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226B1 -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226B1
KR102066226B1 KR1020130132363A KR20130132363A KR102066226B1 KR 102066226 B1 KR102066226 B1 KR 102066226B1 KR 1020130132363 A KR1020130132363 A KR 1020130132363A KR 20130132363 A KR20130132363 A KR 20130132363A KR 102066226 B1 KR102066226 B1 KR 10206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web
web code
execution scree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1006A (ko
Inventor
송효진
박상조
이동영
한순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226B1/ko
Priority to PCT/KR2014/010129 priority patent/WO2015064984A1/en
Priority to US15/033,840 priority patent/US10338877B2/en
Publication of KR2015005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의 웹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상기 웹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추출된 웹 코드를 상기 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들 간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기기이다.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방송 수신, 게임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전자기기의 기능이 증대됨에 따라, 전자기기는 타 전자기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를 타 전자기기에 출력하여, 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전자기기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다른 일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전자기기는, 타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의 웹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상기 웹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추출된 웹 코드를 상기 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실행화면은 각각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웹 코드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추출된 웹 코드를 상기 타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다른 영역과 식별 가능하도록 하이라이팅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통신 가능한 상기 타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전송 대상 웹 코드의 선택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및 상기 아이콘에 대한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시작하고, 상기 타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아이콘에서 종료되는 드래그 터치가 될 수 있다.
상기 타 전자기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가 전송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전송된 웹 코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타 전자기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가 전송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전송된 웹 코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의 출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실행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변동되면,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변동된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변동된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웹 코드를 상기 타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변동된 실행화면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영역에 한정될 수 있다.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상기 웹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출력되고 있는 화면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전송 가능한 영역의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웹 코드는 상기 타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 가능한 웹 코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웹 코드는 HTML 코드, Java Script 코드, CCS 코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전자기기와 제2전자기기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제1전자기기는, 상기 제2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무선 통신부와,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의 웹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웹 코드를 상기 제2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자기기는, 상기 제1무선 통신부와 통신하여 상기 제1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웹 코드를 전송받는 제2무선 통신부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상기 전송받은 웹 코드를 실행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전송받은 웹 코드가 실행된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웹 브라우저는 상기 제1 및 제2전자기기의 플랫폼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웹 코드를 추출하여 타 전자기기로 전송한다. 타 전자기기는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전송받은 웹 코드를 실행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타 전자기기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타 전자기기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으며,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전자기기들에 실시간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들의 플랫폼에는 이러한 통신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전자기기의 기본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제1전자기기에서 구동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제2전자기기에 출력되는 메커니즘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제1전자기기에서 구동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3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제2전자기기에 출력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제1 및 제2전자기기에 각각 출력되는 실행화면 및 화면정보가 서로 연동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6은 도 3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제2전자기기에 출력되는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제2전자기기의 화면정보가 제1전자기기에 출력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및 제2전자기기에서 구동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제3전자기기에 출력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에는 Tablet PC,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Ultra Book 등의 이동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전자기기들(100, 200, 300)이 상호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를 이용하면 전자기기(100, 200, 300)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전자기기(100, 200, 300)가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100, 200, 30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각각의 전자기기(100, 200, 300)는 무선 통신부(110, 210, 310), 디스플레이부(120, 220, 320) 및 제어부(130, 230, 330)를 구비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100)에는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통신 시스템에 의해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는 타 전자기기(200, 300)에 출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 210, 310)는 타 전자기기(100, 200, 300)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부(110, 210, 31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통신부(110, 210, 310)들 간의 연결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의 AP(Access Point)를 통한 연결인 Infrastructure mode 또는 Wi-Fi 모듈 간의 직접적인 연결인 Ad-hoc mod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 210, 310) 내에 구비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0, 220, 320)는 전자기기(100, 200, 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표시)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 상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해당 실행화면이 출력된다.
디스플레이부(120, 220, 3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 220, 32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20, 220, 32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20, 220, 32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20, 220, 32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30, 230, 33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30, 230, 330)는 디스플레이부(120, 220, 32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제어부(130, 230, 330)는 전자기기(100, 200, 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 210, 310)를 제어하여 타 전자기기(100, 200, 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디스플레이부(120, 220, 320)를 제어하여 시각정보의 출력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0, 230, 33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하, 전자기기(100)에 설치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를 타 전자기기(200, 300)에 출력하여, 전자기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100)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제1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제2전자기기(200)에 출력되는 메커니즘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전자기기(100)에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다. 웹 브라우저 및 웹 애플리케이션은 제1전자기기(100)의 플랫폼에 기본으로 제공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치된다.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된다(S110, S120).
