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260B1 -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2260B1 KR102062260B1 KR1020170157453A KR20170157453A KR102062260B1 KR 102062260 B1 KR102062260 B1 KR 102062260B1 KR 1020170157453 A KR1020170157453 A KR 1020170157453A KR 20170157453 A KR20170157453 A KR 20170157453A KR 102062260 B1 KR102062260 B1 KR 1020622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ear
- audio signal
- headphone
- s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13 ear cana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3 ear externa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27 ear inn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70 hearing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8 hearing los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1 p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4—For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04S3/004—For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17/00—Details of magnetostrictive,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15/00 or H04R17/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 H04R2217/03—Parametric transducers where sound is generated or captured by the acoustic demodulation of amplitude modulated ultrasonic wav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7—Use of position data from wide-area or local-area positioning systems in hearing devices, e.g. program or information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9—Electronic reduction of distor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를 분석하는 소스 데이터 분석부;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를 분석하는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를 분석하는 헤드폰 정보 분석부; 상기 오디오 신호 정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서 재생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에서 재생할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상기 스피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헤드폰 오디오 신호들을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귀를 덮지 않은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용자 소리 출력 장치들인 이어폰과 헤드폰은 대부분 필수적으로 사용자의 귀를 완전히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폰은 커널형 이어폰, 오픈형 이어폰 등으로 구분되며, 헤드폰은 오픈형과 밀폐형 등으로 구분되나, 이와 같은 이어폰과 헤드폰은 필연적으로 사용자의 귀를 덮으면서 소리를 출력하는 특징을 갖는다.
하지만, 사용자의 귀를 덮은채로 소리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소리가 큰 폭으로 감쇄되거나 차단되는 효과가 있는데, 이로 인하여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도 어려우며 주변의 위험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귀를 개방시킨채로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소리가 전달되어 불편을 끼칠 수도 있으며 소리가 불명확하게 전달되어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오디오를 재생하는 시스템은 모노 시스템에서 스테레오 시스템으로 변화하였으며, 최근에는 2.1채널, 5.1채널 등과 같이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으로 확장되어 사운드의 입체감을 살리고 공간감을 높이고 있다.
통상적으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은 전면 채널들을 기본으로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측면 서라운드 채널, 후방 서라운드 채널, 천장 서라운드 채널, 전방 우퍼 채널, 후방 우퍼 채널 등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많은 채널이 구성될수록 청취자에게 더욱 높은 입체감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채널을 구성할 때 비용적인 부담이 크며, 채널들이 스피커로 구성됨에 따라 여러 청취자들의 위치에 특화된 소리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귀 개방형 헤드폰에 추가적인 채널을 부여하여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확장시키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폰 채널과 스피커 채널을 보정하여 믹스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헤드폰들 각각에 대하여 입체감을 높이기 위한 사운드 분할 및 보정을 수행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를 분석하는 소스 데이터 분석부;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를 분석하는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를 분석하는 헤드폰 정보 분석부; 상기 오디오 신호 정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서 재생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에서 재생할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상기 스피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헤드폰 오디오 신호들을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는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의 개수, 상기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스피커들의 가용 채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개수 및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 각각에 상응하는 헤드폰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생성부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오디오 신호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 보정부는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레벨 정보, 딜레이 정보, 채널 정보, 이퀄라이징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 각각에 상응하는 헤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보정부는 상기 헤드 트래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 각각의 방향에 따라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스 데이터에 비디오 채널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고려하여 상기 비디오 채널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 정보를 보정하는 비디오 신호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 보정부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이 기설정된 가상 지점에 위치할 때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 보정부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 각각의 위치에 상응하는 입체 음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 생성부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 상기 스피커 시스템만으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재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 정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서 재생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에서 재생할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상기 스피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헤드폰 오디오 신호들을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는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의 개수, 상기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스피커들의 가용 채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개수 및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 각각에 상응하는 헤드폰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오디오 신호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레벨 정보, 딜레이 정보, 채널 정보, 이퀄라이징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 각각에 상응하는 헤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 트래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 각각의 방향에 따라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스 데이터에 비디오 채널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고려하여 상기 비디오 채널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이 기설정된 가상 지점에 위치할 때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 각각의 위치에 상응하는 입체 음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 상기 스피커 시스템만으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재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 손쉽게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 귀 개방형 헤드폰에 추가적인 채널을 부여하여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확장함으로써, 기존의 다채널 스피커로 구성된 사운드 시스템의 채널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 헤드폰 채널과 스피커 채널을 보정하여 믹스함으로써, 헤드폰 채널과 스피커 채널의 사운드들이 지연과 왜곡 없이 조화를 이루고 더욱 높은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 다수의 귀 개방형 헤드폰들 각각에 대하여 입체감을 높이기 위한 사운드 분할 및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청취자의 위치에 최적화된 입체감을 제공하거나 청취자의 실제 위치에 무관하게 청취 공간의 특정 지점에서의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귀 개방형 헤드폰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과 이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의 오른쪽 부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의 구성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귀 개방형 헤드폰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과 이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의 오른쪽 부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의 구성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시스템(1)에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와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귀 개방형 헤드폰(100)과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유선이나 무선을 통하여 연결 가능하며, 무선으로의 연결은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스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들을 추출하고, 오디오 채널들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된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장착하더라도 사용자의 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소리를 완전히 들을 수 있다. 