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015B1 -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 Google Patents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015B1
KR102063015B1 KR1020190129777A KR20190129777A KR102063015B1 KR 102063015 B1 KR102063015 B1 KR 102063015B1 KR 1020190129777 A KR1020190129777 A KR 1020190129777A KR 20190129777 A KR20190129777 A KR 20190129777A KR 102063015 B1 KR102063015 B1 KR 10206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ousing
roll
hair roll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애
Original Assignee
김현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애 filed Critical 김현애
Priority to KR102019012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015B1/ko
Priority to PCT/KR2020/000906 priority patent/WO202107564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45D2/367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08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of hollow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06Devices for pneumatic waving in form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14Simple clamps for hair 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2006/005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배기구가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내부에 회전팬과 전기저항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장착하고, 하우징의 측면에는 하우징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구가 형성된 커버가 장착되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통해 회전팬의 구동모터와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배기구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헤어롤로 연출한 헤어 스타일이 유지 시간을 연장시키고, 열에 의한 머리카락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Portable Hair-Roll with Air Blowing Function}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머리카락에 임시로 착용하는 휴대용 헤어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배기구가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내부에 회전팬과 전기저항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장착하고,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통해 회전팬의 구동모터와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배기구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헤어롤로 연출한 헤어 스타일이 유지 시간을 연장시키고, 열에 의한 머리카락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하여 헤어 드라이어 또는 헤어 아이론을 이용하게 되는데, 헤어 드라이어 또는 헤어 아이론은 높은 열을 가하여 머리카락 내에 포함된 수분을 순간적으로 증발시켜 유연성을 낮춤으로써 머리카락에 컬(curl) 또는 웨이브를 형성하여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게 된다.
헤어 아이론 등을 이용한 헤어 스타일의 연출은 약품을 통해 머리카락을 구성하는 케라틴 분자구조를 변형하여 헤어 스타일을 변화시키는 퍼머넌트 웨이브(permanent wave)와 달리 완성된 헤어 스타일의 지속 시간이 매우 짧은 단점을 가지기 때문에 헤어롤에 머리카락을 말아서 일정 시간동안 고정하여 연출한 헤어 스타일을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헤어롤은 단순히 헤어롤에 머리카락을 말아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시간 대비 헤어 스타일의 지속 시간이 짧고, 이에 따라 헤어롤을 수시로 착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1996호(2018.12.18.등록)에서는 휴대용 헤어롤 내부에 전원공급부와 히터부를 장착하여 휴대용 헤어롤을 장착한 상태에서 머리카락에 열을 가하여 헤어 스타일의 지속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열 헤어롤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열 헤어롤의 경우 히터부에서 발생한 열이 머리카락에 직접 전달되어 머릿결 손상의 원인이 되고, 가열된 헤어롤이 두피 또는 이마에 접촉하여 불쾌감을 유발하였으며, 두피에 가해진 자극에 의해 유분이 분비되어 머리카락에 기름이 쉽게 끼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1996호 (2018.12.18. 등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용 헤어롤 사용 후 헤어 스타일 지속시간을 연장시키고, 이를 통해 휴대용 헤어롤을 착용하는 횟수 및 시간을 절감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히터가 장착된 휴대용 헤어롤 사용시 히터로부터 발생한 열의 직접 전달에 의한 머릿결 손상의 발생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열된 휴대용 헤어롤의 피부 자극에 의한 불쾌감유발을 방지하고, 두피 유분 분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머리카락에 기름이 끼면서 사용자 불편 발생의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헤어 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머리카락에 임시로 착용하는 휴대용 헤어롤에 있어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표면 전면(全面)에 걸쳐 다수의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커버, 양측 또는 어느 한측의 커버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흡기구, 다수의 날개가 하우징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흡기구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회전팬, 하우징과 회전팬 사이에 