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004B1 - 의료용 넥워머 - Google Patents

의료용 넥워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004B1
KR102063004B1 KR1020190011125A KR20190011125A KR102063004B1 KR 102063004 B1 KR102063004 B1 KR 102063004B1 KR 1020190011125 A KR1020190011125 A KR 1020190011125A KR 20190011125 A KR20190011125 A KR 20190011125A KR 102063004 B1 KR102063004 B1 KR 102063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urgery
material portion
coupl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원
Original Assignee
허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원 filed Critical 허재원
Priority to KR102019001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97Blankets with active heating or cooling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8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for particular medical treatments or effects
    • A61F2007/028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for particular medical treatments or effects during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넥워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술시 환자의 저체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고, 구조 및 제조가 간단한 의료용 넥워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는 환자 수술시 상기 환자의 체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목 부위에 배치되는 의료용 넥워머에 있어서, 적어도 한 겹 이상으로 적층된 제1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소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소재부는 내부가 비어있도록 원통형태로 형성된 후, 상기 원통형태의 제1소재부가 단면이 납작한 형태를 갖도록 압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넥워머{Neck warmer for surgery}
본 발명은 의료용 넥워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술시 환자의 저체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고, 구조 및 제조가 간단한 의료용 넥워머에 관한 것이다.
의학적으로 사람의 체온을 기준으로 상태를 판단할 때, 사람의 체온이 36도 이하가 되면 저체온으로 정의한다. 그런데, 사람이 생활을 하다보면 예기치않게 질병 등으로 인하여 수술을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전신마취, 부분마취 상관없이 수술받는 사람의 20% 내지 50%의 사람이 수술 후에 이른바 저체온(Hypothemia)증을 경험한다.
이러한 저체온증의 원인을 보면, 일반적으로 수술이 행해지는 수술방은 감염의 우려 등으로 인해 섭씨 19도 내지 22도 정도로 조절이 되고, 반면 사람의 체온은 36.5도 정도이기 때문에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환자의 체온은 자연스럽게 내려갈 수 밖에 없다.
또한, 수술시에는 드레이프(drape)를 통해 수술 환자의 몸을 커버하여 수술 부위만을 노출되도록 하는데, 일반적으로 환자가 수술방에 들어가기에 앞서 모든 의복을 벗은 상태로 수술용 드레이프만을 덮은 상태로 수술실에 들어가게 된다. 그 이후 마취를 시행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수술방의 온도는 체온보다 낮고, 환자는 의복을 벗은 상태로 마취 및 수술이 수행되기 때문에 의복을 착용했을 때보다 더욱 체온이 내려가는 속도가 빠를 수 밖에 없다.
또한, 의학적으로 사람이 수술을 위해 마취를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vasodilation(혈관확장)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혈관이 긴장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초기 36도 내지 37도의 사람이 1시간 내에 0.5도 내지 1.5도까지 혈류의 재분포로 인하여 체온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어떠한 관점에서 보아도 환자의 수술시에 체온이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저체온증은 사람에게 치명적일 수 있고, 생명활동에 많은 지장을 줄 수 있어 수술을 하는 의사의 입장에서는 수술 중에 환자의 체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저체온을 막는 것을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급속한 체온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기술이 개발된 바 있는데, 종래 수술 중의 저체온증 발생 방지를 위한 한국등록특허 제10-1761876호는 수술환자의 몸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되 부직포 재질의 일정크기로 이루어진 기본시트와, 기본시트의 표면에 다수 구성되어지되 방수필름을 통해 공기가 통하지 않게 밀봉된 구조의 포켓과 포켓의 내부에 구성되어 공기의 유입에 따른 산화반응을 통해 열을 발산하는 핫팩과, 핫팩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핫팩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발열온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체온유지용 보호시트를 개시한 바 있으며, 일본등록특허 제04191384호는 환자의 몸통, 허벅지 등을 감싸며, 내부에 따뜻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환자의 체온을 관리하기 위한 열전달 블랭킷(blanket)을 개시한 바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 특허와 거의 유사한 기술이 상용화 된 제품도 있는데, 그러한 예로서, 미국의 3M이라는 제조사에서는 Bair-Hugger라는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3M에서 판매되는 Bair-Hugger 제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몸 일부 또는 전체를 Blanket으로 덮은 후 그러한 Blanket에 따뜻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구성이나 방식면에서 보건데 전술한 종래 특허와 기술적으로는 실질적으로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특허 및 현재 판매중인 제품은 구조상 환자에게 씌우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반신을 수술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수술 위치나 환자 포지션에 따라 환자에게 씌울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경우도 매우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수술 종류나 수술방에 따라서 이러한 제품이 아예 설치가 안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며, 예를 들면 환자에게 아크릴 덮개를 씌워서 수술 하는 종류나 방의 경우, 설치가 된다고 하더라도, 환자에게 씌우는 과정 및 따뜻한 공기 유입 및 순환을 위하여 연결하는 과정 등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한 문제가 있어 여러모로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한편, 환자의 체온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에 다른 방법으로 IV(Intravenous)를 온도를 높여서 투여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환자의 체온을 유지 및 올리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양이 투여되어야 약간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학회 내의 논문, 연구결과 등으로 나와 있는 실정이라 현실적으로 효과를 보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술 중에서 일어나는 체온 저하를 용이하고, 간편하며,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1761876호
