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637B1 -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637B1
KR102062637B1 KR1020180059661A KR20180059661A KR102062637B1 KR 102062637 B1 KR102062637 B1 KR 102062637B1 KR 1020180059661 A KR1020180059661 A KR 1020180059661A KR 20180059661 A KR20180059661 A KR 20180059661A KR 102062637 B1 KR102062637 B1 KR 10206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front wheel
wheel assembly
cable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243A (ko
Inventor
유만석
김상우
강승묵
허범준
김승환
조용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63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는, 다수의 모터(650)가 설치되는 몸체(240), 상기 몸체(240)를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에 풀링 아이(260)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240), 및 상기 몸체(24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650)와 기어 박스(651)로 연결되는 다수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Apparatus for reducing tension of duct through which power transmission cable is installed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력 케이블을 관로에 포설 중 케이블 스트레스를 저감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의 전력 케이블은 굵고 무거우며, 가요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포설하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약154kV 송전선로의 전력 케이블을 관로내에 포설시 전력 케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최전단의 풀링 아이를 반대편에서 와이어를 통하여 당김으로써 맨홀 간 관로내에 케이블 포설이 이루어지며 그 거리는 최대 약 500m(맨홀표준경간)이 된다.
따라서, 관로길이가 길어질수록, 굴곡각도가 클수록, 굴곡위치가 앞쪽일수록, 굴곡개소 수량이 많을수록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은 커지며 이외 다른 변수를 사전에 미리 계산하여 포설방향을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 여건상 대부분 케이블 드럼을 높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포설장력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교통이 편리한 낮은 지역에 케이블 드럼을 위치시키고, 고지대에서 케이블을 당기고 있어 장력 검토서에 따라 작업할 수 없는 현장이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준상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2000㎟의 경우 약 14Ton까지 포설장력을 가할 수 있다고 되어있으나, 실제 현장에서 케이블이 굴곡 위치에 도달하면 더 이상 앞쪽에서 당기는 힘으로는 케이블의 이동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 하는데, 이때의 장력은 5Ton에 불과하다.
만약 상기 상황에서 장력을 높여 케이블을 당긴다면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와이어가 터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방편으로 현장에서 케이블이 정지되어 있는 위치를 굴착하고, 관로를 절단한 후 케이블을 노출 시켜 앞쪽의 엔진장에서 당길 때 중간에서 같이 당겨 정지되어 있는 케이블을 이동시키고 있다.
한편, 임시방편을 사용했을 경우 중간의 파형관을 파손시켰기 때문에 관로 파형관의 강도가 저하되어 추후 중량물에 의하여 케이블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보호 콘크리트 타설 등을 통하여 상기 위치의 취약한 부위를 보강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468939호(등록일자: 2014.11.28) 2. 한국등록특허 제10-1116665호(등록일자: 2012.02.08) 3.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07224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력 케이블을 관로에 포설 중 케이블 스트레스를 저감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을 관로에 포설 중 케이블 스트레스를 저감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는,
다수의 모터가 설치되며, 일단에 풀링 아이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와 기어 박스로 연결되는 다수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휠 어셈블리는,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휠은 상기 기어 박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기억 박스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 박스는 바벨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파형 관로의 내측에 형성되는 요철에 대응되게 십자 형상이며, 상기 십자 형상의 말단에 프론트 휠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휠 어셈블리 또는 프론트 휠은 마찰저감용 베어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는 파형 관로의 내측에 상기 프론트 휠이 밀착되도록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휠 어셈블리는 상기 기어 박스와 풀리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다수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리어 휠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 휠 어셈블리는, 리어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 휠은 표면에 요철 구조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 휠은 마찰저감용 베어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 휠 어셈블리는 바깥쪽으로 일측이 벌어져 파형 관로의 내측에 상기 리어 휠이 밀착되도록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풀링 아이와 상기 몸체는 볼팅 방식에 의해 고정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앞단에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인출 와이어 연결 홀이 형성되는 헤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에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 및 제어를 위한 케이블이 결합된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플라스틱의 표면을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코팅하거나 Carbon 또는 그래파이트를 심어서 형성한 저마찰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다수의 모터가 설치되며, 일단에 풀링 아이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터와 기어 박스로 연결되는 다수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 포설 시 장력저감 및 전동장치를 활용하여 현장여건에 맞게 포설 가능이 가능하다. 즉, 고지대 드럼 진입 불가개소에서 역방향(저지대→고지대) 포설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케이블 포설 중 케이블 이동 불가에 따른 지반의 굴착이 불필요하여, 안정적 포설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케이블 포설의 장력 저감을 통한 케이블 스트레스 저감으로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휠을 구동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를 I-I'축으로 절개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일부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부분 투명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200)의 구조를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형 관로(110) 내에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몸체(240)가 전력 케이블(120)에 연결된 상태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휠을 구동하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를 I-I'축으로 절개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일부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회로도는 프론트 휠(232)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모터(도 6의 650), 이 모터(도 6의 650)를 제어하는 제어기(310), 모터(650)의 회전력을 프론트 휠(232)에 연결하는 기어 박스(651), 제어기(310) 및 모터(6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3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기(31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모터(650)를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전자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모터(650)는 저단 기어 조합을 통한 소형 모터로 최대힘(500kg이상)을 발휘한다.
