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682B1 -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682B1
KR102064682B1 KR1020180113788A KR20180113788A KR102064682B1 KR 102064682 B1 KR102064682 B1 KR 102064682B1 KR 1020180113788 A KR1020180113788 A KR 1020180113788A KR 20180113788 A KR20180113788 A KR 20180113788A KR 102064682 B1 KR102064682 B1 KR 102064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abulary
quick
learning
quick connection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선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가 개시된다.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은 가상 어휘를 음성 및 영상으로 공급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빠른 우연 학습 단계, 상기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 받는 수용 어휘 검사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선택 결과에 따라 특정 어휘의 소리 정보로부터 해당 어휘가 의미하는 대상을 연결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METHOD FOR FAST MAPPING ABILITY MEASUREMENT USING A QUICK INCIDENTAL LEARNING,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동의 어휘습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동의 어휘 습득은 작업기억과 더불어 빠른 연결(fast mapping)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 빠른 연결 능력이란 명시적 지시 없이 최소한의 노출만으로도 일련의 소리(음소)와 그 소리가 지칭하는 대상을 빠르게 연결하도록 돕는 인지적 기제이다.
이러한 빠른 연결 능력으로 인해 아동은 새로운 어휘의 음운적, 구문적, 의미적 표상을 빠르게 형성할 수 있고, 이는 만 2 세 이후 나타나는 아동의 어휘폭발(word spurt) 과도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말늦은 아동(Late talker)과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경우 최소한의 노출로 단기적으로 저장된 의미적, 음운적 표상들이 추후 인출될 수 있도록 장기기억에 저장되는 데에 어려움을 보여 제한된 어휘력을 가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이들의 빠른 연결 능력이 일반 아동보다 부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빠른 연결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경우, 새로운 어휘를 배우는 데에 불리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 형상화된 이미지를 통해 의미 관계를 연산하는 영유아 언어학습 도구 외국어 학습 도구 등이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 도구들의 경우에는 예컨대 한국 특허 공보 제10-1460449호(2014.11.20. 공고)와 같이 주어진 문장의 빈칸 채우기 연습에 국한되어 있을 뿐, 빠른 연결 능력 학습 또는 평가와 귀결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상 어휘를 음성 및 영상으로 공급하는 동영상을 통해 빠른 우연 학습 및 빠른 우연 학습에 따른 과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출하는 빠른 우연 학습 과제를 평가하여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빠른 연결 능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은 가상 어휘를 음성 및 영상으로 공급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빠른 우연 학습 단계 상기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 받는 수용 어휘 검사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선택 결과에 따라 특정 어휘의 소리 정보로부터 해당 어휘가 의미하는 대상을 연결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는, 상기 가상 어휘의 난이도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빠른 우연 학습 단계 및 상기 수용 어휘 검사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한 빠른 연결 능력과 미리 저장된 나이 대 별 빠른 연결 능력 기준 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빠른 연결 능력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빠른 우연 학습 단계는, 복수의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장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가상 어휘에 대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 각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가 선택된 비율에 따라 정반응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반응율과 미리 저장된 가상 어휘 난이도 별 정반응율 기준 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빠른 우연 학습 단계는, 적어도 10 개의 서로 다른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장을 적어도 3 회 출력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한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는 가상 어휘를 음성 및 영상으로 공급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빠른 우연 학습부, 상기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 받는 수용 어휘 검사부,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선택 결과에 따라 특정 어휘의 소리 정보로부터 해당 어휘가 의미하는 대상을 연결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는, 상기 가상 어휘의 난이도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빠른 우연 학습 단계 및 상기 수용 어휘 검사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측정한 빠른 연결 능력과 미리 저장된 나이 대 별 빠른 연결 능력 기준 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빠른 우연 학습부는, 복수의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장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가상 어휘에 대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 각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가 선택된 비율에 따라 정반응율을 산출하고, 상기 정반응율과 미리 저장된 가상 어휘 난이도 별 정반응율 기준 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빠른 우연 학습부는, 적어도 10 개의 서로 다른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장을 적어도 3 회 출력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고,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새로운 어휘를 배우는 데에 불리한 점이 없도록 적절한 후행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은 도 2의 수용 어휘 검사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이하, 장치)(1)는 빠른 우연 학습부(10), 수용 어휘 검사부(30),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 및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은 특정 어휘의 소리 정보로부터 해당 어휘가 의미하는 대상을 연결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어휘 표상을 위한 첫 단계로 간주된다. 빠른 연결 능력은 시각 및 청각정보 처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소리를 인지하는 단계, 소리를 기억 및 파지(retention)하는 단계, 의미자질과 연결시키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동의 어휘습득은 이러한 빠른 연결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아동이 새로운 어휘의 소리를 처음 들은 경우, 그 소리를 음운적 형태로 저장하고, 이 형태를 의미 자질과 연결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즉, 빠른 연결 능력은 음운 작업 기억을 포함할 수 있다. 아동은 빠른 연결 능력에 의해 새로운 어휘의 음운적, 구문적, 의미적 표상을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빠른 연결 능력이 부진한 경우, 단기적으로 저장된 의미적, 음운적 표상들이 장기기억에 저장되는 데에 어려움을 보인다.
