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757B1 - 버터플라이 밸브 - Google Patents

버터플라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757B1
KR102062757B1 KR1020190083206A KR20190083206A KR102062757B1 KR 102062757 B1 KR102062757 B1 KR 102062757B1 KR 1020190083206 A KR1020190083206 A KR 1020190083206A KR 20190083206 A KR20190083206 A KR 20190083206A KR 102062757 B1 KR102062757 B1 KR 10206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butterfly valve
rotary shaft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규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엠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파코 filed Critical (주)엠파코
Priority to KR102019008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8Sealing means for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양측으로 개방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는 바디, 바디의 둘레면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개방구로 연결되도록 한 쌍 구비되는 장착홀부, 장착홀부 각각에 대응되는 가장자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개방구 내측에서 회동되며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개폐판에 적어도 2개 구비되어 회전축을 축 삽입함으로써 개폐판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피벗링부재, 및 회전축의 강제 회전에 연동되어 개폐판이 회동되도록 구속하는 회동구속부를 포함하고, 피벗링부재는 개폐판에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개폐판에 결속되기 위한 별도의 체결수단이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개폐판과 회전축을 구속하기 위한 피벗링부재와 회동구속부를 개폐판과 회전축에 일체로 제작하여 형성함으로써, 개폐판의 자중과 진동에 의해 개폐판이 회전축과 분리되거나 또는 상호 결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버터플라이 밸브의 밀봉력과 작동에 따른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개폐판과 회전축을 구속하기 위한 피벗링부재와 회동구속부를 개폐판과 회전축에 일체로 제작하여 형성함으로써, 개폐판의 자중과 진동에 의해 개폐판이 회전축과 분리되거나 또는 상호 결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버터플라이 밸브의 밀봉력과 작동에 따른 내구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 밸브는 버터플라이 밸브로서 유냉식 변압기와 라디에이터 사이의 배관 라인에 설치되어 변압기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이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절연유를 변압기에 공급하고, 더워진 절연유가 라디에이터를 순환하여 냉각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라디에이터 밸브는 중앙부에 절연유가 통과될 수 있는 관로가 제공되고, 이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변판부재(Valve Flap)가 제공된다. 변판부재는 힌지축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손잡이를 잡고 수동으로 힌지축을 돌려 변판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관로를 폐쇄하거나 또는 개방할 수 가 있다.
특히, 라디에이터 밸브는 크게 내부에 냉각용 절연유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로가 제공되며, 일측이 유냉식 변압기 배관관로 또는 라디에이터 관로에 결합되는 몸체, 몸체의 관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관로에 배치되는 변판부재, 및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변판부재가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변판부재가 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축부재를 포함한다.
관련 기술로는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573852호(등록일: 2006.04.19., 발명의 명칭: 버터플라이 밸브)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버터플라이 밸브는 개폐판의 일측에 회전축을 연결 후 회전축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폐판을 회동시키며 개폐하는데, 개폐판과 회전축은 클립과 볼트 등에 의해 결속됨에 따라, 개폐판은 자중과 볼트의 결속력 저하로 인해 회전축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함으로써 개폐판의 여닫힘 불량 및 닫힘시 밀봉력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버터플라이 밸브는 개폐판과 회전축을 결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클립과 볼트 등이 이탈(분리)되어 유체와 함께 이동되며 변압기 등 장치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개폐판과 회전축을 구속하기 위한 피벗링부재와 회동구속부를 개폐판과 회전축에 일체로 제작하여 형성함으로써, 개폐판의 자중과 진동에 의해 개폐판이 회전축과 분리되거나 또는 상호 결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버터플라이 밸브의 밀봉력과 작동에 따른 내구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양측으로 개방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구로 연결되도록 한 쌍 구비되는 장착홀부; 상기 장착홀부 각각에 대응되는 가장자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상기 개방구 내측에서, 회동되며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에 적어도 2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축 삽입함으로써, 상기 개폐판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피벗링부재; 및 상기 회전축의 강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개폐판이 회동되도록 구속하는 회동구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벗링부재는 상기 개폐판에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개폐판에 결속되기 위한 별도의 체결수단이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구속부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게 형성되는 평면부; 및 상기 개폐판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평면부와 면접됨으로써, 상기 개폐판을 상기 회전축에 구속하기 위한 구속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평면부가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제작되며, 상기 구속면부가 상기 개폐판에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개폐판은 상기 회전축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구속수단이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은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벗링부재 각각에 걸리는 위치설정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홀부에 축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해당 둘레면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슬리브에 축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장착홀부에 삽입되며, 둘레면에 씰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의 둘레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기 장착홀부의 해당 부위는 캡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는 종래 기술과 달리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개폐판과 회전축을 구속하기 위한 피벗링부재와 회동구속부를 개폐판과 회전축에 일체로 제작하여 형성함으로써, 개폐판의 자중과 진동에 의해 개폐판이 회전축과 분리되거나 또는 상호 결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버터플라이 밸브의 밀봉력과 작동에 따른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판 개폐각도 제한을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판 개폐각도 제한을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100)는 바디(110), 장착홀부(120), 회전축(130), 개폐판(140), 피벗링부재(150), 회동구속부(160) 및 씰링부재(172)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끼리의 연결부위에 배치된다. 그래서, 바디(110)는 파이프와 동일하게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바디(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바디(110)는 원형링으로 형성됨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중심축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구(112)를 형성한다.