전원 공급기(320)는 연결 와이어(301)와 연결되어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는다. 물론, 연결 와이어(301)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 및 제어를 위한 케이블이 결합된 와이어가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를 I-I'축으로 절개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200)는, 다수의 모터(650)가 설치되며, 일단에 풀링 아이(260)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240), 상기 몸체(24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650)와 기어 박스(651)로 연결되는 다수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 상기 다수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리어 휠 어셈블리(2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는 몸체(240)의 상단에 결합되며, 이를 위해, 몸체(240)의 표면상에 설치 홈이 생성된다.
리어 휠 어셈블리(290)는 몸체(240)의 하단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몸체(240)의 표면상에 경사 홈이 생성된다.
몸체(240)는 원통 형태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원통 형태의 형상은 예시에 불과하며, 사각, 오각, 육각 형태 등의 형상도 가능하다.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 및 리어 휠 어셈블리(290)가 3개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2개, 4개 등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는, 프론트 프레임(231), 상기 프론트 프레임(231)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 휠(232)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프론트 휠(232)은 프론트 프레임(231)의 회전축(233)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된다.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는 몸체(240)의 표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삽입홈(410)에 안착 설치된다.
프론트 프레임(231)은 파형 관로(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요철(21-1,21-2)에 대응되게 십자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즉, 십자 형상의 말단에 프론트 휠(232)이 조립된다.
한편, 파형 관로(110)는 오목한 부분(21-1)과 볼록한 부분(21-2)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요철(21-1,21-2)에 삽입되게 프론트 휠(232)의 크기가 리어 휠(292)보다 작다. 부연하면, 파형 관로(110)의 굴곡 슬라이딩 방지를 위해 프론트 프레임(231)은 걸림형 구조가 된다. 즉, 십자 형상의 말단에 프론트 휠(232)이 조립되므로, 이 프론트 휠(232)이 오목한 부분(21-1)에 삽입되면서 블록한 부분(21-2)에 걸리게 된다. 또한, 프론트 휠(232)은 회전축(233)에 조립될때 마찰 저감용 베어링을 갖는다. 즉 마찰 저감용 베어링이 회전축(233)에 삽입된다.
이러한 마찰 저감용 베어링은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의 회전축(234)에도 적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리어 휠 어셈블리(290)는, 리어 프레임(291), 상기 리어 프레임(291)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 휠(292)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리어 휠(292)은 표면에 요철 구조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리어 휠(292)은 프론트 휠(230)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앞쪽으로 전진함에 따라 회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리어 휠(292)도 회전축(293)에 리어 프레임(931)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된다.
또한, 리어 휠(292)은 회전축(293)에 조립될때 마찰 저감용 베어링(미도시)을 갖는다. 즉 마찰 저감용 베어링이 회전축(293)에 삽입된다.
또한, 리어 휠 어셈블리(290)도 바깥쪽으로 일측이 벌어져 파형 관로(110)의 내측에 상기 리어 휠(292)이 밀착되도록 탄성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로는 토션 스프링, 압축 스프링 등이 가능하다. 리어 휠 어셈블리(290)는 몸체(240)의 표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삽입홈(430)에 안착 설치된다.
리어 휠(292)은 몸체(240) 상에서 프론트 휠(232)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몸체(240)가 파형 관로(110)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즉, 탄성 부재에 의해 리어 휠(292) 및 프론트 휠(232)이 바깥측으로 완전히 전개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를 통해 파형관로(110)의 외부 외압에 의한 내경 변화(180mm ~ 200mm)에도 상태 복원이 가능하므로 통과가 가능하다.
