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400B1 -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 Google Patents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400B1
KR102064400B1 KR1020180115639A KR20180115639A KR102064400B1 KR 102064400 B1 KR102064400 B1 KR 102064400B1 KR 1020180115639 A KR1020180115639 A KR 1020180115639A KR 20180115639 A KR20180115639 A KR 20180115639A KR 102064400 B1 KR102064400 B1 KR 10206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locking
raw water
branch valve
pip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희환
Original Assignee
심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희환 filed Critical 심희환
Priority to KR102018011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는, 일단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마감판이 설치되며, 중간부에 상기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된 배관 몸체; 및 일부가 상기 배관 몸체 내에서 진퇴하여 상기 원수의 유동을 허용 혹은 차단하는 차단봉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봉은 누수 감지부에서의 누수 감지에 따른 외력을 전달받아 후퇴하는 경우 상기 원수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Automatic separated valve for sink to prevent water leakage}
본 발명은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물을 흘려 보내며 물건을 씻을 수 있도록 만든 곳이다. 벽면이나 바닥면에 매설된 급수전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그릇이나 음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부엌(1)에 정수기(24), 식기세척기(20), 냉장고(22), 세탁기(빌트인) 등의 가전제품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가전제품에 공급되는 원수도 싱크대(10)의 하단부에 매설된 급수관(15)에서 공급되고 있다.
싱크대(10)뿐 아니라 정수기(24), 식기세척기(20), 냉장고(22),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에도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싱크대용 분기밸브가 이용되는데, 종래에는 나사형으로 돌려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의 수동 분기밸브이다. 이 경우 가전제품 중 어느 하나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사고 시 빠른 대처가 어렵고 수습에 전문가가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누수 사고 발생 시에는 싱크대 변형, 주방바닥 물 잠김, 아랫집 피해 보상 등의 여러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차단밸브 구조의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기 공급이 요구된다. 이 경우 누수 발생에 따라 전기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2623호 (2018.06.11 공개) - 싱크대용분기밸브
본 발명은 급수관에 연결되는 싱크대 수전 또는 각종 가전제품의 급수/배수 배관 누수 발생 시 자동으로 급수가 차단되도록 하여 추가적인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가전제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전기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급수 차단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마감판이 설치되며, 중간부에 상기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된 배관 몸체; 및 일부가 상기 배관 몸체 내에서 진퇴하여 상기 원수의 유동을 허용 혹은 차단하는 차단봉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봉은 누수 감지부에서의 누수 감지에 따른 외력을 전달받아 후퇴하는 경우 상기 원수의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봉은, 봉 몸체와; 상기 봉 몸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1 직경을 가지는 차단판과; 스프링과; 상기 봉 몸체의 중간부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는 스프링 누름판과; 상기 봉 몸체의 중간부 후방에 설치되며, 제2 직경을 가지는 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몸체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구 사이의 상기 배관 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걸림홀이 형성된 차단판 받이부와; 상기 출수구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상기 배관 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스프링 고정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고정판과 상기 마감판의 중심에는 상기 봉 몸체의 직경에 상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길게 홈이 형성된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편이 걸리게 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중간에 연결되며, 외력에 의한 제1 당김힘을 상기 걸림부에 전달하여 상기 걸림편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풀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 몸체를 통과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자 형상을 가지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당김힘과는 반대방향의 제2 당김힘을 가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상기 누수 감지부는, 내부가 빈 내부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상의 몸체를 가지는 감지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 내에 설치되며, 수분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팽창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중심에 설치된 연결단자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되, 누수 감지 시 상기 팽창부가 팽창하여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연결 케이블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차단봉에 상기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 하우징의 바닥면에 다수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 감지부는, 상기 연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수 감지부가 복수 개 마련되어 주방의 지정된 지점에 설치될 때, 상기 차단봉에 외력을 전달하는 풀림케이블이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배관과, 복수의 상기 연결 케이블을 분배하는 다수의 분기 배관을 포함하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 내에서 상기 메인 케이블과 상기 복수의 연결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관에 연결되는 싱크대 수전 또는 각종 가전제품의 급수/배수 배관 누수 발생 시 자동으로 급수가 차단되도록 하여 추가적인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가전제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전기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급수 차단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주방의 배관 연결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의 사시도,
도 3은 차단봉을 부각시킨 도면,
도 4는 차단봉의 잠금 및 풀림 부분의 확대도면,
도 5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의 단면도,
도 6은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누수 감지부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A-A선 단면도),
도 8은 누수 감지부의 각 구성요소의 평면도,
도 9는 누수 감지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분해도,
도 10은 누수 감지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분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차단봉을 부각시킨 도면이며, 도 4는 차단봉의 잠금 및 풀림 부분의 확대도면이고, 도 5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100)는 미리 지정된 장소에서 누수가 감지되면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주방의 각종 공간(예컨대, 싱크대 수도, 정수기,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등)으로 원수를 분배 공급하는 배관을 차단시켜 추가적인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100)는 배관 몸체(110)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배관 몸체(110)를 따라 흐르는 원수의 흐름을 차단 혹은 허용하는 차단봉(120)을 더 포함한다.
