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879A -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879A
KR20120081879A KR1020110003252A KR20110003252A KR20120081879A KR 20120081879 A KR20120081879 A KR 20120081879A KR 1020110003252 A KR1020110003252 A KR 1020110003252A KR 20110003252 A KR20110003252 A KR 20110003252A KR 20120081879 A KR20120081879 A KR 20120081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xterna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현
장준우
이건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1879A/ko
Publication of KR2012008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22Interfacing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컨텐츠를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는 각종 컨텐츠를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캘린더, 메모, 리스트 등을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인 일정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통신 단말기 내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집안과 밖에서 언제든지 편리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생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서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PC, TV, 냉장고, 복수 구성원의 통신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들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어, 각종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전송할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태블릿 타입(Tablet type)의 통신 단말기 등은 화면을 통한 터치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 메뉴 화면 등 다양하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영상통화 연결되는 단계,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화면 공유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영상통화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카메라를 포함하는 AV 입력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면 공유를 위한 명령을 수신되는 경우, 표시되는 컨텐츠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컨텐츠를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는 각종 컨텐츠를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캘린더, 메모, 리스트 등을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인 일정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통신 단말기 내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이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통신 단말기에는,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통신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또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도 수행가능하며, 통화모드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따른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통신 단말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내부 공간에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카메라(121), 및 디스플레이부(170)가 배치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케이스의 전면부에 오디오출력부(18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버튼 또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의 입력, 문자 또는 숫자, 특수 기호 등의 입력, 동작 모드의 선택, 통신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 등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OS)에 최적화된 키, 예를 들어 Home키, Menu키, Back키, Search키 중 적어도 일부를 통신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할 수 있다.
A/V 입력부(미도시)는 카메라(121)와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도 1과 같이 외부 케이스(101)에 내장되어 고정되거나, 케이스(101) 상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21)가 카메라 슬롯(slot, 12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입력에 따라서 A/V 카메라(121)가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카메라(12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카메라를 보호하는 카메라 덮개(1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카메라 덮개(122)를 슬라이딩 시키면 카메라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고, 카메라는 동작 가능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출력부(미도시)는 스피커 형태 또는 이어폰, 헤드폰 등 리시버와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케이스(101)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는 오디오출력부(미도시), 파워 온-오프키 등 별도의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및 마이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에는 다른 카메라(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장착되는 다른 카메라는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에 배치는 카메라(121)는 영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질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에는 오디오출력부(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통신 단말기(100)의의 후면에 배치되는 오디오출력부는 전면 또는 측면에 배치된 오디오출력부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음섬 및 영상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70)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100)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케이스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의 후면 측에는 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b)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지지 및 고정을 위한 독(dock) 거치대(810) 상에 놓여져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거치대(810)는, 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구비하거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거치대(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거치대(810)와 통신 단말기(100)는 서로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센서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디스플레이부(170), 오디오 출력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스위치(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영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50)에 저장되거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통신 단말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 단말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영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100)는 유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방송 수신을 위한 별도의 방송수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는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의 수신 및 신호 처리를 위한 튜너, 복조부, 역다중화부, 디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부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수신부는,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부는,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통신 단말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TV,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냉장고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통신 단말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상술한 