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673B1 -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673B1
KR102066673B1 KR1020170125256A KR20170125256A KR102066673B1 KR 102066673 B1 KR102066673 B1 KR 102066673B1 KR 1020170125256 A KR1020170125256 A KR 1020170125256A KR 20170125256 A KR20170125256 A KR 20170125256A KR 102066673 B1 KR102066673 B1 KR 10206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se part
wall
window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250A (ko
Inventor
서경민
Original Assignee
서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민 filed Critical 서경민
Priority to KR102017012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6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6Hoods; Weather-guards, e.g.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003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04Car bodies; Fai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2001/001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 B60D2001/003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for bicycles or motor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에 견인되는 캠핑트레일러가 이동할 때 캠핑트레일러의 내부공간을 축소시키고 캠핑할 때는 확장시킬 수 있는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는 일측에 개방된 제 1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1수용공간이 형성된 고정케이스부와, 상기 제 1개구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 2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된 이동케이스부와, 상기 고정케이스부가 상기 이동케이스부의 바깥 또는 안으로 포개져 있다가 상기 고정케이스부로부터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이동케이스부를 상기 고정케이스부에 결합시키는 폴딩결합부와, 상기 고정케이스부와 자전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고정케이스부에 설치되는 바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는 캠핑트레일러의 내부공간을 축소 및 확장시킬 수 있어 이동할 때 캠핑트레일러의 내부공간을 축소시키고 캠핑할 때 캠핑트레일러의 내부공간을 확장시켜 여행자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Folding camping trailer that is towed by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에 견인되는 캠핑트레일러가 이동할 때 캠핑트레일러의 내부공간을 축소시키고 캠핑할 때는 확장시킬 수 있는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이란 산이나 들 또는 바닷가 따위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하는 것으로, 차량에 메달아 이동하는 캠핑트레일러 또는 차량구조 자체가 캠핑에 최적화된 캠핑카를 이용하고 있으나, 비용부담으로 인해 대부분의 캠핑족들은 자가차량에 텐트를 싣고 이동하여 캠핑장소에 설치후 캠핑을 즐기는 실정이다.
그리고 근자에는 자전거도로의 확대로 자전거 여행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전거 캠핑인구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바, 자전거 캠핑은 자전거 적재함에 텐트를 싣고 이동하여 캠핑장소에 설치후 캠핑을 즐기고 있지만, 자전거 잭재함의 특성상 많은 양의 짐을 싣기 어렵고 또 과중한 무게로 인해 자전거 조작이 어려워 넘어지거나 주변 장애물과 부딪혀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1640호에 게시된 자전거 캠핑용 트레일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격을 형성하는 트레일러프레임과 상기 트레일러프레임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메인바퀴, 상기 메인바퀴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지지바퀴,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자전거의 뒷 바퀴축에 장착되는 자전거장착부, 트레일러프레임을 감싸게 구비되는 방풍커버로 구성되어 배낭 등과 같은 휴대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캠핑트레일러는 휴대품을 보관하는 용도 이외에 여행자가 휴식을 취하는 데 적절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1640호 : 자전거 캠핑용 트레일러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전거에 견인되는 캠핑트레일러가 이동할 때 캠핑트레일러의 내부공간을 축소시키고 캠핑할 때는 확장시킬 수 있는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는 일측에 개방된 제 1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1수용공간이 형성된 고정케이스부와, 상기 제 1개구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 2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된 이동케이스부와, 상기 고정케이스부가 상기 이동케이스부의 바깥 또는 안으로 포개져 있다가 상기 고정케이스부로부터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이동케이스부를 상기 고정케이스부에 결합시키는 폴딩결합부와, 상기 고정케이스부와 자전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고정케이스부에 설치되는 바퀴부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케이스부는 상기 연결수단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바퀴부가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개구 및 상기 제 1수용공간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된 출입문과, 상기 제 1하우징에 형성된 제 1창문을 구비한다.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바닥판과, 상기 제 1바닥판의 좌우양측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부채꼴로 형성된제 1좌측벽 및 제 1우측벽과, 상기 제 1좌측벽과 상기 제 1우측벽의 호형 부위와 결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 1곡벽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케이스부는 상기 제 2개구 및 상기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에 형성된 제 2창문을 구비한다.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하우징으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제 1바닥판과 수평하게 확장되는 제 2바닥판과, 상기 제 2바닥판의 좌우양측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부채꼴로 형성된 제 2좌측벽 및 제 2우측벽과, 상기 제 2좌측벽과 상기 제 2우측벽의 호형 부위와 결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 2곡벽을 구비한다.