빠른 우연 학습은 이러한 빠른 연결 능력에 기반하여, 명시적으로 지시 받지 않고 새로운 어휘를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된 학습이다. 예를 들면, 동영상을 통해 목표로 하는 학습 어휘를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아동은 목표로 하는 학습 어휘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장치(1)는 사용자에게 빠른 우연 학습 및 빠른 우연 학습에 따른 과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출하는 빠른 우연 학습 과제를 평가하여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장치(1)는 측정한 빠른 연결 능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1)는 어휘폭발(word spurt)이 나타나는 만 2 세 이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고,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새로운 어휘를 배우는 데에 불리하지 않도록 적절한 후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별도의 단말이거나 또는 단말의 일부 모듈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빠른 우연 학습부(10), 수용 어휘 검사부(30),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 및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1)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1)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빠른 우연 학습부(10), 수용 어휘 검사부(30),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 및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의 구성은 장치(1)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빠른 우연 학습을 위해 가상 어휘를 음성 및 영상으로 공급하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즉,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가상 어휘의 소리(음소) 정보와 그 소리가 지칭하는 대상을 이미지로 제공하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어휘는 학습을 목표로 하는 어휘로, 명사 또는 동사일 수 있으며, 일예로, 2~3 음절로 구성될 수 있다. 가상 어휘는 학습의 어려움, 사용 빈도, 발음 등을 기준으로 하여 난이도가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가상 어휘를 문장 형태로 반복하여 제시하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복수의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자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10 개의 가상 어휘를 반복하여 출력하는 2 개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10 개의 가상 어휘 중 4 개는 명사, 6 개는 동사이며, 모두 동일한 난이도가 부여된 어휘로 선택될 수 있다. 2 개의 동영상은 각각 5~10분 길이의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각 동영상에서 10 개의 가상 어휘를 각각 3 회 반복하여 문장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장은 2~3 개의 낱말로 이루어지는 단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빠른 우연 학습을 위한 동영상을 직접 생성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는,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별도의 서버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내려 받아 재생할 수 있다. 또는,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이동식 저장 장치와 같은 스토리지 매체로부터 동영상을 제공 받아 재생할 수 있다.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이미지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니터, 소리 정보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표시수단을 통해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표시수단은 본 발명의 장치(1)에 구비되는 모듈이거나, 별도의 모듈일 수 있다.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빠른 우연 학습을 위한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해당 동영상에 포함된 가상 어휘의 습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용 어휘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수용 어휘 검사는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와 랜덤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들과,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검사이다.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동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가상 어휘 중 하나의 가상 어휘를 선택하고, 선택한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및 선택한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여,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동영상에 포함되는 모든 가상 어휘에 대해 수용 어휘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동영상에 포함되는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4 개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고, 4 개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선택을 유도하는 음성 또는 글자를 출력할 수 있다.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4 개의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 정보를 수용 어휘 검사 결과로 저장할 수 있다.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이미지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니터, 소리 정보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표시수단을 통해 수용 어휘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표시수단은 본 발명의 장치(1)에 구비되는 모듈이거나, 별도의 모듈일 수 있다.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입력수단은 본 발명의 장치(1)에 구비되는 모듈이거나, 별도의 모듈일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수용 어휘 검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동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가상 어휘에 대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 중 하나의 수용 어휘 검사 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선택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 복수의 이미지 중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점수를 부여하고, 복수의 이미지 중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점수 부여를 생략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동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가상 어휘에 대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를 모두 확인하여 위와 같이 점수를 부여하거나, 점수 부여를 생략하여, 동영상에 제시된 복수의 가상 어휘의 수용에 대한 총점을 산출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총점을 이용하여 정반응율(%)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빠른 연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를 반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어휘는 난이도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며, 한 번의 빠른 우연 학습에서는 동일한 난이도의 복수의 가상 어휘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를 조절하면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빠른 우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를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최초 가장 낮은 난이도가 설정된 가상 어휘에 대한 빠른 우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가상 어휘의 난이도를 높이면서 빠른 우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를 반복할 수 있다. 