그리고, 귀 개방형 헤드폰(100)으로 소리를 재생하게 되면 마스킹 효과로 인하여 외부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과 같은 효과로 출력되는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칵테일 파티 효과에 의하여 소리가 재생되는 도중에도 외부의 소리 중에서 듣고 싶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즉, 귀가 개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만 잘 들리도록 설계된 본 발명의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소리를 청취하면서도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 위험을 감지할 수 있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원치 않는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소리를 재생/정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폰을 벗을 필요가 없고, 귀를 막는 답답함이나 거부감에서 탈피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은 음압과 장시간 사용에 의한 난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저음과 고음을 구분하여 출력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운드 시스템과 결합하여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다른 사운드 시스템과 결합하여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다른 사운드 시스템의 서라운드 사운드와 본 발명의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바이노럴 사운드를 병합함으로써, 더욱 입체감과 현장감이 넘치는 이머시브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데이터는 출력하고자 하는 동영상이나 음원에 대한 소스 데이터이며,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히,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통상적인 오버헤드 헤드폰과 같이 사용자의 머리 위에서 고정하는 헤드폰, 사용자의 머리 뒤에서 고정하는 헤드폰의 형태도 가능하지만, 마스크의 형태, 안경의 형태, 스마트 글라스의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귀를 개방하는 형태로 구성되면 충분하다. 특히,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두 개의 좌우 유닛으로 구분되어 사용자의 안경에 장착하거나, 사용자의 귓바퀴나 귀 둘레에 둘러서 개별적으로 고정하는 형태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만약, 하나의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에 복수개의 귀 개방형 헤드폰들(100)이 연결되는 경우에, 각각의 헤드폰들은 서로 상이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헤드폰에 대하여 위치에 상응하는 입체감을 제공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와 귀 개방형 헤드폰(100)과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입체감을 제공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에 정면에 있는 경우와 우측에 있는 경우, 좌측에 있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소리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출력되는 소리의 입체감만으로도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와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욱 입체감 있는 소리를 청취하고, 콘텐츠에 몰입할 수 있다. 반대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위치와 무관하게 일정한 가상의 위치에 상응하는 입체감을 제공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무전기 또는 회의용 전화기와 같은 무선 송수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에서 재생할 음원의 소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PC,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이때,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소스 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소리 재생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 중단, 일시정지, 다음 곡 재생, 이전 곡 재생, 볼륨 조절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메모리(130), 비근접 스피커들(140), 근접 스피커들(150), 사운드 전달관들(160), 신호 보정부(170), 진동 발생부(180), 사운드 커버(190) 및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프로세서(11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전체 기능을 제어한다. 즉, 프로세서(110)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며, 비근접 스피커(140), 근접 스피커(150), 사운드 전달관(160), 신호 보정부(170), 진동 발생부(180) 등을 제어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들을 추출하고, 오디오 채널들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이머시브(immersive)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들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로서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고역 오디오 신호들과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저역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주파수 대역은 200Hz ~ 20k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0Hz ~ 200Hz일 수 있다. 여기서, 고역 오디오 신호들과 저역 오디오 신호들은 크로스오버 또는 필터를 사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즉, 고역 패스 필터(HPF)를 이용하여 저역을 롤오프 함으로써 고역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고, 저역 패스 필터(LPF)를 이용하여 고역을 롤오프 함으로써 저역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고역 패스 필터와 저역 패스 필터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라운드 사운드의 포맷에 따라 크로스오버 또는 필터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비근접 스피커들(140)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들과 근접 스피커들(150)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비근접 스피커들(140)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들을 고역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하여 생성할 수 있고, 근접 스피커들(150)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들을 저역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하여 생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양한 조합을 통하여 각 스피커들에 할당할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좌우 방향이 반대로 뒤집어진 경우에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좌우 채널을 반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좌우 방향을 뒤집은채로 목걸이처럼 목에 착용할 수 있고 이럴 경우 스피커들의 좌우 방향이 반전되게 되는바, 이에 맞추어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좌우 채널을 반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청취하는 소리의 좌우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스피커처럼 기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소스 데이터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진동 신호는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진동 데이터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지만, 소스 데이터에 진동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앰비언스 레벨을 감지하고, 앰비언스 레벨과 최대 레벨의 차이를 연산하여 특정 %의 레벨에 도달하였을 경우에 이를 진동을 발생하도록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트랜지언트(Transient)를 감지하고 이를 진동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신호가 특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 진동을 발생하도록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입력된 주변 소리가 특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 진동을 발생하도록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리를 재생하는 도중에도 주변의 위험을 진동으로 알릴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마이크로 입력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노이즈 캔슬링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초기 반사(Early reflection)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사운드들의 공간감을 높이도록 간접음의 도달 시간을 조정하여 공간의 크기를 연출하도록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머리전달함수(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와 딜레이 파라미터를 함께 이용하여 강력한 공간감을 제공하는 이머시브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네비게이션 알림에 대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 알림의 방향에 상응하는 입체감을 갖는 바이노럴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알림이 좌회전 알림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왼쪽에서 소리가 들리는 것처럼 입체감을 갖도록 바이노럴 출력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회전 알림은 우측, 바닥 요철 알림은 아래쪽, 과속 카메라는 위쪽의 입체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과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 간의 송수신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기술이나 Wi-Fi 기술을 통하여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와 통신할 수 있으며, NFC 기술을 통하여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기술이나 Wi-Fi 기술을 통해 다른 귀 개방형 헤드폰 장치들(100)과 연동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근접 스피커들(140)은 사운드 전달관들(160)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한다. 즉, 사운드 전달관들(160)을 통하여 출력 사운드들의 지향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이때, 비근접 스피커들(140)은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역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때 지향성을 갖도록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출력된 사운드들이 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전달관들(160)을 통하여 출력 사운드들의 지향성을 강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출력 사운드들이 지향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은 초음파 회로를 갖는 초지향성 스피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140)은 음질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풀레인지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쿠스틱 드라이버만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근접 스피커들(150)과 함께 사용하여 전체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140)은 헤드폰 자체의 알림이나 연동된 기기의 알림 등을 목소리로 읽어주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근접 스피커들(150)은 사운드 전달관들(160)을 통하지 않고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근접 스피커들(150)은 저역 주파수뿐만 아니라 고역 주파수까지 재생하여 풀레인지 오디오의 출력이 가능하다.