상기 바퀴부는 상기 제 1하우징의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휠과, 상기 제 1하우징에 상기 휠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샤프트와, 전기에너지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2바닥판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하우징에서 상기 제 2하우징이 펼쳐질 때 지면에 맞닿아 상기 제 2하우징을 지탱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이 조절하는 받침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는 캠핑트레일러의 내부공간을 축소 및 확장시킬 수 있어 이동할 때 캠핑트레일러의 내부공간을 축소시키고 캠핑할 때 캠핑트레일러의 내부공간을 확장시켜 여행자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가 자전거에 견인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의 고정케이스부와 이동케이스부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를 뒤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1에 나타난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의 고정케이스부에서 이동케이스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의 창문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는 일측에 개방된 제 1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1수용공간(12a)이 형성된 고정케이스부(10)와, 제 1개구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 2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2수용공간(31a)이 형성된 이동케이스부(30)와, 고정케이스부(10)가 이동케이스부(30)의 바깥 또는 안으로 포개져 있다가 고정케이스부(10)로부터 펼쳐질 수 있도록 이동케이스부(30)를 고정케이스부(10)에 결합시키는 폴딩결합부(50)와, 고정케이스부(10)와 자전거(1)를 연결하는 연결수단(70)과, 고정케이스부(10)에 설치되는 바퀴부(80)를 구비한다.
고정케이스부(10)는 연결수단(70) 일측에 연결되고 바퀴부(80)가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과, 베이스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 1개구 및 제 1수용공간(12a)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제 1하우징(12)과, 제 1하우징(12)의 일 측면에 형성된 출입문(18)과, 제 1하우징(12)에 형성된 제 1창문(19)을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1)은 사각형상으로 후방에 바퀴부(80)와 결합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편(11a)이 구비된다. 베이스프레임(11) 전방 하단에는 연결수단(70) 일측과 결합되도록 볼트(11c)가 관통할 수 있는 결합공이 구비된다. 베이스프레임(11) 형상은 사각형상을 이루며 사각틀 안쪽으로 복수 개의 지지바가 병렬로 이격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자전거에 견인된다는 점에서 베이스프레임(11)은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하우징(12)은 베이스프레임(11)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바닥판(17)과, 제 1바닥판(17)의 좌우양측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부채꼴로 형성된 제 1좌측벽(15) 및 제 1우측벽(16)과, 제 1좌측벽(15)과 제 1우측벽(16)의 호형 부위와 결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 1곡벽(14)을 구비한다.
또한, 자전거에 견인된다는 점에서 제 1하우징(12)의 재질은 중량이 가벼워야하고 하중에 의해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강도 경량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바닥판(17)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제 1바닥판(17)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바닥판(17)은 베이스프레임(11) 상면에 리벳결합된다. 리벳은 고정홀에 삽입될 때 리벳의 상단이 제 1바닥판의 상면과 일치된다.
제 1좌측벽(15)과 제 1우측벽(16)은 밑변 길이와 높이가 같으며 중심각이 90도인 부채꼴로 형성된다. 제 1좌측벽(15)과 제 2우측벽(16)은 후술되는 폴딩결합부(50)에 의해 이동케이스부(30)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하측에 제 1힌지공(51)이 형성된다.
제 1좌측벽(15)은 제 1개구와 인접한 위치에 사각형상의 출입구(18a)가 형성된다. 제 1좌측벽(15)에 출입문(18) 우측단이 경첩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출입문(18)은 손잡이(18b)를 구비한다.