한편, 본 실시 예는, 제2전자기기(200)에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으나, 웹 애플리케이션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전제로 한다. 물론, 제2전자기기(200)에도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제2전자기기(200)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220)에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기능은 시각정보를 복수의 전자기기에 연동시켜 출력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의상 멀티스크린 기능으로 불릴 수 있다.
제1전자기기(100)의 제어부(130)는 멀티스크린 구동 명령이 수신되면(S130), 제2전자기기(200)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또는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이때, 제1전자기기(100)는 제2전자기기(200)에 관련 정보[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유무,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프레임웍(framework)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 등]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웹 코드(WC)를 추출한다(S150).
예를 들어, 제2전자기기(200)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있지 않거나, 이전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없으면, 제어부(130)는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웹 코드(WC) 및 프레임웍을 구성하는 웹 코드(WC)를 추출한다.
한편, 제2전자기기(200)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거나, 이전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적이 있으면, 제어부(130)가 추출하는 웹 코드(WC)에는 프레임웍을 구성하는 웹 코드(WC)는 제외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보다 적은 웹 코드(WC)로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할 수 있어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추출된 웹 코드(WC)는 제2전자기기(200)에 구비되는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 가능한 웹 코드로서, HTML 코드, JavaScript 코드, CCS 코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웹 코드(WC)는 부가 정보들(preEval, appName 등)과 함께 패키징되어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S160). 제어부(130)는 추출된 웹 코드(WC)를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제2전자기기(200)의 무선 통신부(210)는 제1전자기기(100)의 무선 통신부(110)와 통신하여 제1전자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웹 코드(WC)를 수신한다. 제어부(230)는 수신된 웹 코드(WC)를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하며(S170), 디스플레이부(220)에는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된 웹 코드의 화면정보가 출력된다(S180).
따라서, 제2전자기기(200)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부(220)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실행화면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유사한 시각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메커니즘은 컴파일 과정 없이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는 웹 코드(WC)의 특징을 이용한 것으로서, 제2전자기기(200)에 전송할 웹 코드(WC)를 적절하게 제어하면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의 플랫폼에는 이러한 통신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웹 브라우저가 기본 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전자기기(100, 200)의 기본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제1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각각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WC)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그 기능에 따라,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영역(121), 위치를 조정하는 컨트롤러 영역(122), 위치를 검색하는 검색 영역(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C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그래픽 객체별로 구분될 수 있다.
지도 영역(121)에 특정 지역의 지도가 표시된 상태에서, 컨트롤러 영역(122)이 조작되면, 상기 조작에 대응하여 지도 영역(121)에 표시된 지도가 이동,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검색 영역(123)에 특정 검색 조건이 입력되면, 검색 결과가 표시될 수 있으며, 그 결과가 지도 영역(121)에도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각종 기능, 상태 등을 표시하는 제어 영역(124)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상단부에 통신 가능한 타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아이콘(124a) 및 타 전자기기와 연동되는 기능을 지정하는 아이콘[이동(move, 124b), 복사(copy, 124c), 가져오기(pull, 124d), 삭제(del, 124e), 동기화(sync, 124f)]이 표시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 타 전자기기와 연동되는 기능들을 예로 들어 구현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제2전자기기(200)에 출력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상태에 놓인다. 제어명령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20)에 대한 터치입력(근접 터치를 포함한다) 또는 별도의 조작유닛(예를 들어, 키보드, 리모컨 등)을 통한 입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관련된 화면정보를 제2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도 출력하는 기능(복사)과 관련된 아이콘(124c)이 선택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제2전자기기(200)는 제1전자기기(100)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자기기(200)는 디스플레이(220)가 오프 상태에 놓이더라도 대기 모드인 경우, 제1전자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웹 코드(WC)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후,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WC)를 추출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추출된 웹 코드(WC)를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한다. 본 도면에서는 지도 영역(121)이 선택되어, 지도 영역(121)의 시각정보를 구성하는 웹 코드(WC)가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전송 대상 웹 코드(WC)의 선택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본 도면에서는, 지도 영역(121)] 및 제2전자기기(200)에 대응되는 아이콘(124a)에 대한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시작하고, 상기 제2전자기기(200)에 대응되는 아이콘(124a)에서 종료되는 드래그 터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터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터치가 소정 시간 동안 가해졌을 때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될 때 진동이나 소리가 발생되어 사용자가 촉각 또는 청각으로 상기 드래그 터치가 활성화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의도한 영역을 제대로 선택한 것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다른 영역과 식별 가능하도록 하이라이팅 처리할 수 있다.
