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023B1 -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 Google Patents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023B1
KR102065023B1 KR1020180077991A KR20180077991A KR102065023B1 KR 102065023 B1 KR102065023 B1 KR 102065023B1 KR 1020180077991 A KR1020180077991 A KR 1020180077991A KR 20180077991 A KR20180077991 A KR 20180077991A KR 102065023 B1 KR102065023 B1 KR 102065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ttance
transmittance
variable
light
direct sun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성
Original Assignee
조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성 filed Critical 조용성
Priority to KR102018007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8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the screen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Abstract

외부 환경에 따라 고가도로의 진입로나 터널의 출구 등에 진입한 운전자의 시야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지면에 설치된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며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로 입사될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광투과율 가변 패널이 구비된 광투과율 조절부를 포함하는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도로에 가까워질수록 직사광선 본연의 휘도값에 근접한 빛을 고가도로 진입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일반도로와 고가도로 사이에 작용하는 휘도 차이를 극복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력 급감에 따른 고가도로 진입로에서의 교통사고 및 교통 체증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LIGHT TRANSMISSIVITY BEING ABLE TO CONTROL LIGHT TRANSMISSIVITY}
본 발명은 고가도로의 진입로 등에 설치되는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에 따라 고가도로의 진입로나 터널의 출구 등에 진입한 운전자의 시야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 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요인 중에 하나가 조명 등의 인공광이나 태양광 등에 의한 직사광선이다. 이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사람의 눈으로 직접 입사되는 직사광선은 반사광이나 산란광과 달리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시키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안전운행을 하는데 있어 큰 지장을 받게 된다.
또한, 고가도로 진입 시 또는 터널의 진출입 시에 운전자에게서 발생되는 시각 장애는, 전방의 인지성 저하 현상을 가져와서 차량의 주행 속도를 급격히 감소시키는 경우가 많아 도로의 차량 정체를 유발하게 되고, 심하게는 교통사고의 발생 우려가 커지게 되므로, 시각 장애에 의한 폐해가 극심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사광선 구간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직사광선의 위험상황을 알려주어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직사광선 구간에 진입한 경우 직사광선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고가도로 진입로나 터널의 출구 등에서 이를 통과하는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직사광선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해서는 해당 일시의 태양의 위치, 운전자의 시야 위치, 주변의 지형지물이나 구름 안개 등 직사광선 방해 요인 등을 계산하거나,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고가도로의 진입로나 터널의 출구방향으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광량을 조절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직사광선이 운전자의 눈으로 유입되어 눈부심 등을 유발하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실제 측정해야 하는 변수들이 다양하고. 계산과정 또한 복잡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환경에 따라 일일이 직사광선의 광량을 조절해주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9820호(2012.02.28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318호(2013.07.1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6674호(2012.05.2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2228호(2016.04.2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의 고도나 태양의 휘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필요 없어 구성이 간단하고, 주행 중인 차량의 위치 변화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에게 다른 광량의 직사광선이 도달하도록 직사광선이 투과되는 각 존 별로 직사광선의 투과량을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수직형 직사광선 차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에 설치된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며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로 입사될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광투과율 가변 패널이 구비된 광투과율 조절부를 포함하는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도로의 진입로를 통과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선으로 점차 강하게 직사광선을 유입시켜 줌으로써 운전자가 태양의 직사광선에 적응할 시간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고가도로에 가까워질수록 직사광선 본연의 휘도값에 근접한 빛을 고가도로 진입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일반도로와 고가도로 사이에 작용하는 휘도 차이를 극복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력 급감에 따른 고가도로 진입로에서의 교통사고 및 교통 체증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도로 진입로에 수직적으로 설치된 수직적 구조물에 해당되므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직사광선 완화구간이 증가되어 휘도의 변동에 따라 눈이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휘도의 변동에 따라 운전자에게 불능 글레어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직사광선에 의한 운전자의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는 주변 환경이 조성된 경우, 교통관련정보를 운전자에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광선 차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사광선 