장착되고,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어, 흡기구로 공급되어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전기저항열을 통해 가열하는 발열체, 회전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발열체와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발열체와 구동모터 및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팬의 일측 끝단 가장자리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링기어가 형성되고, 링기어는 구동모터에 장착된 구동기어와 연결되거나, 상기 구동모터에 장착된 롤러가 회전팬의 일측 끝단 가장자리 내측 또는 외측 표면과 직접 접촉하여 회전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팬은 원심형팬으로 이루어지고, 회전팬의 측면에는 흡기구(21)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와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가 형성되며, 임펠러의 회전축과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외부 표면에는 헤어롤과 머리카락을 서로 밀착시키는 고정클립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PCB기판으로 이루어진 제어회로, 제어회로의 전원 또는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 모듈, 점멸 또는 점등 색상에 따라 헤어롤의 작동상태 또는 배터리의 충전·방전상태 등을 표시하는 상태표시램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자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과 회전팬 사이에는 베어링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헤어롤 내부에 장착된 회전팬과 발열체의 작용에 의해 머리카락에 따뜻한 바람을 송풍시킴으로써, 휴대용 헤어롤 사용 후 헤어 스타일 지속시간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휴대용 헤어롤을 장착하는 횟수 및 시간을 절감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머리카락에 따뜻한 바람을 송풍시킴으로써, 휴대용 헤어롤 사용시 젖은 머리카락을 건조시키는 헤어 드라이어 역할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열된 휴대용 헤어롤로부터 머리카락에 직접 열을 전달하는 전도(conduction) 방식이 아닌 휴대용 헤어롤로부터 머리카락에 따뜻한 바람을 송풍시켜 열을 전달하는 대류(convection)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휴대용 헤어롤 사용시 열에 의한 머릿결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팬 측면에 형성된 임펠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와류를 강화시켜 발열체와 공기간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각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고, 배기구의 배출공기량을 증가시켜 헤어롤의 사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헤어롤 착용상태에서 가열된 휴대용 헤어롤이 사용자의 이마, 귀, 목덜미 등의 피부 노출부에 닿으면서 불쾌감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헤어롤의 발열에 의한 두피 자극에 따른 두피 유분 분비량 증가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용 헤어롤 착용시 머리카락에 기름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클립을 통해 머리카락을 휴대용 헤어롤 표면에 밀착시켜 헤어롤의 헤어 스타일 형성 및 지속 효과를 향상시키고,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헤어롤에 감긴 머리카락이 풀리거나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헤어롤 외부 구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헤어롤 내부 구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헤어롤의 회전팬 구조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헤어롤의 A-A' 절단면에 따른 내부 구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클립 형상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헤어롤과 고정클립의 고정 구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표면 전면(全面)에 걸쳐 다수의 배기구(11)가 형성된 하우징(10)의 양측면에 커버(20)가 연결되고, 양측 또는 어느 한측의 커버(20)에는 외부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공급하는 흡기구(21)가 형성되어 헤어롤(1)을 외형을 구성하게 된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흡기구(21)로부터 하우징(10)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배기구(11)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하는 회전팬(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팬(30)은 다수의 날개가 하우징(10)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과 회전팬(30) 사이에는 흡기구(21)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전기저항열을 통해 가열하는 발열체(40)가 장착되는데, 발열체(40)는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의 가열이 균일하게 발생하고, 가열된 공기가 각 배기구(11)로 균일하게 배출하기 위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거나, 도 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구조 등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발열체(40)가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헤어롤(1) 착용시 헤어롤(1)의 가열부가 사용자의 이마, 귀, 목덜미 등의 피부 노출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열부와의 접촉에 의해 사용자 불쾌감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헤어롤(1)의 가열부와 두피간 직접 접촉시 두피 자극에 의해 두피 유분 분비량이 증가하면서 머리카락에 기름이 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열체(40) 내부에는 회전팬(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 발열체(40)와 구동모터(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 발열체(40)와 구동모터(50) 