바디(11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장착홀부(120)는 바디(110)의 둘레면에 한 쌍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장착홀부(120)는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아울러, 각 장착홀부(120)는 바디(110)의 둘레면 외측과 내측으로 개방되게 통공된다.
또한, 회전축(130)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장착홀부(120) 각각에 대응되는 가장자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축(130)은 바디(110) 외측에 구비된 작동유닛(132)에 연결되어 강제 회전된다. 작동유닛(132)은 회전모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개폐판(140)은 개방구(112) 내측에 배치되어, 회동되며 개방구(11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판(140)은 개방구(112)의 내측면에 접하거나 근접되는 평면적(크기)을 갖는다. 개폐판(140)은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특히, 바디(110)는 개폐판(140)의 닫힌 상태에서 밀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방구(112)의 내측면을 따라 단턱부(114)를 형성한다.
그리고, 개폐판(140)은 둘레면에 패킹링(142)을 일부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즉, 개폐판(140)은 둘레면에 수용홈(144)을 함몰 형성하고, 패킹링(142)은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수용홈(144)에 장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그래서, 패킹링(142)이 단턱부(114)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밀착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때, 개폐판(140)이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단턱부(114)는 내측면에 제 1경사면(116)을 형성하고, 개폐판(140)은 제 1경사면(116)에 대향하는 테두리에 제 2경사면(146)을 형성한다. 제 1경사면(116)과 제 2경사면(146)을 형성하는 이유는 개폐판(140)이 개방구(112) 내측에서 단턱부(114)에 의해 강제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패킹링(142)은 개폐판(140)이 강제 회전시 단턱부(114)에 더욱 가압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피벗링부재(150)는 개폐판(140)의 일측면에 적어도 2개 구비되어 회전축(130)을 축 삽입함으로써, 개폐판(140)이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피벗링부재(150)는 장착홀부(120)와 일치되도록 개폐판(140)의 일측면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피벗링부재(150)의 내측면이 원형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회전축(130)의 양측 가장자리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피벗링부재(150)의 내측면이 다각형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회전축(130)의 양측 가장자리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피벗링부재(150)의 내측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130)의 양측 가장자리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특히, 피벗링부재(150)는 개폐판(140)에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개폐판(140)에 결속되기 위한 별도의 체결수단이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 피벗링부재(150)와 개폐판(140)이 결속력 저하되거나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회동구속부(160)는 회전축(130)의 강제 회전에 연동되어, 개폐판(140)이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동구속부(160)는 평면부(162) 및 구속면부(164)를 포함한다.
평면부(162)는 회전축(130)의 둘레면 특히, 피벗링부재(150)에 축 삽입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 중 개폐판(140)에 대향하는 부분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게 형성된다. 평면부(162)에 의해, 회전축(130)은 둘레면을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속면부(164)는 개폐판(14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피벗링부재(150)에 삽입된 회전축(130)의 대향하는 평면부(162)와 면접됨으로써, 개폐판(140)을 회전축(130)에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평면부(162)와 구속면부(164)가 면접됨에 따라, 회전축(130)이 강제 회전시, 개폐판(140)이 회전축(130)에 연동되어 회동된다.
특히, 평면부(162)가 회전축(130)에 일체로 제작되고, 구속면부(164)가 개폐판(140)에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개폐판(140)은 회전축(130)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구속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개폐판(140)과 회전축(130)은 구속력이 저하되거나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회전축(130)은 축 방향으로 양측이 피벗링부재(150)에 축 삽입된 상태로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피벗링부재(150) 각각에 접하여 걸리는 위치설정부재(134)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때, 위치설정부재(134)는 C-씰 또는 E-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장착홀부(120)에 축 삽입된 회전축(130)의 해당 둘레면에는 씰링부재(172)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130)이 장착홀부(120)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130)의 둘레면과 장착홀부(120)의 내측면 사이에 미세하나마 틈새가 발생될 수밖에 없고, 이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나 물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130)은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씰링부재(172)를 구비하고, 씰링부재(172)는 장착홀부(1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밀봉력을 증가시킨다.