(특허문헌2) 일본등록특허 제0419138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술시 환자의 저체온이 효율적으로 방지되고,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며, 구조 및 제조가 간단한 의료용 넥워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 수술시 상기 환자의 체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목 부위에 배치되는 의료용 넥워머에 있어서, 적어도 한 겹 이상으로 적층된 제1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소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소재부는 내부가 비어있도록 원통형태로 형성된 후, 상기 원통형태의 제1소재부가 단면이 납작한 형태를 갖도록 압착되어 형성되는 의료용 넥워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의료용 넥워머는 상기 제1소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한 겹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소재를 갖는 제2소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넥워머는 상기 환자의 목을 감싼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소재부의 일측 및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소재부가 상기 환자의 목 둘레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도록 결합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재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에 의하면, 적어도 한 겹 이상의 소재로 구성되어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 및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에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수술부위 또는 수술방의 상태에 관계없이 환자에게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체온 방지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소재 및 제2소재의 원소재의 구성에 따라 더욱 저체온 방지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아 또는 성인에 상관없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맞춰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에 발열부를 구비할 수 있어 필요시 더욱 저체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Bair-Hugger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의 사시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의 제작순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의료용 넥워머의 사용상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도 3c에 도시된 의료용 넥워머의 작동도.
도 7a 내지 7c는 도 3c에 도시된 의료용 넥워머의 작동상태 요부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가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는 제1소재부(100)를 포함하며, 제2소재부(200), 결합부(300), 발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소재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의 본체를 이루며, 환자의 목부위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환자의 저체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소재부(100)는 적어도 합 겹 이상의 제1소재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소재가 환자의 목과 외부를 열적으로 차단하여 환자의 체온 저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사람의 심장박출량(CO, Cadiac Output)의 15%, 실질적으로는 분당 약 750ml가 사람의 머리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사람의심장에서 머리로 가는 혈액은 말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 박출량에 비하여 비록 많은 부분은 아니지만 얼굴에서 머리로 가는 이 혈액의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전체 체온 유지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수술 중의 저체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경험적으로, 사람이 매우 추운날 목도리를 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의 체감상의 체감온도가 매우 많은 차이가 나고 실제로도 체온 저하 속도나 체온 유지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열역학적으로 열의 전달은 전도, 대류, 복사가 있는데, 이렇게 사람의 목 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배치함으로써 우선 전도에 따른 열전달(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류(환자 주변의 수술방에 있는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전달(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사람의 전체 체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목을 통과하는 혈액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전달(열손실) 메커니즘 및 공식에 관하여는 일반 물리학 및 열전달(thermal transport)의 기초적인 법칙이므로 이에 관하여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1소재부(100)만을 환자의 목에 배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때 제1소재는 면(cotton)을 사용하였고, 본 결과를 보건데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가 환자의 저체온 방지에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일 수 있다.
