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506B1 -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506B1
KR102066506B1 KR1020130109615A KR20130109615A KR102066506B1 KR 102066506 B1 KR102066506 B1 KR 102066506B1 KR 1020130109615 A KR1020130109615 A KR 1020130109615A KR 20130109615 A KR20130109615 A KR 20130109615A KR 102066506 B1 KR102066506 B1 KR 102066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cradle
compressor
longitudinal direction
tow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413A (ko
Inventor
윤대호
함영창
김호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5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스테이터 내에서 번들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설비를 단순 구성으로 크레이들 상에서 인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는, 압축기 스테이터의 내부에 결합된 번들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상기 번들의 하측에 배치되는 크레이들과; 상기 크레이들의 상측에 탑재되고 상기 번들의 일측에 견인봉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봉을 매개로 상기 번들을 수평 길이방향으로 당겨서 압축기 스테이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견인수단과; 상기 번들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크레일들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번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REMOVAL DEVICE FOR BUNDLE OF SHIP COMPRESSOR}
본 발명은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 스테이터 내에서 번들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설비의 인출동작이 크레이들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번들의 인출 설비를 단순 구성으로 구성하여 설비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엔진의 구동력을 이동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게 되며, 발전기 등을 구동시킴으로써 필요한 전기를 얻게 된다. 한편, 선박의 엔진, 예컨대 디젤 엔진의 경우 스타트(Start)시 고압의 압축 에어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선박에는 압축 에어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타팅 에어(Starting air)공급 시스템이 마련된다.
종래의 선박에 마련된 스타팅 에어 공급 시스템은 에어 콤프레셔(Air compressor)를 이용하여 엔진에 30bar 정도의 압력을 가진 압축 에어를 엔진의 실린더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선박용 압축기 스테이터 내에 삽입된 번들을 보수 및 교체 작업시 외부로 인출하여 제거하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스테이터(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번들(20)을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해 번들(20)의 전면 하부에 크레이들(cradle;100)이 배치되고, 번들(20)의 일측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번들(20)의 일측에 견인 와이어(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번들(20)을 수평 길이방향으로 당겨서 압축기 스테이터(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풀링 포스트(50)로 구성된다.
또한, 번들(20)이 분리되는 동안 지지하기 위해 번들(20)의 이동 경로 상측에 모노레일(30)과 호이스트(35)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 압축기 스테이터(10)와 번들(20)의 분리작업은 견인 와이어(40)를 풀링 포스트(50)에 연결한 상태에서 견인 와이어(40)를 당겨서 번들(20)을 크레이들(100) 상측에 안착시킨 후에, 호이스트(35)를 모노레일(30)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번들(20)을 압축기 스테이터(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또한, 앞서 설명한 압축기의 번들이 아닌 열교환기의 번들을 외부로 인출하는 기술과 관련된 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1-0051454호 "해상구조물의 열교환기 유지보수 장치 및 방법"(공개일자 : 2011.05.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튜브 번들을 일방향으로 당겨 분리시키도록 배치된 풀링 포스트와; 상기 튜브 번들이 분리되는 동안, 상기 튜브 번들을 들어 지탱하도록 배치된 호이스트와;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 번들의 분리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호이스트를 안내하는 모노레일을 포함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번들의 제거를 위한 장치는 풀링 포스트가 크레이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며, 상측에 모노레일 및 호이스트가 요구되므로, 설비의 설치 및 자재비용으로 인해 부품단가 상승 요인이 되며, 넓은 공간이 요구되어 공간활용성이 저하되고 설치공간의 제약을 갖는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1-0051454호 "해상구조물의 열교환기 유지보수 장치 및 방법"(공개일자 : 2011.05.18)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순 구성으로 압축기 스테이터 내에 삽입된 번들을 외부로 인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비용 절감 및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 스테이터의 내부에 결합된 번들을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상기 번들의 하측에 배치되는 크레이들과;
상기 크레이들의 상측에 탑재되고 상기 번들의 일측에 견인봉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봉을 매개로 상기 번들을 수평 길이방향으로 당겨서 압축기 스테이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견인수단과;