제 1곡벽(14)에는 사각형상의 제 1창구(19a)가 형성된다. 제 1창문(19)은 제 1곡벽(14)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된 경첩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제 1창구(19a)에 삽입된다. 제 1창문(19)은 제 1곡벽(14)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휘어진다. 제 1창문(19)에는 손으로 돌려 제 1창문(19)을 닫을 수 있는 원형레버(19b)가 형성된다. 제 1창문(19)이 닫힐 때 제 1수용공간(12a)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제 1창구(19a) 내측 하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턱이 형성된다. 제 1창문(19)은 안에서 밖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야외에서 캠핑할 때 벌레가 제 1수용공간(12a) 안으로 출입하지 못하도록 제 1창문(19)은 제 1창문(19)의 가장자리와 제 1창구(19a)의 가장자리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방충망(19c)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케이스부(30)는 제 2개구 및 제 2수용공간(31a)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제 2하우징(31)과, 제 2하우징(31)에 형성된 제 2창문(38)을 구비한다.
제 2하우징(31)은 제 1하우징(12)으로부터 펼쳐질 때 제 1바닥판(17)과 수평하게 확장되는 제 2바닥판(35)과, 제 2바닥판(35)의 좌우양측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부채꼴로 형성된 제 2좌측벽(33) 및 제 2우측벽(34)과, 제 2좌측벽(33)과 제 2우측벽(34)의 호형 부위와 결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 2곡벽(32)을 구비한다.
또한, 자전거에 견인된다는 점에서 제 2하우징(31)의 재질은 중량이 가벼워야 하고 하중에 의해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 1하우징(12)과 같은 재질의 고강도 경량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바닥판(35)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제 2바닥판(35)의 너비는 제 1바닥판(17)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 2바닥판(35)의 세로길이는 후술되는 제 2좌측벽(33)과 제 2우측벽(34)의 밑변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 2좌측벽(33)과 제 2우측벽(34)은 밑변 길이와 높이가 같으며 중심각이 90도인 부채꼴로 형성된다. 제 2좌측벽(33)과 제 2우측벽(34)은 밑변 길이와 높이가 제 1좌측벽(15)과 제 1우측벽(16)의 밑변 길이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 2좌측벽(33)과 제 2우측벽(34)은 전방 하측에는 제 1힌지공(51)과 대응하는 제 2힌지공(52)이 형성된다. 제 2좌측벽(33)과 제 2우측벽(34)의 전면 하단은 라운딩된다.
따라서 후술되는 폴딩결합부(50)에 의해 제 1하우징(12)과 힌지결합된 제 2하우징(31)이 제 1하우징(12)으로부터 펼쳐질 때 제 1바닥판(17)의 후면에 제 2바닥판(35)의 전면이 맞닿아 수평하게 확장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와 같이 후술되는 폴딩결합부(50)에 의해 제 1하우징(12)과 힌지결합된 제 2하우징(31)이 제 1하우징(12)으로 포개질 때 제 1하우징(12)의 후방 하부가 개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하우징(12)에 제 2하우징(31)이 포개질 때 제 1하우징(12)의 후방 하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 2바닥판(35)은 합성수지재질의 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재질의 판이 제 2바닥판(35) 단부에 경첩결합되어 제1하우징(12)과 제 2하우징(31)이 포개질 때는 제 2바닥판(35)의 세로길이 방향으로 확장되어 제 1개구를 완전히 덮으며 제 1 및 2수용공간(12a)(31a)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제1하우징(12)에서 제 2하우징(31)이 펼쳐질 때는 합성수지재질의 판은 제 1바닥판(17)의 후면과 제 2바닥판(35)의 전면이 맞닿도록 경첩에 의해 안 또는 밖으로 제 2바닥판(35)을 향해 접어진다.
제 2곡벽(32)은 제 1곡벽(14)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 2곡벽(32)에는 사각형상의 제 2창구가 형성된다. 제 2창문(38)은 제 2곡벽(33)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된 경첩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제 2창구에 삽입된다. 제 2창문(38)은 제 2곡벽(33)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휘어진다.
제 2창문(38)에는 손으로 돌려서 제 2창문(38)을 닫을 수 있는 원형레버(38b)가 형성된다. 제 2창문(38)이 닫힐 때 제 2창문(38)이 제 2곡벽(32)에 간섭되어 제 2수용공간(31a)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제 2창구 내측 하단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턱이 형성된다. 제 2창문(38)은 안에서 밖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야외에서 캠핑할 때 벌레가 제 2수용공간(31a) 안으로 출입하지 못하도록 제 2창문(38)은 제 2창문(38)의 가장자리와 제 2창구의 가장자리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방충망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딩결합부(50)는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핀(56)과, 이동케이스부(30)가 고정케이스부(10)에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제 1힌지공(51)과 제 2힌지공(52)을 관통하는 결합핀(56) 일단을 지지하는 힌지편(57)과, 결합핀(56)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4)를 구비한다.