우선 첫번째 케이스는 90세 환자로서, PTA(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수술을 시행하였고, 전체 수술 소요시간은 150분이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만을 적용하였다.
케이스-1
수술경과시간(분) 0 15 30 45 60 75 90 120 135 150
체온(도) 36.9 36.9 36.8 36.6 36.4 36.3 36.2 36.1 36.0 35.9
일반적으로 사람의 체온의 저하 속도를 보면, 수술 시작 후 초기 1시에 제일 체온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의학적으로 알려져 있고, 경험상 첫번째 케이스와 같은 환자는 수술 시간 경과 1시간 정도가 되면 35.5도까지 떨어지는 것이 보통인데,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적용한 결과, 90분이 지나도 저체온에 접어들지 않고, 수술이 끝날때가 되어서야 저체온에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번째 케이스는 Aneurysm환자로 뇌동맥류 코일 관련 수술을 시행하였고, 전체 수술 시간은 90분이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만을 적용하였다.
케이스-2
수술경과시간(분) 0 15 30 45 60 75 90
체온(도) 36.9 36.7 36.5 36.4 36.3 36.1 36.1
두번째 케이스 또한 90분 수술을 진행하면서 체온을 관찰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적용한 결과, 수술 90분 경과하여 수술이 끝날 때까지 저체온에 빠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번째 케이스는 EVAR(Endovascular Aneurysm Repair:동맥류재건술) 수술 환자로서, 혈관에 스텐트(stent) 수술을 하였으며, 전체 수술 시간은 150분이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만을 적용하였다.
케이스-3
수술경과시간(분) 0 15 30 45 60 75 90 120 135 150
체온(도) 36.3 36.3 36.4 36.3 36.3 36.2 36.2 36.1 36.1 36.0
세번째 케이스 또한 150분간 수술을 진행하면서 체온을 관찰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적용한 결과, 수술 150분 경과하여 수술이 끝날 때까지 저체온에 빠지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네번째 케이스는 Pectus Bar를 이용한 수술환자로서, 소아였으며, 전체 수술시간은 75분이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수술 시작 후 45분 경과시에 적용하였다.
케이스-4
수술경과시간(분) 0 15 30 45 60 75
체온(도) 37.6 37.4 37.0 36.4 36.2 36.1
네번째 케이스는 75분간 수술을 진행하면서 체온을 관찰하였으며, 초기 45분간은 체온이 높아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적용하지 않았으나, 45분동안 체온이 급속히 떨어지고 있어 45분 경과시에 체온 저하 속도를 낮추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적용한 45분 이후부터 수술 종료시까지 체온 저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보건데,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는 구조 및 사용방법은 매우 용이하고 간단하지만 체온 저하 방지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1소재부(100)를 이루는 제1소재는 순면(cotton)이 적용될 수 있으며, 캐시미어, 울 등의 소재가 적용될 수 있고, 이른바 기능성 소재라고 불리우는 발열 섬유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적용될 수 있는 발열 섬유는 탄소 섬유, 발열 세라믹 섬유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온이 될 수 있는 소재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소재라고 표현하였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과 레이온이 합쳐진 섬유와 같이 이른바 합성 섬유나 혼방 또한 가능하다.