외부 장치 이외에도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60) 또는 저장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기기로 사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허락된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PC를 이용한 예약 작업을 수행하거나, 스마트 냉장고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족 구성원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명령 등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서부(140)는 감지센서, 압력센서, 및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통신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통신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는 통신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사용환경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가 디스플레이부(170)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7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 및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100)는 저장부(15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저장부(150)가 제어부(16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6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통신 단말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통신 단말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또는 음성이 디스플레이부(17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70) 또는 오디오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영상 통화 모드시 통화 상대방의 영상, 사용자의 영상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에 기초한 음성을 오디오출력부(180)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통신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캡처(capture), 복사되었거나 제거된 최신 정보의 사본을 클립보드(clip board)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클립보드는 저장부의 일부 영역이거나 별도의 전용 저장공간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특정 정보의 복사 또는 붙이기 조작이 있으면 클립보드로부터 정보 및 데이터를 현재 프로그램, 서비스 또는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프로그램, 서비스로 전달되게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클립보드 보기 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클립보드에 저장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원하는 클립보드 기능은 통신 단말기(100)를 종료하면 클립보드의 데이터가 삭제되는 모드 뿐만 아니라 통신 단말기(100)를 종료하더라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모드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터치 입력 신호의 패턴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이 알파벳, 숫자, 기호 등 문자 입력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궤적과 대응하는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한글, 영어, 중국어, 일본어,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며, 제어부(160) 또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입력의 패턴에 대응하는 문자를 저장된 문자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하거나 터치 입력의 궤적 자체를 필기 입력으로 처리하여 입력 궤적 그 자체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60)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은, 전원을 켰을 때 또는 아이들(idle) 상태를 벗어날 때의 첫 화면이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한 화면일 수 있으며,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은 제어부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에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단말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OS 커널(OS Kernel), OS 커널 상의 드라이버(Driver), 미들웨어(Middleware), 프레임워크(Framework),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PDP,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7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출력부(180)는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수신되거나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출력부(180)는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효과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출력부(18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통신 단말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와 같은 구성의 통신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단말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3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단말기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서버(310) 또는 외부장치(32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서버(31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1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단말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31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단말기(100)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CP) 또는 서비스 제공자(SP)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100)로 컨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100)는 외부장치(32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3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단말기(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3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320)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디지털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TV,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조리기기 등에 해당한다.
네트워크 서버(310), 또는 외부장치(320)는, 통신 단말기(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및 음성 신호에 기초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서버(310)에서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3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장치(320)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들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100)의 캘린더 및 스케쥴을 공유할 수 있고, 외부에서도 캘린더에 일정 및 메모를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된 캘린더, 일정 등을 기등록된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100)는 외부장치(320)에서 수신한 신호를 네트워크 서버(3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100)는 등록된 사용자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 및 전자기기의 인증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가 통신 단말기를 일정 부분 제어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신 단말기(100)는 외부장치(32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통신 단말기(100) 또는 외부장치(320)가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의 홈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100) 또는 외부장치(320)가 소정 네트워크 통신 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홈 서버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100)와 외부장치(3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홈 서버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신 단말기(100) 또는 외부장치(320)의 제품명, 모델명, 사용방법, 제공 컨텐츠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홈 서버는 