차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투과율 조절부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고가도로에 설치된 본 발명의 직사광선 차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이하, '직사광선 차감장치'라고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광선 차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광선 차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사광선 차감장치는 지면에 설치된 지지수단(10), 및 상기 지지수단(10)에 설치되어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로 입사될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이 구비된 광투과율 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직사광선 차감장치는 고가도로 진입로에 설치된 경우, 차량이 고가도로 진입로를 통과하면 운전자에게 낮은 휘도에서부터 점차 상기 직사광선 본연의 휘도를 갖는 빛을 제공하여 고가도로로 진입한 운전자에게 발생되는 불능 글레어 현상에 의해 야기되는 교통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직사광선 차감장치는 터널의 출구에 설치된 경우, 터널의 출구로 유입되는 태양의 직사광선을 조절하여 터널의 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직사광선 본연의 휘도보다 감소된 휘도를 갖는 빛을 제공하여 터널의 출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터널 내외부의 휘도 차이를 극복하도록 함으로서 터널의 출구를 통과하는 운전자에게 발생되는 불능 글레어 현상에 의해 야기되는 교통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불능 글레어란 대상물의 휘도가 변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보기에 밝기가 저하되어 상기 대상물을 시인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능 글레어는 도로 조명의 경우 반대 방향에서 오는 자동차의 불빛이 불능 글레어를 발생시키거나 고가도로 진입로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에 의한 운전자의 순간 시력저하로 인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사광선 차감장치는 지지수단(1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10)은 광투과율 조절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광투과율 조절부의 설치 공간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고가도로 진입로나 터널 출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지표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수단(10)은 광투과율 조절부의 하부로 자동차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광투과율 조절부를 지표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예를 들어 3 내지 4m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수단(10)은 고가도로 진입로나 터널의 출구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광투과율 조절부를 설치하고 상기 광투과율 조절부를 도로의 노면으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수단(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 제1 수직 지지대(12) 및 제2 수직 지지대(14)와, 상기 제1 수직 지지대(12)와 제2 수직 지지대(14)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12)는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된 주춧돌부와, 상기 주춧돌부의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평 지지대를 기둥부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춧돌부, 기둥부, 및 체결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14)는 제1 수직 지지대(12)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대는 광투과율 조절부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수직 지지대(12)와 제2 수직 지지대(14) 사이에 광투과율 조절부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 수직 지지대(12)와 제2 수직 지지대(14)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수평 지지대(16)와 상기 제1 수평 지지대(16)에 이격되어 제1 수직 지지대(12)와 제2 수직 지지대(14)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수평 지지대(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수단(10)은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단일의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10)은 목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거나 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수단(10)은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별도의 장식품이 부착되거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수단(10)은 도로의 크기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그 길이가 특별이 한정되지는 않지만, 4 내지 10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사광선 차감장치는 광투과율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투과율 조절부는 지지수단(10)에 설치되어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에 직광 완화구간을 생성하는 것으로,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해 자체로 유입되는 태양의 직사광선에 대한 투과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직광 완화구간이란 운전자가 태양 직사광선의 휘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시선으로 점차 높은 휘도의 빛을 제공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광투과율 조절부는 상기 직광 완화구간에서 점차 높아지는 휘도의 직사광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투과율 조절부는 고가도로 진입로의 입구 쪽에서부터 출구 쪽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휘도가 높아진 빛을 제공하다가, 최종적으로 태양 직사광선 본연의 휘도에 근접한 휘도를 가지는 빛을 운전자의 시선으로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광투과율 조절부는 최상단에 설치된 광투과율 가변 패널에서 최하단에 설치된 광투과율 가변 패널로 내려갈수록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의 직사광선 투과율이 증가된다. 예를 들면, 최상단에 설치된 제1 광투과율 가변 패널(21)은 50%의 직사광선 투과율을 갖고, 상기 제1 광투과율 가변 패널(21)의 하측에 설치된 제2 광투과율 가변 패널(22)은 60%의 직사광선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제2 광투과율 가변 패널(22)의 하측에 설치된 제3 광투과율 가변 패널(23)은 70%의 직사광선 투과율을 갖고, 상기 제3 광투과율 가변 패널(23)의 하측에 설치된 제4 광투과율 가변 패널(24)은 80%의 직사광선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제4 광투과율 가변 패널(24)의 하측인 최하단에 설치된 제5 광투과율 가변 패널(25)은 90%의 직사광선 투과율을 갖는다.
