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121B1 - 전열관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전열관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121B1
KR102064121B1 KR1020190075765A KR20190075765A KR102064121B1 KR 102064121 B1 KR102064121 B1 KR 102064121B1 KR 1020190075765 A KR1020190075765 A KR 1020190075765A KR 20190075765 A KR20190075765 A KR 20190075765A KR 102064121 B1 KR102064121 B1 KR 10206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wire
rotary link
rotary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규
김경섭
박성호
류홍석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3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positioned in or via the headers
    • F22B37/005Position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케이블, 케이블의 선단에 구비되는 프로브, 및 케이블에 대한 프로브의 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의 사이를 정확하게 검사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열관 검사 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HEAT EXCHANGER TUBE OF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전열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증기발생기 2차측의 전열관 사이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전열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의 2차측 전열관의 틈새에 슬러지 및 이물질이 발생하면, 전열관의 손상 또는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전열관이 손상되어 증기발생기를 교체해야 할 경우에는, 증기발생기의 교체에 필요한 비용이 수천억원이 될 정도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전열관이 손상되기 전에 최대한 신속하게 이물질을 발견 및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에는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케이블 윈치를 장착하고, 케이블 윈치를 이용하여 프로브 장치(예를 들어, 내시경 카메라)가 연결된 케이블을 전열관의 틈새로 하강시켜 전열관의 틈새를 검사하는 방식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프로브 장치가 전열관의 틈새로 하강한 상태에서 프로브 장치의 각도 및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기 어렵고, 수평 방향(증기발생기의 직경 방향)으로 프로브 장치를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주변 환경(예를 들어, 이물질 발생 및 침적 상태)에 따라 전열관 사이를 정확하게 검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전열관의 사이를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의 사이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전열관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열관의 사이에서 프로브의 각도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열관의 사이에서 프로브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시간을 단축하고 검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열관 검사 장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케이블, 케이블의 선단에 구비되는 프로브, 및 케이블에 대한 프로브의 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한다.
이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의 사이를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프로브 장치가 전열관의 틈새로 하강한 상태에서 프로브 장치의 각도 및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기 어렵고, 수평 방향(증기발생기의 직경 방향)으로 프로브 장치를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주변 환경(예를 들어, 이물질 발생 및 침적 상태)에 따라 전열관 사이를 정확하게 검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케이블에 대한 프로브의 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프로브의 자세 및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고 검사 영역을 확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프로브가 전열관 사이를 검사한다 함은, 전열관 사이의 이물질 및 슬러지 침적 상태를 검사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프로브는 카메라, 마그넷, 그립퍼(gripper), 올가미(snar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유닛은 케이블에 대한 프로브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링크유닛은, 케이블이 내부에 수용되는 베이스링크부재, 베이스링크부재를 통과한 케이블이 내부에 수용되며 베이스링크부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링크부재, 및 제1회전링크부재를 통과한 케이블에 연결된 프로브를 지지하며 제1회전링크부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회전링크부재와 제2회전링크부재는 서로 동일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회전링크부재는, 베이스링크부재에 대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는 회전이 허용되되, 제2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제2회전링크부재는, 제1회전링크부재에 대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는 회전이 허용되되, 제2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제1회전링크부재와 제2회전링크부재가 서로 동일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제1회전링크부재와 제2회전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한 프로브의 수평 이동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프로브에 의한 검사 영역을 보다 확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제1회전링크부재의 상단 일측에는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1회전구속턱이 형성되고, 제1회전링크부재의 상단 다른 일측에는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1함몰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2회전링크부재의 상단 일측에는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2회전구속턱이 형성되고, 제2회전링크부재의 상단 다른 일측에는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함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열관 검사 장치는, 제2회전링크부재에 연결되며, 베이스링크부재에 대해 제1회전링크부재 및 제2회전링크부재를 제1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와이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링크부재에는 구동와이어가 통과하는 제1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제1회전링크부재에는 구동와이어가 통과하는 제2가이드홀이 형성되며, 구동와이어는 제1가이드홀 및 제2가이드홀을 거쳐 제2회전링크부재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동와이어가 