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은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역대의 소리가 지향성이 낮고 회절이 잘되며 전파시 감쇄가 잘되는 특징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만 명확히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앰프 출력을 별도로 상향 조정하지 않고도 필요한 레벨 수준의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별개의 EQ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어떠한 부분에도 장착 가능하며, 서브 우퍼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체감 저역까지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바디 전체 또는 일부분을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저음 출력을 보강할 수 있다. 즉, 근접 스피커들(150)은 그 위치에 제한이 없다.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은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근접 스피커들(150)는 큰 파장으로 사용자의 머리의 피부를 통해 저역 사운드를 사용자의 내이에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큰 파장으로 두피를 진동시켜 보다 극적인 청취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은 LFE(Low Frequency Effec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은 헤드폰 자체의 알림이나 연동된 기기의 알림 등을 목소리로 읽어주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비근접 스피커들에 연결되어 비근접 스피커들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전달한다. 즉,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사운드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 응집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비근접 스피커들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이 유선형의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과하면서 지향성을 가지며, 지향성을 갖도록 전달된 사운드들은 사용자의 귀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들은 유선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출력 손실이 낮은 이점이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을 다중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구경이 큰 사운드 전달관 하나가 아닌, 구경이 작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여러 개를 하나로 묶어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다수의 구경이 작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함에 따라, 전달하는 소리의 회절로 인한 지향성 감소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귀 밖으로 소리가 새어나가는 효과를 줄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은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하여 소리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은 스파이럴(spiral) 구조를 가짐으로써 지향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필터를 포함하여 특정 주파수만 통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운드 전달관들은 귓바퀴의 역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외이도(Outer ear carnal)로 사운드가 자연스럽게 들어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운드 전달관들은 귓바퀴를 대신하여 소리를 모아 외이도로 보내는 역할과 스피커의 소리가 사용자의 귓바퀴의 바깥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리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지향성이 강하며 회절성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으므로, 방향성이 상이한 고역 오디오 신호와 저역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따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사용자의 귀 방향 말단에서 최종 방사되는 사운드들의 방향을 조정하는 방사 그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 그릴들은 사용자별로 신체 구조가 상이하기 때문에 지향성 출력 사운드들이 사용자의 귀에 도달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울임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여기서, 방사 그릴들은 사용자가 직접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릴은 슬라이드 바, 휠 등의 방식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방사 그릴들은 음의 회절을 최소화화는 구조를 가지며, 귀의 방향에 맞게 기울임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소리가 사용자의 귀를 기준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유입되도록 출력된 사운드들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160)의 내부에 필터를 포함하여 기설정된 주파수만을 통과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흡진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흡진재는 사운드 전달관들의 외벽을 감쌀 수도 있고, 일부 면만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신호 보정부(170)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는, 출력되는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을 통과하면서 파형이나 볼륨이 변화하고, 전달 시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보정 파라미터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퀼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 딜레이(delay) 조절 정보, 레벨(level) 조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하여 적합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왜곡없는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180)는 출력 진동 신호를 출력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 발생부(180)는 출력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세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로부터의 진동의 세기와 알림을 위한 진동의 세기를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진동의 세기의 조절은 진동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한다. 따라서 알림을 위한 진동만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진동 발생부(180)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서 저역 사운드를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주변 소리로부터 위험 감지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의 알림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즉,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전화 알림, 메시지 알림, 어플리케이션 알림에 대한 인터렉티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운드 커버(190)는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를 덮어줌으로써 스피커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사운드 커버(190) 없이도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지향성을 갖도록 소리를 출력하기 때문에 소리를 청취할 수 있으나, 사운드 커버(190)를 추가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리를 모아줌에 따라 더욱 높은 공간감, 선명도로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커버(190)는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사운더 커버(190)는 접이식 또는 슬라이드 방식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를 덮는 상태와 사용자의 귀를 덮지 않는 상태로의 조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마이크는 주변 소리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마이크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에서 입력된 소리들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용되거나, 주변 소리에 따른 위험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용되거나,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하여 음성 인식 제어 기능 등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전후/좌우/상하를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Omni Directional 마이크를 이용하여 바이노럴 사운드를 수음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동되어 통화를 위한 소리 입력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2개 이상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소리가 아닌 주변 소음을 캔슬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채로 지향성의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변 소리를 청취함과 동시에 출력 소리를 명확히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타인에게는 출력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여 소리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음압에 의한 청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주간 또는 야간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야간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디밍(dimming) 레벨에서 오디오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는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에 대한 기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헤드폰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심박수와 같은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는 가속 센서나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트래킹한 사용자 머리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제스쳐 기반으로 헤드폰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개를 끄덕이는 경우, 고개를 두 번 끄덕이는 경우, 고개를 좌에서 우로 약 1초 동안 움직이는 경우, 고개를 좌에서 우로 빠르게 움직인 경우, 고개를 좌에서 우로 기울인 경우, 고개를 좌에서 우로 잠시 기울인 경우 등과 같은 동작에 특정 명령들을 설정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을 학습하여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다른 스피커 시스템과 연계하여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의 위치에 따라 서라운드 사운드의 전체 패닝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모드나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크기를 인식하여, 등록된 사용자와 머리 크기가 다른 