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943B1 - 연소기의 연료 노즐 - Google Patents

연소기의 연료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943B1
KR102066943B1 KR1020140175877A KR20140175877A KR102066943B1 KR 102066943 B1 KR102066943 B1 KR 102066943B1 KR 1020140175877 A KR1020140175877 A KR 1020140175877A KR 20140175877 A KR20140175877 A KR 20140175877A KR 102066943 B1 KR102066943 B1 KR 102066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nozzle body
nozzle
compressed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805A (ko
Inventor
조승호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9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Abstract

가스터빈 연소기의 바디부과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공기통로에 배치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에 있어서, 연소기의 연료 노즐은, 연료가 공급되는 공급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바디와, 공급통로와 연결된 분사공을 구비하며 노즐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분사공을 통해 연료를 분사하는 힘에 의해 노즐 바디를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키는 연료공급봉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연소기의 연료 노즐{Fuel nozzle for combustor}
실시예들은 연소기의 연료 노즐에 관한 것이다.
가스터빈은 고온고압의 연소가스로 터빈을 가동시키는 열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압축기, 연소기, 터빈으로 구성된다. 압축기를 이용해서 공기를 압축시킨 후 연소기에서 연료를 분산하여 연소시키고,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가 터빈에서 팽창하면서 동력을 생산한다.
최근 들어, 국제적으로 가스터빈 연소기의 배기가스 배출 규제 강화로 질소산화물(NOx) 또는 일산화탄소(CO) 등의 배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저공해 연소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가스터빈 연소기의 배기가스는 가스터빈 연소기의 주 연소 영역 (Primary combustion zone), 또는 예 혼합 영역(Preliminary zone)의 연소 화염 온도(Combustion flame temperature)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주 연소 영역의 연소 화염 온도를 높여서 설계하면 불완전 연소가 줄어들어 일산화탄소의 배출이 감소하나, 질소산화물의 배출은 더 증가한다. 반대로, 연소 화염 온도를 낮추면 불완전 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의 배출이 증가하나, 질소산화물의 배출은 감소한다.
이러한 주 연소 영역에서의 연소 화염 온도는 가스터빈 연소기의 운전조건에 따라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연소 화염 온도는 일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화(trade-off)되도록 정해지며, 이러한 최적화는 주로 연소기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가스터빈 연소기의 일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개발은 꾸준히 이루어져 왔는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10193호에는 양호한 연소 배출 성능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터빈 연소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10193호 (2006.01.12.)
실시예들은 압축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료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연소기의 연료 노즐은, 가스터빈 연소기의 바디부과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공기통로에 배치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에 있어서, 연료가 공급되는 공급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바디와, 공급통로와 연결된 분사공을 구비하며 노즐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분사공을 통해 연료를 분사하는 힘에 의해 노즐 바디를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키는 연료공급봉을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과 노즐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하우징과 노즐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제1 돌기를 수용하여 노즐 바디의 하우징에 대한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제1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 바디의 단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노즐 바디와 함께 회전하여 압축공기통로로부터 바디부 측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와 연료를 혼합하는 혼합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와 연결되는 도입통로를 구비하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노즐 바디는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노즐 바디의 공급통로는 가이드부의 도입통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와 노즐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돌기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와 노즐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제2 돌기를 수용하여 노즐 바디의 가이드부에 대한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제2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 바디의 단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노즐 바디와 함께 회전하여 압축공기통로로부터 바디부 측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와 연료를 혼합하는 혼합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연소기의 연료 노즐에 의하면 압축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료 노즐을 포함하는 연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연소화염온도와, 압축공기와 연료의 혼합 특성에 따른 질소산화물 및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료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연료 노즐의 작동을 상측에서 묘사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연료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연료 노즐을 포함하는 연소기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 중에 사용되는 '및/또는'의 표현은 관련 요소들의 하나 또는 요소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료 노즐을 포함하는 연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소기(10)는 내부에 연소실(110)이 형성되는 바디부(100)와, 바디부(100) 및 예혼합부(30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바디부(100)와 예혼합부(30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200) 및 바디부(100)와 결합되어 압축공기(A)와 연료(F)를 연소실(110)로 인도하는 예혼합부(300)로 구성된다.