제1가이드홀 및 제2가이드홀을 거쳐 제2회전링크부재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와이어의 엉킴 및 꼬임을 방지하고,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열관 검사 장치는, 베이스링크부재를 지지하며, 전열관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 지지부는, 베이스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제1지지와이어, 및 제1지지와이어와 이격되게 베이스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제2지지와이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증기발생기의 내부에는 와이어드럼이 마련되고, 구동와이어, 제1지지와이어, 및 제2지지와이어는 와이어드럼에 의해 선택적으로 권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드럼은, 제1지지와이어가 권취되는 제1드럼홈, 제1드럼홈과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2지지와이어가 권취되는 제2드럼홈, 및 제1드럼홈과 제2드럼홈의 사이에 형성되며 구동와이어가 귄취되는 제3드럼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단일 와이어드럼에 구동와이어와 함께 제1지지와이어 및 제2지지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와이어, 제1지지와이어 및 제2지지와이어를 귄취하기 위한 권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와이어드럼의 하부에는 구동와이어, 제1지지와이어 및 제2지지와이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와이어, 제1지지와이어 및 제2지지와이어가 가이드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와이어, 제1지지와이어 및 제2지지와이어의 승강 안정성을 높이고, 프로브의 유동 및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열관 검사 장치는, 와이어드럼과 가이드롤러의 사이에서 구동와이어를 선택적으로 푸시하는 푸시부재를 포함하고, 푸시부재가 구동와이어를 푸시하면, 베이스링크부재에 대해 제1회전링크부재 및 제2회전링크부재가 제1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의 사이를 정확하게 검사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전열관의 사이에서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프로브의 각도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열관의 사이에서 프로브의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검사 영역을 확장하고, 프로브의 자세 및 위치를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고 검사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가 적용되는 증기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로서, 링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로서, 와이어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로서, 프로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가 적용되는 증기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로서, 링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로서, 와이어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로서, 프로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100)는, 증기발생기(10)의 전열관(14)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케이블(110), 케이블(110)의 선단에 구비되는 프로브(120), 및 케이블(110)에 대한 프로브(120)의 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링크유닛(200)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전열관 검사 장치(100)는, 증기발생기(10)의 전열관(14) 다발의 틈새 및 전열관(14) 외곽의 이물질 및 슬러지 침적 상태를 검사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열관 검사 장치(100)는, 증기발생기(10)의 내부에서 전열관(14) 다발과 습분분리기(steam separator)(미도시)의 사이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110)은 증기발생기(10)의 전열관(14)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케이블(110)은 전열관(14) 다발과 습분분리기의 사이 공간에 장착되는 케이블 윈치(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케이블 윈치는 후술할 와이어드럼(260)과 연동되어 작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케이블 윈치의 작동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케이블(110)은 외력(예를 들어, 링크유닛에 의한 외력)에 의해 쉽게 구부려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프로브(120)는 케이블(110)의 선단(하단)에 구비되어 전열관(14) 사이를 검사한다.
여기서, 프로브(120)가 전열관(14) 사이를 검사한다 함은, 전열관(14) 사이의 이물질 및 슬러지 침적 상태를 검사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프로브(120)의 종류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브(120)는 카메라(예를 들어, 내시경 카메라), 마그넷(도 7의 120), 그립퍼(gripper)(도 8의 120'), 올가미(snare)(도 9의 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유닛(200)은 케이블(110)에 대한 프로브(120)의 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케이블(110)에 대한 프로브(12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한다 함은, 수직 상태로 하강된 케이블(110)에 대해 수직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프로브(120)를 배치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프로브(120)는 수평선에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수평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링크유닛(200)은 케이블(110)에 대한 프로브(12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링크유닛(200)은, 케이블(110)이 내부에 수용되는 베이스링크부재(210), 베이스링크부재(210)를 통과한 케이블(110)이 내부에 수용되며 베이스링크부재(2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링크부재(220), 및 제1회전링크부재(220)를 통과한 케이블(110)에 연결된 프로브(120)를 지지하며 제1회전링크부재(22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링크부재(230)를 포함한다.
베이스링크부재(2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중공형 부재(예를 들어, 중공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의 수용공간을 따라서 케이블(110)이 수용된다.
제1회전링크부재(220)는, 베이스링크부재(2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의 수용공간을 따라서는 베이스링크부재(210)를 통과한 케이블(110)이 수용된다.
여기서, 제1회전링크부재(220)가 베이스링크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함은, 제1회전링크부재(220)가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베이스링크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제1회전링크부재(2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중공형 부재(예를 들어, 중공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의 수용공간을 따라서 케이블(110)이 수용된다.