하이라이팅 처리하는 방법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색을 변경하거나, 깜빡이도록 표시하거나, 테두리를 진하게 표시하는 등 다양한 시각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래그 터치가 이루어지는 동안,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제2전자기기(200)에 대응되는 아이콘(124a)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되는 동안 점차 그 크기가 작아져 상기 아이콘(124a)으로 빨려들어가 사라지는 듯한 시각적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제2전자기기(200)로 제1전자기기(10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WC)가 전송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출력된다.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실행화면과 동일·유사한 화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지도 영역(121)에 출력되는 지도와 동일한 지도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단부에는 통신 가능한 타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타 전자기기와 연동되는 기능을 지정하는 아이콘[이동, 복사, 가져오기, 삭제, 동기화 등]이 표시되는 제어 영역(224)이 출력될 수 있다. 제2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되는 지도는 디스플레이부(220)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이후 다른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WC)가 전송되어 이와 관련된 화면정보가 출력될 때, 앞서 출력된 지도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전자기기(200)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WC)가 전송되더라도, 제1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전송된 웹 코드(WC)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의 출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지도 영역(121)에 출력되고 있던 지도를 포함하여 제1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고 있던 실행화면은 변동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동기화 여부에 따라 상기 실행화면 및 상기 화면정보의 연동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 동기화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실행화면과 상기 화면정보는 각각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제1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실행화면이 변경되더라도, 제2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하, 동기화(sync)가 설정된 경우, 실행화면과 화면정보 간의 연동이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에 각각 출력되는 실행화면 및 화면정보가 서로 연동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전자기기(100)의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실행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변동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변동된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웹 코드(WC)를 추출하여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130)는 변동된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웹 코드(WC)를 갱신하여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갱신된 웹 코드(WC)는 처음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된 웹 코드(WC)보다 적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전자기기(200)에 웹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출력되기 전, 처음으로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되는 웹 코드(WC)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WC)뿐만 아니라, 웹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웍을 구성하는 웹 코드(WC)가 포함될 수 있다.
제2전자기기(200)에 웹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출력된 후, 동기화나 실행화면의 다른 일부를 추가로 출력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웹 코드(WC)에는 프레임웍을 구성하는 웹 코드(WC)가 제외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보다 적은 웹 코드(WC)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연동시킬 수 있어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전자기기(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갱신된 웹 코드(WC)를 전송받아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시킨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부(220)에는 변동된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출력되게 된다.
제1전자기기(100)의 제어부(130)가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지속적으로 웹 코드(WC)를 갱신하여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하게 되면, 실행화면의 변동 사항이 화면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
이때, 변동된 실행화면은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영역에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영역(121)에 출력된 지도의 위치가 변경되게 되면, 제2전자기기(200)에 출력되는 화면정보도 함께 변동되게 된다. 반면에, 디스플레이부(120)의 검색 영역(123)에 검색 조건이나 결과가 표시되더라도 지도 영역(121)에 출력되고 있는 시각정보의 변화가 없는 한, 제2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정보는 변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3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제2전자기기(200)에 출력되는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관련된 화면정보를 제2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로 옮겨 출력하는 기능(이동)과 관련된 아이콘(124b)이 선택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WC)를 추출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추출된 웹 코드(WC)를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 예와 같이 지도 영역(121)이 선택되어, 지도 영역(121)을 구성하는 웹 코드(WC)가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되는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 경우, 전송된 웹 코드(WC)는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고, 디스플레이부(220)에는 그 실행화면, 즉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출력된다.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화면정보와 동일한 화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는 지도 영역(121)에 출력되고 있던 지도와 동일한 지도가 출력될 수 있다.
반면에, 제1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전송된 웹 코드(WC)에 대응되는 시각정보가 사라지게 된다. 즉,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출력되던 시각정보는 더 이상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영역(121)에 출력되던 지도는 사라지고 지도 영역(121)의 백그라운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제2전자기기(200)의 화면정보가 제1전자기기(100)에 출력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전자기기(200)에서 제1전자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웹 코드(WC)를 이용하여 화면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 도 7의 (a)을 참조하면, 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2전자기기(200)와 관련된 아이콘(124a) 및 제2전자기기(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화면정보를 제1전자기기(100)로 불러오는 기능(가져오기)과 관련된 아이콘(124d)이 선택된다.