연소기(10)는 압축기(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A)에 연료(F)를 혼합시켜, 압축공기(A)와 연료(F)가 혼합된 혼합가스(M)를 연소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연소가스(G)를 터빈(미도시)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가스터빈(미도시)의 하나의 구성요소이다.
바디부(100)는 연소가 일어나는 연소실(110)을 구비한다. 연소실(110)은 전술한 혼합가스(M)의 연소가 일어나는 영역이다. 연소실(110)은 크게 주연소영역(primary zone, PZ)과, 주연소영역(PZ)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는 희석영역(dilution zone, DZ)으로 구분된다.
주연소영역(PZ)에서는 예혼합부(300)로부터 유입되는 혼합가스(M)에 점화플러그(400)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방전시킴으로써 혼합가스(M)의 연소가 일어난다. 이렇게 연소된 혼합가스(M)는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G)로 변형되어, 바디부(100)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출구(100e) 측으로 이동하여 터빈으로 공급된다.
상세히, 압축기에서 연소기(10)로 유입되는 압축공기(A) 중 60% 정도는 예혼합부(300)를 통해 연소실(110)의 주연소영역(PZ)으로 유입되며, 나머지 40% 가량은 후술할 연료 노즐(5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바디부(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노즐 플레이트(530)를 거쳐 희석영역(DZ)으로 유입된다.
이때, 희석영역(DZ) 측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A)는 연소 화염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또한 터빈에서 연소기(10) 방향으로 연소된 고압의 연소가스(G)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국제적으로 연소기(10)의 배기가스 배출 규제 강화로 질소산화물 및/또는 일산화탄소 등의 배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저공해 연소기(10)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질소산화물 및/또는 일산화탄소의 배출은 주연소영역(PZ)에서의 연소화염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주연소영역(PZ)에서의 연소화염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일산화탄소의 배출은 감소하나 질소산화물의 배출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주연소영역(PZ)에서의 연소화염온도가 낮을 경우 질소산화물의 배출은 감소하나, 혼합가스(M)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일산화탄소의 배출은 증가하게 된다.
연소화염온도는 주연소영역(PZ) 및 희석영역(DZ)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A)와, 압축공기(A)와 혼합되어 혼합가스(M)를 형성하기 위한 연료(F) 간의 혼합 비율 및 혼합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압축공기(A)와 연료(F)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더라도, 그 혼합 특성이 불량하면 다량의 질소산화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도 2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연소화염온도와, 압축공기 및 연료의 혼합 특성에 따른 질소산화물 및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소화염온도가 1700K에서 2000K로 높아질수록, 질소산화물의 배출량(N1, N2, N3)은 증가하나 한편 일산화탄소의 배출량(C)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CFT는 질소산화물의 배출량(N1, N2, N3)과 일산화탄소의 배출량(C)을 모두 고려한 최적화된 연소화염온도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N1, N2, N3는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참조부호 N1은 혼합특성이 불량한 경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N2는 혼합특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N3는 혼합특성이 완벽할 경우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을 나타낸다.
즉,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질산화탄소의 배출량(N1, N2, N3)은 압축공기(A)와 연료(F)의 혼합특성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일정 연소화염온도를 갖는 가스터빈 시스템에서, 압축공기(A)와 연료(F)의 혼합특성을 개선한다면 일산화탄소 배출량(C)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질소산화물 배출량(N1, N2, N3)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압축공기(A)와 연료(F)의 혼합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연소기(10)의 외벽을 이루는 구성요소로, 바디부(100)와 예혼합부(30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바디부(100)와 예혼합부(30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바디부(100)와 하우징(200), 그리고 예혼합부(300)와 하우징(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압축공기통로(210)로서, 압축기로부터 연소기(10) 측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A)는 바디부(100)의 출구(100e) 측의 압축공기통로(210)로 유입되어, 연소가스(G)의 유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여 예혼합부(300)로 공급된다. 이때, 하우징(200)과 예혼합부(300)는 서로 커버부(230)를 통해 연결되며, 볼트(230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혼합부(300)는 압축기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A)와 연료통(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연료(F)를 혼합하여 연소기(10) 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로, 예혼합부(300)의 본체를 이루는 지지통(310)의 하류측은 바디부(100)와 연결되고, 상류측은 커버부(230)를 통해 하우징(200)과 결합된다.
