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287B1 -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287B1
KR102571287B1 KR1020220190168A KR20220190168A KR102571287B1 KR 102571287 B1 KR102571287 B1 KR 102571287B1 KR 1020220190168 A KR1020220190168 A KR 1020220190168A KR 20220190168 A KR20220190168 A KR 20220190168A KR 102571287 B1 KR102571287 B1 KR 10257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vehicle
safe driving
guidance system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운
조범연
김경상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엔 filed Critical (주)에스티엔
Priority to KR102022019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4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of traffic, e.g. cars on the road, trains or boa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로부터 판단된 안내 정보를 도로의 통행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표시수단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에 설치되어 도로 사정을 수집하는 검지수단을 포함하고, 검지수단은, 도로의 통행 방향을 따라 표시수단의 전단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며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을 포함하는 범위로 형성되는 객체 인식 구간을 제공하는 객체감지부를 포함하며, 교통 상황을 능동적으로 판단하여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DETECTING DEVICES OF ROAD CONDITION FOR SAFE DRIVING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 표지를 표시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 상황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도로 상황 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동의 편의성 등으로 인해 수많은 자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심지를 벗어난 국도변의 험한 굴곡도로나, 고속도로의 커브길, 또는 고속도로의 진출입 구간 등의 곡선도로상에서는 차량의 진행경로를 사전에 파악하기 위한 시야확보가 어려운 이유로 시선유도시설이 설치된다.
도로에 설치되는 시선유도시설은 차도의 측방에 설치되어 도로 끝 및 도로 선형을 명시함으로써 주간 및 야간에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로, 시선유도표지, 갈매기표지 또는 표지병 등의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시선유도시설은 야간에도 운전자에게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반사시트가 설치된 표시판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표지는 각자의 기능을 갖는데, 주행 경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주행 경로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거나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 면에서 동일하게 기능한다.
또한, 다른 안전시설로 활용되는 조명시설은, 야간이나 터널과 같이 밝기가 급변하는 장소에서 도로 이용자가 항상 안전하고 불안감 없이 통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된다. 조명시설에는 연속조명과 국부조명 및 터널조명이 포함되며, 이들 조명은 설치 효율이 큰 구간부터 우선적으로 설치된다. 즉, 조명시설은 야간에 교통사고 발생 우려가 높은 곳에 우선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차량의 통행량이 부족한 도로인 경우 야간 운행을 보조하기 위한 조명이 설치되지 않는 무조명 도로 구간으로 존치된다. 즉, 전술한 조명시설이 설치되지 않는 구간이 도로 상에 존재하게 된다. 조명시설이 없는 도로의 경우 위의 시선유도표지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조명시설이 설치된 구간이라 하더라도 통행되는 교통량을 기준으로 조명의 조도인 밝기가 변경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도로에는 방향 또는 특정위치를 안내 또는 지시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들이 도로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안전시설, 표지판 및 구조물들은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 시선유도표지나 표지병의 경우 국소적ㆍ불규칙적인 설치위치로 인해 시선 연계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거나, 기하적 구조의 형태 및 배치에 따라 시인성 유도가 한정되거나, 돌출형태로 차량에 의해 파손되어 2차사고를 유발하거나, 도로 청소차량의 청소솔(철 재질)에 의해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어 그 결과 이물질이나 먼지가 지속적으로 스크래치 부위에 쌓이게 됨으로써 정상 휘도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한편, 도로제설 작업시 도로표면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매년 유지보수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시선유도표지는 야간 시 유도등 형태로 제공되어 운전자의 인식률을 높이도록 하고 있으나, 주행량이 적은 도로 구간에서는 활용도가 저하되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과속이 잦은 구간이나, 통행량이 부족한 무조명 도로 구간에 설치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과속 방지를 위한 안전 운전 안내를 하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 속도 감지 및 안전 운전 안내 시스템의 경우 레이더, 레이저 또는 루프 감지기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LED 전광판 등을 이용하여 속도만을 표출하거나, 규정 속도 준수와 규정 속도 위반을 구분하여 속도 표출 색상을 바꾸거나 깜박임을 주어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안내하고 있으며, 최근 좀 더 운전자의 주의력 상기를 위하여 속도 표출과 함께 웃는 얼굴, 찡그린 얼굴 등의 이미지를 표출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차량의 감속 및 안전 운전에 어느 정도 기여를 할 수 있으나, 종래의 시스템의 경우 차량의 속도만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내용만을 표출하여 안전 운전을 안내할 뿐, 전방의 사물이나 정체 구간 등에 따른 위험을 사전에 운전자에게 알려주질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시스템은 다수의 LED를 설치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발광되게 하여 원하는 형상이나 문자 등을 표시하는 LED 전광판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전광판 형태의 시스템은 조명시설로의 효과가 없기 때문에 무조명 설치 구간에서는 여전히 야간 운행 시 주행 환경이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한편, 통상의 도로를 포함한 고속도로에서는 차선 및 차량의 주행 방향이 정해진 상태에서 소정 범위의 속도로 차량을 운행하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특히, 고속도로에서는 정체 구간을 주행 중인 경우나, 차량 고장 또는 교통사고 발생 시를 제외하곤 후속하는 차량에 대한 추돌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저속 주행 및 차로 내 정차를 제한하고 있다. 즉, 일반도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대부분인 고속도로의 경우 과속 주행의 위험은 물론 저속 주행으로 인한 교통사고도 유발되고 있으며, 정차 차량으로 인한 추돌 사고의 위험도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속도 감지 및 안전 운전 안내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 과속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하여 안전 운전을 유도하고 있으나, 속도 정보 등을 전광판 화면으로 표시하게 되므로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졸음이나 저속 주행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사고 유발에 대해서는 경각심을 인지시켜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굽은 길이나 산지 등과 같이 지형적인 구조로 인해 후방차량이 전방을 확인하기 어려워 안전거리를 미확보하거나 추월하려고 과속하여 교통사고가 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이에 따라, 도로의 무조명 구간이나 사고다발지역 등과 같이 위험 구간에 설치되어 야간 및 우천과 잦은 안개로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차량 및 환경에 감응하여 조명시설로서의 기능을 하면서도 안전운전 유도 및 졸음운전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676호 (2011.08.24.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무조명 구간이나 사고다발지역 등과 같이 위험 구간에 설치되어 야간 및 우천과 잦은 안개로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차량 및 환경에 감응하여 능동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안전운전 유도 및 졸음운전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 흐름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로부터 판단된 안내 정보를 도로의 통행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표시수단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활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도로에 설치되어 도로 사정을 수집하는 검지수단을 포함하고, 검지수단은, 도로의 통행 방향을 따라 표시수단의 전단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며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을 포함하는 범위로 형성되는 객체 인식 구간을 제공하는 객체감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객체감지부는 차량이 주행되는 방향과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객체감지부는 레이다 방식의 감지 센서로 구성된다.