상기 번들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크레이들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번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크레이들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분리된 번들이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봉에 관통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번들 서포트 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번들과 견인봉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번들의 얼라인먼트를 지지하는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은 일측 부위가 상기 번들의 내경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사각틀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크레이들의 상측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견인봉이 관통되는 견인블록과,
상기 견인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회전 동작시 상기 견인봉을 당겨서 견인하는 견인핸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모노레일이나 호이스트 및 풀링 포스트 등의 설비 없이 번들을 압축기 스테이터로부터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으므로, 설비의 설치 및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노레일이나 호이스트 풀리 포스트등의 장비가 생략되고 크레이들 상에서 번들의 인출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번들을 인출하기 위한 설비의 설치공간을 축소시켜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기존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a, 4b, 4c, 4d는 본 발명의 번들과 압축기 스테이터의 분리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압축기 스테이터 내에서 번들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설비를 단순 구성으로 크레이들 상에서 인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압축기 스테이터(10)의 내부에 결합된 번들(20)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상기 번들(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크레이들(100)과; 상기 크레이들(100)의 상측에 탑재되고 상기 번들(20)의 일측에 견인봉(450)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봉(450)을 매개로 상기 번들(20)을 수평 길이방향으로 당겨서 압축기 스테이터(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견인수단(400)과; 상기 번들(2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크레이들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번들(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압축기 스테이터(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의 번들(20)을 수평 길이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해 크레이들(100)이 번들(20)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견인수단(400)은 크레이들(100)의 상측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견인봉(450)이 관통되는 견인블록(410)과, 상기 견인블록(410)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회전 동작시 단부가 상기 견인봉(450)과 접촉됨에 따라 상기 견인봉(450)을 당겨서 견인할 수 있는 견인핸들(420)로 구성된다.
한편, 견인수단(400)은 번들(20)의 일측에 견인 와이어가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견인 와이어를 감아서 수평으로 번들(20)을 외부 인출하는 윈치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크레이들(10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봉(150)과, 상기 분리된 번들(20)이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봉(150)에 관통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번들 서포트 블록(300)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번들 서포트 블록(300)은 상부면이 번들(2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원호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번들(20)과 견인봉(4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번들(20)의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지지하는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2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200)은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고, 사각틀의 일측 부위가 상기 번들(20)의 내경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번들(20)의 일측 하부에 크레이들(100)을 배치시키고, 크레이들(100)의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번들 서포트 블록(300)을 번들(20) 주위에 근접되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번들(20)의 일측에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200)의 일측 부위를 연결하고,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200)의 타측에 견인봉(450)을 연결시킨다.
이때, 견인봉(450)은 견인블록(41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견인핸들(420)의 회전동작에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이어서, 견인핸들(420)을 회전시켜 견인봉(450)을 1차 견인시키면, 도 4b에서와 같이,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200)과 연결된 번들(20)이 압축기 스테이터(10)로부터 일부위 인출되면서 번들 서포트 블록(300)상에 안착된다.
이후에 도 4c에서와 같이, 견인블록(410)을 크레이들(100)의 상측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킨 후에 견인봉(450)을 견인시키면, 도 4d에서와 같이 번들(20)이 번들 서포트 블록(300)에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로 크레이들(100)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압축기 스테이터(10)로부터 완전 분리된다.