사람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안경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안경이나 선글라스 등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경이나 선글라스 등을 착용한 상태에도 헤드폰을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안경 거치부는 헤드폰의 내부에 사용자의 안경이나 선글라스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조작부는 사용자의 터치, 슬라이드, 클릭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하여 터치, 슬라이드, 클릭 등의 방식으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연동된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 혹은 연동된 사용자의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접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접이부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용이하게 움직이기 위하여 몸체를 접을 수 있는 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접이부는 복수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 방식은 유선, 무선, 유무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탈착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밴드부를 포함하며, 밴드는 사용자의 머리 위에서 고정되거나, 사용자의 머리 뒤에서 고정되거나, 사용자의 목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제품에서 고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제품마다 고정되는 위치가 하나로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밴드부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카락이나 사용자의 두피와의 마찰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길이 조절부는 사용자마다 적합한 크기가 다르므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길이 조절부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모듈 장착부를 포함하며, 모듈 장착부는 헤드폰의 전면, 측면, 후면 등의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모듈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모듈은 카메라 모듈, 조명 모듈, FPV(First Person View) 모듈, 확장 배터리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FPV 모듈을 장착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는, 바이노럴 사운드와 함께 입체감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PFV 모듈을 통해 네비게이션 화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전술한 바이노럴 사운드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알림에 상응하는 입체감 있는 알림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입체 영상이나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적외선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나 헤드폰의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AV기기의 리모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신호 발생부는 헤드폰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태양에너지 충전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태양에너지 충전부는 헤드폰의 후면, 측면 등의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에너지 충전부는 태양열 패널, 태양광 패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전면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정면의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면 지향성 스피커와 마이크를 함께 이용하여 동시 통역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과 이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감싸는 헤드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들은 말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를 덮지 않고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4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통상의 헤드폰과 같이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감싸는 헤드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사용자의 귀를 전혀 덮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는 이격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귀 일부를 덮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귀를 덮지 않는다.
소리의 주파수에 따라서 지향성의 정도, 회절의 정도가 상이하며, 전파됨에 따른 감쇄 정도도 상이하므로 저역 오디오 신호와 고역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다.
비근접 스피커(14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특히, 고역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사운드는 사운드 전달관(160)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된다(5a).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160)은 스파이럴 형태를 가짐으로써 전달되는 사운드의 지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근접 스피커(140)는 지향성 스피커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지향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근접 스피커(15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특히, 저역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5b). 여기서, 근접 스피커(150)는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지향성과 감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오른쪽 부분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세히,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오른쪽 부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면의 우측 방향이 앞 방향(사용자의 정면 방향)이며, 도 7은 도면의 좌상단 방향이 앞 방향(사용자의 정면 방향)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비근접 스피커(140)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160)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근접 스피커(150)는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귀를 통하지 않고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비근접 스피커(140)는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지향성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160)은 스파이럴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달하는 소리의 지향성을 키울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160)은 도 6과 같이 비근접 스피커(140)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7과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160)이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은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된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은 이머시브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 별로 상이한 사운드를 재생하여 공간감과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작은 크기의 다수 사운드 전달관들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큰 크기의 소수 사운드 전달관들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지향성에서 이득을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은 귀 개방형 헤드폰(도 1의 100 참조)이,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로 구성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S801).
이때,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구분된 저역 오디오 신호와 고역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스피커들의 종류를 기준으로 구분된 비근접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와 근접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은 귀 개방형 헤드폰(도 1의 100 참조)이,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하여 사운드 전달관들에 상응하는 보정을 수행한다(S803). 이는, 일부 출력된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됨으로써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보정하기 위함이다.
이때,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함에 있어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에는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에 상응하는 길이, 재질, 크기 및 모양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사운드 전달관의 길이, 재질,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소리의 파형이 바뀌는 패턴이 상이하며, 길이에 따라서 소리가 전달되는 시간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이때, 보정 파라미터에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퀄라이저 조절 정보, 딜레이 조절 정보 및 레벨 조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출력된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과하면서 왜곡되는 정도를 보정해주고, 시간 지연에 따른 출력 사운드들 간의 싱크 불일치 문제 등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은 귀 개방형 헤드폰(도 1의 100 참조)이, 출력 오디오 신호들로부터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사운드들을 출력한다(S805).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고역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고, 근접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저역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은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근접 스피커들은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은 귀 개방형 헤드폰(도 1의 100 참조)이, 적어도 일부 출력된 사운드들을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여 지향성을 갖도록 사용자의 귀에 전달한다(S807).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을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에 전달할 수 있다. 이는, 고역 사운드들이 지향성이 높고, 회절성이 낮기 때문에 지향성 사운드를 출력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 덮으면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쪽으로 모아주는 사운드 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커버(190)는 사용자의 귀에 이격되어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 덮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 덮는 사운드 커버(190)를 통하여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쪽으로 모아준다.