여기서, 객체감지부는, 객체 인식 구간의 후단에 객체 진입 지점을 형성하며 표시수단의 전단측에서 객체 진입 지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객체감지부는, 객체 진입 지점이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의 후단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차량을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 내에 진입하기 전에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객체감지부는, 객체 인식 구간 내에서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 차량이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에 진입하는 시점 및 통과하는 시점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검지수단은, 객체감지부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설치하기 위한 구조체, 및 객체감지부를 구조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고정구를 더 포함한다. 이때, 회전고정구는 객체감지부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약 3° 내지 5°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더욱이, 검지수단은, 도로를 촬영하는 영상감지부, 및 도로의 주변 환경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환경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검지수단은 영상감지부 또는 객체감지부를 통해 도로의 이상(장애물, 사고 등)을 감지한다.
여기서, 환경감지부는, 도로의 주변 빛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되, 조도 센서에 의해 저조도 상황을 판별하며, 본 발명의 시스템은 주변 밝기와 비교하여 표시수단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검지수단은, 객체감지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보조검지부는, 객체감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객체 인식 구간에서 벗어난 지점에 설치되어 객체 인식 구간의 선행 또는 후행 도로 상황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보조검지부는 시스템이 설치되는 도로가 직선 구간인 경우 객체감지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선행 또는 후행 도로 상황을 검지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보조검지부는 시스템이 설치되는 도로가 곡선 구간이나 경사진 구간인 경우 운전자의 시야가 제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안전을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 방법에 의하면, 도로 위를 주행중인 주행 차량을 검출하여 교통 흐름을 수집하는 단계, 주행 차량의 주행 상태를 기반으로 안내 표지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안내 표지 신호에 의해 표시수단을 작동시켜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안내 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도로의 무조명 구간이나 사고다발지역 등과 같이 위험 구간에 설치되어 야간 및 우천과 잦은 안개로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차량 및 환경에 감응하여 능동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안전운전 유도 및 졸음운전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차량이 주행되는 방향과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교통 흐름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에 접근하기 전에 주행 차량을 검출하여 속도를 측정하고, 차량이 설치 구간 내에 진입 및 통과한 시점을 각각 검출할 수 있으므로 표시수단에 근접하기 전과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을 지나는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각적인 안내 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효율적 조명으로 도로의 지리적 정보 제공 및 운전자의 시각 및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 하여 장시간 운전에도 지루함 및 스트레스 해소를 기대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불가피하게 무조명 구간으로 존치될 수 밖에 없는 도로에 설치되어 효율적으로 최소한의 조명을 제공하고, 에너지 절감 효과 및 사고 예방이 가능하며, 도로 맞춤형으로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안전 운전을 유도하고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안내 표지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안내 표지가 실제로 구현된 모습을 도시한 이미지;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예시적인 제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로 상황 검지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객체가 표시된 제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검지부에 의해 역주행하는 차량을 검출한 제어 화면을 표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 굽은 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 언덕 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도로의 무조명 구간이나 사고다발지역 등과 같이 위험 구간에 설치되어 차량 운행 상황 및 도로 주변 환경에 감응하여 능동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운전자의 감속이나 안전운전을 유도하여 졸음운전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일부로 포함된다.