이러한 광투과율 가변 패널은 직사광선이 그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를 제공하다가, 선택적으로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패널이라면 어떠한 패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면 PDLCD(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투과율 조절부는 고가도로 진입로의 입구쪽에서 운전자에게 낮은 휘도의 빛을 제공한 후 고가도로 진입로의 출구쪽에서 운전자에게 높은 휘도의 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투과율 조절부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투과율 조절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 태양정보 데이터베이스(40), 통신모듈(50), 기상관측용센서(60),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 태양정보 데이터베이스(40), 통신모듈(50)는 지지수단(10)의 일측에 설치된 관리함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는 복수개의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에 연결되어 각 광투과율 가변 패널(20)마다 광투과율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10)의 제1 수평 지지대(16)와 제2 수평 지지대(18)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는 복수개의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광투과율이 높아지도록 각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의 광투과율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아래쪽에 위치한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을 통과하는 직사광선의 투과량이 위쪽에 위치한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을 통과하는 직사광선의 투과량보다 증가되므로, 고가도로 진입로의 입구 방향이나 터널의 출구 방향으로 주행하는 운전자는 복수개의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에 의해 점차 높은 휘도의 직사광선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태양정보 데이터베이스(40)는 날짜별 태양의 위치데이터와, 상기 지지수단(10)이 설치된 지면의 위도와 경도의 좌표값을 갖는 지역데이터가 저장된 것으로, 상기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의 요청에 따라 당일의 태양의 위치데이터와 직사광선 차감장치의 지지수단(10)이 설치된 지면의 좌표값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태양정보 데이터베이스(40)는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에 연결된다.
이러한 태양정보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위치데이터 및 지역데이터를 전송받은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는 상기 위치데이터 및 지역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짜별로 광투과율 가별 패널의 광투과율을 조정한다. 이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지지수단(10)이 설치된 고가도로의 진입로에 도달하는 빛의 세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는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의 경사도와, 위치데이터, 및 지역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짜별로 광투과율 가별 패널의 광투과율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의 경사도는 태양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 미리 저장되거나,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에 내장된 메모리 등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는 날짜별로 광투과율 가별 패널의 광투과율을 조정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가도로 진입로의 구조에 따라 적합한 광투과율을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가도로의 경사도를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모듈(50)은 외부의 기상관측시스템과 유무선 통신네트워크(이하, "통신네트워크"라고 약칭함)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기상관측시스템으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받는 것으로, 상기 기상정보를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로 제공한다. 또한, 통신모듈(50)은 외부의 관리서버와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는 상기 통신모듈(50)을 통해 수신된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지지수단(10)이 설치된 지역의 기상상황에 따라 광투과율 가별 패널의 광투과율을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기상관측용센서(60)는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도로의 기상상황을 감지하여 기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에 연결되어 상기 기상정보를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로 제공한다. 이때,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는 상기 기상관측용센서(60)를 통해 수집된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영역의 기상상황에 따라 광투과율 가별 패널의 광투과율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사광선 차감장치는 교통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부는 지지수단(10)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투광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의 주변을 주행하는 운전자가 교통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받아 영상으로 출력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부는 통신모듈(미도시)과, 교통정보 컨트롤러(미도시), 스마트 글래스(7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부는 통신모듈과, 교통정보 컨트롤러와, 스크린부(미도시)와, 빔 프로젝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과, 교통정보 컨트롤러는 지지수단(10)의 일측에 설치된 관리함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 TPEG)로부터 제공된 교통정보를 수신받아 교통정보 컨트롤러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외부의 관리서버와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받은 교통정보를 교통정보 컨트롤러로 제공한다. 이러한 통신모듈은 광투과율 조절부의 통신모듈(50)과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광투과율 조절부의 통신모듈(50)과 함께 단일의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교통정보 컨트롤러는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교통정보가 상기 스마트 글래스나 빔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마트 글래스나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통신모듈 및 스마트 클래스에 연결되거나 통신모듈 및 빔 프로젝터에 연결된다. 이러한 교통정보 컨트롤러는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와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가변투과율 컨트롤러(30)와 함께 단일의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 글래스(70)는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비가 내리거나 저녁 등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이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직사광선 안전 시간대에서 운전자가 교통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을 바라보는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직사광선에 안전한 시간대 중 주간에는 기상 위험 및 전방 사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주변 경관을 개선시키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직사광선에 안전한 시간대 중 야간에는 운전자의 졸음 방지를 위해 운전자의 시각을 환기시키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글래스(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을 커버하도록 각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의 전면에 설치되며,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이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때에는 직사광선이 그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빔 프로젝터는 스크린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스크린부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수단(10)에 설치된다. 또한, 빔 프로젝터는 교통정보 컨트롤러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신호를 스크린부로 출력한다.