이때,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사용자의 연령대를 미리 입력 받고, 사용자의 연령대에 맞추어 최초 빠른 우연 학습 대상이 되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 빠른 우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에 따른 정반응율을 산출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정반응율을 이용하여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미리 저장된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 정반응율 기준 표와 산출한 정반응율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정반응율 기준 표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로 정반응율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은 보통, 좋음, 미달 등과 같이 구간이 분리되고, 구간 별로 정량화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정반응율 기준 표를 참조하여, 가상 어휘의 특정 난이도에 대해 산출한 정반응율이 해당 가상 어휘의 난이도에 설정된 정반응율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빠른 연결 능력을 보통으로 측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반면,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특정 난이도에 대해 산출한 정반응율이 해당 가상 어휘의 난이도에 설정된 정반응율 구간보다 하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빠른 연결 능력을 미달로 측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위와 같이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로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로 부여된 점수를 종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로 산출되는 빠른 연결 능력의 점수에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로 가중치를 부여한 뒤 평균 내어 최종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 빠른 우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의 순차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뒤 평균 내어 최종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 점수 중 가장 높은 값을 최종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최종 점수를 이용하여 최종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미리 설정된 빠른 연결 능력의 보통, 좋음, 미달 등과 같은 구간 별 최종 점수 구간 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는 측정한 빠른 연결 능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는 사용자의 나이 대를 선택 받을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는 미리 저장된 나이 대 별 빠른 연결 능력 기준 표와 측정한 빠른 연결 능력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는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 측정 결과 및 언어 발달 장애 여부 판단 결과를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고,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새로운 어휘를 배우는 데에 불리하지 않도록 적절한 후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수용 어휘 검사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장치(1)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은 빠른 우연 학습 단계(S100), 수용 어휘 검사 단계(S200),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S300) 및 빠른 연결 능력 분석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가상 어휘를 음성 및 영상으로 공급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으로 빠른 우연 학습을 실행할 수 있다(S100).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가상 어휘를 문장 형태로 반복하여 제시하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복수의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자를 반복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10 개의 가상 어휘를 반복하여 출력하는 2 개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10 개의 가상 어휘 중 4 개는 명사, 6 개는 동사이며, 모두 동일한 난이도가 부여된 어휘로 선택될 수 있다. 2 개의 동영상은 각각 5~10분 길이의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빠른 우연 학습부(10)는 각 동영상에서 10 개의 가상 어휘를 각각 3 회 반복하여 문장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장은 2~3 개의 낱말로 이루어지는 단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빠른 우연 학습에 대한 수용 어휘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S200).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복수의 가상 어휘를 출력하는 동영상이 종료되는 경우(S210), 복수의 가상 어휘 중 하나의 가상 어휘를 선택할 수 있다(S220).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선택한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및 선택한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여(S230),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S240).
예를 들면,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동영상에 포함되는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4 개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고, 4 개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선택을 유도하는 음성 또는 글자를 출력할 수 있다.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4 개의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 정보를 수용 어휘 검사 결과로 저장할 수 있다.
수용 어휘 검사부(30)는 동영상으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가상 어휘가 모두 선택될 때까지 위와 같은 단계를 반복하여(S250), 동영상에 포함되는 모든 가상 어휘에 대해 수용 어휘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수용 어휘 검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S300).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동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가상 어휘에 대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 중 하나의 수용 어휘 검사 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S310).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선택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 복수의 이미지 중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S320),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S330).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동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가상 어휘에 대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를 모두 확인하여(S340), 위와 같이 점수를 부여하거나, 점수 부여를 생략하여, 동영상에 제시된 복수의 가상 어휘의 수용에 대한 총점을 산출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총점을 이용하여 정반응율(%)을 산출할 수 있다(S350).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빠른 우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를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360),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를 조절하고(S370), 빠른 연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를 반복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빠른 우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가 반복된 경우(S360),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 빠른 우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에 따른 정반응율을 이용하여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S380).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 빠른 우연 학습 및 수용 어휘 검사에 따른 정반응율을 산출하고, 미리 저장된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 정반응율 기준 표와 산출한 정반응율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정반응율 기준 표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로 정반응율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은 보통, 좋음, 미달 등과 같이 구간이 분리되고, 구간 별로 정량화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위와 같이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로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가상 어휘의 난이도 별로 부여된 점수를 종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최종 점수를 이용하여 최종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50)는 미리 설정된 빠른 연결 능력의 보통, 좋음, 미달 등과 같은 구간 별 최종 점수 구간 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는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측정한 빠른 연결 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S400).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는 사용자의 나이 대를 선택 받을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는 미리 저장된 나이 대 별 빠른 연결 능력 기준 표와 측정한 빠른 연결 능력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70)는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 측정 결과 및 언어 발달 장애 여부 판단 결과를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고,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새로운 어휘를 배우는 데에 불리한 점이 없도록 적절한 후행조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