이러한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환경 감응 및 도로 맞춤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야간 및 우천과 잦은 안개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 또는 차량이 규정 속도를 벗어나는 상황에서와 같이 안전운전 유도가 필요한 때에 안내 표지를 시각적인 이미지로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도로의 차량 운행 상황 등의 교통 정보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적절한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시부의 일부 조명유닛이 생략되어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100)은 검지부(110), 제어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검지부(110)는 차량(20)이 통행하는 도로(10)에 설치되어 도로(10)의 일반적인 교통 사정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검지부(110)는 시스템이 설치된 도로(10)의 교통 상황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되는 정보는 일 예시로서 전방의 정체 구간 발생 등과 같이 통행량에 대한 정보나, 사고 차량 발생 정보, 또는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검지부(110)는 주행 속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20)의 객체를 검출하고 주행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차량검지기(VDS, Vehicle Detection System)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지부(110)에 의해 수집된 정보로부터 도로(10)의 교통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작동하고자 하는 안내 표지(D)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표시부(130)에 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에서 결정되는 안내 표지(D)는 시스템이 설치된 도로(10)의 교통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안내 표지(D)는 도로(10)를 주행하는 차량(20)의 주행 속도에 따라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경고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에서 결정되는 안내 표지(D)는 기호 또는 도형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검지부(110)에 의해 검출된 차량(20)의 진입 및 주행 속도를 확인하여 시스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차량(20)의 주행 속도에 따라 표시할 안내 표지(D)를 선택하여 표시부(130)에 해당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20)에는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도로교통 관제 시스템이나 도로시설의 기상관측 시스템과 통신될 수 있으며, 이에 추가적인 도로(10)의 사정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130)는 도로(10)에 설치되어 제어부(120)로부터 전달 받은 안내 표지(D)를 외부에 시각적인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안내 표지(D)를 도형으로 이루어진 패턴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130)는 도로(10)의 가장자리 차선(11)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유닛(131)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능동형 가변 디스플레이 시스템(AVDS, Active Varaiable Display Syst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도로의 무조명 구간이나 사고다발지역 등과 같이 위험 구간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 표지(D)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고 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유도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야간 및 우천과 잦은 안개로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차량 및 환경에 감응하여 능동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운전자의 안전운전 유도 및 졸음운전 방지와 함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검지부(110)는 차량(20)이 통행하는 도로(10)에 설치되어 도로(10)의 일반적인 교통 사정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검지부(110)는 차량이 주행되는 방향과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교통 흐름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검지부(110)는 도로(10)의 통행 방향을 따라 표시부(130)의 전단측에서 이격되게 설치되어 표시부(130)의 설치 구간을 포함하는 범위로 형성되는 객체 인식 구간을 제공하는 객체감지부(113)를 포함한다. 객체감지부(113)는, 객체 인식 구간의 후단에 객체 진입 지점을 형성하며 표시부(130)의 전단측에서 객체 진입 지점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객체감지부(113)는, 객체 진입 지점이 표시부(130)의 설치 구간의 후단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차량(20)을 표시부(130)의 설치 구간 내에 진입하기 전에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표시부(130)의 설치 구간에 진입하기 전에 차량(20)을 미리 검출하여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차량(20)이 표시부(130)의 설치 구간 내에 위치되는 것과 설치 구간을 빠져 나가는 것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검지부(110)는 도로(10)의 가장자리 차선(11)과 인접하여 위치되고, 도로(10)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지부(110)는 구조체(111, 112)를 통해 지면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구조체(111, 112)는 지주대(111)와 암대(112)를 포함한다. 즉, 검지부(110)는 직립되게 설치되는 지주대(111)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주대(111)에는 도로(10)를 향해 돌출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암대(112)가 설치된다. 암대(112)의 단부 측에는 차량감지기기(113) 및 촬영기기(114)가 설치된다. 또한, 검지부(110)는 각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제어부(120)에 전달하기 위한 컨트롤보드(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예컨대, 지주대(111)는 대략적으로 5.5m 내지 6m 길이의 지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 차선(11)으로부터 갓길 측으로 약 2.5m 정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암대(112)는 지주대(111)에서 도로(10)를 향해 약 1.5m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암대(112)의 단부 측에 차량감지기기(113) 및 촬영기기(114)가 설치되므로, 검지부(110)의 작동부분은 실질적으로 도로(10)로부터 약 1m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검지부(110)는 차량감지기기(113) 및 촬영기기(114)가 암대(112)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차로를 광범위하게 검지하도록 제공된다.
차량감지기기(113)는 차량(20)을 포함한 도로(10) 상의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객체감지센서는 라이다(Lidar) 또는 레이더(Radar) 방식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20)이 기준점을 통과하는 진입 시점을 검출하며 해당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객체감지센서는 예컨대, 초단파 방식의 검지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십Hz대(약 10GHz~24GHz)의 초단파를 발사한 후 차량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 온 반사파를 분석하여 교통정보 파라미터를 산출하게 된다. 