상기 스크린부는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빔 프로젝터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것으로, 비가 내리거나 저녁 등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이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직사광선 안전 시간대에서 운전자가 교통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을 바라보는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스크린부는 투명/불투명 변환필름(전원인가에 따라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환하는 필름)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필름을 소위 매직글라스나 매직필름라고도 하는데, 매직필름은 두 개의 ITO(Indium Tin Oxide)로 전극을 형성한 후 PLD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를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한 변환필름이다. 상기 매직글라스는 글라스, PC(Polycarbonate), 및 아크릴 사이에 ITO로 전극을 내장시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불투명 변환필름이란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순간적으로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 변환시키는 필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투명/불투명 변환필름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투명한 투명창을 불투명하게 변환시키고,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투명한 투명창의 투명도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투명/불투명 변환필름은 전압의 변화에 따라 투명도를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스크린부는 평소에는 투명하게 보이고, 광투과율 가변 패널(20)이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없을 때 불투명하게 보이며, 불투명하게 보일 때 빔 프로젝터로부터 교통정보가 촐력되면 양면에 영상이 맺힌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사광선 차감장치는 태양전지(80) 및 충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80)는 상용전원을 광투과율 가변 패널에 연결하지 않더라도 광투과율 가변 패널이 동작할 수 있도록 광투과율 가변 패널에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태양광이 원활히 도달하는 지지수단(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지는 상기 태양전지(80)를 통해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태양전지(80)에 연결된다. 그리고 충전지는 전술한 관리함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지지수단 12 : 제1 수직 지지대
14 : 제2 수직 지지대 16 : 제1 수평 지지대
18 : 제2 수평 지지대 20 : 광투과율 가변 패널
21 : 제1 광투과율 가변 패널 22 : 제2 광투과율 가변 패널
23 : 제3 광투과율 가변 패널 24 : 제4 광투과율 가변 패널
25 : 제5 광투과율 가변 패널 30 : 가변투과율 컨트롤러
40 : 태양정보 데이터베이스 50 : 통신모듈
60 : 기상관측용센서 70 : 스마트 글래스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된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며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로 입사될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광투과율 가변 패널이 구비된 광투과율 조절부를 포함하는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율 조절부는
    직사광선이 그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를 제공하다가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개의 광투과율 가변 패널;
    날짜별 태양의 위치데이터와, 상기 지지수단이 설치된 지면의 위도와 경도의 좌표값을 갖는 지역데이터가 저장된 태양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개의 광투과율 가변 패널에 연결되어 각 광투과율 가변 패널마다 광투과율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의 경사도와 상기 위치데이터 및 지역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짜별로 광투과율 가변 패널의 광투과율을 조정하는 가변투과율 컨트롤러; 및
    상기 광투과율 가변 패널에 설치되어 직사광선 안전 시간대에 교통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광투과율 가변 패널이 직사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때에 직사광선이 그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스마트 글래스와, 외부의 관리서버와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교통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교통정보가 상기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마트 글래스를 제어하는 교통정보 컨트롤러로 구성된 교통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율 조절부는 기상관측시스템과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기상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투과율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지지수단이 설치된 지역의 기상상황에 따라 광투과율 가별 패널의 광투과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율 조절부는 상기 관리영역으로 지정된 도로에 대한 기상정보를 생성하는 기상관측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투과율 컨트롤러는 상기 기상관측용센서를 통해 수집된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영역의 기상상황에 따라 광투과율 가별 패널의 광투과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7. 삭제
