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449B1 - Energy-efficient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and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nergy-efficient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and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449B1
KR102062449B1 KR1020180043681A KR20180043681A KR102062449B1 KR 102062449 B1 KR102062449 B1 KR 102062449B1 KR 1020180043681 A KR1020180043681 A KR 1020180043681A KR 20180043681 A KR20180043681 A KR 20180043681A KR 102062449 B1 KR102062449 B1 KR 10206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valve
control
temperature
wood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0470A (en
Inventor
윤명관
Original Assignee
윤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관 filed Critical 윤명관
Priority to KR102018004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449B1/en
Publication of KR2019012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4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7Condition responsive controls for regula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9/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24B9/006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flue-gas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5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sol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드펠렛 난로를 가열하여 생성되는 열을 바깥으로 유통시켜서 방열패널에 온도를 전달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된 경우, 양어장 등과 같은 사육하우스를 위한 물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열 에너지를 리싸이클링 하도록 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and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heat generated by heating the wood pellet stove is circulated to the outside to transmit a temperature to the heat dissipation panel, or When the temperature is reach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or the breeding house, such as fish farms,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to minimize the heat lost to recycle thermal energy, and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Description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Energy-efficient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and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Energy-efficient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and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드펠렛 난로를 가열하여 생성되는 열을 바깥으로 유통시켜서 방열패널에 온도를 전달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된 경우, 주택 또는 양어장 등과 같은 사육하우스를 위한 물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열 에너지를 리싸이클링 하도록 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and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heat generated by heating the wood pellet stove is circulated to the outside to transmit a temperature to the heat dissipation panel, or When temperature is reached,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s for recycling heat energy by minimizing lost heat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ater for a house such as a house or a fish farm, and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최근에 원유 등 에너지원을 절약하기 위해 임업 폐기물이나 벌채목 등을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든 후 길이 3.8㎝, 굵기 0.6~0.8㎝ 이내의 원기둥 모양으로 압축해 가공한 우드펠렛(wood-pellets)이 대체 에너지로서 각광받고 있는데, 이와 같은 우드 펠렛은 등유나 경유 등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약 50~60%의 비용으로 높은 열효율을 낼 수 있으며, 고온에서 완전 연소되기 때문에 소각 후에도 소각재가 거의 남지 않는 특성이 있고, 연소에 의한 유해 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In order to save energy sources such as crude oil, wood-pellets, which have been crushed for forestry waste or felling trees, are made into sawdust and compressed into cylindrical shapes within a length of 3.8cm and thickness of 0.6 ~ 0.8cm. The wood pellets are in the spotlight as energy, and these wood pellets have high thermal efficiency at a relatively low cost of about 50 to 60% compared to kerosene or diesel, and since they are completely burned at high temperatures, they hardly remain incinerated after incineration. No harmful gases are generated by combustion, so it does not pollute the environment.