즉, 객체감지센서는 펄스 도플러(Pulse-Doppler) 방식으로 측정을 실시할 수 있는데, 주행하는 차량(20)에 대한 주행 속도와 거리 탐지가 가능하며, 저전력과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렇게, 차량감지기기(113)는 레이더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흐름을 검지할 수 있으며, 차량(20)의 현재 주행 속도가 정상 범위에 있는지, 기준 속도를 초과하여 과속 주행하거나 현저하게 낮은 속도로 서행하고 있는지, 또는 정차 상태인지 등을 검출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차량감지기기(113)는 검지부(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객체인식구간을 통과하는 주행 차량(20)을 객체로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객체인식구간은 센서에 의해 감지 가능한 최대 거리와 대응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400m 떨어진 지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객체인식구간의 최초 인식 지점은 실질적으로 표시부(130)의 마지막 설치 위치로부터 150m 내지 200m 이격된 거리에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전방 400m 지점에 근접하거나 해당 지점을 지나는 차량(20)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거리는 사용되는 센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감지기기(113)의 객체인식구간은 표시부(130)의 설치 구간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량감지기기(113)는 표시부(130)가 설치된 구간에 진입한 차량을 충분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촬영기기(114)는 폐쇄회로TV(CCTV) 카메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기기(114)는 디지털 및 고화질 영상으로 교통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현장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촬영기기(114)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120)를 통해 가공되어 영상 분석에 활용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촬영기기(114)는 객체감지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에 보조 또는 부가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이에, 도로 상황을 더욱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검지부(110)의 촬영기기(114)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120)를 통해 도로의 이상(장애물, 사고 등)을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돌발 상황에 대한 위험 경고를 표시부(130)를 통해 각종 안내 패턴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전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한 이상 정보 판단과 함께, 차량감지기기(113)의 객체감지센서로부터 판별되는 이상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들에 의해 수집된 이상 정보는 제어부(120)로 전달되어 표시부(13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검지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감지기기(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감지기기(115)는 주변의 빛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115a) 및 온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115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조도 센서(115a)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시스템은 조도 정보에 기반하여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조명의 조도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측정된 조도 값에 따라 주야간 상태 또는 안개와 같은 상황을 검지할 수 있으며, 주변 밝기와 비교하여 표시부(130)의 LED 조명 조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표시부(130)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거나 저조도 상황에서 조도를 향상시켜 적정 밝기로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이에, 환경감지기기(115)는 야간 상황이나 안개로 인한 저조도 상황 등을 감지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감응하여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검지부(110)는 조도 측정, 습도 측정, 또는 온도 측정을 통해 도로(10)의 주변 환경을 측정할 수 있으며, 주간이나 야간 상황을 판단하거나 기상 변화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검지부(110)는 환경감지기기(115)에 의해서 도로(10) 주변의 안개 밀도를 측정하여 안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부(110)는 촬영기기(114)를 함께 활용하여, 영상을 통해 확인되는 도로 상황을 감지하게 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의 제어부(120)에는 안개감지조건 및 위기수준 결정조건이 미리 입력되며, 검지부(110)는 영상환경설정, 안개감지조건 및 위기 수준 결정조건에 대응하는 감지 결과를 검출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처럼, 검지부(110)는 안개가 낀 상황을 검출하여 제어부(120)에 신호로 전달할 수 있으며, 표시부(130)를 통해 기상 상황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패턴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표시부(130)에는 별도의 안개 유도램프(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안개 유도램프가 작동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검지부(110)는 안개 등 발생 시 시정의 가시거리 측정을 위한 시정계(Visibility Meter)나, 현재의 풍향, 풍속을 검지하는 풍향풍속계(Anemovane) 등의 각종 계측기 또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검지부(110)는 차량(20)의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표시부(130)의 후방 측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표시부(130)의 전방 측에 이동 배치되거나 추가의 센서 또는 촬영 기기들이 전방 측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후술되는 표시부(130)의 설치 구간 내에 차량(20)이 진입하고 통과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검지하기 위해 표시부(130)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서 전방위적으로 도로의 상황을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검지부(110)는 차량(20)이 진입하는 상황을 검출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을 작동시키게 되므로 통행이 없는 상황에 무분별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검지부(110)는 도로의 교통흐름 및 도로 주변환경에 감응하여 능동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시스템을 원활하게 가동시킨다.
한편, 검지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6)을 통해 암대(1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브라켓(116)의 상부에는 차량감지기기(113)가 내장되는 하우징(117)이 설치되고, 하부에 촬영기기(114)가 배치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환경감지기기(115)는 차량감지기기(113)와 함께 하우징(117)에 내장된다. 그리고, 하우징(117)은 각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보드가 내부에 내장된다.
이에, 검지부(110)는 브라켓(116)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이들을 설치한 구조로 인해 차량감지기기(113)와 촬영기기(114)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검지부(110)는 지주대(111)와 암대(112)에 의해 차량감지기기(113) 및 촬영기기(114)를 도로(10) 상에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브라켓(116)을 통한 안정적인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브라켓(116)에는 차량감지기기(113) 또는 촬영기기(114)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고정구(118)가 마련될 수 있으며, 검지부(110)의 검지 위치 등을 정렬 및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회전고정구(118)는 하우징(117)을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틸팅되는 각도는 약 1°로부터 10°까지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의 각도 보정이 가능한 틸팅 구조를 제공한다. 회전고정구(118)는 하우징(117)을 브라켓(116)에 나사식 또는 기어타입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회전고정구(118)는 시스템이 설치되는 도로 구간에 대응되게 차량감지기기(113)의 설치 각도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되는 방식의 고정 구조로 인해 브라켓(116)이나 지주대(111) 및 암대(112)의 설치 작업 시 요구되는 위치를 다소 벗어나더라도 설치 이후 보정이 가능하여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특히, 검지부(110)는 회전고정구(118)에 의해 차량감지기기(113)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레이다 센서에 의한 감지 거리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지부(110) 및 표시부(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통상의 제어기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함체형의 제어기함 본체가 앵글이나 브라켓을 통해 검지부(110)의 지주대(111)에 부착 고정된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표시부(130)의 각 조명유닛(131)에 연결되어 이들의 LED 표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검지부(110)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능동적으로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 또는 주변 환경에 감응하여 안내 표지(D)를 표시하게 된다.