일 예로, 베이스링크부재(210)의 하단에는 2개의 제1회전링크부재(220)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링크부재의 하단에 단 하나의 제1회전링크부재가 연결되거나, 3개 이상의 제1회전링크부재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1회전링크부재의 개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회전링크부재(230)는, 제1회전링크부재(22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회전링크부재(220)를 통과한 케이블(110)에 연결된 프로브(1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2회전링크부재(230)가 제1회전링크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함은, 제2회전링크부재(230)가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회전링크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제2회전링크부재(2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중공형 부재(예를 들어, 중공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의 수용공간을 따라서 케이블(110)이 수용된다.
케이블(110)에 연결된 프로브(120)는 제2회전링크부재(230)를 통과하여,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선단에서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회전링크부재(220)와 제2회전링크부재(230)는 서로 동일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회전링크부재(220)는, 베이스링크부재(210)에 대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는 회전이 허용되되, 제2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제2회전링크부재(230)는, 제1회전링크부재(220)에 대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는 회전이 허용되되, 제2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제1회전링크부재(220)와 제2회전링크부재(230)가 서로 동일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제1회전링크부재(220)와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회전에 의한 프로브(120)의 수평 이동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프로브(120)에 의한 검사 영역을 보다 확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링크부재와 제2회전링크부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회전링크부재(220)와 제2회전링크부재(23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제1회전링크부재(220)의 상단 일측에는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1회전구속턱(222)이 형성되고, 제1회전링크부재(220)의 상단 다른 일측에는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1함몰부(22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상단 일측에는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2회전구속턱(232)이 형성되고,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상단 다른 일측에는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함몰부(234)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기준으로, 제1회전링크부재(220)의 상단 좌측에 베이스링크부재(210)의 하단에 접촉(구속)되는 제1회전구속턱(22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링크부재(210)에 대한 제1회전링크부재(220)의 시계 방향(제2방향)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반면, 제1회전링크부재(220)의 상단 우측에 제1함몰부(224)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링크부재(210)에 대한 제1회전링크부재(220)의 반시계 방향(제1방향)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기준으로,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상단 좌측에 제1회전링크부재(220)의 하단에 접촉(구속)되는 제2회전구속턱(23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회전링크부재(220)에 대한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시계 방향(제2방향)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반면,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상단 우측에 제2함몰부(234)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회전링크부재(220)에 대한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반시계 방향(제1방향)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열관 검사 장치(100)는, 제2회전링크부재(230)에 연결되며, 베이스링크부재(210)에 대해 제1회전링크부재(220) 및 제2회전링크부재(230)를 제1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와이어(240)를 포함한다.
구동와이어(240)는 제2회전링크부재(230)에 연결되며, 구동와이어(240)를 상승시킴에 따라 제1회전링크부재(220) 및 제2회전링크부재(230)는 제1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승된 구동와이어(240)를 하강시키면, 제1회전링크부재(220) 및 제2회전링크부재(230)는 중력에 의해 초기 위치(케이블과 수직을 이루는 상태)로 복귀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링크부재(210)에는 구동와이어(240)가 통과하는 제1가이드홀(216)이 형성되고, 제1회전링크부재(220)에는 구동와이어(240)가 통과하는 제2가이드홀(226)이 형성되며, 구동와이어(240)는 제1가이드홀(216) 및 제2가이드홀(226)을 거쳐 제2회전링크부재(230)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와이어(240)는 제1가이드홀(216) 및 제2가이드홀(226)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1가이드홀(216) 및 제2가이드홀(226)을 통과한 구동와이어(240)의 단부는 제2회전링크부재(230)에 형성된 고정홀(236)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동와이어(240)가 제1가이드홀(216) 및 제2가이드홀(226)을 거쳐 제2회전링크부재(230)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와이어(240)의 엉킴 및 꼬임을 방지하고,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와이어를 대신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제1회전링크부재 및 제2회전링크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열관 검사 장치(100)는, 베이스링크부재(210)를 지지하며, 전열관(14)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지지부(250)를 포함한다.
일 예로, 지지부(250)는, 베이스링크부재(210)에 연결되는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1지지와이어(252)와 이격되게 베이스링크부재(210)에 연결되는 제2지지와이어(254)를 포함한다.