홈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홈서버는 등록된 사용자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 및 전자기기의 인증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가 홈서버 또는 통신 단말기를 일정 부분 제어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홈 서버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와는 별도의 독립된 서버 형태 또는 통신 단말기(100), PC, TV와 같은 홈 네트워크의 개별 전자기기가 홈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홈 화면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홈(home)키 또는 메뉴(menu)키 의 동작시 또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메뉴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전원 온(on)시,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서 온(on)시에도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멀티미디어 메모 영역(410)과 일정(schedule) 리스트 영역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메모 영역(410)은, 사용자가 메모의 내용 또는 종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다양한 파일 형식의 멀티미디어 메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메모에는 텍스트(text)로 구성되는 텍스트 메모, 사진 이미지 또는 터치 입력을 통하여 필기 입력된 내용을 그대로 이미지로써 보여주는 이미지 메모, 녹화 영상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동영상 메모, 오디오 파일로 구성되는 음성 메모, 모바일(mobile) 등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모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메모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홈 화면은 전체적으로 게시판과 유사한 형태의 그래픽 오브젝트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멀티미디어 메모 영역(410)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형식의 메모들이 핀 모양의 오브젝트와 함께 표시되어 게시판에 메모들이 핀 모양의 오브젝트로 고정되는 듯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메모의 예로써, 외부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411), 동영상 메모(412), 지도 이미지 메모(413), 필기(Handwriting) 입력 이미지 메모(414)가 예시된다. 한편, 복수의 멀티미디어 메모는 작성자 정보, 메모가 작성된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411)는 수신된 시간 또는 발송된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발신자 또는 발신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동영상 메모(412)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메뉴 오브젝트(415)를 포함하고, 동영상 재생을 위한 메뉴 오브젝트(415)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동영상 메모(412)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메모(412)는 메모 생성 시간, 재생 시간과 같은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정(schedule) 리스트 영역(420)은, 하나 이상의 일정(schedule) 항목(421, 422, 423, 424)을 구비할 수 있다. 개별 일정 항목(421, 422, 423, 424)들은 할일 목록(To-do list) 및 각종 리스트, 캘린더 상에 기작성된 항목일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메모들과 일정(schedule) 리스트에 포함되는 개별 일정들이 결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일정 리스트에는 결합된 멀티미디어 메모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예를 들어 아이콘들(425, 426)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일정 리스트 영역(420)에는 날씨 정보, 현재 시각 정보(427)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일영역에는 캘린더 메뉴 영역(430)이 설정될 수 있다. 캘린더 메뉴 영역(430)에 캘린더 및 일정 리스트의 표시 상태를 전환하거나 표시 상태를 알려주는 오브젝트들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캘린더 메뉴 영역(430)은 날짜 정보(435, 4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캘린더 및 리스트 표시 상태 메뉴는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선택되는 경우에 하루에 해당하는 일정 리스트를 표시하는 'DAY' 항목(431), 며칠 동안의 일정 리스트를 표시하는 'MULTIDAY' 항목(432), 한달 동안의 일정 리스트를 표시하는 'MONTH' 항목(433) 등이 해당할 수 있다. 한편, 'MONTH' 항목(433)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캘린더 형태로 한달 동안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할일 목록(To-do list) 및 각종 리스트 위주로 화면에 표시하는 'List' 항목(4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현재 표시 상태에 해당하는 'DAY' 항목(431)은 'MULTIDAY' 항목(432), 'MONTH' 항목(433)과 색상, 크기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각 항목은 도 4와 같이 메뉴 스타일을 직관적으로 알려주는 그래픽 오브젝트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DAY' 항목(431), 'MULTIDAY' 항목(432), 'MONTH' 항목(433), 'List' 항목(434)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자는 홈 화면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멀티미디어 영역(410)의 크기도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일영역에는 작업(work) 메뉴 영역(440)이 설정될 수 있다. 작업 메뉴 영역(440)에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각종 단축(shortcut) 메뉴들이 설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메뉴 영역(440)은 설정에 의하여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고, 단축 메뉴들의 개수, 종류, 모양 및 표시되는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처(capture) 및 복사를 위한 클립보드(441),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442), 애플리케이션 보기 메뉴(443), 메모입력을 위한 메모장 및 파일 삭제를 위한 휴지통(444), 데이터 전송 및 공유를 위한 빠른 연결 메뉴(445) 등을 단축(shortcut) 메뉴로 작업(work) 메뉴 영역(440)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전환하는 화면 전환 오브젝트(451, 452, 453)들이 소정 시간 표시될 수 있다. 화면 전환 오브젝트(451, 452, 453)가 선택되면 해당 오브젝트에 할당된 화면,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서 예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터치 입력으로 화면을 쓸어넘기는 플리킹(flicking) 동작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소정 방향의 플리킹 동작에 대응하는 화면,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서 예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리스트 화면은 해야할 일이나 참고 사항들이 기재된 리스트들을 포함한다. 리스트에는 To-do 리스트(520), 쇼핑(Shopping) 리스트(530), 집안일(chore) 리스트(540)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 영역(510)의 'New list' 항목(511)을 선택하여 새로운 리스트를 원하는 명칭으로 생성하고 추가할 수 있다. 메뉴 영역(510)에는 현재 시각 정보(513), 날짜 정보, 캘린더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리스트들은 리스트 명칭(521, 531, 541)들을 포함하고, 각 리스트들은 세부 항목들(522, 523, 524, 525)을 포함할 수 있다. 세부 항목들(522, 523, 524, 525) 중 이미 완료된 항목은 삭제하거나 취소선(523)으로 다른 항목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리스트 화면은 좌우로 스크롤되면서 다른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리스트 인덱스(512)는 전체 리스트의 수와 표시되는 리스트에 관한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레시피 박스 화면 구성의 일예를 예시한 것이다. 레시피 박스 화면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레시피에 관한 정보(620)를 보여주는 'Recipe' 항목, 캘린더 및 리스트와 동기화하여 식단 계획을 작성할 수 있는 'Meal Plan' 항목, 식당의 위치 정보, 평가 정보를 포함한 식당 정보를 볼 수 있는 'Dine Out' 항목, 다양한 테마 별로 분류한 정보를 표시하는 'Theme' 항목, 조리법을 동영상으로 재생하는 'Recipe Player'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6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레시피 박스 화면은 검색어 입력을 위한 검색창(630), 광고, 쿠폰, 추천 정보(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캡처(capture), 복사되는 이미지, 음성 파일 등 각종 데이터의 사본을 클립보드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클립보드(clip board) 화면 구성의 일예를 예시한 것이다.