배관 몸체(1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 파이프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배관 몸체(110)의 일단은 개구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2)로서 기능하며, 타단은 마감판(116)에 의해 폐쇄되어 원수의 유출을 방지한다.
그리고 배관 몸체(110)의 중간부에는 몸체 길이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기된 보조 배관인 출수구(114)가 설치된다.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출수구(114)를 통해 배출된다. 출수구(114)에는 분기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주방의 각종 공간으로 원수가 분배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출수구(114)가 설치되는 배관 몸체(110)의 중간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배관 몸체(110)와 출수구(114)가 연통되게 할 수 있다.
차단봉(120)은 봉 몸체(121) 일부가 배관 몸체(110) 내에 삽입되며, 배관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여,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출수구(114)로 향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연통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차단봉(120)이 배관 몸체(110) 내에 더 깊게 삽입되는 경우(즉, 봉 몸체(121)의 일단이 유입구(112)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를 전진으로 가정하고, 그 반대 경우를 후퇴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단봉(12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 몸체(121)를 기본 골격으로 한다.
봉 몸체(121)의 일단에는 차단판(122)이 결합된다. 차단판(122)은 소정 직경(d1)을 가지는 원판일 수 있다.
차단판(122)에 대응되어 배관 몸체(110) 내에는 차단판 받이부(130)가 설치된다. 차단판 받이부(130)는 배관 몸체(110) 중 유입구(112)와 출수구(114) 사이에 위치한다.
차단판 받이부(130)의 외경은 배관 몸체(110)의 내경에 대응되어, 배관 몸체(110) 내에 설치된다. 차단판 받이부(130)의 중심에는 걸림홀(132)이 관통 형성된다. 걸림홀(132)은 기본적으로 유입구(112)와 출수구(114)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기능하며, 원수가 지나가는 유동 경로가 된다.
걸림홀(132)의 직경(d3)은 봉 몸체(121)의 직경(d2)보다는 커서(d3>d2) 봉 몸체(121)가 원활히 진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걸림홀(132)의 직경(d3)은 차단판(122)의 직경(d1)보다는 작다(d3<d1). 따라서, 차단판 받이부(130)를 통과한 봉 몸체(121)의 일단에 결합된 차단판(122)은 봉 몸체(121)의 후퇴시에 차단판 받이부(130)의 걸림홀(132)에 걸리게 된다.
배관 몸체(110) 내에는 출수구(114)와 마감판(116) 사이에 스프링 고정판(140)이 설치된다. 마감판(116)과 스프링 고정판(140) 각각의 중심에는 봉 몸체(121)의 직경에 상응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봉 몸체(121)의 진퇴에 방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봉 몸체(121)의 중간부 전방에는 스프링(150)이 설치된다. 스프링 고정판(140)과의 사이에 스프링(150)을 개재시키고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누름판(123)이 봉 몸체(121)에 설치된다. 스프링 누름판(123)과 스프링 고정판(140) 사이에 스프링(150)이 개재된다. 이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봉(120)이 후퇴함으로써 차단판(122)이 차단판 받이부(130)에 걸려, 원수의 출수구(114)로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봉 몸체(121)의 중간부 후방, 즉 스프링 누름판(123)의 후방에는 걸림편(124)이 형성된다. 걸림편(124)은 봉 몸체(121)의 직경(d2)보다 큰 직경(d4)의 링 형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d4>d2).
걸림편(124)은 걸림부(160)에 의해 걸리게 되어 봉 몸체(121), 즉 차단봉(120)의 진퇴, 특히 후퇴를 제한한다.