온실 전기히팅장치를 구성하여 상온의 공기로 적정온도를 유지토록 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법은 통상 온실의 천장 내지는 벽면에 거치사용하여 상온의 공기가 대류현상에 의해 온실 상부에 집중되는 현상이 있으므로 열손실이 극심하였음은 물론, 지면 가까이에 위치한 식물에 주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던 문제가 있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greenhouse electric heating device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with air at room temperature is used. This method is usually mounted on a ceiling or a wall of a greenhouse to concentrate air at room tempera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greenhouse due to convection. Therefore, the heat loss was severe, of course, did not have a major effect on the plants located near the ground.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우드펠렛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에너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technical field,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to efficiently utilize wood pellets to manage energy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드펠렛 난로를 가열하여 생성되는 열을 바깥으로 유통시켜서 방열패널에 온도를 전달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된 경우, 주택 또는 양어장 등과 같은 사육하우스를 위한 물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열 에너지를 리싸이클링 하도록 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distributing the heat generated by heating the wood pellet stove to the outside to transfer the temperature to the heat dissipation panel, or when the preset temperature, for a house or a breeding house such as a fish farm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minimize the heat lost to recycle the thermal energy to provide an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and to provide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사육하우스에 대한 직접적인 열원 공급이 아닌 저장탱크를 활용함으로써, 사육하우스로 유해 가스가 유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열원 공급으로 인한 급작스런 온도 변화에 따라 생육 작물 또는 동물 등의 항상성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storage tank rather than a direct heat source supply to the breeding house, not only no harmful gas flows into the breeding house, but also changes in homeostasis of a growing crop or animal due to a sudden temperature change due to a direct heat source supply. It is to provide an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and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연소 가스를 이용한 가열 외에 급수장치를 이용한 냉각을 활용함으로써, 적절 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외부에서 각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cooling using a water supply in addition to heating with combustion gas, effectively maintainin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s well as manual and automatic adjustment for each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pp of the smartphone It is to provide an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and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 방열패널(200), 저수탱크(300), IoT 급수장치(300a), IoT 기반 네트워크(500),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를 포함하는 에너지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연소가스배출관(170)과 맞닿아 연결되는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제 1 배출배관(31)에서 분기하는 제 2 배출배관(32) 및 제 3 배출배관(33) 중 제 2 배출배관(32)의 끝단에 연결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방열과 함께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방열패널(200); 및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연소가스배출관(170)과 맞닿아 연결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제 1 배출배관(31)에서 분기하는 제 2 배출배관(32) 및 제 3 배출배관(33) 중 제 3 배출배관(33)의 끝단에 연결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를 이용해 내부에 담겨진 액체인 물의 온도가 조절되는 저수탱크(300); 을 포함하며, 제 2 배출배관(32)과 제 3 배출배관(33)에는 각각 IoT 기반으로 오픈/클로즈(Open/Close), 개폐율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IoT 밸브(21) 및 제 2 IoT 밸브(22)가 구비되어, 에너지 고효율 우드펠렛 난로(100)의 제어모듈(130b)에 의한 제어나,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에 의한 IoT 기반 네트워크(500)를 이용한 자동 제어 또는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에 의한 IoT 기반 네트워크(500)를 통한 수동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an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a heat dissipation panel 200, a storage tank 300, In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including an IoT water supply device 300a, an IoT-based network 500, an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a manager smart device 700, a combustion ga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is connected.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32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32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branching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31 for discharging, and heat the hot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and A heat dissipation panel 200 which serves to discharge together; And a second discharge pipe 32 and a third discharg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of the efficiency-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and branched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31 for discharging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A water storage tank 300 connected to an end of the third discharge pipe 33 of the pipe 33 to control a temperature of water, which is a liquid contained therein, by using a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The second discharge pipe 32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include, respectively, an IoT-based open / close (Open / Close), the first IoT valve 21 and the second to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control operation The IoT valve 22 is provided to control the IoT-based network 500 by the control module 130b of the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100 or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manual control via the IoT-based network 500 by the automatic control or manager smart device 700 using.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은, 제 1 배출배관(31)에는 IoT 기반의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제 1 IoT 센서모듈(11)이 형성되며, 제 1 IoT 센서모듈(11)은 내부에 구비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소 가스의 온도 측정 정보를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입출력제어부(130)로 제공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통해 IoT 기반 네크워트(500)와 연결된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charge pipe 31 is formed with a first IoT sensor module 11 having an IoT-bas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The first IoT sensor module 11 provides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combustion ga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provided therein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of the energy efficiency wood pellet stove 100 or directly. Alternatively, the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100 may be provided to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connected to the IoT-based network 50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연소 가스의 온도 측정 정보를 IoT 송수신모듈(130c)을 통해 수신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입출력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방열패널(200) 작동을 위한 임계 온도 이하인 경우, 제 1 IoT 밸브(21)를 온(ON) 상태 제어 또는 제 1 IoT 밸브(21)의 개폐율 상승 제어, 제 2 IoT 밸브(22)를 오프(OFF) 상태 제어 또는 제 2 IoT 밸브(22)의 개폐율 하강 제어를 수행하여 방열패널(200)을 통해 외부로 방열 및 연소 가스 배출이 주도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received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combustion gas through the Io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30c) When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of the 10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temperature for operating the heat radiating panel 200, the first IoT valve 21 is turned on (ON) state control or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of the first IoT valve 21. Rising control, control of the second IoT valve 22 in the OFF state, or control of th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second IoT valve 22 may be performed to radiate heat and discharg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panel 200. Characterized in that to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연소 가스의 온도 측정 정보를 IoT 송수신모듈(130c)을 통해 수신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입출력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방열패널(200) 작동을 위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IoT 밸브(21)를 오프(OFF) 상태 제어 또는 제 1 IoT 밸브(21)의 개폐율 하강 제어, 제 2 IoT 밸브(22)를 온(ON) 상태 제어 또는 제 2 IoT 밸브(22)의 개폐율 상승 제어를 수행하여, 저수탱크(300)와 연결된 사육하우스(400)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제어를 위해 끝단이 저수탱크(300)를 코일형태로 감싸서 형성되는 제 3 배출배관(33)으로 연소 가스 배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received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combustion gas through the Io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30c) When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of the 100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temperature for operating the heat dissipation panel 200, the first IoT valve 21 is turned off (OFF) state control or the first IoT valve 21 of the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drop control, the second IoT valve 22 to the ON (on) state control, or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rise control of the second IoT valve 22 to perform, for the breeding house 400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0) F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the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to the third discharge pipe 33 is formed by wrapping the storage tank 300 in the form of a coil.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저수탱크(300)와 제 3 배출배관(33) 사이에는 제 3 배출배관(33)으로부터 전달되는 연소 가스의 열전달을 마친 뒤, 저온의 연소 가스 배출을 위한 배출단에 대항하는 배출밸브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energy-efficiency-managed wood pellet st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ransmitted from the third discharge pipe 33 between the storage tank 300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After completing the heat transfer of the combustion ga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ischarge valve to the discharge end for discharging low-temperature combustion ga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은, 우드펠렛 난로를 가열하여 생성되는 열을 바깥으로 유통시켜서 방열패널에 온도를 전달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된 경우, 주택 또는 양어장 등과 같은 사육하우스를 위한 물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열 에너지를 리싸이클링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by passing the heat generated by heating the wood pellet stove outside to transfer the temperature to the heat dissipation panel, o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is case,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or the house, such as a house or fish farm,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heat lost to recycle the heat energ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은, 사육하우스에 대한 직접적인 열원 공급이 아닌 저장탱크를 활용함으로써, 사육하우스로 유해 가스가 유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열원 공급으로 인한 급작스런 온도 변화에 따라 생육 작물 또는 동물 등의 항상성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최소의 공간에서 최대의 농수산물 및 가축 등의 생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by using a storage tank rather than a direct heat source supply to the breeding house, no harmful gas is introduced into the breeding ho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hange in homeostasis of a growing crop or an animal due to a sudden change in temperature due to a direct heat source suppl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on rate of the largest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the like in a minimum spac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은, 연소 가스를 이용한 가열 외에 급수장치를 이용한 냉각을 활용함으로써, 적절 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외부에서 각 IoT 디바이스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by using the cooling using the water supply in addition to the heating using the combustion gas, not only effectively maintai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The app on the smartphone can provide the effect of manually and automatically adjusting each IoT device extern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관리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에너지 관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의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management platform centering on an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an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based on the energy management platform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in FIGS.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em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관리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에너지 관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의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management platform centering on an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an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based on the energy management platform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in FIGS.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은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 방열패널(200), 저수탱크(300), IoT 급수장치(300a), 사육하우스(400), IoT 기반 네트워크(500),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100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100, heat dissipation panel 200, water storage tank 300, IoT water supply The device 300a, the breeding house 400, the IoT-based network 500,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may be included.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는 몸체부(110), 우드펠렛 피더(120), 입출력제어부(130), 온풍 제공부(140), 도어(150), 전기점화장치부(160), 연소가스배출관(170), 배기팬(170a), 집진부(170b)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includes a body 110, a wood pellet feeder 120,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a warm air providing unit 140, a door ( 150, an electric ignition device 160, a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an exhaust fan 170a, and a dust collecting unit 170b may be included.

몸체부(110)는 상부에 피더 개폐단(121)이 노출되는 개폐형 우드펠렛 피더(120)과, 입출력제어부(130)가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는 전기점화장치부(160), 그리고 전기점화장치부(160)와 연결된 배기팬(170a) 및 집진부(170b)를 구비하며, 전면부에는 전기점화장치부(160)와 배기팬(170a) 및 집진부(170b)를 점검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개폐제어 방식의 도어(150)를 구비하며, 측부 또는 하부 외측으로는 연소가스배출관(170)이 내부의 집집부(170b)와 연결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Body portion 110 has an open and close wood pellet feeder 120, the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130, the feeder opening and closing end 121 is exposed on the upper side, the electric ignition unit 160, and the electric ignition device on the inner bottom An exhaust fan 170a and a dust collecting unit 170b connected to the unit 160 are provided, and an automatic or manual opening / closing control for inspecting the electric ignition unit 160 and the exhaust fan 170a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70b is provided at the front portion. The door 150 is provided, and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ing unit 170b therein.

