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728B1 -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728B1
KR102065728B1 KR1020180076026A KR20180076026A KR102065728B1 KR 102065728 B1 KR102065728 B1 KR 102065728B1 KR 1020180076026 A KR1020180076026 A KR 1020180076026A KR 20180076026 A KR20180076026 A KR 20180076026A KR 102065728 B1 KR102065728 B1 KR 10206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urvature
curved
radius
pre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89A (ko
Inventor
김환진
김윤희
오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18007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7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원하는 곡면형태로 휘어 제작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휘어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목표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양한 곡률을 갖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A curved display panel, a curved display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curved display}
본 발명은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원하는 곡면형태로 휘어 곡면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근래에는 영상의 몰입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곡면형태로 휜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 시 처음부터 휘어 제작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기 위한 설비비가 높기 때문에 평면형태로 제조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얇게 식각한 후 휘는 형태로 제조한다.
이러한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는 종래의 방법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5509호(2015.3.10.공개)의 "곡면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방법"에 개시된 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곡면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방법은 지그의 곡률반경에 따라 제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반경이 결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곡률반경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 곡률반경에 맞춰 지그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작할 때에는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한번에 큰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로 휘도록 형성한 후, 기준 곡률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다양한 곡률로 변형 가공함으로써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에 따른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휘어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기준 곡률반경보다 크거나 작은 곡률의 목표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곡률반경을 갖는 지그에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착시켜 곡면형태로 휘는 단계, 및 상기 지그에 안착되어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이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프리스트레스 부재를 상기 지그에 에 의해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프리스트레스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에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곡률유지부재를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의 이전에,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목표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는 상기 목표 곡률반경을 갖는 목표곡률 설정부재에 상기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프리스트레스부재, 및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의 기준 곡률로 휘어져 프리스트레스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기준 곡률반경을 갖도록 상호 고정하는 곡률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곡면으로 휘어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 고정하는 프리스트레스부재, 및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가 부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기준 곡률반경보다 크거나 작은 곡률의 목표 곡률반경으로 휘어 고정하는 목표곡률 설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가 갖는 기준 곡률반경으로 유지시키는 곡면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하는 프리스트레스부재를 부착하여 미리 설정된 곡률반경으로 휘고, 다시 목표곡률 설정부재를 통해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휠 때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곡률에 맞춰 용이하게 휠 수 있어 다양한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지그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지도록 프리스트레스부재를 부착한 후, 목표곡률 설정부재에 의해 원하는 목표 곡률반경으로 휘기 때문에 목표곡률 설정부재의 곡률반경에 따라 다양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곡률반경에 따라 각각 지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에서 기준 곡률로 휘어진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그에 의해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에서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그 없이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목표곡률 설정부재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단면도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곡률이 서로 다르게 휘어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작방법은 먼저,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곡면형태로 휘어진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원하는 곡률반경(R2)으로 휘기 이전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갖도록 기준 곡률반경(R1)을 가지도록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휠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굽혀지는 내측 면은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굽혀지는 외측 면은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작은 곡률반경으로 휠 때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양면에는 인장과 압축과 같은 휨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한번에 작은 곡률반경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휨 응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휘어짐 따라 발생하는 크랙 또는 깨짐의 발생 등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기준 곡률반경(R1)으로 휘어 프리스트레스를 갖는 경우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미리 휘어진 상태인 상태이기 때문에 원하는 목표 곡률반경(R2)으로 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굽히거나, 펼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인장력 및 압축력이 감소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더 용이하게 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가 가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기판조직이 안정화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어느 한 부분이 불 균일하게 굽혀져 발생되는 무아레(moire)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이렇게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기준 곡률반경(R1)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휘면, 원하는 목표 곡률반경(R2)으로 용이하게 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곡률반경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부재를 고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리스트레스부재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고정됨에 따라, 프리스트레스부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유발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상당히 해소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곡면화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며, 또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프리스트레스를 갖기 위해 휘어지는 기준 곡률반경(R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크기에 따라 시장에서 요구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최대 곡률반경과 최소 곡률반경의 중간 값일 수 있다.