결합핀(56)은 밖에서 안쪽으로 제 1힌지공(51)과 제 2힌지공(52), 힌지편(57) 순으로 관통하여 일단이 너트(54)로 결합된다. 추가로 너트(54)의 풀림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와셔(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힌지편(57)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힌지편(57)은 제 1바닥판(17) 후단에 제 1좌측벽(15) 및 제 1우측벽(16)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힌지편(57)과 제 1좌측벽(15) 및 제 1우측벽(16)사이에는 제 2좌측벽(33) 및 제 2우측벽(34)이 삽입된다. 힌지편(57)에는 제 1및 제2 힌지공(51)(52)에 대응한 구멍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동케이스부(30)는 고정케이스부(10)에 힌지결합되어 이동케이스부(30)가 결합핀(5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케이스부(10)의 제 1수용공간(12a)으로 삽입된다.
연결수단(70)으로 링크바(71)를 사용한다. 링크바(71)는 베이스프레임(11) 하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볼트(11c)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링크바(71)는 위에서 아래로 베이스프레임(11) 결합공을 관통한 볼트(11c)에 끼워져 너트(11b)로 체결된다. 링크바(71)는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링크바(71)는 자전거(1) 뒷바퀴에 간섭되지 않도록 타측은 양쪽으로 갈라진다. 링크바(71)의 양타단은 갈고리모양으로 형성되고 자전거(1) 뒷바퀴 축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로 고정된다. 링크바(71)는 인장강도 또는 압축강도가 강한 강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연결수단(70)은 인장강도가 강한 와이어 또는 체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크바(71)는 자전거(1) 뒷바퀴에 간섭되지 않게 상방으로 꺾여지고 자전거(1) 안장봉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형태가 될 수가 있다.
바퀴부(80)는 제 1하우징(12)의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휠(81)과, 제 1하우징(12)에 휠(8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샤프트(83)를 구비한다.
샤프트(83)는 결합편(11a)을 관통하여 휠(81)에 결합된다. 샤프트(83)는 휠(81)을 지탱하여 휠(81)이 자전거(1) 견인력에 의해 휠(81)과 지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는 제 2바닥판(35)의 하면에 설치하여 제 1하우징(12)에서 제 2하우징(31)이 펼쳐질 때 지면에 맞닿아 제 2하우징(31)을 지탱하는 지지부(90)를 더 구비한다.
지지부(90)는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수용본체(91)와, 수용본체(91)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하는 받침대(93)를 구비한다.
수용본체(91)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본체(91)는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높이 조절용 구멍(91a)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수용본체(91)는 제 2바닥판(35)의 하면 후단에 2개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와 다르게 수용본체(91)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93)는 내부가 원형으로 관통된 받침환봉(94)과 받침환봉(94) 일단에설치되어 지면과 맞닿는 지지판(97)을 구비한다.
받침환봉(94)은 내부에 스프링과 결합된 고정핀(94a)이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환봉(94)은 수용본체(91)에 수용되어 원하는 위치의 높이 조절용 구멍에 고정핀을 돌출시켜 높이 조절한다.
지지판(97)은 일자형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지지판(97)은 받침환봉(94)의 일단에 결합된다. 지지판(97)은 지면에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할 수 있도록 지면과 접촉하는 면에 고무재질의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는 폴딩결합부(50) 중심으로 이동케이스부(30)가 회전한다. 따라서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가 이동할 때 이동케이스부(30)를 고정케이스부(10) 안으로 삽입시켜 내부공간을 축소시키고 캠핑할 때 밖으로 펼쳐서 내부공간을 확장시킴으로써 여행자가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케이스부(30) 하면에 지지부(90)가 구비되어 지면형태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어느 한쪽으로 기울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여행자가 제 1및 제 2 수용공간(12a)(31a)에서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는 동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일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6을 참조하면, 바퀴부(80)는 제 1하우징(12)의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휠(81)과, 제 1하우징(12)에 휠(8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샤프트(83)와, 전기에너지에 의해 샤프트(8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85)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부(85)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87)와, 배터리(87)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샤프트(83)를 회전시키는 모터(88)를 구비한다.