한편, 제1소재는 발열기능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넥워머는 고온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약 2도 내지 3도 정도의 표면 온도 상승 기능을 가진 열반사소재 또는 흡습발열소재 또는 원적외선 방사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제1소재로 열반사소재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열반사소재는 면 등의 원단에 매우 소량의 금속 성분을 입혀 인체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을 반사하여 다시 사람에게 되돌림으로써 환자의 체온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연반사소재를 제1소재로 하여 제1소재부(100)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가온 없이 환자의 체온 저하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제1소재로 흡습발열소재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흡습발열소재는 아크릴레이트계 섬유에 다수의 친수성 기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수증기가 섬유에 흡습될 때 발생하는 흡착열을 이용하여 섬유의 표면온도를 올려 환자의 체온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흡습발열소재를 제1소재로 하여 제1소재부(100)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가온 없이 환자의 체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소재로 원적외선 방사소재가 적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원적외선 방사소재는 섬유 내에 방사율이 높은 물질을 혼입하여 방사율을 88%이상으로 형성하면, 이러한 원적외선으로 인하여 환자의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원적외선 방사소재를 제1소재로 하여 제1소재부(100)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가온 없이 환자의 체온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소재부(100)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재가 원통형을 갖도록 형성된 후, 이렇게 형성된 제1소재를, 도 4c와 같이, 압착하여 단면이 납작한 모양을 갖도록 눌려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소재부(100)의 내측에는 비어 있는 공간이 별도 형성되어 존재하지는 않으나, 환자측의 공기와 수술방의 공기를 최대한 차단하여 최소한의 열전달(환자로부터의 열손실)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1소재부(100)를, 도 5와 같이, 환자의 목에 감싸도록 하여 환자의 체온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재부(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소재부(200)를 더 가질 수 있다.
제2소재부(200)는 제1소재부(100)의 열전달율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추가적으로 제1소재가 환자의 머리에 달라붙거나 혹은 체감상 부드럽지 못한 제1소재의 촉감을 보완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소재부(200)는 면, 무명베, 실크, 레이온과 같은 단일 소재의 제2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즈(gauze)라 불리우는 소재일 수도 있다. 이때, 거즈의 구성은 일반 무명베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목면, 실크, 레이온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거즈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소재는 환자의 몸에 제1소재부(100)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부드러운 느낌이 드는 소재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는 전술한 제1소재부(100) 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사용의 편리함의 증대를 위하여 제2소재부(200) 뿐만 아니라, 도 3b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환자의 목을 감싼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00)는 제1소재부(10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제1소재부(100)가 환자의 목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00)는 결합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절 구조는 일반적인 길이 조절의 구성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벨크로 방식으로 이루어져 환자의 목을 감싼 후 벨크로를 서로 결합시키는 방식일 수 있으며, 일측에는 복수의 구멍이 있고 타측에는 단추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 고정됨으로써 길이 조절이 됨과 동시에 환자의 목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부(300)는, 도 3c 및 도 6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구(310)와 제2결합구(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구(320)는 일측이 제1소재부(100)에 결합되고 타측 일면에 제1걸림돌기(311)가 형성된다. 이때 제1걸림돌기(311)는 결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결합되는 방향측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반대측은 수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2결합구(320)는 이러한 제1결합구(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321)이 형성되며, 삽입시에 제1결합구(310)의 제1걸림돌기(311)가 자동으로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걸림돌기(322)와 회동편(323)과 텐션고정편(324)을 갖는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구(320)에서 삽입공간(321)에 제1결합구(310)가 삽입된 경우 이를 고정하기 위해 회동편(323)과 텐션고정편(324)이 결합된다. 회동편(323)은 회동가능하도록 회동핀(323a)로 결합되어 있으며, 텐션고정편(323)에 의해 일측이 삽입공간(321) 내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텐션고정편(323)의 단부에는 삽입공간(321) 내측으로 제2걸림돌기(32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돌기(311)가 제2걸림돌기(322)에 걸림으로써 고정되기 되는 것이다.