및 제어부(60)에 각각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70)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팬(30)은 다수의 날개가 하우징(10)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는데, 회전팬(30)이 프로팰러 형상을 이루어 구동모터(50)와 직렬로 연결되거나, 발열체(40)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날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원심형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심형팬은 발열체(40) 및 하우징(10)의 각 배기구(1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일정하게 하여 헤어롤(1)의 사용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팬(30)이 원심형팬으로 이루어진 경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50)와 제어부(60) 및 배터리(70)가 커버(20) 내측면에 고정장착되면서 원심형팬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고, 회전팬(30)의 일측 끝단 가장자리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링기어(31)가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0)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헤어롤(1)의 크기 증가를 방지하고, 회전팬(30)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심형팬으로 이루어진 회전팬(30)의 측면에 임펠러(33)가 장착될 수 있는데, 임펠러(33)의 중심축이 구동모터(50)의 회전축에 직렬로 연결되어 구동모터(50)가 회전팬(30)의 원심형팬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구동모터(50)와 제어부(60)는 일측 커버(20)에 연결되어 원심형팬 내측 중앙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스페이서(spacer)에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33)는 프로펠러 등의 축류형 팬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커버(20)의 흡기구(21)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와류를 강화시켜 발열체(40)와 하우징(10) 내부에 유입된 공기간 열교환을 용이하게 하여, 각 배기구(1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임펠러(33)에 의해 형성된 와류는 배기구(1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속도를 증가시키게 되며, 헤어롤(1)에서 배출되는 풍량이 증가되면서 헤어롤(1)의 사용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링기어(31)는 구동모터(50)에 연결된 구동기어(51)와 연결되며, 회전팬(30)의 원활한 회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하우징(10)과 회전팬(30) 사이에는 베어링(32)이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구동기어(51) 대신 롤러가 장착되고, 롤러는 회전팬(30)의 일측 끝단 가장자리 내측 또는 외측 표면과 직접 접촉하여 구동모터(50)의 동력을 회전팬(3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롤러와 회전팬(30)간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접촉면간 마찰력을 높여 동력 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PCB기판으로 이루어진 제어회로(61), 제어회로(61)의 전원 또는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 모듈(62), 점멸 또는 점등 색상에 따라 헤어롤(1)의 작동상태 또는 배터리(70)의 충전·방전상태 등을 표시하는 상태표시램프(63), 배터리(70)를 충전하는 충전단자(64)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타 휴대용 전자기기와 충전기가 호환되어 사용자의 충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전단자(64)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0) 외부 표면에는 헤어롤(1)과 머리카락을 서로 밀착시키는 고정클립(80)이 장착될 수 있는데, 고정클립(80)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부착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측 끝단이 하우징(10) 또는 커버(20)와 연결된 고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부착형 고정클립(80)은 헤어롤(1) 사용시 고정클립(80)과 하우징(1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클립(80)이 헤어롤(1)의 하우징(10) 외주면의 절반 이상 덮을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단면을 이룰 수 있으며, 용이한 탈부착을 위하여 변형 및 원형태로의 회복이 가능한 경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형 고정클립(80)은 고정클립(80)과 헤어롤(1)간 연결부가 힌지로 연결되고, 힌지에 스프링이 장착된 구조를 이루거나, 힌지 반대측면에 탄성변형에 의해 걸림이 발생하는 후크가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형 고정클립(80)이 적용된 경우 헤어롤(1)에 머리카락을 감기 위하여 헤어롤(1)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고정클립(80)이 사용자의 머리 또는 머리카락과 간섭하여 헤어롤(1) 착용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클립(80)은 탈부착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80)의 내주면에는 하우징(10) 외주면과 고정클립(80) 내주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클립(80)의 공기 유로는 하우징(10)의 배기구(11)에서 배출되는 따뜻한 공기가 하우징(10)에 감긴 머리카락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여 헤어롤(1)의 사용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헤어롤(1)의 사용 전 커버(20)에 형성된 충전단자(64)를 통해 배터리(70)를 충전하고, 배터리(70)의 충전이 완료되면 헤어롤(1)에 머리카락을 감은 뒤 고정클립(80)으로 헤어롤(1)과 머리카락을 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클립(80)의 장착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카락이 감긴 상태의 헤어롤(1) 하우징(10) 측면에 고정클립(80)의 개구부를 접근 및 접촉시킨 다음 힘을 가하면 고정클립(80)이 변형되면서 하우징(10)이 고정클립(80)의 개구부로 삽입된다.