배터리(87)는 베이스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87)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88)가 샤프트(83)를 회전시켜 구동한다.
배터리(87)로 다양한 2차 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전기이중충 콘덴서(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EDLC)가 적용된다. 전기이중층 콘덴서는 매우 빠르고 가역적인 이온들의 운동학적(kinetic)인 메카니즘을 에너지 저장의 기본 작동원리로 하기 때문에, 충방전 속도가 빠르고 높은 전류를 순간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넓은 작동온도 범위에서도 충방전 효율이 기존의 이차전지보다 월등히 우수하고 안전하다. 전기이중층 콘덴서는 활성탄소 전극과 유기계 전해질의 경계면에 정전층을 형성하여 전기이중층 상태를 유전체로 이용해 전지와 마찬가지로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으로, 고전류 및 고출력을 나타내는 방전 특성이 우수하며, 수십만 회의 사이클 특성을 가지므로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모터(88)의 축 일단은 샤프트(83)와 커플링으로 결합된다. 모터(88)는 수명이 짧은 브러쉬모터보다 수명이 긴 브러쉬리스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터리(87)와 모터(88) 사이에 흐르는 전기의 흐름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온/오프 스위치가 자전거(1) 핸들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전거(1) 운전 중에 핸들에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모터를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88)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터속도조정레버가 자전거 핸들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는 오르막길에서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모터(83)를 작동시켜 간편하게 오르막길을 오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전지셀(10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태양광전지셀(100)은 제 1하우징(12)에 설치될 수 있다. 시트 형상의 태양광전지셀(100)은 제 1곡벽(14)의 상부측에 설치된다. 태양광전지셀(100)은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기판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광전지셀(100)에서 생성된 전기는 배터리(87)에 공급된다. 배터리(87)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전지셀(100)과 배터리(87) 사이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태양광전지셀(100)에서 발생된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배터리(87)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전압조정기(105)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87)에 충전된 전기는 온/오프 스위치(115)의 조작에 의해 모터(88)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12V용 충전단자(113)가 제 1하우징(12) 또는 제 2하우징(31)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단자(113)는 배터리(8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배터리(87)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램프(110)가 제 1하우징(12) 또는 제 2하우징(31)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케이스부 80 : 바퀴부
30 : 이동케이스부 50 : 폴딩결합부
70 : 연결수단 90 : 지지부

Claims (8)

  1. 일측에 개방된 제 1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1수용공간이 형성된 고정케이스부와;
    상기 제 1개구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 2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된 이동케이스부와;
    상기 고정케이스부가 상기 이동케이스부의 바깥 또는 안으로 포개져 있다가 상기 고정케이스부로부터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이동케이스부를 상기 고정케이스부에 결합시키는 폴딩결합부와;
    상기 고정케이스부와 자전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고정케이스부에 설치되는 바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케이스부는 상기 연결수단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바퀴부가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개구 및 상기 제 1수용공간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된 출입문과, 상기 제 1하우징에 형성된 제 1창문을 구비하며,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며 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바닥판과, 상기 제 1바닥판의 좌우양측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밑변 길이와 높이가 같으며 중심각이 90도인 부채꼴로 형성된 제 1좌측벽 및 제 1우측벽과, 상기 제 1좌측벽과 상기 제 1우측벽의 호형 부위와 결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사각의 제 1창구가 마련된 제 1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창문은 상기 제 1곡벽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휘어지고, 상기 제 1창문은 상기 제 1곡벽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된 경첩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창구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창문이 닫힐 때 상기 제 1수용공간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 1창구의 내측 하단에는 돌출된 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케이스부는 상기 제 2개구 및 상기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에 형성된 제 2창문을 구비하며,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하우징으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제 