표시부(130)는 도로(10)의 가장자리 차선(11)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조명유닛(131)을 포함한다. 표시부(130)의 조명유닛(131)은 지면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라이트(미도시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라이트는 RGB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유닛(131)은 라이트가 전면에 세로 배열된 상태로 수용되는 기둥이나 바(bar) 형상의 수직 프레임과, 지면에 고정되어 수직 프레임을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조명유닛(131)은 회전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회전각도 조절부는 조명유닛(131)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조명유닛(131)은 전면에 수직 배열된 다수의 라이트에 의해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통상의 가로등처럼 도로(10)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조명유닛(131)은 도로(10)의 가장자리 차선(11)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조명유닛(131)은 가장자리 차선(11)을 따라 인접한 조명유닛과 간격을 두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유닛(131)은 검지부(110)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조명유닛(131a), 제1 조명유닛(131a)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조명유닛(131b), 제2 조명유닛(131b)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3 조명유닛(131c)의 순으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구간의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설치 개수가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유닛(131)은 도로(10)의 본선 라인인 가장자리 차선(11)으로부터 약 2.5m 정도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로(10)를 따라 상호 3m 내지 10m의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고속도로일 경우, 표시부(130)는 각각의 조명유닛(131)이 연달아 배치되는 이격 간격이 7m로 설정될 수 있으며, 20개의 조명유닛(131)이 약 140m의 길이를 가진 설치 구간에 동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자의 라이트를 제어하여 복수의 조명유닛(131)을 복합적으로 조명, 즉 선택적으로 점등 및 소등함에 따라 운전자에게 안내 표지(D)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후술할 안전운전안내 패턴의 일부가 표현된다. 즉, 표시부(130)는 복수의 조명유닛(131) 및 각각의 라이트의 조합을 통해 안내 표지(D)와 대응하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특정한 LED 표시 패턴을 점등 및 소등하거나 점멸하여 외부에 표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라이트는 선택된 위치에서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각 라이트가 모두 점등 상태가 되되, 패턴 표시를 위한 부분(즉, 선택된 위치)이 주변 라이트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표현됨에 따라 특정한 도형을 부각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LED 표시 방식에 의해 색체로 표현되며 특정 형상을 나타내는 안내 표지(D)의 이미지를 조명 형태로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므로, 운전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안전운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130)는 안내 표지(D)와 대응하는 각각의 기호나 그림(즉, 픽토그램)을 아나모픽(Anamorphic) 기법으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아나모픽 기법이란 특정한 각도나 특정한 방법으로 보았을 때 의도한 형상이 나타나게 되는 착시 현상을 활용한 것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각도나 방향에 따라 시각적으로 들어오는 정보가 다른 점을 활용한 착시 예술 기법을 말한다. 예컨대, 아나모픽 기법 중 하나로는, 봉 형태의 LED 바를 흔들거나 회전 시 LED 잔상에 의해 글자 및 이미지가 표시되는 방식이 있다. 이처럼, 표시부(130)는 연속 배치된 다수의 조명유닛(131)에 의한 착시 현상을 통해 안내 표지(D)를 표시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표시부(130)는 각각의 라이트가 수직 배열로 마련된 다수개의 조명유닛(131)으로 이루어지며, 조명유닛(131)이 도로(10)의 차선을 따라 소정의 설치 구간 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일렬종대 배치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이때, 표시부(130)는 연속 배치된 다수의 조명유닛(131)의 거리 및 각도에 따른 착시 효과로 인해 도로(10)를 주행 중인 차량(20)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LED 잔상의 이미지 형태로 안내 표지(D)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라이트가 수직 배열되어 선발광하는 개별 조명유닛(131)이 착시 효과로 인해 겹쳐 보이면서 면체로 발광하는 면발광 형태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에, 표시부(130)는 다수의 광원 세트들의 조합을 통해 일정한 규칙성을 가진 패턴의 LED 조명을 순차적 또는 복합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착시 효과를 이용한 연속적인 LED를 표시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운전자에게 일련의 형태를 갖춘 이미지로 형성되는 LED 표시 방식의 안내 표지(D)를 표시할 수 있다.
결국, 표시부(130)는 전광판 형태가 아닌 다수의 조명유닛(131)의 조합을 통해 LED 표시 화면으로 제공하게 된다. 즉, 표시부(130)는 단일의 평판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LED 전광판과 다르게, 도로(10)를 따라 일렬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유닛(131)의 착시 현상을 이용한 시각적 조합으로, 격자모양을 이루며 서로 연결되는 LED 도트 매트릭스 형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전광판에서 일정한 형태의 문구 이미지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방식이 아닌, 주행 경로를 따라 연달아 배치된 복수의 LED 표시장치들의 조합을 통해 설치 구간에 상응하는 긴 구간에 걸쳐 안내 표지(D)를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종래의 전광판에 비해 장시간 노출할 수 있으므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긴 구간 동안 장시간 노출하며 직관적인 도형 형태의 안내 표지를 표시하게 되므로, 즉각적인 인식력을 제공하면서도 운전자의 경각심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안내 표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안내 표지가 실제로 구현된 모습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는 안내 표지(D)는 도 7의 (a)와 같이 안전운전유도 패턴, (b)로 도시된 경고 패턴, (c)로 도시된 경고강화 패턴을 포함한다. 안내 표지(D)는 이 외에도 조명의 조합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패턴으로 구성된 안내 표지(D)는 고정된 이미지 형태로 표현될 수 있지만, 차량(20)의 운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변형의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안전운전유도 패턴의 경우 적정 속도로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안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시선 유도를 하며 안전 운전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안전운전유도 패턴은 주행 방향을 따라 꺾여진 초록색의 화살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무의식 중에 안전을 인식할 수 있는 녹색 배경의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경고 패턴의 경우 시스템에서 설정한 기준 속도 미만인 저속으로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경고의 의미를 인식시켜 적정 속도로 주행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경고 패턴은 빨간색의 삼각형으로 표현되고 운전자의 지각성을 향상시키며 경고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란색 배경의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경고강화 패턴의 경우 시스템에서 설정한 최저 속도 미만이거나 정차 중인 운전자에게 좀 더 강화된 경고의 의미를 인식시켜 적정 속도로 주행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경고강화 패턴은 빨간색의 다이아몬드 도형으로 표현되고 운전자의 지각성을 향상시키며 경고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란색 배경의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들 패턴은 일 예시로서 도면에 도시되었으며, 패턴의 색상이나 무늬 등은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제어부(120)에서 결정된 안내 표지를 표시부(130)로 전달하고, 이를 도 8과 같이 운전자에게 LED 표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는 안전운전유도 패턴이 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속도로 주행중인 차량(20)의 운전자에게 아나모픽 기법에 의한 LED 표시 방식의 이미지 형태로 표현된 안내 표지(D)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고다발지역이나 무조명 도로 구간에서 차선 인식을 향상시키고 최소한의 조명 역할을 기대할 수 있어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도로(10)의 교통 상황 및 차량의 주행 상황이나, 날씨 등 도로 주변 환경에 따라 감응하여 가변되는 안내 표지(D)를 능동적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맞춤형의 안내를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도로(10)를 따라 다수의 조명유닛(131)이 배치되므로 곡선 구간이나 직선 구간에 관계 없이 차선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도로의 무조명 구간이나 사고다발지역 등과 같이 위험 구간에 설치되어 야간 및 우천과 잦은 안개로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차량 및 환경에 감응하여 능동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안전운전 유도 및 졸음운전과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안내 방법을 설명한다.