걸림부(160)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길게 홈이 형성된 U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내부 홈의 폭(w)은 봉 몸체(121)의 직경(d2)에 상응하여, 봉 몸체(121)는 원활히 진퇴할 수 있게 한다. 다만, 걸림편(124)의 직경(d4)보다는 작은 폭을 가지고 있어(w<d4) 걸림편(124)이 내부 홈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걸림부(160)에 걸리게 된다.
걸림부(160)의 중간에는 풀림부(162)가 연결된다. 풀림부(162)는 일정 장력을 가지는 케이블(이하에서는 '풀림케이블'로 칭할 수도 있음)일 수 있다. 풀림부(162)가 외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면, 걸림부(160)에 제1 당김힘을 전달하여 걸림부(160)가 배관 몸체(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걸림부(160)의 이동에 의해 걸림부(160)의 내부 홈에 걸려 있던 걸림편(124)이 구속에서 벗어나게 될 수 있다.
걸림부(160)의 끝단부에는 잠금부(170)가 연결된다. 잠금부(170)는 걸림부(160)가 풀림부(162)에 의해 당겨져 걸림 상태가 풀린 경우, 누수에 대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원수의 출수구(114)로의 유동이 차단되게 된다. 누수에 대한 조치가 완료된 경우 원수의 유동 차단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걸림편(124)이 다시 걸림부(160)에 걸리게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잠금부(170)를 이용하여 걸림부(160)를 풀림을 위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당김(제2 당김힘)으로써 걸림편(124)이 걸리게 할 수 있다.
잠금부(170)는 배관 몸체(110)를 관통하는 한 쌍의 지지대(172)와, 한 쌍의 지지대(172)를 연결하는 손잡이(174)를 포함한다. 즉, ∏자 형상을 가지고 있어,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잠금부(170), 특히 손잡이(174)를 잡아 당김으로써 걸림부(160)에 걸림편(124)이 걸리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원수는 배관 몸체(110)의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고 출수구(114)를 통해 배출되어 주방의 각종 공간으로 분배 공급된다.
이를 위해 차단봉(120)은 걸림편(124)이 걸림부(160)에 걸리도록 일정 정도 전진한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단판(122)이 차단판 받이부(130)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원수가 걸림홀(132)을 통해 출수구(114)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스프링(150)은 스프링 누름판(123)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 있어, 반대방향으로의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기본 상태에서 누수 발생으로 인해 풀림부(162)가 외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면(①) 걸림부(160) 역시 일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편(124)의 잠금이 해제된다.
걸림편(124)의 잠금이 해제되면, 스프링(150)에 가해지던 압력이 사라지게 되어, 스프링(150)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②). 이로 인해 차단봉(120)이 후퇴하게 된다(③).
차단봉(120)이 후퇴하면, 일단부에 설치된 차단판(122) 역시 후퇴하게 되며(④), 이로 인해 차단판 받이부(130)에 차단판(122)이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걸림홀(132)이 폐쇄되고, 원수의 유동이 차단된다(⑤). 따라서, 출수구(114)로의 원수 배출 역시 차단되고(⑥) 추가적인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만약 누수에 관한 조치가 완료된 경우에는 차단봉(120)의 끝단부에 설치된 누름판(125)을 눌러 스프링(150)을 가압시킨 상태에서 잠금부(170)를 잡아 당겨 걸림부(160)가 원위치에 오게 함으로써 걸림편(124)이 걸림부(160)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판(122)이 차단판 받이부(130)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전방으로 이격되어 있어 걸림홀(132)이 개방됨으로써 원수의 유동이 재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100)는 기존에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대신에 기구적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누수로 인해 전기 사용이 어려울 경우에도 정상적인 원수 차단이 가능하게 한 장점이 있다. 또한, 차단봉(120)을 누르고 잠금부(170)를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차단 상태에서 다시 기본 상태로 손쉽게 복원시킬 수 있어, 누수에 관한 조치 이후 원수 공급을 원활히 재개할 수 있게 한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100)에 대해 원수 차단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풀림부(162)를 잡아당기게 하는 외력을 제공하는 누수 감지부(2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누수 감지부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누수 감지부의 각 구성요소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누수 감지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분해도이고, 도 10은 누수 감지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분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부(200)는 물을 사용하고 있어 누수가 예상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누수 여부를 감지한다.
누수 감지부(200)는 감지부 하우징(210), 슬라이딩부(220), 팽창부(230), 연결 케이블(250)을 포함한다.