우드펠렛 피더(120)는 우드펠렛 직경(Wood Pellet diameter)으로 6 내지 12(mm) 사이의 것을 상부면 피더 개폐단(121)을 통해 우드펠렛 탱크(122)로 공급받은 뒤, 하부의 전기점화장치부(160)로 미리 설정된 중량만큼을 투하하기 위해 우드펠렛 탱크 하단의 공급노즐(123)에 대해서 입출력제어부(130)에 의한 제어에 따라 개방 및 폐쇄, 개폐율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Wood pellet feeder 120 is a wood pellet diameter (wood pellet diameter) between 6 to 12 (mm) is supplied to the wood pellet tank 122 through the upper feeder opening and closing end 121, and then the electric ignition of the lower It can be formed to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closing rate control according to the control by the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130 for the supply nozzle 123 of the bottom of the wood pellet tank in order to drop the predetermined weight to the device unit 160. have.

입출력제어부(130)는 터치스크린 기반 또는 입력단과 출력단이 별도로 구성될 수 있는 입출력모듈(130a), IoT 기반으로 각종 센서 및 밸브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모듈(130c), 그 밖에 제어모듈(130b)을 구비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is an input / output module 130a in which a touch screen base or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can be separately configured,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for communicating with various sensors and valves based on IoT, and other control modules 130b. ) May be provided.

온풍 제공부(140)는 고온에 견디는 구조의 금속물로 수평면에 해당하는 0°에서 상하부로 85°의 경사각을 가지는 공기투입구(141)를 외관에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공기투입구(141)의 내측으로는 전기점화장치부(160)에 의해 우드펠렛이 연소된 뒤 연소가스가 연소가스배출관(170)으로 배출되고 정화된 형태의 가열된 공기인 온풍을 공기투입구(141)로 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1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풍 제공부(140)은 송풍팬(142)의 배면에는 필터부(143)를 구비함으로써, 유해물질이 걸려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arm air providing unit 140 is a metal material having a structure that withstands high temperature is formed in the form exposed to the air inlet 141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85 ° from 0 ° to the top and bottom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plane, the air inlet 141 After the wood pellets are burned by the electric ignition unit 160,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and the warm air, which is heated air in a purified form, is discharged to the air inlet 141. Blowing fan 142 may be provided. To this end, the warm air providing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unit 143 on the rear surface of the blowing fan 142, it may play a role to hang the harmful substances.

전기점화장치부(160)는 상부로 우드펠렛 피더(120)에서 공급되는 우드펠렛을 제공받으며, 하단의 일측부는 배기팬(170a), 집진부(170b)를 거쳐 연소가스배출관(170)과 연결된 구조를 갖으며, 상단의 일측부는 온풍 제공부(140)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electric ignition unit 160 is provided with a wood pellet supplied from the wood pellet feeder 120 to the top, one side of the lower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via the exhaust fan 170a, dust collector 170b. It has a, one side of the top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warm air providing unit 140.

여기서, 배기팬(170a)은 전기점화장치부(160)에 의한 연소에 따라 생성된 연소 가스를 집진부(170b)를 거쳐 연소가스배출관(170)으로 배출하며, 집진부(170b)는 연소 가스로부터 슬래그(slag) 또는 재(ash), 그 밖의 미세 분진을 집진하여 모아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Here, the exhaust fan 170a discharges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by the electric ignition unit 160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170b,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70b is slag from the combustion gas. It collects and collects slag, ash, and other fine dust.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방열패널(200)은 연소가스배출관(170)과 맞닿아 연결되는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제 1 배출배관(31)에서 분기하는 제 2 배출배관(32) 및 제 3 배출배관(33) 중 제 2 배출배관(32)의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고온의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방열과 함께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 and 2, the heat dissipation panel 200 branches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31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And by being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32 of the third discharge pipe 33, serves to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with heat radiation to the outside.

저수탱크(300)는 연소가스배출관(170)과 맞닿아 연결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제 1 배출배관(31)에서 분기하는 제 2 배출배관(32) 및 제 3 배출배관(33) 중 제 3 배출배관(33)의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고온의 연소 가스를 이용해 내부에 담겨진 액체인 물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water storage tank 300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32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branched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31 for discharging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By being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hird discharge pipe 33,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hich is a liquid contained therein can be controlled by using a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한편, 제 2 배출배관(32)과 제 3 배출배관(33)에는 각각 IoT 기반으로 오픈/클로즈(Open/Close), 개폐율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IoT 밸브(21) 및 제 2 IoT 밸브(22)가 구비됨으로써, 에너지 고효율 우드펠렛 난로(100)의 제어모듈(130b)에 의한 제어나,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에 의한 IoT 기반 네트워크(500)를 이용한 자동 제어 또는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에 의한 IoT 기반 네트워크(500)를 통한 수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scharge valve 32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33, the first IoT valve 21 and the second IoT valve to perform the open / close (open / close), opening and closing rate control operation based on the IoT, respectively By being provided with 22, control by the control module 130b of the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100, or automatically using the IoT-based network 500 by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Manual control via the IoT-based network 500 by the control or manager smart device 700 may be performed.

또한, 제 1 배출배관(31)에는 IoT 기반의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제 1 IoT 센서모듈(11)이 형성됨으로써, 제 1 IoT 센서모듈(11)은 내부에 구비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소 가스의 온도 측정 정보를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입출력제어부(130)로 제공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통해 IoT 기반 네크워트(500)와 연결된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pipe 31 is formed with a first IoT sensor module 11 having an IoT-bas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the first IoT sensor module 11 is burned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therei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gas is provided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o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or directly or connected to the IoT-based network 500 through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연소 가스의 온도 측정 정보를 IoT 송수신모듈(130c)을 통해 수신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입출력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방열패널(200) 작동을 위한 임계 온도 이하인 경우, 제 1 IoT 밸브(21)를 온(ON) 상태 제어 또는 제 1 IoT 밸브(21)의 개폐율 상승 제어, 제 2 IoT 밸브(22)를 오프(OFF) 상태 제어 또는 제 2 IoT 밸브(22)의 개폐율 하강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방열패널(200)을 통해 외부로 방열 및 연소 가스 배출이 주도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며, 반대로 미리 설정된 방열패널(200) 작동을 위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Accordingly,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o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that receives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combustion gas through the Io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is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temperature for operating the heat radiating panel 200 preset. In this case, the first IoT valve 21 is turned on, the first IoT valve 21 is controlled to open or close, and the second IoT valve 22 is turned off. By per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drop control of 22), the heat dissipation and combustion gas dischar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panel 200 is led dominantly, on the contrary, if the threshold temperature for the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heat dissipation panel 200 exceeds,