예컨대, 시장에서 요구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최대 곡률반경이 2000mm 이고, 최소 곡률반경이 800mm 일 경우, 프리스트레스를 갖기 위해 휘어지는 기준 곡률반경(R1)은 1400mm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기준 곡률반경(R1)으로 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두께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를 감소시킬 때에는 화학적인 식각에 의해 두께를 감소시키거나, 기계적인 연마를 통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양면 또는 어느 한 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컬러필터기판, TFT기판, 그리고, TFT기판과 컬러필터기판의 사이에 위치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LCD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OLED, PDP 등의 다양한 종류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를 감소시킬 때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감소된 두께보다 더 두께가 두꺼워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의 전체 또는 테두리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두께가 감소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곡면형태로 휠 때, 강성을 가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돌출부를 형성할 부분을 미리 기계적인 연마를 통해 두께를 감소시키고,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연마된 돌출부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전면적으로 식각하는 형태로 돌출부의 형성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돌출부를 기계적인 연마를 통해 미리 두께를 감소시킨 상태에서 돌출부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더욱 얇은 두께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작할 때에는 기준 곡률반경(R1)을 갖는 프리스트레스부재(130)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고정하여 휘어진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스트레스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체 테두리의 형상 또는 테두리의 일부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프리스트레스부재(130)의 기준 곡률반경에 맞춰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스트레스부재(130)는 프리스트레스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나 또한 탄성력을 가지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프리스트레스부재(130)는 휘어진 형상에서 일정 정도 변형이 가능하며, 예컨대, 형상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스트레스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 면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제2 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프리스트레스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 면 및 그 반대방향에 위치된 제2 면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곡면유지부재(150)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부재(130)의 기준 곡률반경(R1)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곡면을 유지할 수 있다.
곡면유지부재(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부재(130)를 접착할 수 있는 접착부재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프리스트레스부재(130)에 끼워 고정하는 끼움 구조로 구현되거나,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결합 구조로 구현되거나,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호 부착성과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낮은 접착부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접착부재는 예컨대, 열경화성, 상온경화성 또는 UV경화성을 갖는 접착제일 수 있으며, 양면에 접착면을 갖는 양면 접착테입일 수도 있다.
접착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리스트레스부재(1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접착하는 형태로 프리스트레스부재(130)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휘어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접착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리스트레스부재(130)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되거나, 부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겹치는 형태로 상호 접착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부재(130)를 고정할 때에는 프리스트레스부재(130)와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지그(300)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지그와 대응되는 곡률로 휘어지도록 안착시킨 상태에서 프리스트레스부재(130)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지그(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안착되는 표면에 복수 개의 흡기공이 형성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공상태를 만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지그(300)의 곡률을 따라 휘어져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그(300)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안착시킨 후, 곡률유지부재(15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프리스트레스부재(130)가 부착되도록 지그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곡률유지부재(150)를 설치하거나, 프리스트레스부재(130)에 곡률유지부재(150)를 설치하여 상호 부착시킨다.
이 후, 지그(3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분리하여 기준 곡률반경(R1)으로 휘어져 프리스트레스를 갖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한다.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지그(300)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지그(300)를 사용하지 않고도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리스트레스부재(130) 중 어느 하나에 곡률유지부재(150)를 설치한 상태에서 프리스트레스부재(130)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강제적으로 휘어 부착하는 형태로도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프리스트레스부재(130)의 부착에 의해 기준 곡률반경(R1)으로 휘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기판 조직의 안정화를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온 또는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조직을 안정화 시키는 안정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기준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조되면, 목표 곡률반경(R2)로 휘어 원하는 목표 곡률반경(R2)을 갖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목표 곡률반경(R2)으로 휠 때에는 목표 곡률반경(R2)을 갖는 목표곡률 설정부재(170)에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고정하는 형태로 휠 수 있다.