클립보드의 데이터는 디렉토리(directory), 폴더별로 관리될 수 있고, 클립보드 화면은 선택된 디렉토리(721) 및 기타 디렉토리(722, 723)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사진 디렉토리가 선택되면 사진 디렉토리의 이미지들(761, 762)이 표시된다.
한편, 클립보드 화면은 편집, 프린트, 공유, 클립, 새폴더만들기 등 메뉴오브젝트들(731, 732)을 포함하거나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740), 화면 전환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며칠 동안의 일정 리스트를 표시하는 'MULTIDAY' 항목(432)가 선택되면 설정된 기간 동안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도 8의 (a)는 오늘의 리스트(821)와 다음 이틀간의 리스트(822, 823)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리스트에 포함되는 항목들은 컨텐츠, 애플리케이션과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컨텐츠,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오브젝트(831, 832)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설정에 의해서 'MULTIDAY'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리스트의 개수를 가변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메모 영역을 화면의 일영역에 설정할 수있다.
메뉴 영역(810)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그에 따라 화면이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는 'MONTH' 항목(433)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캘린더 형태(840)로 한달 동안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설정에 의해서 'MONTH'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에 캘린더 형식으로 표시되거나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화면의 일영역에 멀티미디어 메모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카메라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카메라가 구동되면서 카메라가 현재 촬영하고 있는 라이브 영상(910)이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다. 또한, 동영상 녹화 관련 'RECORD VIEDO' 항목(920), 정지 영상 이미지 촬영을 위한 'TAKE PHOTO' 항목(930), 영상 통화를 위한 'VIDEO CALL' 항목(930) 등 카메라 관련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만약, 'RECORD VIEDO' 항목(920)이 선택되면, 도 9의 (b)와 같은 동영상 녹화 모드로 집입한다. 동영상 녹화모드에서는 녹화되고 있는 실시간 라이브 영상(950)과 녹화 시간 정보(951), 녹화 관련 메뉴(952)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도 10의 (a)와 같이 메모 입력창(1010)에 터치 입력에 의한 필기(Handwriting) 입력 방식으로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0의 (b)와 같이 화상키보드(1070) 또는 별도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문자(1061)를 메모 입력창(10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음성 메모로써 저장하거나 또는 해당되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모 입력 방식은 메뉴(10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입력된 메모는 메모 관련 메뉴(1020) 또는 애플리케이션 단축 메뉴(1040) 또는 데이터 전송 및 공유를 위한 빠른 연결 메뉴(1050)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먼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영상통화 연결한다(S1110). 제어부(160)는 통신 단말기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영상통화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통화 연결 단계(S1110) 이전에 상기 외부 기기로 영상 통화를 요청하거나,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의 영상 통화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 실시예에 따라서는 AV 입력부(120)에 포함되는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카메라가 자동으로 구동되고, 외부 기기와 영상 통화 연결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a)는 카메라 덮개(122)가 카메라 슬롯(123)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 이동하여 카메라의 렌즈(121)가 외부로 노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통신 단말기는 카메라의 렌즈(121) 또는 카메라 덮개(122)의 슬라이딩 이동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40)은 카메라의 렌즈(121) 또는 카메라 덮개(12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광센서, 접촉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는 카메라의 렌즈(121) 또는 카메라 덮개(122)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에 위치하는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의 렌즈(121) 또는 카메라 덮개(122)의 슬라이딩 이동하면, 광센서가 감지하는 빛의 양이 대폭 감소하게 되고, 제어부(160)는 슬라이딩 이동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의 렌즈(121) 또는 카메라 덮개(122)의 슬라이딩 이동이 접촉센서에 접촉되면 제어부(160)는 슬라이딩 이동으로 판별할 수 있다.