제 1 IoT 밸브(21)를 오프(OFF) 상태 제어 또는 제 1 IoT 밸브(21)의 개폐율 하강 제어, 제 2 IoT 밸브(22)를 온(ON) 상태 제어 또는 제 2 IoT 밸브(22)의 개폐율 상승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저수탱크(300)와 연결된 사육하우스(400)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제어를 위해 끝단이 저수탱크(300)를 코일형태로 감싸서 형성되는 제 3 배출배관(33)으로 연소 가스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저수탱크(300)와 제 3 배출배관(33) 사이에는 제 3 배출배관(33)으로부터 전달되는 연소 가스의 열전달을 마친 뒤, 저온의 연소 가스 배출을 위한 배출단에 대항하는 배출밸브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OFF state control of the first IoT valve 21 or control of opening / closing rate drop of the first IoT valve 21, ON state control of the second IoT valve 22, or the second IoT valve 22. By per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control of the thir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is formed by wrapping the end of the storage tank 300 in the form of a coil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breeding house 400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300 Combustion gas emissions can be carried out. On the other hand, after the heat transfer of the combustion gas delivered from the third discharge pipe 33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300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a discharge valve is opposed to the discharge end for discharging the low-temperature combustion gas 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한편, IoT 급수장치(300a)는 저수탱크(300)와 연결관로를 통해 연결되며, 저수탱크(300)와 연결된 연결관로 상에는 IoT 기반으로 오픈(Open)/클로즈(Close), 개폐율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 4 밸브(24)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oT water supply device 300a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0 through a connection pipe, and on the connection path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0, an IoT-based open / close operation is performed. A fourth valve 24 to perform may be formed.

이에 따라, 입출력제어부(130)의 제어모듈(130b)은 저수탱크(300)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IoT 센서모듈(12)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IoT 급수장치(300a)를 통해 냉수를 공급하도록 제 4 IoT 밸브(24)를 온(Open) 동작 또는 제 4 IoT 밸브(24)의 개폐율 상승 제어하도록 IoT 송수신모듈(130c)로 제어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미리 설정된 방열패널(200) 작동을 위한 임계 온도를 초과하되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온도 범위 이내로 저수탱크(300)의 수온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30b of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130 receives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oT sensor module 12 form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300, and then exceeds the preset breeding limit temperature range. In this case, a control command to the Io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to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fourth IoT valve 24 to open or to increase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of the fourth IoT valve 24 to supply cold water through the IoT water supply device 300a. By transmitting,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storage tank 300 can be maintained while exceeding a threshold temperature for operating the predetermined heat dissipation panel 200 within a preset breeding limit temperature range.

사육하우스(400)는 내부의 온도 및 습도, 그리고 제 2 관로(42)의 수온, 그리고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내부 온도 센서(13a), 내부 습도 센서(13b), 관로 온도 센서(13c), 수류 측정 센서(13d) 등을 구비하는 제 3 IoT 센서모듈(13)이 형성될 수 있다.The breeding house 400 includes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3a, an internal humidity sensor 13b, a pipeline temperature sensor 13c, and a water flow for measuring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water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duit 42, and flow rate. A third IoT sensor module 13 having a measurement sensor 13d or the like may be formed.

여기서 사육하우스(400)에 형성된 제 2 관로(42)는 저수탱크(300)와 사육하우스(400)를 연결하는 제 1 관로(41)와 연통된 구조를 갖으며, 사육하우스(400)가 양어장인 경우, 하나의 어항 구조의 개방 관로로 형성되거나, 축사나 비닐하우스인 경우, 하부의 배수로에 형성된 폐관로 또는 일측이 개방된 부분개방 관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pipe line 42 formed in the breeding house 400 ha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ipe line 41 connecting the storage tank 300 and the breeding house 400, and the breeding house 400 is fish farm. In the case of an open pipe of one fish tank structure, or in the case of a barn or a plastic house, it may be formed of a closed pipe or a partially open pipe of which one side is open in a drainage passage in the lower part.

한편, 사육하우스(400)의 제 3 IoT 센서모듈(13)은 내부 온도 센서(13a), 내부 습도 센서(13b), 관로 온도 센서(13c), 수류 측정 센서(13d)로부터 내부 온도 측정 정보, 내부 습도 측정 정보, 관로 온도 측정 정보, 관로 수류 측정 정보를 IoT 기반의 통신을 통해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제어모듈(130b)로 제공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통해 IoT 기반 네크워트(500)와 연결된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로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IoT sensor module 13 of the breeding house 400 is internal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3a, the internal humidity sensor 13b, the pipeline temperature sensor 13c, the water flow measurement sensor 13d, Internal humidity measurement information, pipelin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pipeline water flow measurement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130b o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through IoT-based communication, or directly or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s. The stove 100 may be provided to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connected to the IoT-based network 500.

여기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가 측정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측정 정보 중 관로 온도 측정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온도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IoT 급수장치(300a)에서 냉수를 공급하는 제 4 밸브(24)를 오픈(Open) 제어 또는 개폐율을 상승시키도록 하도록 IoT 송수신모듈(130c)을 통해 제어 명령을 제 4 밸브(24)로 IoT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 4 밸브(23)에 대한 개폐율은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온도 범위의 초과 정도에 따라 사전에 실험적으로 수집되어 저장되어 제어모듈(130b)의 내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energy efficiency-controlled wood pellet stove 100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cold water from the IoT water supply device (300a) is not within the preset breeding limit temperature range according to the pipelin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An IoT-based control command may be provided to the fourth valve 24 through the Io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to increase the open control or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fourth valve 24 to be supplied.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for the fourth valve 23 is preferably experimentally collected and sto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xcess of the preset breeding limit temperature range and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device of the control module 130b.

한편,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가 측정 정보와 함께 수신된 수류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된 수류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수류 범위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130b)은 저수탱크(300)와 사육하우스(400)를 연결하는 제 1 관로(41) 상의 제 3 IoT 밸브(23)를 초과 수류량의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1 내지 제 n 단계별(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구분된 공급 중단 시간 또는 개폐율에 따라 클로즈(Close) 또는 제 3 IoT 밸브(23) 개폐율 조절 명령을 제 3 IoT 밸브(23)로 IoT 기반 통신으로 제공하도록 IoT 송수신모듈(130c)을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is the water flow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flow measurement sensor received with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more than the preset breeding limit water flow range, the control module (130b) and the water storage tank (300) Supply interruption divided into 3rd IoT valve 23 on the 1st pipe line 41 which connects the breeding house 400 by 1st thru nth stages (n is 2 or more natural water) preset according to the range of excess water flow amount. The Io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a close or third IoT valve 23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to the third IoT valve 23 through IoT-base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ime or opening / closing ratio.

