를 통하여 농장 기계, 예컨대 트랙터에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의 윤곽은 306으로 나타낸다. 랩핑 기기에는 바퀴(330)들이 제공된다.
작업의 원리는 상기 설명된 조합된 베일러 및 랩핑 기기의 랩핑 장치의 작업과 유사하다. 베일(500)이 피봇팅 롤러(221, 230)들에 의해 수집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또한 디스펜서 아암(250a, 250b)들이 중간 위(semi up) 위치(도 32 참조)로 회전하여 베일(500)이 디스펜서(252a, 252b) 아래를 통과하여 레그 구조물(290)들을 갖는 롤러 골조(220)에 제공되는 피봇팅 롤러(221, 230) 사이의 로딩 위치로 가는 것을 허용해야 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단계가 있다.
도 32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프레임(300)의 윤곽은 상기 설명된 조합된 랩퍼 장치(200) 세트의 공통 피쳐들과 함께 도시된다. 랩핑 기기는 베일 수집 모드(프레임(300)이 개방 위치에 있음)에 있으며 이때 디스펜서 아암(250)들은 베일(500)이 아래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위의 위치로 회전되고, 랩핑 기기는 아래로 피봇된 위치에 있어서 피봇팅 롤러(221, 230)들은 피봇팅 롤러(221, 230)들을 함께 폐쇄하기에 앞서(도 36 참조) 프레임(300)을 베일(500)의 둘레 아래로 피봇팅 롤러(221, 230)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충분히 지면 레벨에 가까운 레벨에 있다.
도 33은 다음 스테이지에 있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피봇팅 롤러(221, 230)들은 탠덤(tandem) 식으로 함께 폐쇄된다. 디스펜서 아암(250a, 250b)들은 랩 시작 위치로 낮아진다.
도 34는 베일 수용 및 베일 방출 위치에 있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정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간소함을 위해, 모든 피쳐들이 도시되지는 않았다.
도 35는 폐쇄 위치에 있는 프레임(300)이 랩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해 베일(500)을 롤러들 상으로 위로 롤링하고 푸싱하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정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상승된 위치에 있고 베일 랩핑 모드에 있는 도 31의 랩핑 기기의 전방 단면도를 도시한다. 베일(500)은 들어 올려진다. 디스펜서(252a, 252b)들은 섬유 재료의 베일(500)에 플라스틱을 도포하기 위해 수평 축선 및 수직 평면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단지 예로서 설명된 것이 물론 이해될 것이며 부가들 및/또는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청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본 개시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로서,
    - 섬유 재료로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베일러(baler),
    - 지지 프레임이 제공된 베일 랩핑 기기를 포함하며,
    - 상기 지지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이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된(released) 베일을 수용하고 랩핑 재료로 랩핑하기 위해 베일을 지지하도록 조정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 상기 지지 프레임은,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2개 측들에서 랩핑을 위해 베일이 위치되는 작업 공간을 에워싸고,
    - 상기 지지 프레임의 에워싸는 부분은 수평 평면에서 연장되고,
    -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폐쇄 위치와, 지지 프레임이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된 베일이 지지 프레임 내에 또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지 않으면서 지지 프레임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피봇 가능한,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된 베일은 단지 중력에 의해 베일 랩핑 기기로 이동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제 1 부재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랩핑 기기는 베일 주위에 도포하기 위한 베일 랩핑 재료를 분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베일 랩핑 재료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베일 랩핑 재료 디스펜서는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구조물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에 장착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베일 랩핑 재료 디스펜서는 지지 프레임의 제 2 부재에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구조물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에 장착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베일 랩핑 동안 베일을 지지하고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베일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롤러는 지지 프레임의 제 2 부재에 제공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랩핑 기기는 결합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시스템은 폐쇄 위치에 있는 지지 프레임이 일반적으로 수직 평면에서 베일 수용 위치와 베일 랩핑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질적인 수직 이동을 제공하고, 상기 베일 수용 위치는 