KR1020180077991A 2018-07-05 2018-07-05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KR102065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991A KR102065023B1 (ko) 2018-07-05 2018-07-05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991A KR102065023B1 (ko) 2018-07-05 2018-07-05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023B1 true KR102065023B1 (ko) 2020-01-13

Family

ID=6915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991A KR102065023B1 (ko) 2018-07-05 2018-07-05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02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2928A (ja) * 2002-10-02 2004-04-22 Noba Denko Kk 移動体用防眩装置
KR20120008917A (ko) * 2010-07-21 2012-02-01 조용성 직사광선에 대한 순응을 위한 수직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KR101146674B1 (ko) 2010-08-05 2012-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 투과율 가변 윈도우
KR20130004318U (ko) 2013-05-24 2013-07-11 주식회사 아이라이트 자연광 순응을 위한 터널출입 구조물
KR200475263Y1 (ko) * 2014-10-07 2014-11-19 한국도장 주식회사 전방 교통 상황 표시 시스템
KR101542684B1 (ko) * 2014-02-04 2015-08-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1303A (ko) * 2014-07-21 2016-02-01 오병윤 전류제어에 의해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블라인드
KR101612228B1 (ko) 2015-06-12 2016-04-27 주식회사 토러스테크날리지 빛의 투과율이 가변되는 필름 및 필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2928A (ja) * 2002-10-02 2004-04-22 Noba Denko Kk 移動体用防眩装置
KR20120008917A (ko) * 2010-07-21 2012-02-01 조용성 직사광선에 대한 순응을 위한 수직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KR101119820B1 (ko) 2010-07-21 2012-02-28 조용성 직사광선에 대한 순응을 위한 수직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KR101146674B1 (ko) 2010-08-05 2012-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 투과율 가변 윈도우
KR20130004318U (ko) 2013-05-24 2013-07-11 주식회사 아이라이트 자연광 순응을 위한 터널출입 구조물
KR101542684B1 (ko) * 2014-02-04 2015-08-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1303A (ko) * 2014-07-21 2016-02-01 오병윤 전류제어에 의해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블라인드
KR200475263Y1 (ko) * 2014-10-07 2014-11-19 한국도장 주식회사 전방 교통 상황 표시 시스템
KR101612228B1 (ko) 2015-06-12 2016-04-27 주식회사 토러스테크날리지 빛의 투과율이 가변되는 필름 및 필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0414B (zh) 用于机动车辆驾驶员或乘客的自适应眼镜
KR101228669B1 (ko)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2027086B1 (ko) 주변 환경에 따라 제한 속도가 변경되는 가변형 교통표지판 시스템
CN202879210U (zh) 汽车挡光屏装置
US10688915B1 (en) Virtual driver display for autonomous vehicle
CN102700385B (zh) 一种汽车会车防强光装置及防强光方法
CN106004361B (zh) 车用遮光板、遮光板系统、车辆及遮光和显示方法
CN202944179U (zh) 一种基于液晶玻璃的防眩目驾驶辅助系统
KR20180112989A (ko) 우천시 차선 시인성 개선장치
KR102065023B1 (ko) 투과율 가변형 직사광선 차감장치
CN107990243B (zh) 一种多维度复合配光路灯
KR101463398B1 (ko) 터널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조명제어방법
KR102073939B1 (ko) Bis 연동 버스정보안내 표시장치
CN104407450B (zh) 一种防眩液晶眼镜的设计方法与装置
KR20180096126A (ko) 투과도의 자동 조절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차광판
Danishmal et al.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Tunnel Lighting and its Role in Reducing Traffic Accidents
KR20210095602A (ko) 야간 및 시야가 좋지 않은 날씨에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행유도선 진출로 표시장치
US10972678B2 (en) Image acquisition device,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acquisition device
KR102142973B1 (ko) 횡단보도용 그늘막
CN114253016A (zh) 智能挡风玻璃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Padmos et al. Matrix signs for motorways: System design and optimum photometric features
KR102571287B1 (ko)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KR20160090585A (ko) 교차로용 경보 장치 및 그의 경보 시스템
KR20110062057A (ko) 엘시디 미러 장치
CN113299057B (zh) 一种交通安全激光警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