반대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가 측정 정보와 함께 수신된 수류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된 수류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수류 범위 미만인 경우, 제어모듈(130b)은 저수탱크(300)와 사육하우스(400)를 연결하는 제 1 관로(41) 상의 제 3 IoT 밸브(23)를 미달 수류량의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1 내지 제 m 단계별(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제 3 IoT 밸브(23)의 개폐율에 따라 제 3 IoT 밸브(23) 개폐율 조절 명령을 제 3 IoT 밸브(23)로 IoT 기반 통신으로 제공하도록 IoT 송수신모듈(130c)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is the water flow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flow measurement sensor received with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preset breeding limit water flow range, the control module 130b and the water storage tank 300 The third IoT valve 23 on the first pipe line 41 connecting the breeding house 400 to the third IoT valve in the first to m stages (m is two or more natural water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range of water flow underage. The Io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the third IoT valve 23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to the third IoT valve 23 through IoT-base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ratio of 23.

여기서, 제어모듈(130b)은 한 번의 주기 도래에 따라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을 전송한 뒤, 다음 주기의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을 생성하기 이전에, 제 3 IoT 밸브(23)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에 따른 제 3 IoT 센서모듈(13)로부터 제공된 실내 온도 측정 정보 및 관로 온도 측정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수신한 뒤, 실내 온도 측정 정보와 관로 온도 측정 정보가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에 따라 실내 온도와 관로 온도 간의 차이 임계값 이상 커지는 경우 현재의 계절을 여름철로 인식하고, 반대로 차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현재의 계절을 겨울철로 인식할 수 있다.Here, after the control module 130b transmits the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for the fourth valve 24 according to the arrival of one cycle, before generating the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for the fourth valve 24 in the next cycle. After receiving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pipelin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hird IoT sensor module 13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for the third IoT valve 23 as feedback information,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pipeline Whe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increases by more than the difference threshol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pip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for the fourth valve 24, the current season is recognized as summer, and conversely, when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difference threshold, the current season is winter. Can be recognized.

이에 따라, 제어모듈(130b)은 여름철로 인식한 경우,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에 해당하는 개폐율을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범위 내에서 상향 조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겨울철로 인식한 경우,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에 해당하는 개폐율을 미리 설정된 제 2 온도 범위 내에서 하향 조정함으로써, 계절적 특성을 반영하는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온도 범위는 제 2 온도 범위와 같거나 다른 정량적 수치일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control module 130b is recognized as the summer season, the control module 130b may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for the fourth valve 24 within the preset first temperature range, and conversely recognizes the winter season. In one case,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for the fourth valve 24 in the second preset temperature range, it is possible to perform feedback control reflecting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may be a quantitative value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IoT 기반 네트워크(500)는 소/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기간 망이며,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으며, IP망으로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망일 수 있다. IoT 기반 네트워크(500)는 에너지 고효율 우드펠렛 난로(100), 에너지 관리 서버(600),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 그 밖의 IoT 디바이스인 제 1 내지 제 3 IoT 센서모듈(11 내지 13), 제 1 내지 제 3 IoT 밸브(21 내지 23), IoT 급수장치(300a), 그리고 IoT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IoT-based network 500 is a backbone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small / large-capacity, long 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For example, the IoT-based network 500 may be the Internet. It may be a wireless network to provide. The IoT-based network 500 includes the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100,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and the first to third IoT sensor modules 11 to 13, which are other IoT devices. It serves to transfer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first to third IoT valves 21 to 23, the IoT water supply device 300a, and the IoT systems.

에너지 관리 서버(600)는 도 1에 도시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관리 플랫폼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각 플랫폼에 대해서 각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식별 ID를 중심으로 센서 측정 정보 및 제어 명령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수신한 뒤,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하고 각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을 통해 상태 관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관리 서버(600)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When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includes a plurality of energy management platforms centering on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illustrated in FIG. 1, each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is formed for each platform. After receiving the sensor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control command based on the big data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of), it can be analyzed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a status management command can be issued through each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More specifically,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used in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may be one of a decision tree (DT) classification algorithm, a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classification algorithm.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는 에너지 관리 서버(600)에 의한 머신러닝 이후 정제된 데이터를 활용해 딥러닝 수행 요청을 IoT 기반 네트워크(5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딥러닝 방식은 센서 측정 정보를 분석하여 형성된 패턴 데이터별 반복 작업시 하나의 전체 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인 사이클 타임(Cycle time)과, 각 공정시간의 최대 시간인 택트 타임(Tact time)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각 센서 측정 정보에 대한 딥러닝 알고리즘 프로그램의 변환 및 적용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The manager smart device 700 may transmit a deep learning request through the IoT-based network 500 by using the purified data after machine learning by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Here, the deep learning method decreases cycle time, which is the time required for one entire process during repetitive work for each pattern data formed by analyzing sensor measurement information, and decreases the tact time, which is the maximum time of each process time. The metho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eep learning algorithm program for each sensor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manner that minimize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 : 제 1 IoT 센서모듈
12 : 제 2 IoT 센서모듈
13 : 제 3 IoT 센서모듈
21 : 제 1 IoT 밸브
22 : 제 2 IoT 밸브
23 : 제 3 IoT 밸브
31 : 제 1 배출배관
32 : 제 2 배출배관
33 : 제 3 배출배관
41 : 제 1 관로
42 : 제 2 관로
100 :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
110 : 몸체부
120 : 우드펠렛 피더
130 : 입출력제어부
130a : 입출력모듈
130b : 제어모듈
130c : IoT 송수신모듈
140 : 온풍 제공부
150 : 도어
160 : 전기점화장치부
170 : 연소가스배출관
170a : 배기팬
170b : 집진부
200 : 방열패널
300 : 저수탱크
300a : IoT 급수장치
400 : 사육하우스
500 : IoT 기반 네트워크
600 : 에너지 관리 서버
700 :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
11: first IoT sensor module
12: second IoT sensor module
13: 3rd IoT Sensor Module
21: First IoT Valve
22: second IoT valve
23: Third IoT Valve
31: first discharge pipe
32: second discharge piping
33: third discharge piping
41: the first pipeline
42: second duct
100: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10: body
120: Wood Pellet Feeder
130: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130a: I / O module
130b: control module
130c: IoT Transceiver Module
140: warm air provider
150: door
160: electric ignition unit
170: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a: exhaust fan
170b: dust collector
200: heat dissipation panel
300: reservoir tank
300a: IoT water supply
400: breeding house
500: IoT based network
600: Energy Management Server
700: manager smart device