수집 단계(S110)에서는, 도로(10) 위를 주행중인 주행 차량(20)을 검출하여 교통 흐름을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집 단계(S110)에서는 도로에 설치되는 검지부(110)에서 도로 위를 주행중인 주행 차량(20)의 주행 속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 단계(S110)에서, 검지부(110)는 라이다 또는 레이더 센서로 구성된 감지센서에 의해 차량(20)의 객체를 검출하고 주행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수집 단계(S110)는, 객체 검출 단계(S111) 및 속도 감지 단계(S112)를 포함한다.
객체 검출 단계(S111)는 검지부(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객체인식구간을 통과하는 주행 차량(20)을 객체로 검출한다. 여기서, 객체인식구간은 센서에 의해 감지 가능한 최대 거리와 대응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400m 떨어진 지점이 될 수 있다. 사용되는 센서에 따라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인식구간은 실질적으로 표시부(130)의 마지막 설치 위치로부터 150m 내지 200m 이격된 거리에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전방 400m 지점에 근접하거나 지나는 차량(20)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12)는 객체인식구간을 통과한 주행 차량(20)의 현재 주행 속도를 감지한다. 이때, 검지부(110)는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이들 중 상대적으로 저속인 차량을 타겟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집 단계(S110)는 주행 차량(20)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단계(S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추적 단계(S113)는 주행 차량(20)이 최전방에 배치된 표시부(130)의 조명유닛(131)의 위치에 근접하거나 표시부(130)가 설치된 구간 내에 위치되는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에, 후속하는 차량(20)에 대해 다른 안내 표지(D)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다르게, 표시부(130)의 설치 구간 내를 주행하는 차량(20)이 있을 경우, 다른 형태의 안내 표지(D)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신호 결정 단계(S120)에서는, 주행 차량(20)의 주행 상태를 기반으로 안내 표지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결정 단계(S120)에서는 검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주행 차량(20)의 주행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120)에서 안내 표지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안내 표지 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결정 단계(S120)는 신호 구분 단계(S121) 및 신호 전달 단계(S122)를 포함한다.
신호 구분 단계(S121)는 수집 단계(S110)를 통해 검지된 차량(20)의 주행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주행 속도에 따라 기준요건별로 안내 표지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신호 구분 단계(S121)에서 구분된 안내 표지 신호가 표시할 신호로 결정된다.
신호 전달 단계(S122)는 신호 구분 단계(S121)에서 구분된 안내 표지 신호를 표시부(130)에 전달하여 표시부(130)를 작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신호 결정 단계(S120)에서 구분되는 기준요건에 의한 안내 표지 신호는, 안전운전유도 패턴, 경고 패턴 및 경고강화 패턴을 포함한다. 이들 안내 표지 신호에 포함되는 패턴은 도 6의 안내 표지(D)로 구성될 수 있다.
안전운전유도 패턴은 차량(20)의 진입을 검지한 경우 및 차량(20)의 주행 속도가 서행 기준 속도인 30km/h 이상으로 측정된 상황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경고 표시 패턴은 차량(20)의 진입을 검지한 경우 및 주행 속도가 30km/h 미만으로 측정된 상황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경고 강화 패턴은 차량(20)이 주행 속도가 최저 속도인 5km/h 이하의 속도로 측정되거나 차량(20)이 정차한 상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서행 기준 속도나 최저 속도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경고 표시 또는 경고 강화 패턴의 경우 차량(20)이 규정 속도를 초과하여 과속하는 경우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경고 강화 패턴은 차량(20)이 표시부(130)의 설치 구간에 진입한 경우 설치 구간에 진입한 차량(20)의 주행 속도가 여전히 서행 기준 속도 미만일 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이 특정 도로의 사고 위험 구간에 설치된 경우에는 설치 구간에 차량(20)이 진입하는 것만으로도 경고 강화 패턴이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신호 결정 단계(S120)는 경고 해제 단계(S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 해제 단계(S123)는 도로(10) 위를 주행 중인 모든 차량(20)의 주행 속도가 서행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경고 패턴 및 경고강화 패턴에서 안전운전유도 패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표시부(130)의 안내 표지(D)를 통해 경고 상태를 인지하여 정상적인 속도로 주행을 재개할 경우 경고 패턴 또는 경고강화 패턴의 표시를 중단시키는 중단 신호를 보내는 동시에 안전운전유도 패턴을 보내,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패턴으로 전환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렇게, 차량(20)의 주행 속도를 통해 능동적으로 안내 표지 신호를 구분하여 표시부(130)에 제공한다.
이 외에도, 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경우 제어부(120)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 시스템이나 도로시설의 기상관측 시스템과 통신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수집된 도로(10)의 사정을 수집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신호 결정 단계(S120)는 전방의 정체 구간이나 사고 발생 유무 등을 판별하거나 야간 또는 안개 등으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을 판별하여 위험 또는 감속 경고 신호를 구분할 수도 있다.