고정클립(80)은 머리카락을 헤어롤(1) 표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배기구(11)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헤어롤에 감긴 머리카락이 풀리거나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여 헤어롤(1)에 의한 헤어 스타일 형성 및 지속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헤어롤(1)에 고정클립(80) 장착이 완료되면 스위치 모듈(62)의 스위치를 눌러 제어회로(61)에 전원을 인가하고, 제어회로(61)는 헤어롤(1)의 발열체(40) 및 구동모터(50)를 작동시키게 된다.
구동모터(50)가 작동하면 구동기어(51)가 회전하면서 구동기어(51)와 연결된 링기어(31)를 구동시켜 회전팬(30)을 회전시키고, 구동모터(50)와 회전팬(30)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 구동모터(50)가 회전팬(30)을 곧바로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팬(30)의 회전에 의해 커버(20)의 흡기구(21)로부터 외부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하우징(10) 내부로 공급된 외부 공기는 발열체(40)의 유로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하우징(10)에 형성된 배기구(11)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되며, 고정클립(80)의 공기 유로를 따라 하우징(10)에 감긴 머리카락에 고르게 분배된다.
머리카락에 따뜻한 바람을 송풍시켜 헤어롤(1) 사용 후 헤어 스타일 지속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기존의 헤어롤 대비 사용자가 헤어롤(1)을 장착하는 횟수 및 장착 시간을 절감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헤어롤(1) 작동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회로(61)에 의해 발열체(40)와 구동모터(50)의 작동이 자동으로 정지되고, 설정된 시간 경과 전이라도 사용자가 스위치 모듈(62)의 스위치를 누르면 발열체(40)와 구동모터(50)의 작동이 수동으로 정지된다.
이때, 발열체(40)의 발열작동이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정지한 후 일정시간동안 구동모터(50)가 추가로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열된 머리카락을 적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발열체(40)와 구동모터(50)의 작동이 완전히 정지되면 사용자가 헤어롤(1)에 고정클립(80)을 장착하는 방법의 역순으로 고정클립(80)을 분리하고, 머리카락으로부터 헤어롤(1)을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을 통한 헤어 스타일 연출이 완료된다.
이때, 배터리(70) 충전 과정이나 헤어롤(1)의 작동 과정에서 상태표시램프(63) 점멸 또는 점등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점등 색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배터리(70)의 충전·방전상태 또는 헤어롤(1)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롤(1)은 머리카락에 직접 열을 전달하는 전도 방식의 가열방법을 채택한 기존의 헤어롤과 달리, 머리카락에 따뜻한 바람을 송풍시켜 열을 전달하는 대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발열부 접촉에 의한 머릿결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를 통해 머리카락을 충분히 건조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출근이나 외출 또는 일상생활을 진행하더라도 헤어롤(1)로부터 송풍되는 따뜻한 바람을 통해 젖은 머리카락의 건조 및 헤어 스타일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시간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헤어롤 10: 하우징
11: 배기구 20: 커버
21: 흡기구 30: 회전팬
31: 링기어 32: 베어링
33: 임펠러 40: 발열체
50: 구동모터 51: 구동기어
60: 제어부 61: 제어회로
62: 스위치 모듈 63: 상태표시램프
64: 충전단자 70: 배터리
80: 고정클립

Claims (6)

  1. 헤어 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머리카락에 임시로 착용하는 휴대용 헤어롤(1)에 있어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표면 전면(全面)에 걸쳐 다수의 배기구(11)가 형성된 하우징(10);
    하우징(10)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커버(20);
    양측 또는 어느 한측의 커버(20)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공급하는 흡기구(21);
    다수의 날개가 하우징(10)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하우징(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흡기구(21)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배기구(11)를 통해 배출하는 원심형의 회전팬(30);
    하우징(10)과 회전팬(30) 사이에 장착되고,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어, 흡기구(21)로 공급되어 배기구(11)로 배출되는 공기를 전기저항열을 통해 가열하는 발열체(40);
    회전팬(30)을 회전시키되 회전팬(30)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50);
    발열체(40)와 구동모터(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