1바닥판과 수평하게 확장되며 상기 제 1바닥판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 사각형의 제 2바닥판과, 상기 제 2바닥판의 좌우양측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밑변 길이와 높이가 같으며 중심각이 90도인 부채꼴로 형성된 제 2좌측벽 및 제 2우측벽과, 상기 제 2좌측벽과 상기 제 2우측벽의 호형 부위와 결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 2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좌측벽 및 상기 제 2우측벽은 밑변길이와 높이가 상기 제 1좌측벽 및 제 1우측벽의 밑변길이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 2바닥판의 길이는 상기 제 2좌측벽 및 제 2우측벽의 밑변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좌측벽 및 상기 제 1우측벽의 후방 하측에 제 1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좌측벽 및 상기 제 2우측벽의 전방 하측에 제 2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폴딩결합부는 상기 제 1좌측벽 및 상기 제 1우측벽에 이격되도록 상기 제 1바닥판에 형성되는 힌지편과, 상기 제 1힌지공과 상기 제 2힌지공 및 상기 힌지편 순으로 관통하는 결합핀과, 상기 결합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바닥판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하우징에서 상기 제 2하우징이 펼쳐질 때 지면에 맞닿아 상기 제 2하우징을 지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복수 개의 높이 조절용 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의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수용본체에 수용되는 받침환봉과, 상기 받침환봉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높이 조절용 구멍으로 돌출되는 고정핀과, 상기 받침환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맞닿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상기 제 1하우징의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휠과, 상기 제 1하우징에 상기 휠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샤프트와, 전기에너지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
  7. 삭제
  8. 삭제
KR1020170125256A 2017-09-27 2017-09-27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 KR102066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256A KR102066673B1 (ko) 2017-09-27 2017-09-27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256A KR102066673B1 (ko) 2017-09-27 2017-09-27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250A KR20190036250A (ko) 2019-04-04
KR102066673B1 true KR102066673B1 (ko) 2020-01-15

Family

ID=6610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256A KR102066673B1 (ko) 2017-09-27 2017-09-27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4740A (zh) * 2020-08-13 2022-02-22 环玮健康科技国际企业股份有限公司 休憩运载两用式拖车装置及休憩运载两用式拖车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66B1 (ko) * 2012-08-06 2013-04-24 주식회사 뉴티씨 (Newtc) 운송 수단용 전기 트레일러
KR101429708B1 (ko) * 2013-07-23 2014-08-12 전성율 차량용 캠핑 트레일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209A (ko) * 2010-02-22 2011-08-30 홍경삼 공간 확장을 위한 폴딩형 공간구조물
KR20140131640A (ko) 2013-05-06 2014-11-14 홍영훈 자전거 캠핑용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66B1 (ko) * 2012-08-06 2013-04-24 주식회사 뉴티씨 (Newtc) 운송 수단용 전기 트레일러
KR101429708B1 (ko) * 2013-07-23 2014-08-12 전성율 차량용 캠핑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250A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791B2 (en) Vehicle forming a self-balancing human transporter with an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US20140347873A1 (en) Mobile solar-powered light tower
US20120201015A1 (en) Mobile solar-powered light tower
US7237826B2 (en) Cargo system
KR100959805B1 (ko)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자전거 수직보관대
US20120042936A1 (en) Solar generator
EP2848456A1 (en) Electric motorcycle with a removable battery pack without lifting up
WO2007039732A2 (en) Mobile power supply units
KR102066673B1 (ko) 자전거 견인용 접이식 캠핑트레일러
US20230173898A1 (en) Pickup Truck Bed Solar Cover System
JP2019518645A (ja) 折畳みルーフテント
WO2021186092A1 (es) Vehiculo ciclo con almacenamiento modular
JP2013233061A (ja) 電力供給設備
JP2011194909A (ja) 自転車、オートバイ等にて牽引されるキャンピングテント付き超軽量折り畳みトレーラー
US20180180267A1 (en) Mobile Lighting System
KR101540776B1 (ko) 차량용 캠핑 하우스
CN103629544A (zh) 移动式灯塔
CN107201850B (zh) 一种折叠车顶帐篷
KR200385932Y1 (ko) 카텐트 리프팅 장치
CN110255017A (zh) 一种垃圾车用环保车棚
KR102494027B1 (ko) 캠핑카용 적층 곡면 태양광 발전 장치
ES2360001B1 (es) Cubierta de aporte de energía fotovoltaica para vehículos ligeros eléctricos o híbridos.
CN210659486U (zh) 一种车载帐篷
JP2003309279A (ja) 太陽光発電装置
CN212950863U (zh) 电动汽车充电插口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