카메라 덮개(122)의 슬라이딩 이동이 감지되면,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카메라의 동작과 관련된 메뉴(1210)를 표시한다.(S1120) 이 경우에, 상기 카메라의 동작과 관련된 메뉴는 동영상 녹화, 정지영상 촬영, 및 영상 통화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b)에서는 동영상 녹화 관련 'RECORD VIEDO' 항목, 정지 영상 이미지 촬영을 위한 'TAKE PHOTO' 항목, 영상 통화를 위한 'VIDEO CALL' 항목이 예시된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의 렌즈(121) 또는 카메라 덮개(122)를 이동시키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카메라 관련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더욱 간편하고 빠르게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전환하지 않고, 카메라 관련 메뉴를 중첩하여 표시하다가 사용자가 소정 메뉴를 선택하면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70)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역순으로 영상 통화 요청하거나, 상대방의 영상 통화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이후,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한다.(S1120)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상대방 영상(1310)과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132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대방 영상(1310)과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1320)은 표시되는 위치, 크기를 가변할 수 있으며, 상대방 영상(1310)과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1320) 중 어느 하나만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SHARE' 항목(1330)을 선택하면 통신 단말기의 화면 또는 컨텐츠를 통화 상대방의 외부 장치와 공유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SHARE' 항목(1330)을 선택한 후, 현재의 화면을 공유하거나, 화면을 전환하여 캘린더 및 리스트 화면 등을 통화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등록된 상대방(외부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거나, 상대방(외부 장치)의 통신 단말기 제어 권한을 임시로 허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130) 여기서, 컨텐츠의 표시는 사용자의 재생 명령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재생되고 있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도록 화면을 전환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는 동영상, 사진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일 수 있고, 특히,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을 포함하는 캘린더 또는 리스트 또는 일정 관리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화면 공유를 위한 명령을 수신되는 경우(S1140), 표시되는 컨텐츠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S1150)
한편, 화면 공유를 위한 명령은 상술한 통신 단말기의 'SHARE' 항목(1330)을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별도의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입력가능하다.
또는, 기등록된 외부 장치 또는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60)가 상기 외부 장치의 공유 권한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장치로부터 공유 메시지 또는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순신하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허락한 경우 또는 기등록된 외부 장치인 경우, 공유 또는 원격 제어 허락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는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ID나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원격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4는 통신 단말기의 캘린더를 다른 외부 장치와 공유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통화 상대방의 외부 장치는 공유되는 캘린더 영상(1410),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사용자 영상(1420), 통신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143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캘린더 영상(1410)과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1440)을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컨텐츠의 공유를 위해 영상 통화 상대방의 외부 장치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60)는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종류에 따라 전송하는 데이터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종의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경우, 상대방 기기도 캘린더 등 해당 화면을 구성하는 UI 기본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캘린더를 구성하는 세부 내용 항목과 표시 위치, 연결되는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종류의 단말기가 연결되는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사용자 환경 또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UI 정보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단말기로 경우에 따라서 상이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상이한 화면 구성을 가지는 복수의 화면 모드 각각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5는 통신 단말기가 외부의 휴대 단말기가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 사용자와 캘린더를 공유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에서는 도 15의 (a)와 같이 캘린더의 내용 항목들(1510)이 간략히 표시되거나, 도 15의 (b)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에 맞게 축소된 캘린더(152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단말기의 리스트를 다른 외부 장치와 공유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 참조하면, 영상 통화 상대방의 외부 장치는 공유되는 리스트 영상,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사용자 영상(1620), 통신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163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70)에는 공유되는 리스트 영상과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1640)을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캘린더, 멀티미디어 메모, 각종 리스트를 공유하거나, 공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컨텐츠를 서로 함께 볼 수 있고 정보를 나눌 수 있어, 개개인의 사용자가 동일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가 공유된 이후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항목을 변경하거나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항목에 소정 정보를 연결시키는 수정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정 입력이 수신된 항목의 데이터를 변경하고,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70)가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항목을 변경하거나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항목에 소정 정보를 연결시키는 수정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경하고,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소정 항목에 다른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와 같은 컨텐츠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멀티미디어 메모 중 하나를 선택하고, 캘린더에 포함되는 일정(schedule) 중 하나에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하여 일정 항목과 멀티미디어 메모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메모는 텍스트 메모 또는 이미지 메모 또는 동영상 메모 또는 음성 메모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sms, mms)일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정 입력이 수신하고, 제어부(160)는 상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공유된 컨텐츠의 경우에,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영상 통화 상대방 중 어느 하나가 컨텐츠의 소정 항목을 수정하면, 양측의 공유된 컨텐츠가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정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공유하면서 공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 중이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 사용자 및 통화 상대방은 통신 단말기에서 화면이 변경되는 과정을 알 수 있고, 나아가 영상 및/또는 음성 통화을 통하여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공유된 캘린더를 보면서 중요한 일정 또는 대화를 나누고 있는 일정 항목 등에 