비근접 스피커(14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사운드는 사운드 전달관(160)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된다.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160)은 스파이럴 형태를 가짐으로써 전달되는 사운드의 지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근접 스피커(140)는 지향성 스피커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지향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근접 스피커(15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근접 스피커(150)는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지향성과 감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사운드 커버(190)는 출력되는 사운드들(특히, 고역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쪽으로 모아줌으로써 사용자가 출력 사운드들을 더 잘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귀를 일부 덮게 됨으로써 외부의 소리를 일부 차단함으로써 더욱 출력 사운드들에 몰입하여 청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2)에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 개방형 헤드폰(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400)와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 스피커(400)와 유선이나 무선을 통하여 연결 가능하며, 무선으로의 연결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구현하기에 따라서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가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200)의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소스 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400)을 포함하는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어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 개방형 헤드폰들(100)의 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 정보,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스피커 시스템에서 재생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에서 재생할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스피커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헤드폰 오디오 신호들을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스피커들(400)에서 출력된 소리와 귀 개방형 헤드폰(100)에서 출력된 소리가 믹스되어 사용자에게 이머시브 사운드가 제공된다. 즉, 스피커들(400)뿐만 아니라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소리를 출력하며, 사용자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착용하더라도 스피커들(400)의 소리도 청취할 수 있으므로 고채널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소스 데이터의 오디오 채널을 매트릭스로 분리하여 스피커들(400)과 귀 개방형 헤드폰(100)에 분배함으로써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의 레벨을 자동으로 혹은 설정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자동으로 레벨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스피커들(400)에서 출력된 소리들을 입력 받고, 이를 이용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통하여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하여 헤드폰용 사운드 신호들을 바이노럴 사운드 신호들로 생성할 수 있다.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의 경우에는 다채널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넓은 공간과 다수의 스피커들이 필요하여 금전적, 현실적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스피커 시스템이 구축된 공간 내부에서 위치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들리는데, 그 소리가 다르게 들림으로써 입체감에 왜곡이 생기고 몰입감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이른바 스윗 스팟이라는 입체감과 몰입감이 극대화되는 위치 이외에는 완벽한 다채널 사운드를 청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2)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400)과 하나 이상의 귀 개방형 헤드폰들(100)을 이용하여 다채널 사운드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혹은 청취자)의 위치에 적합한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채널을 분배하여 스피커용 사운드 신호들과 헤드폰용 사운드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가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소리들 중에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음원이 먼 소리들은 스피커들(400)을 통하여 서라운드로 출력하고, 사용자를 기준으로 음원이 가까운 소리들은 귀 개방형 헤드폰들(100)을 이용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높은 입체감, 공간감 및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소리들 중에서 스피커들(400)에서 출력 가능한 채널들은 스피커용 사운드 신호들에 분배하고, 그 이외의 채널들은 헤드폰용 사운드 신호들로 분배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폰용 사운드 신호들을 바이노럴 사운드 신호들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일종의 사일런트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사일런트 모드는 스피커들(400)에 소리를 출력하지 않기 위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지 않거나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에는 채널을 할당하지 않으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모든 채널을 할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사용자 설정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설정 모드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분배할 채널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가 스피커들(400)의 구성 정보를 통하여 추천 설정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추천 설정을 변경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분배할 채널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VR(Virtual Reality) 장치 혹은 VR 모듈과 함께 연동되는 경우에, VR 콘텐츠의 배경 객체에 상응하는 소리들을 스피커들(400)로 출력하고, 상호작용 객체들(Interective Objects)에 상응하는 소리들을 귀 개방형 헤드폰들(100)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특히, VR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대한 헤드 트래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 방향에 상응하도록 귀 개방형 헤드폰들(100)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보정하여 가상 공간 콘텐츠 표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귀 개방형 헤드폰들(100)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헤드 트래킹 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하는 정보는 레벨 정보, 딜레이 정보, 채널 정보 및 이퀄라이징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헤드폰들(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스피커들(400)에서 출력된 소리들이 헤드폰들(100)에 도달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딜레이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헤드폰들(100)의 헤드 트래킹 정보를 이용하여 헤드폰들(400)의 방향에 따라서 헤드폰들(400)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정면에 음원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고개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경우에는,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의 출력 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음원의 위치를 정확히 반영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에는 오디오 채널들뿐만 아니라 비디오 채널도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오디오 채널과 비디오 채널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채널에 대하여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여 보정하고, 비디오 채널에 대하여는 오디오 신호들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스피커들(400)에서 출력되는 소리들과 헤드폰들(100)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의 싱크를 맞추기 위하여 헤드폰들(100)에서 출력되는 소리들에 딜레이 정보를 t초로 설정한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딜레이 정보를 t초로 설정할 수 있다.