이때, 번들 서포트 블록(300)은 가이드봉(150)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번들(20)을 압축기 스테이터(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시킨 후에 보수작업을 수행하거나,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200)과의 연결상태를 해제한 후에 크레인이나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크레이들(100)로부터 이동시켜 외부의 임의 장소로 이전하여 폐기 처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모노레일이나 호이스트 및 풀링 포스트 등의 설비 없이 번들(20)을 압축기 스테이터(10)로부터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으므로, 설비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비의 설치공간을 축소시켜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10 : 압축기 스테이터 20 : 번들
100 : 크레이들 150 : 가이드봉
200 :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 300 : 번들 서포트 블록
400 : 견인수단 410 : 견인블록
420 : 견인핸들 450 : 견인봉

Claims (5)

  1. 압축기 스테이터(10)의 내부에 결합된 번들(20)을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상기 번들(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크레이들(100)과;
    상기 크레이들(100)의 상측에 탑재되고 상기 번들(20)의 일측에 견인봉(450)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봉(450)을 매개로 상기 번들(20)을 수평 길이방향으로 당겨서 압축기 스테이터(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견인수단(400)과;
    상기 번들(2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크레이들(10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번들(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크레이들(10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봉(150)과,
    상기 분리된 번들(20)이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봉(150)에 관통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번들 서포트 블록(3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번들(20)과 견인봉(4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번들(20)의 얼라인먼트를 지지하는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2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먼트 서포트 블록(200)은 일측 부위가 상기 번들(20)의 내경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사각틀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400)은 상기 크레이들(100)의 상측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견인봉(450)이 관통되는 견인블록(410)과,
    상기 견인블록(410)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회전 동작시 상기 견인봉(450)을 당겨서 견인하는 견인핸들(4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KR1020130109615A 2013-09-12 2013-09-12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KR102066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615A KR102066506B1 (ko) 2013-09-12 2013-09-12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615A KR102066506B1 (ko) 2013-09-12 2013-09-12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413A KR20150030413A (ko) 2015-03-20
KR102066506B1 true KR102066506B1 (ko) 2020-01-15

Family

ID=5302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615A KR102066506B1 (ko) 2013-09-12 2013-09-12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5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4123A (ja) * 1983-03-08 1984-09-17 Sumitomo Heavy Ind Ltd プラスチツク成形加工設備
JPS61149334A (ja) * 1984-12-25 1986-07-08 Fanuc Ltd 射出成形機用金型自動交換機
JPS6347119U (ko) * 1986-09-16 1988-03-30
KR20110051454A (ko) 2009-11-10 2011-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열교환기 유지보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413A (ko) 201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017B1 (ko)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CN107316722B (zh) 一种旧电缆智能化回收装置
CN107492425B (zh) 一种废旧电缆剥皮回收装置
CN107403669B (zh) 一种废旧电缆回收装置
CN103192258B (zh) 自动穿管机及其穿管方法
CN102839649B (zh) 一种由绳索引导挂钩器自动挂夯锤的方法
CN110311306B (zh) 一种智能配电箱
CN105479628A (zh) 一种脱模机及脱模方法
CN109767877A (zh) 一种电缆成缆机
KR102066506B1 (ko) 선박 압축기용 번들의 제거장치
CN111751201A (zh) 一种汽车线束拉力检测装置
CN110524067A (zh) 棒料推料装置
CN107160325B (zh) 一种带电摘取r型弹簧销的装置及方法
CN108213274B (zh) 一种用于电缆的切割设备
KR20120125231A (ko) 세장형 요소의 인출, 저장 및 삽입 장치
CN206407751U (zh) 牵引卷线设备
CN202662493U (zh) 电磁开关下料装置
CN215248658U (zh) 一种电缆放线车
CN207329567U (zh) 与切胶机配套的移动台车
CN212024612U (zh) 一种多功能复合结构设计的轻型工程机械吊臂
CN210231030U (zh) 一种拉丝机用放线装置
CN211310411U (zh) 一种电力施工用缆线收线机
CN209097965U (zh) 一种具有伸缩臂的可移动岸电电缆卷车
CN104525570B (zh) 穿孔机出口台二段
CN105692352A (zh) 一种电动垂直滚筒式接地线收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