Claims (5)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 방열패널(200), 저수탱크(300), IoT 급수장치(300a), 사육하우스(400), IoT 기반 네트워크(500),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를 포함하는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는,
상부에 피더 개폐단(121)이 노출되는 개폐형 우드펠렛 피더(120)과, 입출력제어부(130)가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는 전기점화장치부(160), 그리고 전기점화장치부(160)와 연결된 배기팬(170a) 및 집진부(170b)를 구비하며, 전면부에는 전기점화장치부(160)와 배기팬(170a) 및 집진부(170b)를 점검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 개폐제어 방식의 도어(150)를 구비하며, 측부 또는 하부 외측으로는 연소가스배출관(170)이 내부의 집집부(170b)와 연결된 구조를 제공하는 몸체부(110);
우드펠렛 직경(Wood Pellet diameter)으로 6 내지 12(mm) 사이의 것을 상부면 피더 개폐단(121)을 통해 우드펠렛 탱크(122)로 공급받은 뒤, 하부의 전기점화장치부(160)로 미리 설정된 중량만큼을 투하하기 위해 우드펠렛 탱크 하단의 공급노즐(123)에 대해서 입출력제어부(130)에 의한 제어에 따라 개방 및 폐쇄, 개폐율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형성되는 우드펠렛 피더(120);
터치스크린 기반 또는 입력단과 출력단이 별도로 구성될 수 있는 입출력모듈(130a), IoT 기반으로 각종 센서 및 밸브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모듈(130c), 제어모듈(130b)을 구비하는 입출력제어부(130);
고온에 견디는 구조의 금속물로 수평면에 해당하는 0°에서 상하부로 85°의 경사각을 가지는 공기투입구(141)를 외관에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공기투입구(141)의 내측으로는 전기점화장치부(160)에 의해 우드펠렛이 연소된 뒤 연소가스가 연소가스배출관(170)으로 배출되고 정화된 형태의 가열된 공기인 온풍을 공기투입구(141)로 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142)을 구비하고, 송풍팬(142)의 배면에는 필터부(143)를 구비함으로써, 유해물질이 걸려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온풍 제공부(140); 를 포함하며,
상부로 우드펠렛 피더(120)에서 공급되는 우드펠렛을 제공받으며, 하단의 일측부는 배기팬(170a), 집진부(170b)를 거쳐 연소가스배출관(170)과 연결된 구조를 갖으며, 상단의 일측부는 온풍 제공부(140)와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점기점화장치부(160); 를 포함하며, 배기팬(170a)이 전기점화장치부(160)에 의한 연소에 따라 생성된 연소 가스를 집진부(170b)를 거쳐 연소가스배출관(170)으로 배출하며, 집진부(170b)가 연소 가스로부터 슬래그(slag) 또는 재(ash), 그 밖의 미세 분진을 집진하여 모아두는 역할을 수행하며,
방열패널(200)은,
연소가스배출관(170)과 맞닿아 연결되는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제 1 배출배관(31)에서 분기하는 제 2 배출배관(32) 및 제 3 배출배관(33) 중 제 2 배출배관(32)의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고온의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방열과 함께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저수탱크(300)는,
연소가스배출관(170)과 맞닿아 연결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제 1 배출배관(31)에서 분기하는 제 2 배출배관(32) 및 제 3 배출배관(33) 중 제 3 배출배관(33)의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고온의 연소 가스를 이용해 내부에 담겨진 액체인 물의 온도가 조절되며,
제 2 배출배관(32)과 제 3 배출배관(33)에는 각각 IoT 기반으로 오픈/클로즈(Open/Close), 개폐율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IoT 밸브(21) 및 제 2 IoT 밸브(22)가 구비됨으로써, 에너지 고효율 우드펠렛 난로(100)의 제어모듈(130b)에 의한 제어나,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에 의한 IoT 기반 네트워크(500)를 이용한 자동 제어 또는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에 의한 IoT 기반 네트워크(500)를 통한 수동 제어를 수행하며,
제 1 배출배관(31)에는 IoT 기반의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제 1 IoT 센서모듈(11)이 형성됨으로써, 제 1 IoT 센서모듈(11)은 내부에 구비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소 가스의 온도 측정 정보를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입출력제어부(130)로 제공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통해 IoT 기반 네크워트(500)와 연결된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로 제공하여,
연소 가스의 온도 측정 정보를 IoT 송수신모듈(130c)을 통해 수신한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입출력제어부(130)가 미리 설정된 방열패널(200) 작동을 위한 임계 온도 이하인 경우, 제 1 IoT 밸브(21)를 온(ON) 상태 제어 또는 제 1 IoT 밸브(21)의 개폐율 상승 제어, 제 2 IoT 밸브(22)를 오프(OFF) 상태 제어 또는 제 2 IoT 밸브(22)의 개폐율 하강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방열패널(200)을 통해 외부로 방열 및 연소 가스 배출이 수행되도록 하며,
반대로 미리 설정된 방열패널(200) 작동을 위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IoT 밸브(21)를 오프(OFF) 상태 제어 또는 제 1 IoT 밸브(21)의 개폐율 하강 제어, 제 2 IoT 밸브(22)를 온(ON) 상태 제어 또는 제 2 IoT 밸브(22)의 개폐율 상승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저수탱크(300)와 연결된 사육하우스(400)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제어를 위해 끝단이 저수탱크(300)를 코일형태로 감싸서 형성되는 제 3 배출배관(33)으로 연소 가스 배출을 수행하며,
IoT 급수장치(300a)는, 저수탱크(300)와 연결관로를 통해 연결되며, 저수탱크(300)와 연결된 연결관로 상에는 IoT 기반으로 오픈(Open)/클로즈(Close), 개폐율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 4 밸브(24)가 형성되며,
입출력제어부(130)의 제어모듈(130b)은 저수탱크(300)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IoT 센서모듈(12)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IoT 급수장치(300a)를 통해 냉수를 공급하도록 제 4 IoT 밸브(24)를 온(Open) 동작 또는 제 4 IoT 밸브(24)의 개폐율 상승 제어하도록 IoT 송수신모듈(130c)로 제어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미리 설정된 방열패널(200) 작동을 위한 임계 온도를 초과하되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온도 범위 이내로 저수탱크(300)의 수온이 유지되도록 하며,
사육하우스(400)는,
내부의 온도 및 습도, 그리고 제 2 관로(42)의 수온, 그리고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내부 온도 센서(13a), 내부 습도 센서(13b), 관로 온도 센서(13c), 수류 측정 센서(13d) 등을 구비하는 제 3 IoT 센서모듈(13)이 형성되며,
사육하우스(400)에 형성된 제 2 관로(42)는 저수탱크(300)와 사육하우스(400)를 연결하는 제 1 관로(41)와 연통된 구조를 갖으며, 사육하우스(400)가 양어장인 경우, 하나의 어항 구조의 개방 관로로 형성되거나, 축사나 비닐하우스인 경우, 하부의 배수로에 형성된 폐관로 또는 일측이 개방된 부분개방 관로 형성되며,
사육하우스(400)의 제 3 IoT 센서모듈(13)은 내부 온도 센서(13a), 내부 습도 센서(13b), 관로 온도 센서(13c), 수류 측정 센서(13d)로부터 내부 온도 측정 정보, 내부 습도 측정 정보, 관로 온도 측정 정보, 관로 수류 측정 정보를 IoT 기반의 통신을 통해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의 제어모듈(130b)로 제공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를 통해 IoT 기반 네크워트(500)와 연결된 에너지 관리 서버(600) 및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700)로 제공하며,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가 측정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측정 정보 중 관로 온도 측정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온도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IoT 급수장치(300a)에서 냉수를 공급하는 제 4 밸브(24)를 오픈(Open) 제어 또는 개폐율을 상승시키도록 하도록 IoT 송수신모듈(130c)을 통해 제어 명령을 제 4 밸브(24)로 IoT 기반으로 제공하며, 제 4 밸브(23)에 대한 개폐율은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온도 범위의 초과 정도에 따라 사전에 저장되어 제어모듈(130b)의 내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으며,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가 측정 정보와 함께 수신된 수류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된 수류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수류 범위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130b)은 저수탱크(300)와 사육하우스(400)를 연결하는 제 1 관로(41) 상의 제 3 IoT 밸브(23)를 초과 수류량의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1 내지 제 n 단계별(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구분된 공급 중단 시간 또는 개폐율에 따라 클로즈(Close) 또는 제 3 IoT 밸브(23) 개폐율 조절 명령을 제 3 IoT 밸브(23)로 IoT 기반 통신으로 제공하도록 IoT 송수신모듈(130c)을 제어하며,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100)가 측정 정보와 함께 수신된 수류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된 수류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사육 한도 수류 범위 미만인 경우, 제어모듈(130b)은 저수탱크(300)와 사육하우스(400)를 연결하는 제 1 관로(41) 상의 제 3 IoT 밸브(23)를 미달 수류량의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1 내지 제 m 단계별(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제 3 IoT 밸브(23)의 개폐율에 따라 제 3 IoT 밸브(23) 개폐율 조절 명령을 제 3 IoT 밸브(23)로 IoT 기반 통신으로 제공하도록 IoT 송수신모듈(130c)을 제어하며,
제어모듈(130b)은,
한 번의 주기 도래에 따라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을 전송한 뒤, 다음 주기의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을 생성하기 이전에, 제 3 IoT 밸브(23)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에 따른 제 3 IoT 센서모듈(13)로부터 제공된 실내 온도 측정 정보 및 관로 온도 측정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수신한 뒤, 실내 온도 측정 정보와 관로 온도 측정 정보가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에 따라 실내 온도와 관로 온도 간의 차이 임계값 이상 커지는 경우 현재의 계절을 여름철로 인식하고, 반대로 차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현재의 계절을 겨울철로 인식하며, 여름철로 인식한 경우,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에 해당하는 개폐율을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범위 내에서 상향 조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겨울철로 인식한 경우, 제 4 밸브(24)에 대한 개폐율 조절 명령에 해당하는 개폐율을 미리 설정된 제 2 온도 범위 내에서 하향 조정함으로써, 계절적 특성을 반영하는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heat dissipation panel 200, water storage tank 300, IoT water supply device 300a, breeding house 400, IoT-based network 500,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In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including a manager smart device 700,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100,
An open / close wood pellet feeder 120 and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which the feeder opening and closing end 121 is exposed, and the lower side of the feeder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ignition unit 160 and the electric ignition unit 160. An exhaust fan 170a and a dust collecting unit 170b are provided, and the front part of the door 150 of the automatic or manual opening / closing control method for checking the electric ignition unit 160 and the exhaust fan 170a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70b. It is provided with a side or lower outer body portion 110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collecting portion (170b) therein;
The wood pellet diameter (Wood Pellet diameter) between 6 to 12 (mm) is supplied to the wood pellet tank 122 through the upper surface feeder opening and closing 121, and then in advance to the lower electric ignition unit 160 A wood pellet feeder 120 formed to perform opening, closing, and opening / closing ratio control of the supply nozzle 123 at the bottom of the wood pellet tank to control the weight by the set weight;
Input / output module 130a, which can be configured separately based on touch screen or input and output, I / O control unit 130 inclu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and a control module 130b for communicating with various sensors and valves based on IoT );
It is a metal material withstanding the high temperature,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air inlet 141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85 °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lane exposed to the exterior, the electric ignition device inside the air inlet 141 After the wood pellets are burned by the unit 160,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and a blowing fan 142 is provided to allow the warm air, which is heated air in a purified form, to flow out to the air inlet 141. And, by providing a filter unit 143 on the back of the blowing fan 142, the warm air providing unit 140 serves to hang the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The wood pellets are supplied from the wood pellet feeder 120 to the upper portion, and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through the exhaust fan 170a and the dust collecting portion 170b, and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Viscous ignition unit 160 having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warm air providing unit 140; The exhaust fan 170a discharges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by the electric ignition unit 160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via the dust collecting unit 170b,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70b is the combustion gas. Collects and collects slag, ash, and other fine dust from
The heat dissipation panel 200,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32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32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branched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31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By being connected to the end, it serves to discharge the hot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with heat radiation,