스피커(400)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이며,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스피커들(400)은 여러 종류의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400)는 TV 등과 같은 영상 출력 장치에 내장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400)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에 내장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400)는 서브 우퍼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LFE 채널의 신호는 서브 우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400)는 체감 스피커 혹은 진동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감 스피커 혹은 진동 스피커는 의자, 쇼파 등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스피커들(400)은 기존에 서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동되어 있지 않던 것들이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2.1채널 스피커 시스템의 스피커들과 TV에 내장된 스피커가 서로 연동되지 않았더라도 이들을 모두 포함하여 다채널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들을 구성하고 있는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로 독립적인 2.1 채널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과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활용함으로써 저렴하게 기존의 스피커 시스템으로부터 채널을 확장하여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함으로써 입체감, 공간감 및 몰입감이 높은 이머시브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여러 사용자가 함께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소리들을 출력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들 각각에게 적합한 입체감과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제어부(310), 통신부(320), 메모리(330), 소스 데이터 분석부(340),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350), 헤드폰 분석부(360), 오디오 신호 생성부(370), 오디오 신호 보정부(380) 및 비디오 신호 보정부(390) 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제어부(31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의 전체 기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10)는 소스 데이터 분석부(340),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350), 헤드폰 분석부(360), 오디오 신호 생성부(370), 오디오 신호 보정부(380) 및 비디오 신호 보정부(390) 등을 제어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1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320)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1의 200 참조), 귀 개방형 헤드폰(도 11의 100 참조) 및 스피커(도 11의 400 참조) 간의 송수신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부(32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320)는 블루투스 기술이나 Wi-Fi 기술을 통하여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1의 200 참조), 귀 개방형 헤드폰(도 11의 100 참조) 및 스피커(4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NFC 기술을 통하여 귀 개방형 헤드폰(도 11의 100 참조)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400)와 유선 연결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제어부(3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33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스 데이터 분석부(340)는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1의 200 참조)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분석한다. 소스 데이터는 소리 파일, 영상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소리 파일과 하나 이상의 영상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스 데이터 분석부(34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채널을 추출할 수 있고, 오디오 채널로부터 오디오 신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헤더 정보에는 채널 정보 및 객체 좌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정보에는 오디오 채널이 지원하는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 정보로서 현재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채널은 2.1 채널, 5.1 채널, 7.1 채널, 11.1채널 및 22.2 채널 등을 지원함을 파악할 수 있다.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소리 출력에 사용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예컨대, 22.2채널).
이때, 소스 데이터 분석부(340)는 소스 데이터가 동영상과 같이 화상 정보와 소리 정보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소스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채널뿐만 아니라 비디오 채널도 추출할 수 있다.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350)는 고채널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용될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를 분석한다. 스피커 시스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도 11의 400 참조)가 포함된다.
이때,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350)는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로서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도 11의 400 참조)의 개수, 위치 정보 및 가용 채널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스피커들이 2.1 채널을 지원함을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에는, 2.1채널을 지원하는 스피커 시스템에는 정면에 2개의 메인 스피커들과 1개의 우퍼 스피커가 배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는 이후 스피커들(도 11의 400 참조)에서 출력하게 될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스피커 시스템의 가용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의 채널 할당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 데이터가 11.1 채널을 지원하고 스피커 시스템이 5.1 채널을 지원하는 경우에,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에는 최대 5.1 채널만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시스템 정보로서 스피커들(도 11의 400 참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경우에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공간인 사운드 존(sound zone)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운드 존의 크기는 간접음의 도달 시간을 조정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운드 존의 크기를 통하여 귀 개방형 헤드폰(도 11의 100 참조)의 사운드 존 내부에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운드 존의 크기를 이용하여 스피커들(도 11의 400 참조)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시간만큼 딜레이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헤드폰 분석부(360)는 스피커와 함께 고채널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용될 귀 개방형 헤드폰(도 11의 100 참조)의 정보를 분석한다. 여기서,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 개방형 헤드폰들(도 11의 100 참조)과 연결되고, 연결된 헤드폰들의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헤드폰 분석부(360)는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로서 헤드폰들의 사양 정보, 헤드폰들의 개수, 헤드폰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 헤드폰들 각각에 상응하는 헤드 트래킹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절대적인 위치(예컨대, 위도와 경도)를 나타낼 수도 있지만, 스피커들(도 11의 400 참조)들이나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그리고, 헤드 트래킹 정보는 귀 개방형 헤드폰(도 11의 100 참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회전, 기울임 및 움직임 등에 대한 방향과 속도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헤드폰들의 위치에 적합한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트래킹 정보는 제스쳐 입력을 받는데 이용될 수도 있지만, 사운드 구현의 관점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생성부(37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오디오 신호 정보와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을 위한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
이때, 오디오 신호들은 스피커 시스템에서 재생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 및 귀 개방형 헤드폰들에서 재생할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 생성부(370)가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다. 예컨대, 스피커 시스템에서 재생 가능한 채널들을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하고, 그 이외의 채널들을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이 배경 객체인 소리들을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하고, 그 이외의 채널들을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이 상호작용 객체인 소리들을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하고, 그 이외의 채널들을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채널 조건, 음원 객체 조건, 음원 위치 조건 등을 설정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등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생성부(370)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에 배정된 채널이나 특정 음원의 사운드 등에 대하여도, 그 출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저음을 강조해야하는 상황에서 스피커와 헤드폰 양쪽에서 해당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생성부(370)는 사용자의 청취 위치를 가상 청취 지점으로 설정하고, 해당 가상 청취 지점에 상응하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극장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사운드 존에서 청취하는 경우에, 모든 사용자들이 사운드 존의 중앙에서 청취하는 것과 동일한 소리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명에게 소리를 출력할 때 각 사용자의 위치 차이로 인한 소리 왜곡을 줄이고, 사용자들의 청취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생성부(370)는 귀 개방형 헤드폰들(도 11의 100 참조) 각각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VR 또는 AR(Augmented Reality)을 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공간에서 체험하는 경우에,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소리들을 사용자들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명에게 소리를 출력할 때 각 사용자들의 위치에 적합한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각 사용자들에게 높은 공간감, 입체감 및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가 영상 출력부를 내장하거나 외부의 영상 출력 장치와 연결된 경우에는, 이를 통해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된 채널 정보와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된 채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보정부(380)는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귀 개방형 헤드폰들의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과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한다.
