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374B1 -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 - Google Patents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374B1
KR102064374B1 KR1020180012195A KR20180012195A KR102064374B1 KR 102064374 B1 KR102064374 B1 KR 102064374B1 KR 1020180012195 A KR1020180012195 A KR 1020180012195A KR 20180012195 A KR20180012195 A KR 20180012195A KR 102064374 B1 KR102064374 B1 KR 102064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aircraft
oil supply
coupling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905A (ko
Inventor
정차현
김재윤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3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40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이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로 엔진의 보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을 제공하기 위하여, 항공기에 장착된 엔진의 피팅(Fitting)을 대신하여 상기 엔진에 장착되고, 상기 엔진으로 보존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보존유 공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연료 배유 포트와, 상기 엔진으로 상기 보존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보존유 공급 장치를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보존유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공급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본체는 상기 보존유 공급 장치의 파이프가 후단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연료 배유 포트에 지지되도록 하는 커플링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료 배유 포트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연료 배유 포트와 상기 공급 본체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유를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이에, 엔진이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로 엔진의 보존 공정이 가능하여, 공정 단순화에 따른 공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엔진의 탈부착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엔진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PRESERVATIVE OIL SUPPLYING MODULE FOR AIRCRAF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 장기 주기(駐機) 시에 사용되는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장기 주기에서는 항공기의 엔진 보존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엔진 보존 공정을 살펴보면 항공기로부터 엔진을 탈거하여, 엔진을 트레일러에 상차시킨다. 그리고 엔진의 연료 도관에 보존유를 채워 항공기의 장기 주기에서도 엔진 내부 구성품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항공기의 재운행에서는 엔진을 다시 항공기에 장착시켜야 한다.
다만, 항공기 보존 공정에서는 엔진 점검판 및 엔진의 탈거 공정, 그리고 재주행을 위한 엔진 점검판 및 엔진의 장착 공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공수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엔진이 항공기 자체에 장착될 상태에서 엔진 보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있으나, 최근에 이르기까지 항공기에 장착된 엔진에 대한 보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23248호(항공기의 주기 및 처리를 위한 에이프론, 2001.03.26.)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이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로 엔진의 보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존유 공급 모듈은 항공기에 장착된 엔진으로 보존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보존유 공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연료 배유 포트와, 상기 엔진으로 상기 보존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보존유 공급 장치를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보존유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공급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본체는 상기 보존유 공급 장치의 파이프가 후단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연료 배유 포트에 지지되도록 하는 커플링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료 배유 포트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연료 배유 포트와 상기 공급 본체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유를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커플링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커플링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연료 배유 포트에 마련된 후크와 체결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체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홈은 상기 커플링부의 전단 측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몸체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제1 커플링 홈과, 상기 제1 커플링 홈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커플링 홈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2 커플링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외주면에 실링부재가 지지되는 실링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료 배유 포트 내부로 인입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는 상기 실링부의 전단에 동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은 엔진이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로 엔진의 보존 공정이 가능하여, 공정 단순화에 따른 공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엔진의 탈부착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엔진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에에 따른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실시에에 따른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존유 공급 모듈(100, 이하, 공급 모듈이라 칭한다.)은 항공기(10)의 장기 주기(駐機)에서 항공기(10)로 보존유가 공급되도록 하여, 항공기(10)의 구성품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급 모듈(100)은 항공기(10)의 주기에서 엔진을 항공기(10)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엔진으로 보존유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공급 모듈(100)은 항공기-엔진 연결 연료튜브(11, 이하 연결 연료튜브)에 마련된 연료 배유 포트(1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연료 배유 포트(12)와 보존유 공급 장치(200)를 연결하여 보존유 공급 장치(200)로부터의 보존유가 연결 연료튜브(11)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급 모듈(100)은 공급 본체(110)를 포함한다.