특히, 씰링부재(172)가 장착홀부(120)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회전축(130)이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씰링부재(172)는 오링(O-ring)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바디(110)의 둘레면(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장착홀부(120)의 해당 부위는 캡(180)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는, 외부의 이물질이 장착홀부(12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세히, 캡(180)은 바디(110)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착홀부(120)를 막는 플레이트(182), 및 대응되는 장착홀부(120)에 억지 끼움되도록 플레이트(182)에서 돌출되어 장착홀부(120)에 축 삽입되는 회전축(130)의 위치를 설정하는 리브(184)를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장착홀부(120) 중 작동유닛(132)과 연결되지 않는 부위인 회전축(130)의 타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장착홀부(120)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한편, 개폐판(140)은 개방구(112) 내측에서 개폐를 위한 회전 각도가 90도 만큼 왕복 회전되도록, 회전축(130)은 회전량이 설정된다.
즉, 한 쌍의 장착홀부(120) 중 작동유닛(132)과 연결되는 부위인 회전축(130)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장착홀부(120)에 대응되는 바디(110)의 둘레면에는 플랜지(192)가 구비된다. 플랜지(192)는 바디(110)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플랜지(192)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삽입홀(193)을 형성하여 회전축(130)의 타측 가장자리를 삽입한다.
그리고, 플랜지(19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30)의 타단은 회전마개(19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회전마개(194)는 회전축(130)과 동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축(130)과 연결된다. 상세히, 회전축(130)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구속돌기(135)를 구비하고, 회전마개(194)는 구속돌기(135)를 삽입하는 구속홀(195)을 통공한다. 구속돌기(135)는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평면을 형성하고, 구속홀(195)은 구속돌기(135)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구속돌기(135)가 구속홀(195)에 삽입시, 회전축(130)과 회전마개(194)는 동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아울러, 플랜지(192)는 회전마개(194) 방향으로 스토퍼(196)를 돌출 형성하고, 회전마개(194)는 회전제한홈(198)을 형성한다. 개폐판(140)이 개방구(112)를 완전히 닫고 있는 경우, 스토퍼(196)는 회전제한홈(198)의 일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개폐판(140)이 개방구(112)를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 스토퍼(196)는 회전제한홈(198)의 타측에 위치한다.
물론, 스토퍼(19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100)는 바디(110), 장착홀부(120), 회전축(130), 개폐판(140), 피벗링부재(150), 회동구속부(160), 슬리브(174) 및 씰링부재(172)를 포함한다.
이때, 바디(110), 장착홀부(120), 회전축(130), 개폐판(140), 피벗링부재(150) 및 회동구속부(16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회전축(130)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슬리브(174)에 축 삽입되고, 슬리브(174)는 장착홀부(120)에 삽입된다.
그래서, 회전축(130)이 장착홀부(120)에 직접 축 삽입될 때보다, 회전축(130)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회전축(130)과 슬리브(174)는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고, 슬리브(174)는 장착홀부(120)에 고정된 채 회전축(130)이 슬리브(174)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리브(174)는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씰링부재(172)를 구비한다.
씰링부재(172)는 오링(O-ring) 등 다양한 패킹재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위치설정부재(134)는 회전축(130)의 양측에 구비된 채 슬리브(174) 또는 피벗링부재(150)에 접함으로써 회전축(130)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축(130)과 슬리브(174)는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슬리브(174)는 씰링부재(172)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씰링부재(172)는 회전축(130)과 슬리브(174)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110)의 둘레면(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장착홀부(120)의 해당 부위는 캡(180)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는, 외부의 이물질이 장착홀부(12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세히, 캡(180)은 바디(110)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착홀부(120)를 막는 플레이트(182), 및 대응되는 장착홀부(120)에 억지 끼움되도록 플레이트(182)에서 돌출되어 장착홀부(120)에 축 삽입되는 회전축(130)의 위치를 설정하는 리브(184)를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장착홀부(120) 중 작동유닛(132)과 연결되지 않는 부위인 회전축(130)의 타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장착홀부(120)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개폐판(140)은 개방구(112) 내측에서 개폐를 위한 회전 각도가 90도 만큼 왕복 회전되도록, 회전축(130)은 회전량이 설정된다.
즉,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장착홀부(120) 중 작동유닛(132)과 연결되는 부위인 회전축(130)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장착홀부(120)에 대응되는 바디(110)의 둘레면에는 플랜지(192)가 구비된다. 플랜지(192)는 바디(110)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플랜지(192)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삽입홀(193)을 형성하여 회전축(130)의 타측 가장자리를 삽입한다.
그리고, 플랜지(19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30)의 타단은 회전마개(19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회전마개(194)는 회전축(130)과 동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축(130)과 연결된다.