지지통(310)은 압축공기통로(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공기도입실(320)을 구비하며, 공기도입실(320)에는 압축공기통로(210)를 거친 압축공기(A)를 예혼합부(300)로 유입시키는 공기도입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통(310)의 중앙에는 파일롯 버너(340)가 설치된다. 연료(F)는 커버부(23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파일롯 연료도입구(345)로 유입되어, 파일롯 버너(340)에서 분사되어 연소실(110)의 주연소영역(PZ)으로 공급된다.
한편, 지지통(310)의 지름 방향으로 파일롯 버너(340)의 외측에는 압축공기(A)와 연료(F)를 혼합한 혼합가스(M)를 연소실(110)로 분사하는 메인 버너(350)가 배치된다.
메인 버너(350)의 상류측은 커버부(230)를 관통하여 메인 연료도입구(355)를 통해 연료(F)를 유입시키는 메인 연료노즐(356)과 연결된다. 메인 연료노즐(356)에는 메인 연료분사구멍(357)이 형성되며, 메인 연료도입구(355)로 유입된 연료(F)는 이 메인 연료분사구멍(357)을 통해 예혼합 통로(370)의 상류측으로 분사된다.
또한, 예혼합 통로(370)의 상류측은 전술한 공기도입실(320)과 연결되며, 공기도입실(320)을 거친 압축공기(A)는 공기취입구(370a)를 통해 예혼합 통로(370)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메인 연료분사구멍(357)을 통해 분사된 연료(F)와, 공기취입구(370a)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A)는 예혼합 통로(370) 내에서 서로 혼합된다.
예혼합 통로(370) 측의 공기취입구(370a)에는 스월러(3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스월러(260)를 통과한 압축공기(A)에는 회전력이 부가되어 메인 연료분사구멍(357)을 통해 분사된 연료(F)와의 혼합이 촉진될 수 있다. 이렇게 혼합된 압축공기(A)와 연료(F)는 혼합가스(M)가 되어 예혼합 분출구(370b)를 통해 연소실(110)의 주연소영역(PZ)에 분사될 수 있다.
점화플러그(400)는 바디부(100)와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연소실(110)의 주연소영역(PZ)에 배치된다. 점화플러그(400)는 파일롯 버너(340)와 메인 버너(350)에서 연소실(110)로 분사되는 혼합가스(M)에 스파크를 발생시켜 혼합가스(M)를 연소시킨다.
연료 노즐(500)은 주연소영역(PZ)보다 하류 측의 희석영역(DZ) 측에서 하우징(2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압축공기(A)와 연료(F)의 혼합가스(M)를 희석영역(DZ)에 공급할 수 있다. 연료 노즐(500)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연료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연료 노즐의 작동을 상측에서 묘사한 상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료 노즐(500)은 연료(F)가 공급되는 공급통로(511)를 구비하며 하우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바디(510)와, 노즐 바디(5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료공급봉(520)과, 노즐 바디(5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노즐 바디(510) 및 연료공급봉(52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바디부(10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압축공기(A)와 연료(F)를 연소실(110)로 인도하는 노즐 플레이트(530)를 구비한다.
노즐 바디(510)는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5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돌기(512)는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제1 홈(220)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512)는 제1 홈(2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돌기(512)와 제1 홈(220)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베어링은 제1 돌기(512)의 제1 홈(220)에 대한 회전 운동으로 인해 제1 홈(220)이나 제1 돌기(51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예컨데 볼 이나 롤러와 같이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축의 고정 및 회전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베어링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 바디(510)는 공급통로(511)와 연결된 분사공(521)을 구비하며, 노즐 바디(5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분사공(521)을 통해 연료(F)를 분사하는 힘에 의해 노즐 바디(510)를 하우징(200)에 대해 회전시키는 연료공급봉(5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은 하나의 연료공급봉(520) 마다 두 개의 분사공(521)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즐 바디(510)의 회전을 위해 필요한 분사력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연료 노즐(500)은 노즐 바디(510)의 단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노즐 바디(510)와 함께 회전하여 압축공기통로(210)로부터 바디부(100) 측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A)와 공급통로(511)로부터 유입되는 연료(F)의 혼합을 촉진하는 혼합봉(5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노즐 바디(510)를 중심으로 노즐 바디(5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연료공급봉(520)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료공급봉(520)은 노즐 바디(510)를 중심으로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다.