제1지지와이어(252)와 제2지지와이어(254)는 케이블(110)과 함께 선택적으로 승강될 수 있으며, 제1지지와이어(252)와 제2지지와이어(254)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링크부재(210)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와이어 또는 3개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여 지지부를 구성하거나, 상하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연장 가능한 다단식(telescopic) 구조로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증기발생기(10)의 내부에는 와이어드럼(260)이 마련되고, 구동와이어(240),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는 와이어드럼(2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권취된다.
일 예로, 와이어드럼(260)은 전열관(14) 다발과 습분분리기의 사이 공간에 장착된 베이스 프레임(26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와이어드럼(260)의 회전에 의해 구동와이어(240),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가 선택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드럼(260)은, 제1지지와이어(252)가 권취되는 제1드럼홈(262), 제1드럼홈(262)과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2지지와이어(254)가 권취되는 제2드럼홈(264), 및 제1드럼홈(262)과 제2드럼홈(264)의 사이에 형성되며 구동와이어(240)가 귄취되는 제3드럼홈(26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단일 와이어드럼(260)에 구동와이어(240)와 함께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가 권취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와이어(240),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를 귄취하기 위한 권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르게는, 구동와이어(240),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가 각각 별개의 드럼에 의해 귄취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드럼(260)이 증기발생기(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증기발생기의 내부 벽면 또는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로봇 상에 와이어드럼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드럼(260)의 하부에는 구동와이어(240),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7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롤러(270)에는 제1드럼홈(262) 내지 제3드럼홈(266)에 대응하는 3개의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와이어(240),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가 가이드롤러(270)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와이어(240),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의 승강 안정성을 높이고, 프로브(120)의 유동 및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열관 검사 장치(100)는, 와이어드럼(260)과 가이드롤러(270)의 사이에서 구동와이어(240)를 선택적으로 푸시하는 푸시부재(280)를 포함한다.
일 예로, 푸시부재(280)로서는 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와이어(240),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는 와이어드럼(260)에 함께 권취되므로,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와 다른 높이로 구동와이어(240)가 승강되어야만, 제1회전링크부재(220)와 제2회전링크부재(230)가 베이스링크부재(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시부재(280)는 구동와이어(240)를 푸시함으로써, 구동와이어(240)가 제1지지와이어(252) 및 제2지지와이어(254)와 다른 높이로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푸시부재(280)는 가이드롤러(270)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구동와이어(240)의 일측(도 2를 기준으로 구동와이어의 좌측)은 가이드롤러(270)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와이어(240)의 다른 일측(도 2를 기준으로 구동와이어의 우측)은 푸시부재(280)에 의해 푸시된다.
구동와이어(240)의 승강 높이는 푸시부재(280)에 의해 구동와이어(240)가 푸시되는 구간(또는 정도)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구동와이어(240)의 승강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제1회전링크부재(220) 및 제2회전링크부재(230)의 회전량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와이어(240)가 푸시되는 구간을 조절하여 프로브(120)의 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푸시부재(280)에 의한 프로브(120)의 배치 각도 조절은, 프로브(120)가 전열관(14) 사이로 하강하기 전에 행해지거나, 프로브(120)가 전열관(14) 사이로 하강한 이후에 주변 환경(예를 들어, 이물질 발생 및 침적 상태)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일 예로, 푸시부재(280)는 구동와이어(240)를 푸시하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푸시부재(280)는 리니어모터,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구동와이어(24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하며 구동와이어(240)를 선택적으로 푸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증기발생기
12 : 트랜지션콘
14 : 전열관
100 : 전열관 검사 장치
110 : 케이블
120 : 프로브
200 : 링크유닛
210 : 베이스링크부재
216 : 제1가이드홀
220 : 제1회전링크부재
222 : 제1회전구속턱
224 : 제1함몰부
226 : 제2가이드홀
230 : 제2회전링크부재
232 : 제2회전구속턱
234 : 제2함몰부
236 : 고정홀
240 : 구동와이어
250 : 지지부
252 : 제1지지와이어
254 : 제2지지와이어
260 : 와이어드럼
262 : 제1드럼홈
264 : 제2드럼홈
266 : 제3드럼홈
270 : 가이드롤러
280 : 푸시부재

Claims (13)

  1.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선단에 구비되는 프로브;
    상기 케이블이 내부에 수용되는 베이스링크부재, 상기 베이스링크부재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베이스링크부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링크부재, 및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에 연결된 상기 프로브를 지지하며,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에 대한 상기 프로브의 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링크유닛;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링크부재에 대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 및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를 제1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와이어;