공급 본체(110)는 공급 모듈(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급 본체(110)는 메탈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몸체부(111), 커플링부(112), 실링부(113), 및 결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몸체부(111)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를 가로지르는 중공(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1)의 일측으로는 커플링부(112)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보존유 공급 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체결영역(111a)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영역(111a)은 몸체부(111) 내부에서 중공(110a)과 연통되는 중공형태로 나사산을 포함하도록 마련되며, 이때, 내주면의 지름은 몸체부(111)의 중공 지름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부(112)는 몸체부(111)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커플링부(112)는 커플링 몸체(112a)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며, 커플링 몸체(112a)는 몸체부(111)와 동일하게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 몸체(112a)의 지름는 몸체부(111)의 지름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체결 홈(112b)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 홈(112b)은 연료 배유 포트(12)에 마련된 후크와 커플링부(112)가 연결되도록 하며, 제1 커플링 홈(112ba)과 제2 커플링 홈(112bb)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플링 홈(112ba)은 커플링 몸체(112a) 전단 측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몸체부(111)를 향해 함몰 형성되고, 제2 커플링 홈(112bb)은 제1 커플링 홈(112b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커플링 홈(112ba)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체결 홈(112b)은 커플링 몸체(112a)에서 동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체결 홈(112b)의 개수는 항공기 연료 배유 포트(12)의 후크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부(112)의 내부에는 몸체부(111)의 중공(110a)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공(110a)이 형성된다.
한편, 실링부(113)는 커플링부(112)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실링부(113)는 실링 몸체(113a)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며, 실링 몸체(113a)는 커플링부(112)와 동일하게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 몸체(113a)는 커플링부(112)의 지름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 실링 홈(113b)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홈(113b)은 오-링 형태의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영역을 형성하며, 여기서 실링부재는 항공기(10)의 연료 배유 포트(12)의 내주면에 고정 배치되거나, 별도로 실링 홈(113b)에 장착되어 보존유 공급에서 본존유가 공급 모듈(100)의 외주면을 통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113)의 내부에는 커플링부(112)의 중공(110a)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공(110a)이 형성된다.
한편, 결합부(114)는 실링부(113)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114)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결합부(114)는 동각으로 배치되어 실링부(113)의 전단 테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결합부(114)는 항공기(10)의 연료 배유 포트(12)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와 치합되어, 항공기(10)의 연료 배유 포트(12)의 개폐 등과 같은 작동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11), 커플링부(112), 실링부(113) 및 결합부(114)를 별도의 구성요소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111), 커플링부(112), 실링부(113) 및 결합부(114)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마련될 수 있으며, 몸체부(111), 커플링부(112), 실링부(113) 및 결합부(114)의 연결 관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보존 공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보존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존유 공급 모듈(이하, 공급 모듈이라 칭한다.)은 항공기(10)의 장기 주기(駐機)에서 항공기(10)로 보존유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 모듈(100)은 항공기(10)의 장기 주기 이외에도 일반 주기를 포함한 다양한 상황 및 유지보수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 모듈(100)의 적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항공기(10)는 주기를 위해 주기 장소로 이동한다. 이후, 작업자는 엔진 점검판을 항공기(10)로부터 탈거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연결 연료튜브(11)에 마련된 연료 배유 포트(12)로부터 피팅(Fitting)을 분리하고, 항공기(10)의 미운행에서 항공기(10)의 엔진 구성품에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유를 공급한다(S100).
이때, 작업자는 공급 모듈(100)을 이용하여 항공기(10) 엔진에 보존유가 공급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보존유 공급에서는 엔진 탈거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이에 공수의 낭비가 발생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모듈(100)은 항공기(10) 엔진이 항공기(10)에 장착된 상태로 보존유 공급이 가능하여, 공수의 낭비 및 항공기(10) 엔진의 탈거 및 장착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급 모듈(100)을 이용한 보존유 공급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연료 배유 포트(12)에 마련된 피팅을 분리한 이후에 연료 배유 포트(12)에 공급 모듈(100)을 장착한다(S200). 이때, 공급 모듈(100)의 후단에는 보존유 공급 장치(200)의 파이프(210)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공급 모듈(100)과 보존유 공급 장치(200)의 파이프(210)는 각각에 마련된 나사산을 기반으로 상호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연료 배유 포트(12)와 공급 모듈(100)의 장착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공급 모듈(100)을 연료 배유 포트(12)에 삽입한다. 이때, 연료 배유 포트(12)에 마련된 후크는 제1 커플링 홈(112ba)으로 삽입되고, 이후 작업자의 공급 모듈(100) 회전에 따라 후크는 제2 커플링 홈(112bb)으로 이송되어 연료 배유 포트(12)와 공급 모듈(100)이 견고히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실링부(113)에 배치될 수 있는 실링부재는 연료 배유 포트(12)와 공급 모듈(100) 사이를 실링한다. 이에, 실링부(113)는 추후 연료 배유 포트(12)로의 보존유 공급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급 모듈(100) 외주면으로의 보존유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 모듈(100)의 삽입에서는 공급 모듈(100) 전단에 마련된 결합부(114)가 연료 배유 포트(12) 내부에 형성된 구성요소와 치합 및 유기적으로 작동하며, 연료 배유 포트(12)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 배유 포트(12)는 항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결합부(114)는 단순히 연료 배유 포트(12)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 모듈(1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보존유 공급 장치(200)를 작동시켜 보존유 공급 장치(200)로부터의 보존유가 공급 모듈(100)을 통해 항공기(10)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한다(S300).