베일링 기기로부터 중력에 의해 베일을 수용하기 위해 낮은 레벨에 있고 베일 랩핑 위치는 랩핑 재료 분배 수단이 수직 평면의 수평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더 높은 레벨에 있어서 랩핑 기기가 베일링 기기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중력에 의한 베일 랩핑 기기 상으로의 베일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랩핑 기기의 골조는 재료 분배 수단의 경로의 외측에 제공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재료 디스펜서 수단은 슬루 링(slew ring)의 외부 링에 부착되는 지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아암들에 부착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랩핑 기기의 구조물은 베일러의 메인 프레임 구조물에 연결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의 메인 프레임 구조물 및 베일 랩핑 기기의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다른 결합 시스템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상기 베일 랩핑 기기는 베일 랩핑 재료 디스펜서(들)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에서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랩핑 기기를 운반하기 위한 구조물 골조는 베일러의 바퀴들 위에 제공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랩핑 기기의 지지 프레임 상으로 이동하기 위한 베일용 매끄러운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베일러의 챔버 도어에 기능적으로 할당되는 경사 골조가 제공되는,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를 위한 베일 랩핑 기기용 구조 킷(construction kit)로서,
    지지 프레임을 위한 구조 요소들을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은, 베일러에 장착될 때, 지지 프레임이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된 베일을 수용하고 랩핑 재료로 랩핑하기 위해 베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폐쇄 위치와, 지지 프레임이 베일러로부터 릴리즈된 베일이 지지 프레임 내에 또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지 않으면서 지지 프레임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지지 프레임은, 적어도 폐쇄 위치에서, 작업 공간을 둘러싸고, 상기 작업 공간에서 베일은 지지 프레임 부재들에 의해 적어도 2개 측들에 랩핑하기 위해 위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에워싸는 부분은 수평 평면에서 연장되는,
    베일 랩핑 기기용 구조 킷.
  18. 제 17 항에 따른 베일 랩핑 기기용 구조 킷에 의해 제작되는 베일 랩핑 기기를 운반하는,
    농장 차량.
KR1020157002095A 2012-06-26 2013-06-25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및 베일 랩핑 기기 KR102067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ES2012/0292 2012-06-26
IES20120292 2012-06-26
PCT/EP2013/063269 WO2014001330A2 (en) 2012-06-26 2013-06-25 A combined baler and bale wrapping apparatus and a bale wrapp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254A KR20150027254A (ko) 2015-03-11
KR102067039B1 true KR102067039B1 (ko) 2020-01-16

Family

ID=4869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095A KR102067039B1 (ko) 2012-06-26 2013-06-25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및 베일 랩핑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63730B1 (ko)
KR (1) KR102067039B1 (ko)
CA (1) CA2877432C (ko)
IE (1) IES86366B2 (ko)
LT (1) LT2863730T (ko)
WO (1) WO201400133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90B1 (ko) 2023-03-20 2023-12-06 이승우 전자 제어식 완충 기능이 구비된 베일 랩핑장치
KR102608989B1 (ko) 2023-03-20 2023-12-06 이승우 충격 완화 기능이 구비된 베일 랩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7593A1 (it) 2019-05-30 2020-11-30 Kverneland Group Ravenna Srl Imballatore connettibile ad un trattore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e metodo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IT201900007605A1 (it) 2019-05-30 2020-11-30 Kverneland Group Ravenna Srl Imballatore connettibile ad un trattore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e metodo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8091A1 (de) 1992-03-13 1993-10-07 Helmut Schenke Vorrichtung zum Pressen und Einwickeln von Ballen
JP2003200775A (ja) * 2001-12-28 2003-07-15 Takakita Co Ltd ラッピングマシンにおけるロールベールの積み込み荷降ろ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5741B (it) * 1988-11-08 1990-11-26 Bruno Gemelli Dispositivo per l'avvolgimento di una rotoballa di foraggio mediante nastro in plastica.