각 연료공급봉(520)은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사공(521)을 통해 반시계 방향 및 시계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연료(F)를 분사할 수 있다. 도 5는 연료공급봉(520)이 연료(F)를 반시계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각 분사공(521)이 연료공급봉(520)의 측면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우에는 분사공(521)에서 연료(F)를 분사하는 힘에 대한 반작용으로 연료공급봉(520)은 연료(F)가 분사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100)의 출구(100e) 측의 압축공기통로(210)로 유입된 압축공기(A)는, 압축공기통로(210)를 따라 유동하여 연료 노즐(500)을 통과한다. 이때, 연료 노즐(500)을 통과하는 압축공기(A) 중 일부는 노즐 바디(510)와 노즐 플레이트(530)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분기되며, 분기된 압축공기(A)는 연료공급봉(520)의 분사공(521)에서 분사되는 연료(F)와 혼합되어 혼합가스(M)가 된다. 다음으로, 혼합가스(M)는 혼합봉(540)에 의해 추가적으로 혼합이 촉진되어 연소실(110)의 희석영역(DZ)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공급봉(520)이 연료(F)를 분사하는 힘에 대한 반작용으로 노즐 바디(510)의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압축공기(A)에 연료(F)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압축공기(A)와 연료(F)를 혼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형성된 혼합가스(M)에 혼합봉(540)을 통해 회전력을 더 부가하면, 혼합가스(M)의 혼합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소기(10)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연료 노즐(6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료 노즐(600)은 연료가 공급되는 공급통로(611)를 구비하며, 하우징(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바디(610)와, 공급통로(611)와 연결된 분사공(621)을 구비하며, 노즐 바디(6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분사공(621)을 통해 연료(F)를 분사하는 힘에 의해 노즐 바디(610)를 하우징(200)에 대해 회전시키는 연료공급봉(620)과, 노즐 바디(5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노즐 바디(510) 및 연료공급봉(52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바디부(10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압축공기(A)와 연료(F)를 연소실(110)로 인도하는 노즐 플레이트(530)를 구비한다.
또한, 연료 노즐(600)은 외부와 연결되는 도입통로(651)를 구비하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가이드부(65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노즐 바디(610)는 가이드부(6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노즐 바디(610)는 노즐 바디(6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기(6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돌기(612)를 수용하기 위해 가이드부(650)에는 제2 홈(652)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대로, 제2 돌기(612)는 제2 홈(652)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 돌기(612)와 제2 홈(652)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베어링은 제2 돌기(612)의 제2 홈(652)에 대한 회전 운동으로 인해 제2 홈(652)이나 제2 돌기(61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예컨데 볼 이나 롤러와 같이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축의 고정 및 회전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베어링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노즐 바디(610)의 공급통로(611)는 가이드부(650)의 도입통로(651)와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연료(F)는 도입통로(651)와 공급통로(611)를 차례로 거쳐 연료공급봉(620)으로 인도된다.
한편, 연료 노즐(600)은 노즐 바디(610)와 함께 회전하여 압축공기통로(210)로부터 바디부(100) 측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A)와 도입통로(651) 및 공급통로(611)를 거쳐 노즐 바디(610)로 유입되는 연료(F)를 혼합하는 혼합봉(6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공급봉(620) 및 혼합봉(640)에 대한 설명은 상세히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연소기 357: 메인 연료분사구멍
100: 바디부 360: 스월러
100e: 출구 370: 예혼합 통로
110: 연소실 370a: 공기취입구
200: 하우징 370b: 예혼합 분출구
210: 압축공기통로 400: 점화 플러그
220: 제1 홈 500, 600: 연료 노즐
230: 커버부 510, 610: 노즐 바디
230a: 볼트 511, 611: 공급통로
300: 예혼합부 512: 제1 돌기
310: 지지통 520, 620: 연료공급봉
320: 공기도입실 521, 621: 분사공
321: 공기도입구멍 530, 630: 노즐 플레이트
340: 파일롯 버너 540, 640: 혼합봉
345: 파일롯 연료도입구 612: 제2 돌기
350: 메인 버너 650: 가이드부
355: 메인 연료도입구 651: 도입통로
356: 메인 연료노즐 652: 제2 홈

Claims (6)

  1. 가스터빈 연소기의 바디부과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공기통로에 배치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에 있어서,
    연료가 공급되는 공급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바디; 및
    상기 공급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공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사공을 통해 상기 연료를 분사하는 힘에 의해 상기 노즐 바디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키는 연료공급봉을 포함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노즐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노즐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노즐 바디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제1 홈이 형성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의 단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 바디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압축공기통로로부터 상기 바디부 측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연료를 혼합하는 혼합봉을 더 구비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
  4. 가스터빈 연소기의 바디부과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공기통로에 배치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에 있어서,
    연료가 공급되는 도입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상기 도입통로와 연결된 공급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바디; 및
    상기 공급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공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사공을 통해 상기 연료를 분사하는 힘에 의해 상기 노즐 바디를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시키는 연료공급봉을 포함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노즐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노즐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노즐 바디의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의 단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 바디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압축공기통로로부터 상기 바디부 측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연료를 혼합하는 혼합봉을 더 구비하는, 연소기의 연료 노즐.