이와 같이, 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은 엔진이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로 엔진의 보존 공정이 가능하여, 공정 단순화에 따른 공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엔진의 탈부착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엔진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항공기
11 : 항공기-엔진 연결 연료튜브
12 : 연료 배유 포트
100 : 보존유 공급 모듈
110 : 공급 본체
111 : 몸체부
112 : 커플링부
113 : 실링부
114 : 결합부
200 : 보존유 공급 장치

Claims (5)

  1. 항공기에 장착된 엔진으로 보존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보존유 공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연료 배유 포트와, 상기 엔진으로 상기 보존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보존유 공급 장치를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보존유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공급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본체는
    상기 보존유 공급 장치의 파이프가 후단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연료 배유 포트에 지지되도록 하는 커플링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료 배유 포트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연료 배유 포트와 상기 공급 본체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유를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커플링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커플링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연료 배유 포트에 마련된 후크와 체결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체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홈은
    상기 커플링부의 전단 측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몸체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제1 커플링 홈과,
    상기 제1 커플링 홈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커플링 홈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2 커플링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유 공급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외주면에 실링부재가 지지되는 실링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유 공급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료 배유 포트 내부로 인입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는 상기 실링부의 전단에 동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유 공급 모듈.
KR1020180012195A 2018-01-31 2018-01-31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 KR102064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95A KR102064374B1 (ko) 2018-01-31 2018-01-31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95A KR102064374B1 (ko) 2018-01-31 2018-01-31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05A KR20190092905A (ko) 2019-08-08
KR102064374B1 true KR102064374B1 (ko) 2020-01-10

Family

ID=6761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195A KR102064374B1 (ko) 2018-01-31 2018-01-31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3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6876C2 (nl) 1997-08-28 1999-03-02 Schiphol Luchthaven Nv Platform voor het parkeren en afhandelen van vliegtui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05A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970518A1 (it) Dispositivo di collegamento rapido di un connettore di riflusso con un iniettore di combustibile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EP1975481A2 (en) Relief valve for heavy equipment
KR102064374B1 (ko) 항공기 보존유 공급 모듈
US6619380B1 (en) Heat exchanger drain assembly having a frangible wall
US9546623B2 (en) Assembly device for double-skinned aircraft fuel pipes
CN212900382U (zh) 一种管道交叉处理结构
US7943882B2 (en) Sealing apparatus having circulating channel for wire cutting machine
EP3255333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il flow control by deflection
CN110630562A (zh) 压缩机端盖及具有其的压缩机
KR20170045682A (ko) 릴리프 밸브 일체형 엔진 블럭
KR101085573B1 (ko) 배출 차단 장치
KR100940281B1 (ko) 잔압 배출 밸브를 구비한 시린지
JPS6318490Y2 (ko)
CN210716382U (zh) 一种硅胶密封接头
CN216555767U (zh) 一种dbb法兰截止阀结构
JPH01199092A (ja) 流体管の配管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流体排出装置
JP4705926B2 (ja) 逆止弁取付構造
KR20210142824A (ko) 건설장비의 엔진룸 냉각장치 구조
KR100296600B1 (ko) 차량의 연료이송장치
KR200171944Y1 (ko) 세탁기의급수밸브
CN206071864U (zh) 一种用于柱塞泵曲轴箱的加油装置
KR101951961B1 (ko) 클린엔진 배관블록의 연결배관 장착용 스토퍼
JPH0462461B2 (ko)
CN110817102A (zh) 塞组件和储液箱
CN114688073A (zh) 集装式填料密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