안내 표지 제공 단계(S130)에서는, 안내 표지 신호를 주행 차량(20)의 운전자에게 표시부(130)를 통해 LED 표시 패턴으로 이루어진 이미지 형태의 안내 표지(D)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안내 표지 신호와 대응되는 안내 표지(D)를 LED 조명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표시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안내 표지(D)는 아나모픽 기법으로 표현된 고정된 화면 또는 가변형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객체 및 흐름을 감지하여 상황에 맞게 능동적으로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안내 방법에 의하면,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부가하여 도로의 지리적 정보 및 상황을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관적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RGB LED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밝게 보이며 차량이 가까워질수록 은은하게 하여 눈부심이 없고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게 하여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주행이 감지되어야 할 구간에서 장애물 또는 정체가 감지되는 경우 조명장치를 통해 경각심을 갖게 하는 색상 및 패턴화된 이미지를 표시하여, 후속 차량 및 운전자에게 경계심을 유도하여 감속 및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주행 경로를 따라 연달아 배치된 복수의 LED 표시장치들의 조합을 통해 설치 구간에 상응하는 긴 구간에 걸쳐 안내 표지(D)를 표시할 수 있어 종래의 전광판에 비해 장시간 노출할 수 있으므로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예시적인 제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로 상황 검지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객체가 표시된 제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는 검지부(110)로부터의 거리 즉, 객체인식구간을 포함하는 도로 상의 가상 이미지가 표시되며, 검지부(110)를 통해 검출된 차량이 화면에 표시되고, 검출된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 및 안내 표지 패턴이 표기된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서 검지부(110)는 주행하는 차량이 진입 지점을 지나 객체인식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도 11에서와 같이 객체로 인식하고 주행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검지부(11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서행 기준 속도 이상인 상태(도 12), 서행 기준 속도 이하인 상태(도 13), 및 정차 상태(도 14)로 각각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검지부(110)는 도 15에서와 같이, 정차 상태인 차량이 다시 서행 기준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이를 검출한 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이렇게, 검지부(110)에서 주행 상태에 따라 검출된 데이터는 제어부(120)로 전달되고, 각 도면에서와 같이 대응하는 안내 표지(D)와 관련된 패턴을 결정하여 표시부(130)에 전달하여 이를 표시하도록 한다.
도 16은 검지부에 의해 역주행하는 차량을 검출한 제어 화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역주행 차량이 검출될 경우, 경고 강화 패턴을 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레이더를 활용하여 차량의 통과를 감지한 후에 시스템을 제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따르면,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유도등이 점멸 또는 점등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도로 상황 검지 장치는 레이더 방식으로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평균 속도와 차량 간 거리에 따라 도로의 소통 상태를 적색, 황색 및 녹색의 등화로 제어화면에 표시하고 제어부를 통해 이를 표시부에서 상이한 색상의 조명으로 표시하게 한다. 이에,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도로 변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 안전운전 유도등이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 굽은 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본 발명의 도로상황 검지 장치가 복수개로 구성되어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도로상황 검지 장치는 복수의 검지부(210a, 210b)가 도로에 설치되며, 곡선 도로의 시작 지점에 인접한 위치와, 끝나는 지점과 인접한 위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검지부(210a)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로의 진행 방향에 대해 표시부(230)의 전단 측에 설치되고, 제2 검지부(210b)는 표시부(230)의 후단 측에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 언덕 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서는 본 발명의 도로상황 검지 장치가 복수개로 구성되어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도로상황 검지 장치는 복수의 검지부(310a, 310b)가 경사진 도로의 시작 지점과 인접한 위치나, 경사가 끝나는 지점과 인접한 위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검지부(310a)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로의 진행 방향에 대해 표시부(330)의 전단 측에 설치되며, 제2 검지부(210b)는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경사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로상황 검지 장치는 곡선 구간이나 경사 구간 등과 같이, 구조적으로 전방 시야가 단절되는 곳에 추가적인 검지부가 설치되어 전방의 교통 상황을 미리 검지할 수 있게 되므로, 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관련 정보를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상황 검지 장치는 곡선 도로나 경사로가 아닌 평지에서도 복수개의 검지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정체 또는 교통사고 등의 상황을 미리 검지할 수 있으므로 사고 위험 구간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에도, 도 1, 도 17 및 도 18의 각 실시예에서, 각각의 검지부는 주행 방향의 도로와, 반대 방향의 도로에 각기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및 환경에 감응하여 능동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안전운전 유도 및 졸음운전과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은 터널 또는 지하차도에 설치되어 내부에서의 교통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터널 및 지하차도의 입구와 같이 차량이 진입하기 이전이나 이후에 걸쳐 표시부(130)가 설치되어서 암순응(또는 명순응) 적응을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30)는 조명유닛들 중 검지부(110)와 원거리에 배치된 전반 일부가 터널의 외부에 설치되고 근거리에 배치된 후반 일부가 터널의 내부에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명유닛 내지 제10 조명유닛이 터널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1 조명유닛 내지 제20 조명유닛이 터널의 외부에 배치되어 안전운전 표시 패턴을 표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각 구간이 터널 외부에서 내부까지 이어지게 되므로 터널 진입 시 운전자에게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일반적인 종래의 터널 조명 설비의 경우 야외 휘도 등에 따라 입구측 조명의 조도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하도록 마련되는데,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러한 터널 또는 지하차도의 조명 시설을 보조하도록 적절하게 순응 가능하도록 조명이 제어되어 운전자의 순응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때, 표시부(130)는 복수의 조명유닛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터널 및 지하차도의 입구나 출구 측에 소정 구간에 걸쳐져 설치될 수 있으므로, 램프 구간 일부가 내부 또는 외부에 연장 배치되어 입구측의 내부 및 출구측의 외부에서 안내 표지를 표시함에 따라 터널 및 지하차도 내외부의 인식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차량이 터널과 지하차도에 진입하거나 이로부터 진출하는 경우 완화조명 또는 강화조명 방식으로 순차적인 조도변화를 부여함에 따라 암순응 또는 명순응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시스템의 검지부(110)에 구비된 조도 센서(115a) 또는 별도로 표시부(130)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추가의 조도 센서를 활용함에 따라, 주변 밝기와 비교하여 LED 램프들의 조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고 발생 또는 정체 등의 상황으로 인해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입출구 측에서의 사고 위험이 우려되는 경우, 선행 차량 또는 도로의 전방 상황을 표시하여 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200, 300: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