상기 선택에 의하여, 제1전자기기(100)의 제어부(130)는 제2전자기기(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화면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제2전자기기(200)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전송 가능한 영역의 리스트를 전송받게 된다. 이때, 상기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 역시 웹 코드(WC)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1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제2전자기기(200)에서 전송 가능한 영역의 리스트[예를 들어, 제1지도와 관련된 화면정보(221), 제2지도와 관련된 화면정보(222), 검색과 관련된 화면정보(223) 등]가 출력될 수 있다. 리스트 내의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화면정보(221)에 대응되는 웹 코드(WC)는 제1전자기기(100)로 전송되며,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웹 코드(WC)에 대응되는 시각정보가 출력되게 된다.
이상, 복사, 동기화, 이동, 가져오기 기능을 예로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에서 연동되어 출력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삭제 기능은 해당 영역에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삭제하는 기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예들의 조합에 의해 또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자기기(100)의 지도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WC)가 제2전자기기(200)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220)에 지도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전자기기(100)의 검색 영역(123)을 통하여 검색을 수행하면,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웹 코드(WC)가 제2전자기기(200)로 전송되어 지도에 반영(지도 변경, 지도 상에 위치 표시 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져오기 기능을 이용하면, 검색 결과가 반영된 지도를 제1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띄울 수도 있다.
이하, 여러 전자기기에 분산되어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를 또 다른 전자기기에 출력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에서 구동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제3전자기기(300)에 출력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에서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125, 225)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진을 앨범 형식으로 저장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앨범을 구성하는 사진 하나하나는 그래픽 객체(125, 225)가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는 사진들을 제3전자기기(300)에 출력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사진을 제3전자기기(300)에 구비되는 보다 큰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전자기기(300)에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125, 225)에 대응되는 웹 코드(WC)를 전송하여 이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는 메커니즘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유사하다. 즉, 복사 또는 이동 기능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에 출력되는 특정 그래픽 객체(125, 225)를 제3전자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출력하거나, 삭제 기능을 통하여 제3전자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출력되는 화면정보를 제1 및 제2전자기기(100, 200)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제3전자기기(300)에 화면정보를 출력 및 편집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어부(130, 230)는 제어명령, 즉 전송할 그래픽 객체(125, 225)를 입력받는 상태에 놓인다. 사용자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125, 225)가 선택되면, 제어부(130, 23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125, 225)에 대응되는 웹 코드(WC)를 추출하고, 무선 통신부(110, 210)를 통하여 추출된 웹 코드(WC)를 제3전자기기(300)로 전송한다.
본 도면에서는 제1전자기기(100)의 특정 그래픽 객체(125)가 제3전자기기(300)에 출력된 후, 제2전자기기(200)의 특정 그래픽 객체(225)가 제3전자기기(300)에 출력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전자기기(100)에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125)와 제3전자기기(300)에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325a)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3전자기기(300)에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325a)는 디스플레이부(320)의 특정 부분에 특정 크기로 위치하였다가 다른 그래픽 객체(325b)가 추가되면, 그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추가된 그래픽 객체(325b)는 이전에 추가된 그래픽 객체(325a)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전에 추가된 그래픽 객체(325a)는 보다 작게 출력되어 최근에 추가된 그래픽 객체(325b)가 더 드러나도록 시각적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웹 코드를 추출하여 타 전자기기로 전송한다. 타 전자기기는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전송받은 웹 코드를 실행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타 전자기기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타 전자기기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으며,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전자기기들에 실시간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들의 플랫폼에는 이러한 통신 및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전자기기의 기본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타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의 웹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상기 웹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추출된 웹 코드를 상기 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화면은 각각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웹 코드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추출된 웹 코드를 상기 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통신 가능한 상기 타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되고,
    전송 대상 웹 코드의 선택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및 상기 아이콘에 대한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전자기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가 전송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전송된 웹 코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전자기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웹 코드가 전송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전송된 웹 코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의 출력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실행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변동되면,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변동된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변동된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웹 코드를 상기 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된 실행화면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영역에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상기 웹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출력되고 있는 화면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타 전자기기에서 전송 가능한 영역의 리스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1전자기기와 제2전자기기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기기는,
    상기 제2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무선 통신부;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의 웹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웹 코드를 상기 제2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자기기는,