EP0865723B1 (de) 1997-03-17 2002-08-21 Herbert Göweil Ballenbilder für landwirtschaftliches Halmgut
DE19919323A1 (de) * 1999-04-28 2000-11-02 Deere & Co Ballenwickelgerät
EP1077024A1 (de) * 1999-08-19 2001-02-21 Kverneland Gottmadingen GmbH & Co. KG Landwirtschaftliche Funktionseinheit
SI1370128T1 (sl) 2001-03-22 2014-06-30 Welmount Limited Kombinirana balirka/ovijalka bal
EP1266563B1 (en) 2001-06-11 2008-01-23 Welger Maschinenfabrik GmbH Roundbaler for agricultural stalk material
EP1386532B1 (de) 2002-08-03 2006-11-15 Welger Maschinenfabrik GmbH Vorrichtung zum Umhüllen von Körpern
EP1393614A3 (de) * 2002-08-28 2009-06-03 Deere & Company Wickelgerät
KR100582102B1 (ko) * 2005-03-02 2006-05-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원형베일래퍼
DE202005008468U1 (de) 2005-05-27 2005-08-04 Maschinenfabrik Bernard Krone Gmbh Vorrichtung zum Pressen und Umhüllen von Rundballen
EP2149293B1 (en) * 2008-07-31 2011-06-29 Deere & Company Baler and wrapper combin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8091A1 (de) 1992-03-13 1993-10-07 Helmut Schenke Vorrichtung zum Pressen und Einwickeln von Ballen
JP2003200775A (ja) * 2001-12-28 2003-07-15 Takakita Co Ltd ラッピングマシンにおけるロールベールの積み込み荷降ろ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90B1 (ko) 2023-03-20 2023-12-06 이승우 전자 제어식 완충 기능이 구비된 베일 랩핑장치
KR102608989B1 (ko) 2023-03-20 2023-12-06 이승우 충격 완화 기능이 구비된 베일 랩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1330A2 (en) 2014-01-03
EP2863730A2 (en) 2015-04-29
WO2014001330A3 (en) 2014-05-08
EP2863730B1 (en) 2018-05-23
IES86366B2 (en) 2014-03-26
KR20150027254A (ko) 2015-03-11
CA2877432C (en) 2019-03-12
LT2863730T (lt) 2018-08-10
IES20130205A2 (en) 2014-01-01
CA2877432A1 (en)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039B1 (ko) 조합된 베일러와 베일 랩핑 기기 및 베일 랩핑 기기
EP0252485B1 (en) Machine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of crop
EP2348809B1 (en) A bale-wrapping machine
TR201807904T4 (tr) Bir balya sarıcı ve bir birleşik balya makinesi/balya sarıcı .
PL218337B1 (pl) Połączona prasa do belowania / zawijarka bel
US20050241499A1 (en) Round baler
US10827684B2 (en) Mobile agricultural wrapping system and method
US6463714B2 (en) Integrated baler and bale wrapping device
EP3143867B1 (en) Bale wrapper
US20150195994A1 (en) Agricultural Baler and Method
EP2160939B1 (en) Bale wrapper
KR20230014852A (ko)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FR2722944A1 (fr) Dispositif de collecte, de transport de balles et d'alimentation d'une enrubanneuse
JPH0484828A (ja) ベーリングラッピング連続化方法及び装置
WO1990014756A1 (en) Bale-wrapper apparatus
IE20130205U1 (en) A combined baler and bale wrapping apparatus and a bale wrapping apparatus
IES86366Y1 (en) A combined baler and bale wrapping apparatus and a bale wrapping apparatus
JP3278002B2 (ja) ラッピングマシンにおけるロールベールの積込装置
IT9048446A1 (it) Macchina per la raccolta e l'imballaggio del foraggio, o simili, con dispositivo fasciatore incorporato.
CA2936417A1 (en) Bale wrapping device, harvesting appliance and method
EP0728719B1 (fr) Machine à retourner les andains, notamment de fumier
CN110402699B (zh) 农业圆捆机及操作该农业圆捆机的方法
EP1086619A1 (en) A bale wrapping machine
PL71806Y1 (pl) Automatyczna owijarka do b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