몸체(240)의 후단 내측에는 풀링 아이(pulling eye)(260)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다. 풀링 아이(260)는 케이블 포설용 끌기 부재로서 전력 케이블(120)의 끝단(270)에 설치된다. 즉, 풀링 아이(260)의 좌측 말단은 전력 케이블(120)의 말단과 조립 연결되고, 우측 말단은 몸체(240)의 말단과 조립 연결된다. 즉, 풀링 아이(260)는 몸체(240)를 중앙 관통하는 볼트(261)에 의해 체결된다. 물론, 이 볼트(261)는 너트(미도시)에 의해 체결된다. 이러한 볼팅 방식이외에도 리벳 방식 등도 가능하다.
몸체(240)는 플렉서블형으로 저마찰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저마찰 소재로는 플라스틱(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음)의 표면을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코팅하거나 Carbon, 그래파이트 등을 심어서 형성한 소재를 들 수 있다.
한편, 몸체(240)의 앞단(210)에 인출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 연결 홀(221)이 있는 헤드(220)가 형성된다. 헤드(220)는 몸체(240)의 상단에 형성되며, 경사가 있는 단차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240)에는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와 나란히 프론트 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듈(250)이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를 설치하기 위해 몸체(240)에는 삽입홈(420)이 형성된다. 삽입홈(410,420)은 일반적으로 사각형 면적을 띠게 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3개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가 배치되며, 이에 동일하게 3개의 구동 모듈(250)이 배치된다. 물론,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4를 일부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파형 관로(110) 내에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200)가 위치한다.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의 하단측에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부연하면, 파형 관로(110)의 직경이 다를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를 통해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가 파형 관로(110)의 요철에 밀착된다. 이때, 탄성부재로서는 스프링, 댐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모듈(250)은 모터(650)와 기어 박스(651)로 구성된다. 즉, 모터(650)와 기어 박스(651)는 하나의 모듈 방식으로 구성되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기어 박스(651)는 바벨 기어(미도시)로 구성되며, 모터(650)로부터 회전을 받아 이를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바벨 기어는 회전축(653)에 설치된다.
또한, 기어 박스(651)는 풀리 방식으로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 측에 휠 구동 기어(611)가 구성된다. 이 휠 구동 기어(611)는 회전축(613)을 통해 한쪽 말단이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의 회전축(234)과 연결되고, 다른 말단은 휠 구동 기어(611)의 중앙홀(615)과 연결된다. 물론, 회전축(61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610)이 몸체(240)의 표면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벨트(미도시)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가이드 블럭(655)이 형성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가 3개의 정삼각 형상으로 배치되며,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 사이에 3개의 구동 모듈(250)이 배치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부분 투명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 측의 휠 구동 기어(611)와 기어 박스(651)측의 가이드 블럭(655)내에 설치되는 기어 박스 구동 기어(811)가 위치상 나란히 배열된다. 물론, 휠 구동 기어(611)와 기어 박스 구동 기어(811)는 벨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는 풀리 방식을 구현한다.
110: 파형 관로
120: 전력 케이블
200: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230: 프론트 휠 어셈블리
240: 몸체
260: 풀링 아이
290: 리어 휠 어셈블리
301: 연결 와이어

Claims (18)

  1. 전력 케이블(120)을 관로에 포설 중 케이블 스트레스를 저감하기위해, 다수의 모터(650)가 설치되며, 일단 내측에 상기 전력 케이블(120)의 끝단(270)에 설치되는 풀링 아이(260)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240); 및
    상기 몸체(24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650)와 기어 박스(651)로 연결되는 다수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를 포함하며,
    상기 풀링 아이(260)와 상기 몸체(240)는 볼팅 방식(261)에 의해 고정 체결되고,
    상기 몸체(240)는 플라스틱의 표면을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코팅하거나 카본(Carbon) 또는 그래파이트를 심어서 형성한 플렉서블형으로 저마찰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는,
    프론트 프레임(231);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231)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 휠(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휠(232)은 상기 기어 박스(651)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기어 박스(651)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651)는 바벨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231)은 파형 관로(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요철(21-1,21-2)에 대응되게 십자 형상이며, 상기 십자 형상의 말단에 프론트 휠(232)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 또는 프론트 휠(232)은 마찰저감용 베어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는 상기 기어 박스(651)와 풀리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는 파형 관로(110)의 내측에 상기 프론트 휠(232)이 밀착되도록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40)에는 상기 다수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리어 휠 어셈블리(2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휠 어셈블리(290)는,