감지부 하우징(210)은 내부가 빈 내부공간(212)을 가지는 박스 형상의 몸체를 가진다.
내부공간(212)에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부(2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부(220) 내에는 팽창부(230)가 설치된다. 팽창부(230)는 슬라이딩부(220)의 길이보다 길고 슬라이딩부(220)의 내부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다. 따라서, 팽창부(230)의 일단은 슬라이딩부(220)의 내벽과 만나고, 타단은 감지부 하우징(210)의 내벽과 만난다.
팽창부(230)는 수분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성질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분 흡수 시 팽창하는 재질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팽창부(230)가 설치되는 감지부 하우징(21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유입홀(214)이 관통 형성된다. 감지부 하우징(210)의 외부에 물이 있는 경우, 유입홀(214)을 통해 유입되면 팽창부(230)가 이를 흡수하여 팽창하게 되고, 슬라이딩부(220)를 밀어내게 된다.
슬라이딩부(220)의 중심에는 연결 케이블(250)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단자(252)가 설치된다. 연결단자(252)의 설치를 위해 슬라이딩부(220)의 중심에는 설치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250)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부(220)의 슬라이딩에 따른 위치 변화가 정확히 전달되도록 하는 케이블 안내관(240)이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 안내관(240)은 내부에 연결 케이블(250)이 관통하며, 원활히 진퇴할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연결 케이블(25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케이블 안내관(240)은 감지부 하우징(210)에 설치된 안내관 고정부(24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안내관 고정부(242)는 팽창부(230)와 만나는 감지부 하우징(210)의 일측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누수 감지부(200)가 설치된 공간에 누수가 발생한 경우, 감지부 하우징(2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입홀(214)을 통해 수분이 유입될 것이다. 유입된 수분에 의해 팽창부(230)가 팽창하면 슬라이딩부(220)가 밀려나게 되며, 연결 케이블(250)이 당겨지게 된다.
연결 케이블(250)은 전술한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100)의 풀림부(162)와 연결되어 있어, 연결 케이블(250)의 당김이 풀림부(162)의 당김으로 전환된다. 풀림부(162)가 당겨지는 경우 걸림부(160)가 당겨지게 되고 걸림편(124)의 잠금이 해제됨으로써 차단봉(120)이 후퇴하게 되어 차단판(122)이 차단판 받이부(130)에 걸리게 되고, 원수의 유동이 차단됨으로써 추가적인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수의 누수 감지부(200)가 주방의 여러 지점에 설치된 경우, 하나의 풀림부(162)가 분배기(300), 특히 연결고리(310)에 의해 다수의 연결 케이블(250a, 250b, 250c)와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연결 케이블(250a, 250b, 250c) 중 어느 하나가 당겨지면, 연결고리(310)에 의해 연결된 풀림부(162)가 당겨지게 되어 자동 분기밸브(100)가 차단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분배기(300)는 자동 분기밸브(100)를 향하는 메인 배관에 분기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 배관을 포함한다. 다수의 분기 배관 내에는 다수의 연결 케이블(250a, 250b, 250c)이 하나씩 삽관되고, 메인 배관에는 풀림부(162)의 끝단이 삽관된다.