이때, 구조상으로 제1걸림돌기(311)의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결합구(310)가 삽입되는 경우 자동으로 길이가 조절됨과 동시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고정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a 및 도 7b 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323)의 일측을 의사 또는 사용자가 누른 후 제1결합구(310)를 분리시키게 된다. 다시말해, 사용자가 회동편(323)의 일측을 누르게 되면, 회동편(323)이 회동핀(323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텐션고정편(324)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제2걸림돌기(322)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제1걸림돌기(311)가 자유롭게 됨으로써 고정을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의 길이를 반자동으로 용이하고 간단하게 조절이 가능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소아 또는 성인에 상관없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맞춰서 적용할 수 있는 의료용 넥워머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재부(100)의 내측에 발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400)는 환자의 체온 저하 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발열하여 온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전술한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열이 없더라도 상당한 수준의 보온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발열부(400)가 일반적인 핫팩과 같은 정도의 고열을 낼 필요는 없다. 따라서, 매우 작은 전압 및 전류 만으로도 1V 내지 5V 정도의 전압만으로 1도 내지 3도 정도의 가열 효과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로서, 탄소섬유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낮은 전류 및 전압으로 1도 내지 3도 정도의 가열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제1소재부(100)와 같이 환자의 목을 감쌀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진 발열 제품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작 및 사용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사용하기 위해서,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소재을 펼친 후 제1소재를 동그랗게 원통형으로 구성한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압착하여 제1소재부(100)를 형성한다. 이때, 제1소재는 순면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와 유사한 면 또는 천 재질의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후, 제1소재부(100)만을 사용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효과를 위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재부(100)의 외측을 제2소재부(200)로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환자의 목을 제1소재부(100) 및 제2소재부(200)가 감싸도록 한 후 바로 수술에 들어갈 수 있으며, 또 다른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도 4e 내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00가 있도록 구성한 경우 환자의 목을 감싼 후 결합부(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환자의 목에 고정시킨 후 수술에 들어감으로써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수술의 특이성, 환자의 체질상의 특징 등으로 환자의 체온 저하가 급격한 경우에,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재부(100) 내측에 발열부(400)를 삽입하여 발열함으로써 환자의 체온 저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사용자는 적어도 한 겹 이상의 소재로 구성되어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고, 구조 및 구성이 간단하며 사용에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수술부위 또는 수술방의 상태에 관계없이 환자에게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의료용 넥워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체온 방지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져오며, 제1소재 및 제2소재의 원소재의 구성에 따라 더욱 저체온 방지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발열부(400)를 추가하여 환자의 저체온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넥워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길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아 또는 성인에 상관없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맞춰서 적용할 수 있는 의료용 넥워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넥워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만,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가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 제1소재부
200 : 제2소재부
300 : 결합부
310 : 제1결합구
311 : 제1걸림돌기
320 : 제2결합구
321 : 삽입공간
322 : 제2걸림돌기
323 : 회동편
323a : 회동핀
324 : 텐션고정편
400 : 발열부

Claims (5)

  1. 환자 수술시 상기 환자의 체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목 부위에 배치되는 의료용 넥워머에 있어서,
    적어도 한 겹 이상으로 적층된 제1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소재부;
    상기 제1소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한 겹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소재를 갖는 제2소재부;
    상기 환자의 목을 감싼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소재부의 일측 및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소재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소재부는 내부가 비어있도록 원통형태로 형성된 후, 상기 원통형태의 제1소재부가 단면이 납작한 형태를 갖도록 압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소재는 탄소 섬유, 발열 세리믹 섬유 중 어느 하나인 발열 섬유가 적용된 기능성 소재, 원단에 금속 성분을 입혀 인체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을 환자에게 반사하는 열반사 소재, 아크릴레이트계 섬유에 친수성 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수증기가 흡습될때 발생하는 흡습열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올리는 흡습발열소재 및 방사율이 88% 이상인 원적외선 방사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표면온도를 2℃ 내지 3℃ 상승시키고,