아울러, 플랜지(192)는 회전마개(194) 방향으로 스토퍼(196)를 돌출 형성하고, 회전마개(194)는 회전제한홈(198)을 형성한다. 개폐판(140)이 개방구(112)를 완전히 닫고 있는 경우, 스토퍼(196)는 회전제한홈(198)의 일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개폐판(140)이 개방구(112)를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 스토퍼(196)는 회전제한홈(198)의 타측에 위치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버터플라이 밸브 110: 바디
112: 개방구 114: 단턱부
116: 제 1경사면 120: 장착홀부
130: 회전축 132: 작동유닛
134: 위치설정부재 140: 개폐판
142: 패킹링 144: 수용홈
146: 제 2경사면 150: 피벗링부재
160: 회동구속부 162: 평면부
164: 구속면부 172: 씰링부재
174: 슬리브 180: 캡
182: 플레이트 184: 리브
192: 플랜지 193: 삽입홀
194: 회전마개 196: 스토퍼
198: 회전제한홈

Claims (6)

  1.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양측으로 개방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구로 연결되도록 한 쌍 구비되는 장착홀부; 상기 장착홀부 각각에 대응되는 가장자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상기 개방구 내측에서, 회동되며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에 적어도 2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축 삽입함으로써, 상기 개폐판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피벗링부재; 및 상기 회전축의 강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개폐판이 회동되도록 구속하는 회동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속부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게 형성되는 평면부; 및 상기 개폐판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평면부와 면접됨으로써, 상기 개폐판을 상기 회전축에 구속하기 위한 구속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바디는 둘레면에 플랜지를 고정되게 구비하고, 회전마개가 상기 플랜지에 대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일 방향으로 설정각도 범위 내에서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피벗링부재는 상기 개폐판에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개폐판에 결속되기 위한 별도의 체결수단이 불필요하고,
    상기 평면부가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제작되며, 상기 구속면부가 상기 개폐판에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개폐판은 상기 회전축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구속수단이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벗링부재 각각에 걸리는 위치설정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부에 축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해당 둘레면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슬리브에 축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장착홀부에 삽입되며, 둘레면에 씰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둘레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기 장착홀부의 해당 부위는 캡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KR1020190083206A 2019-07-10 2019-07-10 버터플라이 밸브 KR10206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206A KR102062757B1 (ko) 2019-07-10 2019-07-10 버터플라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206A KR102062757B1 (ko) 2019-07-10 2019-07-10 버터플라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757B1 true KR102062757B1 (ko) 2020-01-06

Family

ID=6915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206A KR102062757B1 (ko) 2019-07-10 2019-07-10 버터플라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074B1 (ko) * 2021-04-08 2021-12-08 (주)엠파코 변압기용 나비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397B1 (ko) * 2012-11-23 2013-05-07 방광원 폴리우레탄 버터플라이 밸브
KR101595272B1 (ko) * 2014-09-16 2016-0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볼 밸브 스템의 돌발 이탈 방지구조 및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397B1 (ko) * 2012-11-23 2013-05-07 방광원 폴리우레탄 버터플라이 밸브
KR101595272B1 (ko) * 2014-09-16 2016-0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볼 밸브 스템의 돌발 이탈 방지구조 및 설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074B1 (ko) * 2021-04-08 2021-12-08 (주)엠파코 변압기용 나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9956B2 (ja) 冷媒制御バルブ装置
KR102062757B1 (ko) 버터플라이 밸브
JP5714135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CN110494684B (zh) 旋转式控制阀
US11079027B2 (en) Control valve
KR102522246B1 (ko) 편심형 버터플라이 밸브
BR112017022795B1 (pt) Válvula de guilhotina deslizante paralela e método de operação de uma válvula de guilhotina deslizante paralela
JP5859525B2 (ja) 流体弁
WO2017085856A1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CN107429859A (zh) 能量回收用流量控制阀
JP6125522B2 (ja) 車両のガスフロー回路用のバルブ
KR20200083799A (ko) 더블 디스크 버터플라이 밸브
US20150114489A1 (en)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 with the same
JP5687872B2 (ja) バルブ取付構造
US20180347706A1 (en) Shaft Sealing Device
JP2016023704A (ja) 流路切換弁
EP0489296A1 (en) Ball valve assembly with flow regulating mechanism
KR101268909B1 (ko) 반도체 설비용 댐퍼
RU2659599C1 (ru) Клапан, в частности клапан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CN116557564A (zh) 旋塞阀、机动车空调的冷媒控制装置、机动车空调和机动车
EP3360714B1 (en) Fuel filling device
JP2004217166A (ja) 流体口切替装置
KR101619107B1 (ko) 자동변속기의 오일 레벨 확인장치
JP2008115940A (ja) 逆止弁
JP2021134699A (ja) 燃料切替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