    상기 베이스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제1지지와이어, 및 상기 제1지지와이어와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제2지지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전열관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지지부; 및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와이어, 상기 제1지지와이어, 및 상기 제2지지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귄취하는 와이어드럼;
    를 포함하는 전열관 검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는, 상기 베이스링크부재에 대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는 회전이 허용되되, 제2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는,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에 대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는 회전이 허용되되, 상기 제2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되는 전열관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1회전구속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의 상단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1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2회전구속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의 상단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함몰부가 형성되는 전열관 검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링크부재에는 상기 구동와이어가 통과하는 제1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에는 상기 구동와이어가 통과하는 제2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제1가이드홀 및 상기 제2가이드홀을 거쳐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전열관 검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드럼은,
    상기 제1지지와이어가 권취되는 제1드럼홈;
    상기 제1드럼홈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와이어가 권취되는 제2드럼홈; 및
    상기 제1드럼홈과 상기 제2드럼홈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와이어가 귄취되는 제3드럼홈;
    을 포함하는 전열관 검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와이어, 상기 제1지지와이어, 및 상기 제2지지와이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전열관 검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드럼과 상기 가이드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와이어를 선택적으로 푸시하는 푸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부재가 상기 구동와이어를 푸시하면, 상기 베이스링크부재에 대해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 및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열관 검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카메라, 마그넷, 그립퍼(gripper), 올가미(snar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열관 검사 장치.
KR1020190075765A 2019-06-25 2019-06-25 전열관 검사 장치 KR10206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765A KR102064121B1 (ko) 2019-06-25 2019-06-25 전열관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765A KR102064121B1 (ko) 2019-06-25 2019-06-25 전열관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121B1 true KR102064121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765A KR102064121B1 (ko) 2019-06-25 2019-06-25 전열관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1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055B1 (ko) * 1996-08-07 2003-03-03 포스터-밀러, 인코포레이티드 상부다발증기발생기용세척/검사기구의전개장치
KR200420038Y1 (ko) * 2006-04-11 2006-07-03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용 원격제어 엔드이펙터 장치
KR20090032480A (ko) * 2007-09-28 2009-04-01 한국전력공사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유량분배판 고정볼트의육안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055B1 (ko) * 1996-08-07 2003-03-03 포스터-밀러, 인코포레이티드 상부다발증기발생기용세척/검사기구의전개장치
KR200420038Y1 (ko) * 2006-04-11 2006-07-03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용 원격제어 엔드이펙터 장치
KR20090032480A (ko) * 2007-09-28 2009-04-01 한국전력공사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유량분배판 고정볼트의육안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9938B2 (ja) 自走式架空電線検査装置
CN101453820B (zh) 医学检查设备、尤其是x射线设备
ES2384542T3 (es) Disposición para el guiado de cables y una turbina eólica que usa dicha disposición
CN104528467B (zh) 线轴更换装置
KR102064121B1 (ko) 전열관 검사 장치
WO2008113894A1 (en) Panoramic x-ray apparatus
KR20130136719A (ko) 송전선로 장애물 극복을 위한 선로 검사 로봇용 구동 롤러 및 이를 구비한 선로 검사 로봇
JP5355159B2 (ja) 自走式電線点検装置
WO2018225610A1 (ja) ケーブル処理装置
JP2014227251A (ja) リフター
KR101937626B1 (ko) 증기발생기 상부다발 이물질 처리장치
JP2021049974A (ja) ケーブルによる車両輸送設備の牽引ケーブルを支持して案内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6061583A (ja) X線撮像システム
KR101401996B1 (ko) 정밀성이 강화된 승강식 무대장치
KR102081539B1 (ko) 원자로 헤드 검사 장치
RU22167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отбора проб или извлечения в точном месте под плитой
JP2005227020A (ja) 原子炉圧力容器内の点検・補修装置及び方法
KR101103134B1 (ko) 리깅장치
JP2011122338A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423510B1 (ko) 제어봉 낙하 실험장치
KR102064120B1 (ko) 전열관 검사 장치
KR101590625B1 (ko) 크레인
JP2012115063A (ja) 自走式電線点検装置
CN112623884A (zh) 缆线卷绕试验设备
JP2005331245A (ja) 原子炉建屋内作業補助装置および原子炉建屋内作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