110: 검지부 111: 지지대
112: 암대 113: 객체감지기기
114: 영상촬영기기 115: 환경감지기기
116: 브라켓 117: 하우징
118: 회전고정구 120: 제어부
130: 표시부 131: 조명유닛
132: 라이트 135: 회전각도 조절부

Claims (8)

  1.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는 검지수단에 의해 수집된 정보로부터 판단된 안내 정보를 상기 도로의 통행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표시수단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도로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며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조명유닛이 선택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며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안내 정보를 이미지 형태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제공하며,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도로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수단의 전단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을 포함하는 범위로 형성되는 객체 인식 구간을 제공하는 객체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감지부는,
    상기 객체 인식 구간의 후단에 객체 진입 지점을 형성하며, 상기 표시수단의 전단측에서 상기 객체 진입 지점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객체 진입 지점이 상기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의 후단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차량을 상기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 내에 진입하기 전에 검출하며, 상기 객체 인식 구간 내에서 상기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 상기 차량이 상기 표시수단의 설치 구간에 진입하는 시점 및 통과하는 시점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속도 정보로부터 상기 안내정보가 선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객체감지부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설치하기 위한 구조체; 및
    상기 객체감지부를 상기 구조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도로를 촬영하는 영상감지부; 및
    상기 도로의 주변 환경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환경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감지부는,
    상기 도로의 주변 빛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저조도 상황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객체감지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검지부는,
    상기 객체감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객체 인식 구간에서 벗어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객체 인식 구간의 선행 또는 후행 도로 상황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KR1020220190168A 2022-12-30 2022-12-30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KR10257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168A KR102571287B1 (ko) 2022-12-30 2022-12-30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168A KR102571287B1 (ko) 2022-12-30 2022-12-30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287B1 true KR102571287B1 (ko) 2023-08-29

Family

ID=8780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0168A KR102571287B1 (ko) 2022-12-30 2022-12-30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7385B1 (ko) * 2024-05-17 2024-11-06 황영문 전방 차량 감지 및 정체 알림 신호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676B1 (ko) 2011-01-27 2011-08-30 주식회사 이산 비매설형 다기능 시선유도 장치
KR102105162B1 (ko) * 2019-10-17 2020-04-28 주식회사 유니시큐 전자파 센서를 이용해 차량 속도, 차량 위치 및 차량 통행량을 파악하고 규칙을 위반하는 차량을 구분하여 이에 대한 정보는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저장하는 스마트 속도위반단속 장치, 스마트 신호위반단속 장치 및 스마트시티 솔루션 장치
KR102148826B1 (ko) * 2019-07-30 2020-08-27 유한회사 비츠 속도 감응 도로횡단자 경고 장치
KR20210007240A (ko) * 2019-07-10 2021-01-20 조용성 주행정보의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패턴조명 출력시스템
KR102439541B1 (ko) * 2022-02-07 2022-09-02 (주)엠파워 시야확보가 어려운 도로구간의 실시간 전방 지체 및 정체 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676B1 (ko) 2011-01-27 2011-08-30 주식회사 이산 비매설형 다기능 시선유도 장치
KR20210007240A (ko) * 2019-07-10 2021-01-20 조용성 주행정보의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패턴조명 출력시스템
KR102148826B1 (ko) * 2019-07-30 2020-08-27 유한회사 비츠 속도 감응 도로횡단자 경고 장치
KR102105162B1 (ko) * 2019-10-17 2020-04-28 주식회사 유니시큐 전자파 센서를 이용해 차량 속도, 차량 위치 및 차량 통행량을 파악하고 규칙을 위반하는 차량을 구분하여 이에 대한 정보는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저장하는 스마트 속도위반단속 장치, 스마트 신호위반단속 장치 및 스마트시티 솔루션 장치
KR102439541B1 (ko) * 2022-02-07 2022-09-02 (주)엠파워 시야확보가 어려운 도로구간의 실시간 전방 지체 및 정체 알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7385B1 (ko) * 2024-05-17 2024-11-06 황영문 전방 차량 감지 및 정체 알림 신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5358B2 (ja) 自発光道路標識システム
CN101419749B (zh) 一种低能见度道路交通引导方法
US7148813B2 (en) Light emitting traffic sign having vehicle sensing capabilities
KR102515036B1 (ko) 가변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안전운전 유도 정보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US20090002141A1 (en) Visual device for vehicles in difficult climatic/environmental conditions
KR102182257B1 (ko) 곡선도로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통행 안내시스템
CN101777268B (zh) 引导式高速公路防雾系统
CN111785009A (zh) 基于视频检测的行人过街主动预警方法及系统
KR101408029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CN206805801U (zh) 危险车辆过街警示系统
CN106530835A (zh) 一种道路急弯路口顺畅交通智能疏导装置以及方法
CN115100865A (zh) 隧道洞口区域交通安全的管控系统
CN214752260U (zh) 一种基于雷达检测的超视距弯道交通预警系统
CN215868162U (zh) 一种高速公路雾区监测报警系统
CN112216111A (zh) 一种基于微波雷达和视频图像的车速车距预警系统及方法
CN210983756U (zh) 新型智慧斑马线系统
KR102528311B1 (ko) 능동형 가변 디스플레이를 갖춘 환경 감응 및 도로 맞춤형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
KR102247216B1 (ko) 주행정보의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패턴조명 출력시스템
CN208903434U (zh) 一种山区公路弯道盲区动态线性双面诱导屏
KR101326184B1 (ko) 교통 사고 방지를 위한 인디케이션 시스템
KR102571287B1 (ko)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의 도로 상황 검지 장치
CN117218893A (zh) 一种用于视距受限的山区弯道碰撞实时预警方法及装置
CN117042234A (zh) 一种基于动态交通流量的智能化路灯照明系统
KR20110022861A (ko) 차간거리안내 시스템
CN215669120U (zh) 城市快速路交通事故风险主动预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