KR1020140175877A 2014-12-09 2014-12-09 연소기의 연료 노즐 KR10206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77A KR102066943B1 (ko) 2014-12-09 2014-12-09 연소기의 연료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77A KR102066943B1 (ko) 2014-12-09 2014-12-09 연소기의 연료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805A KR20160069805A (ko) 2016-06-17
KR102066943B1 true KR102066943B1 (ko) 2020-01-16

Family

ID=5634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877A KR102066943B1 (ko) 2014-12-09 2014-12-09 연소기의 연료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801B1 (ko) 2017-04-18 2018-06-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노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102057287B1 (ko) 2018-03-28 2019-12-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이중관 라이너 내부 유동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102051988B1 (ko) 2018-03-28 2019-12-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이중관 라이너 내부 유동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102062527B1 (ko) 2018-03-28 2020-01-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분사페그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102593508B1 (ko) * 2019-02-22 2023-10-2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가스 터빈 엔진의 연료 노즐 구조체
KR102152420B1 (ko) * 2019-08-23 2020-09-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기,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및 연소기의 구동 방법
KR102088862B1 (ko) 2019-12-11 2020-03-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이중관 라이너 내부 유동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6668A (ja) * 2009-03-13 2010-09-30 Kawasak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0035B2 (ja) 2004-06-25 2011-04-13 独立行政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20120100676A (ko) * 2011-07-29 2012-09-12 김기태 가스터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6668A (ja) * 2009-03-13 2010-09-30 Kawasak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805A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943B1 (ko) 연소기의 연료 노즐
US7165405B2 (en) Fully premixed secondary fuel nozzle with dual fuel capability
KR101324142B1 (ko) 다중 스테이지 축방향 연소 시스템
EP2236938B1 (en) Gas turbine combustor
JP5393745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6935116B2 (en) Flamesheet combustor
US20150275755A1 (en) Multi-fuel-capable gas turbine combustor
US7677025B2 (en) Self-purging pilot fuel injection system
US7874157B2 (en) Coanda pilot nozzle for low emission combustors
US20080264033A1 (en) METHODS AND SYSTEMS TO FACILITATE REDUCING NOx EMISSIONS IN COMBUSTION SYSTEMS
US20140090396A1 (en) Combustor with radially staged premixed pilot for improved
JP4430074B2 (ja) バーナおよびガスタービンの運転方法
US20160186663A1 (en) Pilot nozzle in gas turbine combustor
JP5172468B2 (ja) 燃焼装置および燃焼装置の制御方法
EP2873922B1 (en) Gas turbine combustor
KR20130066691A (ko) 노즐 및 가스 터빈 연소기, 가스 터빈
JP2010025538A (ja) 軸方向に多段化された低公害燃焼器用コアンダ噴射装置
JP2007139411A (ja) 低エミッション燃焼器及びそれを作動させる方法
JPWO2009022449A1 (ja) 燃焼装置
JP2005106305A (ja) 燃料燃焼用ノズルおよ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料供給方法
US11692710B2 (en) Burner, combustor including same, and gas turbine
JP7205300B2 (ja) マルチノズルバーナ及び燃焼器
KR101041466B1 (ko) 다수 연료혼합장치가 구비된 가스터빈 저공해 연소기
JP5460846B2 (ja) 燃焼装置および燃焼装置の制御方法
JP5514174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