The storage tank 300,
The third discharge pipe 33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32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branched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31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ipe 170 and discharges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31. By connecting to the end o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hich is a liquid contained therein, is controlled using a hot combustion gas
In the second discharge pipe 32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respectively, the first IoT valve 21 and the second IoT valve 22 performing open / close and open / close rate control operations based on IoT. ), By the control module 130b of the energy-efficient wood pellet stove 100, or automatic control using the IoT-based network 500 by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or Perform manual control through the IoT-based network 500 by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The first IoT sensor module 11 having the IoT-based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is formed in the first exhaust pipe 31, so that the first IoT sensor module 11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mbustion ga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provided therein. Providing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of the energy efficiency wood pellet stove 100, or energy management connected to the IoT-based network 500 directly or through the energy efficiency wood pellet stove (100) Provided to the server 600 and the administrator smart device 700,
When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0 o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received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combustion gas through the Io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is low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emperature for operating a predetermined heat dissipation panel 200. 1 to control the ON state of the IoT valve 21 or to control the rat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IoT valve 21, to control the OFF state of the second IoT valve 22 or to the second IoT valve 22. By per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drop control, the heat radiation and combustion gas dischar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panel 200,
On the contrary, when the threshold temperature for operating the heat dissipation panel 200 is set in advance, the first IoT valve 21 is controlled to be in an OFF state, or the opening / closing rate drop control of the first IoT valve 21 is controlled. By performing the ON state control of the 22 or the opening / closing rate increase control of the second IoT valve 22, the end is stored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breeding house 400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300.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to the third discharge pipe 33 formed by wrapping the tank 300 in the form of a coil,
The IoT water supply device 300a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0 through a connection line, and performs an open / close (close) and open / close rate control operation on the connection path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0 based on the IoT. The fourth valve 24 is formed,
The control module 130b of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130 receives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oT sensor module 12 form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300, and then exceeds the preset breeding limit temperature range. By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Io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to control the open operation of the fourth IoT valve 24 or th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fourth IoT valve 24 to supply cold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device 300a. To exceed the threshold temperature for operating the predetermined heat dissipation panel 200, but to maintain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storage tank 300 within a preset breeding limit temperature range,
Breeding house 400,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3a, internal humidity sensor 13b, pipeline temperature sensor 13c, water flow measurement sensor 13d, etc. for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duit 42, and the flow velocity A third IoT sensor module 13 having a is formed,
The second pipeline 42 formed in the breeding house 400 ha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ipeline 41 connecting the water storage tank 300 and the breeding house 400, and the breeding house 400 is a fish farm. In the case, it is formed as an open pipeline of one fish tank structure, or in the case of a barn or a vinyl house, a closed pipeline formed in a drainage passage at the bottom or a partial open tube having one side opened.
The third IoT sensor module 13 of the breeding house 400 includes internal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internal humidity from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3a, an internal humidity sensor 13b, a pipeline temperature sensor 13c, and a water flow measurement sensor 13d. Measurement information, pipelin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pipeline flow measurem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130b o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100 through IoT-based communication, or directly or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 100 to provide the energy management server 600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700 connected to the IoT-based network 500,
When the energy efficiency-controlled wood pellet stove 100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IoT water supply device 300a supplies cold water whe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not within a preset breeding limit temperature range according to the pipelin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IoT-based control commands are provided to the fourth valve 24 via the Io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to increase the open control or open / close rate of the fourth valve 24, and the fourth valve 23 is provided.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for is stored in advance in the internal memory device of the control module 130b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ceeding the preset breeding limit temperature range,
I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is the water flow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flow measurement sensor received with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above the preset breeding limit water flow range, the control module 130b is the storage tank 300 and the breeding house Supply interruption time divided into first to nth stages (n is two or more natural waters) preset according to a range of excess water flow through the third IoT valve 23 on the first pipe line 41 connecting the 400 or The IoT transmit / receive module 130c is controlled to provide a close or third IoT valve 23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to the third IoT valve 23 through IoT base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If th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wood pellet stove 100 is the water flow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flow measurement sensor received with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preset breeding limit water flow range, the control module 130b is the storage tank 300 and the breeding house The third IoT valve 23 on the first pipe line 41 connecting the 400 to the third IoT valve 23 in the first to mth stages (m is two or more natural waters) preset according to the range of water flow. Control the Io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30c to provide the third IoT valve 23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to the third IoT valve 23 through IoT-base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ratio of
The control module 130b,
After sending the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for the fourth valve 24 according to the arrival of one cycle, and before generating the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for the fourth valve 24 in the next cycle, the third IoT valve 23 After receiving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pipelin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hird IoT sensor module 13 according to the command to open and close the control rate as feedback information,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pipelin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is sent to the fourth valve ( 24)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pipeline temperature increase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opening / closing rate adjustment, the current season is recognized as summer, and if th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he current season is recognized as winter and the summer season is recognized as summer. In this case,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adjustment command for the fourth valve 24 may be adjusted upward within the preset first temperature range, and conversely, if it is recognized as winter, the fourth valve 24 may be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by a downward adjustment in th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a wood pellet stove energy efficiency managed,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feedback control, reflecting seasonal characteristic set the opening ratio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control commands in adva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수탱크(300)와 제 3 배출배관(33) 사이에는 제 3 배출배관(33)으로부터 전달되는 연소 가스의 열전달을 마친 뒤, 저온의 연소 가스 배출을 위한 배출단에 대항하는 배출밸브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 관리형 우드펠렛 난로를 이용한 에너지 활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heat transfer of the combustion gas delivered from the third discharge pipe 33 between the storage tank 300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33, a discharge valve is provided separately to the discharge end for discharging low-temperature combustion gas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an energy efficiency managed wood pellet stov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80043681A 2018-04-16 2018-04-16 Energy-efficient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and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2062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81A KR102062449B1 (en) 2018-04-16 2018-04-16 Energy-efficient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and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81A KR102062449B1 (en) 2018-04-16 2018-04-16 Energy-efficient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and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470A KR20190120470A (en) 2019-10-24
KR102062449B1 true KR102062449B1 (en) 2020-01-03