    발열체(40)와 구동모터(50) 및 제어부(6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70); 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팬(30)의 일측 끝단 가장자리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링기어(31)가 형성되고, 링기어(31)는 구동모터(50)에 장착된 구동기어(51)와 연결되거나, 상기 구동모터(50)에 장착된 롤러가 회전팬(30)의 일측 끝단 가장자리 내측 또는 외측 표면과 직접 접촉하여 회전팬(3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팬(30)의 측면에는 흡기구(21)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와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33)가 형성되며, 임펠러(33)의 회전축과 구동모터(50)의 구동축이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 외부 표면에는 헤어롤(1)과 머리카락을 서로 밀착시키는 고정클립(8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PCB기판으로 이루어진 제어회로(61), 제어회로(61)의 전원 또는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 모듈(62), 점멸 또는 점등 색상에 따라 헤어롤(1)의 작동상태 또는 배터리(70)의 충전·방전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램프(63), 배터리(70)를 충전하는 충전단자(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6. 제1항 또는 제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과 회전팬(30) 사이에는 베어링(32)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KR1020190129777A 2019-10-18 2019-10-18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KR10206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777A KR102063015B1 (ko) 2019-10-18 2019-10-18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PCT/KR2020/000906 WO2021075642A1 (ko) 2019-10-18 2020-01-20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777A KR102063015B1 (ko) 2019-10-18 2019-10-18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015B1 true KR102063015B1 (ko) 2020-02-11

Family

ID=6956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777A KR102063015B1 (ko) 2019-10-18 2019-10-18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3015B1 (ko)
WO (1) WO2021075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7894A1 (zh) * 2022-01-21 2023-07-27 宋秀红 一种可双向卷发的卷发棒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3573A1 (en) * 2000-11-23 2002-06-20 Hsiu-Mei Wu Blow dryer
US20070278205A1 (en) * 2006-06-05 2007-12-06 Lorraine Pencook Curling iron for babies and young children
KR20130128827A (ko) * 2012-05-18 2013-11-27 주식회사 비투와이 에어 브러쉬
KR20170096840A (ko) * 2016-02-17 2017-08-2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헤어 롤
KR101931996B1 (ko) 2016-12-26 2018-12-24 유닉스전자 주식회사 전열 헤어롤
KR20190044963A (ko) * 2017-10-23 2019-05-02 여민 헤어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3573A1 (en) * 2000-11-23 2002-06-20 Hsiu-Mei Wu Blow dryer
US20070278205A1 (en) * 2006-06-05 2007-12-06 Lorraine Pencook Curling iron for babies and young children
KR20130128827A (ko) * 2012-05-18 2013-11-27 주식회사 비투와이 에어 브러쉬
KR20170096840A (ko) * 2016-02-17 2017-08-2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헤어 롤
KR101931996B1 (ko) 2016-12-26 2018-12-24 유닉스전자 주식회사 전열 헤어롤
KR20190044963A (ko) * 2017-10-23 2019-05-02 여민 헤어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5642A1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0159B (zh) 一种吹风机
KR102063015B1 (ko) 송풍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헤어롤
US20170215541A1 (en) Hair styling device
CN106762728A (zh) 送风机
KR20180074764A (ko) 의류 건조기
CN110495694A (zh) 一种热风梳
KR200461234Y1 (ko) 헤어드라이어의 압축송풍장치
CN213639957U (zh) 一种电机转动机构及具有其的自动美发器
CN206822244U (zh) 一种组装式电吹风
CN212465222U (zh) 一种自动美发器
CN209800328U (zh) 风扇
WO2021021056A1 (en) Novelty in relation to a hair-dryer
CN209489641U (zh) 一种带有双叶轮的吹风机
CN209788886U (zh) 一种吹风机
CN207365271U (zh) 风扇
KR200318917Y1 (ko) 가열 회전식 롤브러시
CN210446025U (zh) 一种可对内置电池散热的充电吹风机
CN110375433A (zh) 一种可翻转发热芯
CN210076854U (zh) 一种新型吹风梳
CN213908945U (zh) 一种具有降温功能的旋转式吹风机
CN212590834U (zh) 一种具有指示灯的吹风机
CN215532296U (zh) 一种便于调节温度的智能化吹风机
CN207940452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电吹风
CN218882559U (zh) 一种可多级调节转数的吹风机
CN216123960U (zh) 一种可吹送气流的卷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