이때, 오디오 신호 보정부(380)는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보정 파라미터에는 레벨 정보, 딜레이 정보, 이퀄라이징 정보, 채널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벨 정보는 스피커들(도 11의 400 참조)에서 출력된 소리들이 사용자들에게 전달되면서 크기가 작아짐을 고려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의 레벨을 조절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딜레이 정보는 스피커들(도 11의 400 참조)에서 출력된 소리들이 사용자들에게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의 딜레이를 조절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퀄라이징 정보는 스피커들(도 11의 400 참조)에서 출력된 소리들이 사용자들에게 전달되면서 주파수별로 소리의 변화도가 다름을 고려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의 이퀄라이저를 조절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헤드폰들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할당된 채널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이를 조절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출력 방향 정보는 이머시브 사운드를 재생함에 있어서 가상의 음원 위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출력 방향을 조절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고개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경우에, 출력 방향 정보는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의 출력 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보정하는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즉, 오디오 신호 보정부(380)는 헤드폰들의 위치 정보나 헤드 트래킹 정보 등을 고려하여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보정부(380)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추천 보정 파라미터에 따라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거나, 수정된 보정 파라미터에 따라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만약,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가 영상 출력부를 내장하거나 외부의 영상 출력 장치와 연결된 경우에는, 이를 통해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 혹은 보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출력 장치에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의 레벨 정보와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의 레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들이 스피커들(도 11의 400 참조)와 귀 개방형 헤드폰들(도 11의 100 참조)로 이원화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왜곡이나 부조화를 없앨 수 있다.
비디오 신호 보정부(390)는 소스 데이터에 비디오 채널이 포함된 경우에, 비디오 채널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 정보를 보정한다.
이때, 비디오 신호 보정부(390)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고려하여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헤드폰 오디오 신호들은 딜레이 정보가 0초이고,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의 딜레이 정보가 t초인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를 t초로 설정하여 영상과 소리의 싱크를 맞출 수 있다. 만약, 오디오 신호들의 딜레이 정보가 오디오 신호들별로 상이하게 여러 개(예컨대, t1>t2>t3) 존재하는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 정보를 오디오 신호들의 딜레이 정보 중에서 가장 긴 딜레이 정보(예컨대, t1초)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2)의 구성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2)은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 귀 개방형 헤드폰(100), 스피커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들(400)은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TV에 내장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스피커 시스템에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추가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더 많은 채널을 갖는 다채널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2)은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 귀 개방형 헤드폰(100), 스피커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들(400)은 2개가 감상 공간의 정면에 위치하고 2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에 전면 사운드 채널들을 할당하고, 그 이외의 채널들을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 데이터가 지원하는 오디오 채널이 7.1채널인 경우에, 2채널들을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에 할당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 이외의 채널들(5.1개)을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할당하여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2)은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 귀 개방형 헤드폰(100), 스피커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들(400)은 2개가 감상 공간의 측면에 1개씩 위치하여 서라운드 사운드를 출력하고, 감상 공간의 정면에 위치한 TV에 포함된 스피커가 전면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TV에 상응하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에 전면 사운드 채널들을 할당하고, 측면 서라운드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에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들을 할당하고, 그 이외의 채널들을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할당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2)은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 귀 개방형 헤드폰(100), 스피커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들(400)은 2개가 감상 공간의 전면에 1개씩 위치하여 전면 좌우 사운드를 출력하고, 2개가 감상 공간의 측면에 1개씩 위치하여 서라운드 사운드를 출력하고, 감상 공간의 정면에 위치한 TV에 포함된 스피커가 전면 중앙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TV에 상응하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에 전면 중앙 사운드 채널들을 할당하고, 전면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에 전면 좌우 사운드 채널들을 할당하고, 측면 서라운드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들에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들을 할당하고, 그 이외의 채널들을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헤드 트래킹 정보를 이용하여 헤드폰(100)의 움직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폰(100)을 착용하고 고개를 오른쪽(시계방향)으로 90도 돌린 경우에는,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의 출력 방향을 왼쪽(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고개 방향을 바꾸더라도 바이노럴 인코딩에 의하여 형성되는 음원 또는 객체의 위치는 불변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2)은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 귀 개방형 헤드폰(100), 스피커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들(400)은 2개가 감상 공간의 전면에 1개씩 위치하여 전면 좌우 사운드를 출력하고, 2개가 감상 공간의 측면에 1개씩 위치하여 서라운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17d, 17e)은 귀 개방형 헤드폰(100)과 함께 VR/AR 장치 또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17c)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이때, VR/AR 장치(17c)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에 장착 가능한 모듈일 수도 있고, 헤드폰과는 별개의 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스 데이터는 VR/AR 장치(17c)에서 제공되는 VR/AR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도 1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도로(17a)와 자동차(17b)는 사용자들(17d, 17e)이 VR/AR 장치(17c)를 통해 보게되는 콘텐츠이다. 콘텐츠에 포함된 도로(17a)는 두 사용자들(17d, 17e)의 사이로 지나가고 있으며, 자동차(17b)는 도로(17a)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때,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배경 소리들을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로 생성하여 스피커들(400)에서 출력하고, 객체 소리들을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로 생성하여 헤드폰들(100)에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17c)의 소리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로 생성하고, 그 이외의 소리를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300)는 각 헤드폰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헤드폰의 위치에 상응하는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객체가 사운드 존 내부에 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에 사용자의 위치에서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7d)를 기준으로는 자동차(17b)가 오른쪽에 위치하므로, 사용자(17d)의 헤드폰(100)에서는 자동차 소리가 오른쪽에서 들리도록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17e)를 기준으로는 자동차(17b)가 왼쪽에 위치하므로, 사용자(17e)의 헤드폰(100)에서는 자동차 소리가 왼쪽에서 들리도록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운드의 입체감, 공간감 및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다수 사용자들에 모두에 대하여도 현실감 넘치는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시한 바와 같이 상호작용 콘텐츠를 제공할 때 특히 그 효과가 크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은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도 11의 300 참조)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1의 200 참조)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분석한다(S1801).