Family

ID=6842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681A KR102062449B1 (en) 2018-04-16 2018-04-16 Energy-efficient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and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4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5143A (en) * 2019-11-28 2020-02-21 陈兖清 Agricultural facility control system based on internet
CN114061152B (en) * 2020-08-05 2023-05-30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Water heater, preheat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water heater and readable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920B1 (en) * 2010-12-27 2012-07-19 방성혁 Electric boiler for vinyl-house using waste gas cans
KR101853325B1 (en) * 2016-04-01 2018-05-10 주식회사 코젠 Automatic control valv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470A (en)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3544B (en) Greenhouse system and intelligent greenhouse control system
KR102062449B1 (en) Energy-efficient management type wood pellet stove, and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01485268A (en) Energy-saving seedling cultivation greenhouse
CN102577886A (en) Plant lighting device
CN214071078U (en) Novel but livestock-raising field of automatically regulated humiture
CN208580342U (en) A kind of intelligent integral chicken raising equipment
CN201369968Y (en) Energy-saving all-year-round seedling culture green house
CN104460618A (en) Automatic pig breeding system
CN205608564U (en) Intelligent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of chicken coop
CN104010486A (en) A greenhouse for receiving carbon dioxide from at least one emission source to enhance plant growth within the greenhouse in use
Hu et al. A framework of the intelligent plant factory system
KR20070008194A (en)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apparatus for vinyil house
CN205038459U (en) Environment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of pouity dwelling place
CN104472396A (en) Intelligent young bird incubator based on Zigbee protocol
CN204902533U (en) Warm system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nergy saving stoving wind
CN108307888A (en) A kind of culture apparatus of insectivorous plant
CN208804902U (en) A kind of adaptive combustion system of fuel heater unit
NL1010134C2 (en) Climate control process for market gardening greenhouse, comprises cooling humid air flowing out of greenhouse and then returning it
CN110320948A (en) A kind of greenhouse device and intelligent constant-temperaturecontrol control and method
KR200393127Y1 (en) System for prevention of cold-weather damage
KR20140003966A (en) Pan biomass energy supplying equipment and biomass boiler of continuous heating system
CN104360701A (en) Greenhouse auto-control system
CN109362601A (en) Humidity control system
CN211267871U (en) Greenhouse system
KR102051537B1 (en) Low Power and High Efficiency Plant Factory for saving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