    리어 프레임(291); 및
    상기 리어 프레임(291)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 휠(2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휠(292)은 표면에 요철 구조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휠(292)은 마찰저감용 베어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휠 어셈블리(290)는 바깥쪽으로 일측이 벌어져 파형 관로(110)의 내측에 상기 리어 휠(292)이 밀착되도록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40)의 앞단에 인출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 연결 홀(221)이 형성되는 헤드(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650) 및 상기 모터(650)를 제어하는 제어기(310)에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301)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 및 제어를 위한 케이블이 결합된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17. 삭제
  18. (a) 전력 케이블(120)을 관로에 포설 중 케이블 스트레스를 저감하기위해, 다수의 모터(650)가 설치되며, 일단 내측에 전력 케이블(120)의 끝단(270)에 설치되는 풀링 아이(260)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240)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터(650)와 기어 박스(651)로 연결되는 다수의 프론트 휠 어셈블리(230)를 상기 몸체(240)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풀링 아이(260)와 상기 몸체(240)는 볼팅 방식(261)에 의해 고정 체결되고, 상기 몸체(240)는 플라스틱의 표면을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코팅하거나 카본(Carbon) 또는 그래파이트를 심어서 형성한 플렉서블형으로 저마찰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180059661A 2018-05-25 2018-05-25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06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61A KR102062637B1 (ko) 2018-05-25 2018-05-25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61A KR102062637B1 (ko) 2018-05-25 2018-05-25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43A KR20190134243A (ko) 2019-12-04
KR102062637B1 true KR102062637B1 (ko) 2020-01-07

Family

ID=6900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61A KR102062637B1 (ko) 2018-05-25 2018-05-25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39735B (zh) * 2023-10-09 2023-12-15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吉林省分公司 一种通信施工用布线穿管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205B1 (ko) * 2000-03-14 2002-11-23 주식회사 머큐리 포설용 케이블
KR100774438B1 (ko) * 2006-10-30 2007-11-08 일진파워텍(주) 자주식 관로 도통시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65B1 (ko) 2011-09-01 2012-04-12 주식회사 디엔텍 지하관로의 케이블 포설 방법
KR101649170B1 (ko) 2013-07-10 2016-09-05 임용호 지중관로내 케이블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KR200477315Y1 (ko) * 2013-10-04 2015-05-29 삼성중공업(주)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50112481A (ko) * 2014-03-28 2015-10-07 김종우 진공배관 청소용 자동 로봇 클린장치
KR101468939B1 (ko) 2014-06-25 2014-12-05 금오이엔씨(주) 관 포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205B1 (ko) * 2000-03-14 2002-11-23 주식회사 머큐리 포설용 케이블
KR100774438B1 (ko) * 2006-10-30 2007-11-08 일진파워텍(주) 자주식 관로 도통시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43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2983B2 (ja) 崩壊区間用電柱組立装置及び施工方法
KR102062637B1 (ko)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US9394033B2 (en) Flexible rope termination device
DE102011056704A1 (de) Modulares rotorblatt und verfahren zum aufbauen einer windturbine
US20170096793A1 (en) Construction machine having synthetic rope arrangement
US11817817B2 (en) Cable hanger
EP2998642A2 (de) Beleuchtungsvorrichtung
CN104066892B (zh) 用于驱动工具组合件的对准窗
CN105040762B (zh) 在销位置处具有衬套的挖掘机铲
KR101771688B1 (ko)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매설 및 고정장치
KR200392699Y1 (ko) 무단 변속기와 벨트 브레이크가 설치된 케이블 포설장비
JPH0771034A (ja) 地盤アンカー構造
RU2327325C1 (ru) Флюгерная лебедка
KR100258548B1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CN211733398U (zh) 光缆穿线装置
WO2021175400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wind turbines
JP4681383B2 (ja) 埋設管の引き抜き工法とその引き抜き工法用の連結具及び引き抜き装置
CN218322736U (zh) 一种油田使用地锚
CN104100014A (zh) 一种移动厂房防风加固装置
JP7378021B2 (ja) 洋上構造物用の浮体式基礎構造物
KR102511373B1 (ko) 지중케이블 풀링용 연결 장치
KR20140109268A (ko) 관 갱생공법
KR20000047100A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19990081327A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US20220090404A1 (en) P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