    상기 제2소재부는 면, 무명베, 실크, 레이온 중 어느 하나인 상기 제2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소재부가 상기 환자의 목 둘레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도록 결합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구는 일측이 상기 제1소재부에 결합되고 타측 일면에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는 결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결합되는 방향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반대측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구는 상기 제1결합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제2걸림돌기가 삽입공간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텐션고정편, 회동가능하도록 회동핀으로 고정되어 상기 텐션고정편과 결합된 회동편을 갖고,
    상기 회동편과 상기 텐션고정편은 상기 제2결합구에서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제1결합구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1결합구를 상기 삽입공간에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고, 상기 회동편은 상기 텐션고정편에 의해 일측이 상기 삽입공간 내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회동편은 일측이 눌려지면 상기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텐션고정편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가 고정 해제되고,
    상기 발열부는
    탄소 섬유가 적용되고, 1V 내지 5V의 전압으로 상기 제1소재부의 내측을 가열하여 상기 제1소재부의 내측의 온도를 1℃ 내지 3℃ 상승시키고,
    상기 환자는 경내강 혈관 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수술, 동맥류(Aneurysm) 질환으로 인한 뇌동맥류 코일 관련 수술, 혈관내 동맥류 재건술(Endovascular Aneurysm Repair; EVAR) 수술 및 흉부 바(Pectus Bar)를 이용한 수술 중 어느 하나가 시행된 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넥워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11125A 2019-01-29 2019-01-29 의료용 넥워머 KR102063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125A KR102063004B1 (ko) 2019-01-29 2019-01-29 의료용 넥워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125A KR102063004B1 (ko) 2019-01-29 2019-01-29 의료용 넥워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378A Division KR20200094077A (ko) 2019-12-26 2019-12-26 외과 환자의 체온 유지를 위한 의료용 넥워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004B1 true KR102063004B1 (ko) 2020-01-06

Family

ID=6915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125A KR102063004B1 (ko) 2019-01-29 2019-01-29 의료용 넥워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0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920B1 (ko) * 1992-01-17 2000-02-01 도블로우 탈보트 아네트 열보존붕대
JP3043285B2 (ja) * 1996-11-29 2000-05-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ピストンピンの装着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137824A (ja) * 2003-11-04 2005-06-02 Akio Sakurai のどあてカイロ
US20150223973A1 (en) * 2014-02-12 2015-08-13 Stuart Frederick Wearer controlled body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920B1 (ko) * 1992-01-17 2000-02-01 도블로우 탈보트 아네트 열보존붕대
JP3043285B2 (ja) * 1996-11-29 2000-05-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ピストンピンの装着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137824A (ja) * 2003-11-04 2005-06-02 Akio Sakurai のどあてカイロ
US20150223973A1 (en) * 2014-02-12 2015-08-13 Stuart Frederick Wearer controlled body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5066B2 (en) Thermal grill for heating articles
US4976706A (en) Sheet material of germanium and ceramic for skin contact medical treatment
ES2725493T3 (es) Sistema de suministro de calor húmedo portátil
EP2299877B1 (en) Warming blankets, covers, and apparatus, and methods of fabricating and using the same
JP2001327551A (ja) マットレス及び医療用寝具
WO2001035879A2 (en) System for warming lower extremities of supine persons
KR20200094077A (ko) 외과 환자의 체온 유지를 위한 의료용 넥워머
KR100829211B1 (ko) 온열매트를 이용한 찜질기
KR102063004B1 (ko) 의료용 넥워머
US11583437B2 (en) Reusable warming blanket with phase change material
WO2015188956A1 (en) Fabric for the production of heat-regulating items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and a heat-regulating blanket made from this fabric
KR100857123B1 (ko) 훈욕 한방 패드 및 그 사용방법
US20200337893A1 (en) Therapeutic thermal compress with phase-change material
CN106945357B (zh) 一种防水保暖的艾绒功能面料
JP2007307087A (ja) 身体装着用具
JP4563442B2 (ja) 発汗装置
Lilly Jr Significance and recovery room management of postanesthesia hypothermia and shivering
JP2002282297A (ja) 皮膚表面加温貼付材
CN219250950U (zh) 一种腹部脐灸加热防脱落垫
JPH02174861A (ja) 温熱治療用シート
JP2001061940A (ja) 可搬式遠赤外線サウナ装置
KR200165892Y1 (ko) 침대
JP2003299687A (ja) 加温帯
JPS62103014A (ja) 温熱プラスタ−
Hong et al. Thermal Burn Caused by a Circulating Water Mattress during an Operation: A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