대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또는 영상 통화 연결된 상대방이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영상 통화 연결된 상대방의 캘린더는 명령에 대응하여 하이라이트 표시를 추가하는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도 17은 공유된 캘린더의 소정 항목(1710, 1720)에 하이라이트 효과가 추가되는 수정 사항이 업데이트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별도의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서버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다향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를 통하여, 변경되는 데이터에 관해서만, 업로드,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공유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데이터 양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화면 공유는 1:1을 포함한 1:N까지 확장되는 개념이며,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다수의 영상 통화 상대방들에게 실시간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의 UI 화면 및 공유되고 있는 컨텐츠의 제어를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컨텐츠를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는 각종 컨텐츠를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캘린더, 메모, 리스트 등을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인 일정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통신 단말기 내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A/V 입력부
13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60 : 제어부
170 : 디스플레이부
180 : 오디오 출력부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영상통화 연결되는 단계;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화면 공유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 영상 통화를 요청하거나,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의 영상 통화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캘린더 또는 리스트 또는 일정 관리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항목을 변경하거나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항목에 소정 정보를 연결시키는 수정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정 입력이 수신된 항목의 데이터를 변경하고,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정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정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서버와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서버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공유 권한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영상통화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카메라를 포함하는 AV 입력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면 공유를 위한 명령을 수신되는 경우, 표시되는 컨텐츠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캘린더 또는 리스트 또는 일정 관리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경하고,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을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정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의 표시 영상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서버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110003252A 2011-01-12 2011-01-12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81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52A KR20120081879A (ko) 2011-01-12 2011-01-12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52A KR20120081879A (ko) 2011-01-12 2011-01-12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79A true KR20120081879A (ko) 2012-07-20

Family

ID=4671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252A KR20120081879A (ko) 2011-01-12 2011-01-12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18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198B1 (ko) * 2013-09-26 2014-03-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간 기능 공유 방법, 그 단말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40090289A (ko) * 2012-12-17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664407B1 (ko) * 2016-05-03 2016-10-10 송혜선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별 온라인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별 온라인 기록 관리 방법
WO2024022052A1 (zh) * 2022-07-26 2024-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终端的控制方法、系统、显示设备以及存储介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289A (ko) * 2012-12-17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74198B1 (ko) * 2013-09-26 2014-03-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간 기능 공유 방법, 그 단말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664407B1 (ko) * 2016-05-03 2016-10-10 송혜선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별 온라인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별 온라인 기록 관리 방법
WO2017191876A1 (ko) * 2016-05-03 2017-11-09 송혜선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별 온라인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별 온라인 기록 관리 방법
CN107924453A (zh) * 2016-05-03 2018-04-17 宋惠先 利用网络的个人网上记录管理系统及办法
JP2018528494A (ja) * 2016-05-03 2018-09-27 ソン、ヘ ソンSONG, Hye Sun ネットワークを通じた個人別オンライン記録管理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個人別オンライン記録管理方法
WO2024022052A1 (zh) * 2022-07-26 2024-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终端的控制方法、系统、显示设备以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770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에서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EP2658228B1 (en) Mobile terminal adapt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309707B1 (en) Mobile terminal and data extract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US866135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895945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JP6509695B2 (ja) 移動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299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74694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04031A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084962A1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in
KR20150026162A (ko) 전자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1600012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8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467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digital devices
KR20100105005A (ko) 듀얼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300348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KR201300018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19309A1 (en) Task perform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20081879A (ko)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5250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763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6014A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20050226A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1748259B1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20076015A (ko)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