메인 배관과 다수의 분기 배관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연결고리(310)가 배치되어, 다수의 연결 케이블(250a, 250b, 250c)과 풀림부(162)가 서로 연동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기밸브(100)는 싱크대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분배기(300)를 통해 누수 감지부(200)가 좌우측 아래부분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각도에서도 누수 감지에 따른 자동 분기밸브에서의 원수 차단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110: 배관 몸체
112: 유입구
114: 출수구
116: 마감판
120: 차단봉
121: 봉 몸체
122: 차단판
123: 스프링 누름판
124: 걸림편
125: 누름판
130: 차단판 받이부
132: 걸림홀
140: 스프링 고정판
150: 스프링
160: 걸림부
162: 풀림부(풀림케이블)
170: 잠금부
172: 지지대
174: 손잡이
200: 누수 감지부
210: 감지부 하우징
212: 내부공간
214: 유입홀
220: 슬라이딩부
222: 설치홀
230: 팽창부
240: 케이블 안내관
242: 안내관 고정부
250, 250a, 250b, 250c: 연결 케이블
252: 연결단자
300: 분배기
310: 연결고리

Claims (9)

  1. 일단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마감판이 설치되며, 중간부에 상기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된 배관 몸체; 및
    일부가 상기 배관 몸체 내에서 진퇴하여 상기 원수의 유동을 허용 혹은 차단하는 차단봉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봉은 누수 감지부에서의 누수 감지에 따른 외력을 전달받아 후퇴하는 경우 상기 원수의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차단봉은,
    봉 몸체와;
    상기 봉 몸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1 직경을 가지는 차단판과;
    스프링과;
    상기 봉 몸체의 중간부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는 스프링 누름판과;
    상기 봉 몸체의 중간부 후방에 설치되며, 제2 직경을 가지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몸체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구 사이의 상기 배관 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걸림홀이 형성된 차단판 받이부와;
    상기 출수구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상기 배관 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스프링 고정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고정판과 상기 마감판의 중심에는 상기 봉 몸체의 직경에 상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길게 홈이 형성된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편이 걸리게 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중간에 연결되며, 외력에 의한 제1 당김힘을 상기 걸림부에 전달하여 상기 걸림편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풀림부를 더 포함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 몸체를 통과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자 형상을 가지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당김힘과는 반대방향의 제2 당김힘을 가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부는,
    내부가 빈 내부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상의 몸체를 가지는 감지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 내에 설치되며, 수분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팽창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중심에 설치된 연결단자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되,
    누수 감지 시 상기 팽창부가 팽창하여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연결 케이블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차단봉에 상기 외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하우징의 바닥면에 다수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부는, 상기 연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부가 복수 개 마련되어 주방의 지정된 지점에 설치될 때,
    상기 차단봉에 외력을 전달하는 풀림케이블이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배관과, 복수의 상기 연결 케이블을 분배하는 다수의 분기 배관을 포함하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 내에서 상기 메인 케이블과 상기 복수의 연결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KR1020180115639A 2018-09-28 2018-09-28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KR10206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39A KR102064400B1 (ko) 2018-09-28 2018-09-28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39A KR102064400B1 (ko) 2018-09-28 2018-09-28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400B1 true KR102064400B1 (ko) 2020-01-09

Family

ID=6915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639A KR102064400B1 (ko) 2018-09-28 2018-09-28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4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541B1 (ko) 2011-08-11 2013-05-14 박봉덕 자폐식 급수밸브
KR200469035Y1 (ko) 2011-12-28 2013-09-12 (주)스톰테크 액체 누출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액체 유동장치
JP6403132B1 (ja) 2018-03-01 2018-10-10 高砂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漏水遮断機能を有する逆止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541B1 (ko) 2011-08-11 2013-05-14 박봉덕 자폐식 급수밸브
KR200469035Y1 (ko) 2011-12-28 2013-09-12 (주)스톰테크 액체 누출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액체 유동장치
JP6403132B1 (ja) 2018-03-01 2018-10-10 高砂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漏水遮断機能を有する逆止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098B2 (en) Flush cartrid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170130430A1 (en) Fluid control systems
KR102064400B1 (ko) 누수가 방지되는 싱크대용 자동 분기밸브
US1666531A (en) Diverter valve
EP2584106A1 (en) A quick coupling device for assembling sanitary fittings, such as faucets and the like
US2274787A (en) Diverter valve
JPH04213634A (ja) 給水栓装置
RU183987U1 (ru) Узел управления дренчерный с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US2968313A (en) Automatic diverter valve
DE19944830A1 (de) Sicherheitseinrichtung zum Absperren von Versorgungsleitungen für flüssige und gasförmige Medien, vorzugsweise für Hauswasserleitungen
KR101842493B1 (ko) 진공·수압식오수배출밸브
JP4536589B2 (ja) 食器洗浄機
KR102085963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960008208Y1 (ko)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의 충격흡수장치
JP4750540B2 (ja) 水抜き装置
JP2001065007A (ja) ヘッダ配管の給水閉鎖装置
KR100550437B1 (ko) 자동 절수장치
JP3125444U (ja) 自動排出弁
JPS6359453B2 (ko)
KR20100049828A (ko) 분배구조를 갖는 수전 및 이를 이용한 급수 시스템
JPH11280127A (ja) 水栓装置
US6718564B2 (en) Adapter for converting a flushometer valve to a water source
JP2002138529A (ja) 給水の配管システムにおける継手部構造
KR20160097820A (ko) 지수 캡을 포함하는 변기용 세척 밸브
JP4675313B2 (ja) 食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