여기서, 목표곡률 설정부재(170)는 일부 또는 전체에 목표 곡률반경(R2)을 가져 기준 곡률반경(R1)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원하는 목표 곡률반경(R2)로 휘어지도록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목표곡률 설정부재(170)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끼워 고정하는 케이스, 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유닛, 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고정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도면에서 목표곡률 설정부재(170)는 백라이트유닛을 적용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목표곡률 설정부재(170)는 목표 곡률반경(R2)으로 휘어진 투명판 또는 금속판으로 구현되어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프리스트레스(130)이 부착된 뒷면에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목표 곡률반경(R2)으로 휘어져 안착되는 몰드에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부어 경화시키는 형태로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목표곡률 설정부재(170)를 형성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목표곡률 설정부재(170)에 끼워지는 끼움 구조, 또는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재, 또는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하는 형태로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목표곡률 설정부재(170)이 갖는 목표 곡률반경(R2)로 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곡률 설정부재(170)의 목표 곡률반경(R2)은 기준 곡률반경(R1)보다는 큰 곡률을 가져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펼쳐 고정하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준 곡률반경(R1)보다는 작은 곡률을 가져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더 휘어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곡률 설정부재(170)의 목표 곡률반경(R2)은 일부는 일직선 형태이고 나머지 일부만 목표 곡률반경(R2)을 가지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속성을 가지며 일부 원하는 구간마다 목표 곡률반경(R2)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어 더욱 다양한 형태의 곡률반경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기준 곡률반경을 갖는 프리스트레스부재(130)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가지도록 곡면유지부재(150)에 의해 상호 접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갖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이용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그리고,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원하는 목표 곡률반경을 갖는 목표곡률 설정부재에 설치하여 원하는 형태의 목표 곡률반경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다양한 곡률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작하기 위해 각 곡률반경과 대응되는 지그(200)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용이하게 휘어지도록 프리스트레스를 미리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지그(200)를 통해 목표 곡률반경(R2)을 갖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또한,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휠 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프리스트레스부재(130)에 의해 미리 휨 응력을 가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고정된 프리스트레스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발생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상당히 해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곡면화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며 또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110: 디스플레이 패널
130: 프리스트레스부재 150: 곡면유지부재
170: 목표곡률 변형부재 200: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300: 지그
R1: 기준 곡률반경 R2: 목표 곡률반경

Claims (11)

  1.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휘어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기준 곡률반경보다 크거나 작은 곡률의 목표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곡률반경을 갖는 지그에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착시켜 곡면형태로 휘는 단계, 및
    상기 지그에 안착되어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이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프리스트레스 부재를 상기 지그에 안착되어 곡면형태로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프리스트레스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에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곡률유지부재를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의 이전에,
    상기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목표 곡률반경으로 휘는 단계는
    상기 목표 곡률반경을 갖는 목표곡률 설정부재에 상기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곡면으로 휘어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 곡률반경으로 휘어 고정하는 프리스트레스부재, 및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가 부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기준 곡률반경보다 크거나 작은 곡률의 목표 곡률반경으로 휘어 고정하는 목표곡률 설정부재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프리스트레스부재가 갖는 기준 곡률반경으로 유지시키는 곡면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76026A 2018-06-29 2018-06-29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KR10206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26A KR102065728B1 (ko) 2018-06-29 2018-06-29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26A KR102065728B1 (ko) 2018-06-29 2018-06-29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89A KR20200002489A (ko) 2020-01-08
KR102065728B1 true KR102065728B1 (ko) 2020-01-13

Family

ID=6915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026A KR102065728B1 (ko) 2018-06-29 2018-06-29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823B1 (ko) * 2021-02-10 2023-09-2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곡률을 가지는 박막의 형성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전자 소자
KR102574648B1 (ko) * 2022-06-23 2023-09-06 이피네트시스템즈 주식회사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987A (ko) * 2013-07-25 2015-02-06 주식회사 유플러스비젼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KR101539221B1 (ko) * 2013-08-30 2015-07-28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89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221B1 (ko) 곡면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제조방법
EP2775344B1 (en) Curv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EP3364238B1 (en) Curved surface backlight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150013987A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EP2741126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surface display
EP2741127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surface display
US2006009815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urved display
WO2021007811A1 (zh) 柔性显示装置、电子设备及柔性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04300089A (zh) 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7272107A (ja) 表示装置
TWI464499B (zh) 背光模組及使用其之顯示裝置
WO2015135229A1 (zh) 背板、用该背板的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KR102065728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방법
CN110570772A (zh) 柔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US9983426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display module
US75673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ing hook assembly
JP2010224102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61309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5107488A (ja) 液晶表示装置
JP2016061977A (ja) 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20140091834A (ko) 백라이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6176924A1 (zh) 光源组件及背光模块
KR20170040848A (ko) 곡면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디스플레이
JP7463400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組立方法
WO2014073143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