10: 빠른 우연 학습부
30: 수용 어휘 검사부
50: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
70: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

Claims (13)

  1. 빠른 우연 학습부, 수용 어휘 검사부,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 및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를 포함하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빠른 우연 학습부에서, 가상 어휘를 음성 및 영상으로 공급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빠른 우연 학습 단계;
    상기 수용 어휘 검사부에서, 상기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 받는 수용 어휘 검사 단계;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에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선택 결과에 따라 특정 어휘의 소리 정보로부터 해당 어휘가 의미하는 대상을 연결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 및
    상기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에서,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빠른 연결 능력과 미리 저장된 나이 대 별 빠른 연결 능력 기준 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빠른 연결 능력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는,
    상기 가상 어휘의 난이도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빠른 우연 학습 단계 및 상기 수용 어휘 검사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우연 학습 단계는,
    복수의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장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가상 어휘에 대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 각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가 선택된 비율에 따라 정반응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반응율과 미리 저장된 가상 어휘 난이도 별 정반응율 기준 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우연 학습 단계는,
    적어도 10 개의 서로 다른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장을 적어도 3 회 출력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가상 어휘를 음성 및 영상으로 공급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빠른 우연 학습부;
    상기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어휘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 받는 수용 어휘 검사부;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선택 결과에 따라 특정 어휘의 소리 정보로부터 해당 어휘가 의미하는 대상을 연결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 및
    측정한 빠른 연결 능력과 미리 저장된 나이 대 별 빠른 연결 능력 기준 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언어 발달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빠른 연결 능력 분석부를 포함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는,
    상기 가상 어휘의 난이도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빠른 우연 학습 단계 및 상기 수용 어휘 검사 단계를 반복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우연 학습부는,
    복수의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장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연결 능력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가상 어휘에 대한 수용 어휘 검사 결과, 각 가상 어휘가 의미하는 이미지가 선택된 비율에 따라 정반응율을 산출하고, 상기 정반응율과 미리 저장된 가상 어휘 난이도 별 정반응율 기준 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빠른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우연 학습부는,
    적어도 10 개의 서로 다른 가상 어휘를 각각 포함하는 문장을 적어도 3 회 출력하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장치.
KR1020180113788A 2018-09-21 2018-09-21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KR102064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88A KR102064682B1 (ko) 2018-09-21 2018-09-21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88A KR102064682B1 (ko) 2018-09-21 2018-09-21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682B1 true KR102064682B1 (ko) 2020-01-09

Family

ID=6915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88A KR102064682B1 (ko) 2018-09-21 2018-09-21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6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24B1 (ko) 2015-07-01 2016-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 평가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04389B1 (ko) 2015-11-23 2017-12-04 주식회사 이르테크 언어장애 자율 검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24B1 (ko) 2015-07-01 2016-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 평가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04389B1 (ko) 2015-11-23 2017-12-04 주식회사 이르테크 언어장애 자율 검사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임동선 외, ‘정보처리 특성에 따른 작업기억 과제의 탐색적 요인분석: 일반아동 및 수용어휘지체 아동의 수용어휘력 및 빠른우연학습 예측요인’, 2015.06.30. Page 304-318.
임동선 외, 학령 전 어휘발달지체 및 일반 아동의 비단어 따라 말하기, 빠른 우연학습과 수용어휘와의 관계, 2013.12.31. Page 379-39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6240B2 (en) Automated text to speech voice development
US8990082B2 (en) Non-scorable response filters for speech scoring systems
CN103714048B (zh) 用于校正文本的方法和系统
Crowther et al. Linguistic dimensions of second language accent and comprehensibility: Nonnative listeners’ perspectives
US94495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difficulty of spoken text
CN107808674B (zh) 一种测评语音的方法、介质、装置及电子设备
US20090070112A1 (en) Automatic reading tutoring
CN110600002B (zh) 语音合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487005B1 (ko) 문장입력을 통해 발음교정을 실시하는 외국어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CN109817244B (zh) 口语评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9191349A (zh) 一种英文学习内容的展示方法及系统
Proença et al. Automatic evaluation of reading aloud performance in children
US8870575B2 (en) Language learning system, language learn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CN104700831B (zh) 分析音频文件的语音特征的方法和装置
CN113486970B (zh) 阅读能力评测方法及装置
JP2004053652A (ja) 発音判定システム、システム管理用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2414626B1 (ko) 외국어 발음 훈련 및 평가 시스템
CN109697975B (zh) 一种语音评价方法及装置
KR102064682B1 (ko) 빠른 우연 학습을 이용한 빠른 연결 능력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JPWO2019107170A1 (ja) 緊急度推定装置、緊急度推定方法、プログラム
CN111724765A (zh) 一种文本转语音的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JP2020038371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発音学習支援方法及び発音学習支援装置
KR102064683B1 (ko) 아동의 언어발달상태 측정 장치 및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Alsunaidi et al. Abjad: Towards interactive learning approach to arabic reading based on speech recognition
CN113327615B (zh) 语音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