    상기 제1무선 통신부와 통신하여 상기 제1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웹 코드를 전송받는 제2무선 통신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상기 전송받은 웹 코드를 실행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전송받은 웹 코드가 실행된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웹 브라우저는 상기 제1 및 제2전자기기의 플랫폼에 구비되고,
    상기 실행화면은 각각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웹 코드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웹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삭제
KR1020130132363A 2013-11-01 2013-11-01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66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363A KR102066226B1 (ko) 2013-11-01 2013-11-01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PCT/KR2014/010129 WO2015064984A1 (en) 2013-11-01 2014-10-27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15/033,840 US10338877B2 (en) 2013-11-01 2014-10-27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363A KR102066226B1 (ko) 2013-11-01 2013-11-01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006A KR20150051006A (ko) 2015-05-11
KR102066226B1 true KR102066226B1 (ko) 2020-01-14

Family

ID=5300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363A KR102066226B1 (ko) 2013-11-01 2013-11-01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38877B2 (ko)
KR (1) KR102066226B1 (ko)
WO (1) WO2015064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5637B (zh) * 2015-06-23 2018-06-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界面操作的实现方法及装置
US10585637B2 (en) * 2017-03-27 2020-03-10 Lenovo (Beijing)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6981118B2 (ja) * 2017-09-11 2021-12-1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20200084587A (ko) * 2019-01-03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4347A1 (en) * 2010-12-07 201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228B2 (ja) * 1991-02-28 2000-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
US6563913B1 (en) * 2000-08-21 2003-05-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lective sending of portions of electronic content
US7834819B2 (en) * 2004-04-01 2010-11-16 Polyvision Corporation Virtual flip chart method and apparatus
US20070044028A1 (en) * 2004-04-01 2007-02-22 Dunn Michael H Virtual flip chart method and apparatus
US20060031779A1 (en) * 2004-04-15 2006-02-09 Citrix Systems, Inc. Selectively sharing screen data
KR101632309B1 (ko) * 2009-07-07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정보를 나타내는 웹 페이지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457604B2 (en) 2009-11-17 2013-06-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on a mobile device
JP2011154478A (ja) * 2010-01-26 2011-08-11 Canon Inc 画面共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画面共有システム
JP2012144347A (ja) * 2011-01-13 2012-08-02 Bridgestone Corp 帯状ゴム部材の折畳み積載方法および装置
US8776193B2 (en) * 2011-05-16 2014-07-08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mobile computing devices
US9549045B2 (en) * 2011-08-29 2017-01-17 Vmware, Inc. Sharing remote sessions of a user interface and/or graphics of a computer
US8750911B2 (en) * 2011-09-23 2014-06-10 Jianchong Yang Content source, content sink, and method for natively managing and delivering active content from one or more content sources to one or more content sinks wirelessly
KR20130065777A (ko) 2011-11-29 2013-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스펙터 스크립트 삽입을 통한 웹 콘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2053315B1 (ko) * 2012-06-29 2019-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60306B1 (ko) * 2012-07-13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40104138A1 (en) * 2012-10-16 2014-04-17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switching of display modes
KR102013338B1 (ko) * 2013-02-04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WO2014134107A2 (en) * 2013-02-26 2014-09-04 Mersiv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control and media streaming to a shared display
KR20140140957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데이터의 미러링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50025584A (ko) * 2013-08-29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32675B1 (ko) * 2013-09-02 2021-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2084633B1 (ko) * 2013-09-17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미러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소스 기기
KR20150051292A (ko) * 2013-11-01 2015-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47273A (ko) * 2014-10-22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4347A1 (en) * 2010-12-07 201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38877B2 (en) 2019-07-02
KR20150051006A (ko) 2015-05-11
WO2015064984A1 (en) 2015-05-07
US20160266863A1 (en)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54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s in a touch device
US201402504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data on electronic device display
CN106155517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091028B1 (ko) 사용자 기기의 오브젝트 운용 방법 및 장치
EP2261793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ed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EP27527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use function using touch device
KR102099646B1 (ko)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EP314199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3570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EP25234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Between Different Network Devices
US9760196B2 (en) Terminal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600692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3677711A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KR102066226B1 (ko)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CN103874977A (zh) 用户终端装置和控制该用户终端装置的渲染器的方法
CN111008179A (zh) 一种文件管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20081879A (ko)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131643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EP2660695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KR102160105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7621B1 (ko)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70027634A (ko) 이동 단말기
KR20120076015A (ko)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395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448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