이때, 소스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채널 정보, 객체 위치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은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도 11의 300 참조)가, 소스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채널을 추출한다(S1803).
이때, 소스 데이터에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는 오디오 채널뿐만 아니라 비디오 채널을 함께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은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도 11의 300 참조)가, 소리를 출력할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를 분석한다(S1805).
이때,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에는 스피커들의 개수, 스피커들의 채널 정보,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헤드폰의 정보에는 헤드폰의 사양 정보, 헤드폰의 채널 정보, 헤드폰의 개수 정보, 헤드폰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은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도 11의 300 참조)가, 오디오 신호 정보와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헤드폰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S1807).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은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도 11의 300 참조)가, 오디오 신호 정보와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헤드폰의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S1809).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은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도 11의 300 참조)가,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헤드폰의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과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한다(S1811).
이때,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기 위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보정 파라미터에는 레벨 정보, 딜레이 정보, 이퀄라이징 정보, 채널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소스 데이터에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들의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고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은 고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도 11의 300 참조)가,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스피커들에 전송하고,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귀 개방형 헤드폰에 전송한다(S1813).
이에 따라, 스피커와 헤드폰에서 출력된 소리들이 믹스되어 더욱 공간감, 입체감 및 몰입감 높은 소리들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들(S1801, S1803, S1805, S1807, S1809, S1811 및 S1813)에 있어서,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S1807)와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S1809)가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들(S1801, S1803, S1805, S1807, S1809, S1811 및 S1813)에 있어서,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S1809)가 먼저 수행되고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S1807)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시스템
2: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
100: 귀 개방형 헤드폰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메모리 140: 비근접 스피커
150: 근접 스피커 160: 사운드 전달관
170: 신호 보정부 180: 진동 발생부
190: 사운드 커버
200: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
300: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310: 제어부 320: 통신부
330: 메모리 340: 소스 데이터 분석부
350: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 360: 헤드폰 분석부
370: 오디오 신호 생성부 380: 오디오 신호 보정부
390: 비디오 신호 보정부
400: 스피커
2: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시스템
100: 귀 개방형 헤드폰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메모리 140: 비근접 스피커
150: 근접 스피커 160: 사운드 전달관
170: 신호 보정부 180: 진동 발생부
190: 사운드 커버
200: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
300: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310: 제어부 320: 통신부
330: 메모리 340: 소스 데이터 분석부
350: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 360: 헤드폰 분석부
370: 오디오 신호 생성부 380: 오디오 신호 보정부
390: 비디오 신호 보정부
400: 스피커
Claims (20)
-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를 분석하는 소스 데이터 분석부;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를 분석하는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를 분석하는 헤드폰 정보 분석부;
상기 오디오 신호 정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서 재생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에서 재생할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오디오 신호 보정부; 및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헤드폰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생성부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보정부는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 및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은
좌측 및 우측 중 하나의 채널에 상응하여,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및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에 상응하는 사운드 또는 상기 제2 스피커에 상응하는 사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상응하는 지향성을 갖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는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의 개수, 상기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스피커들의 가용 채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의 개수, 상기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스피커들의 가용 채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이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소리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의 크기인 사운드 존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시스템 분석부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상기 사운드 존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이 출력하는 소리가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 사이의 딜레이 보정하기 위한 오디오 채널의 딜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보정부는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레벨 정보, 딜레이 정보, 채널 정보, 이퀄라이징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보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에 상응하는 헤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보정부는
상기 헤드 트래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방향에 따라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에 비디오 채널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채널의 딜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채널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 정보를 보정하는 비디오 신호 보정부
를 더 포함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보정부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이 기설정된 가상 지점에 위치할 때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보정부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위치에 상응하는 입체 음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생성부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 상기 스피커 시스템만으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재생성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 가능한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 정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서 재생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에서 재생할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헤드폰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 및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은
좌측 및 우측 중 하나의 채널에 상응하여,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및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에 상응하는 사운드 또는 상기 제2 스피커에 상응하는 사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상응하는 지향성을 갖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는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의 개수, 상기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스피커들의 가용 채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의 개수, 상기 스피커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스피커들의 가용 채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이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소리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의 크기인 사운드 존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정보 및 상기 사운드 존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들이 출력하는 소리가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 사이의 딜레이 보정하기 위한 오디오 채널의 딜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레벨 정보, 딜레이 정보, 채널 정보, 이퀄라이징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보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정보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에 상응하는 헤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 트래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방향에 따라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에 비디오 채널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채널의 딜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채널에 상응하는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이 기설정된 가상 지점에 위치할 때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위치에 상응하는 입체 음향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폰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귀 개방형 헤드폰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 상기 스피커 시스템만으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를 재생성하는 것인, 다채널 사운드 구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7453A KR102062260B1 (ko) | 2017-11-23 | 2017-11-23 |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
US16/765,838 US20200366990A1 (en) | 2017-11-23 | 2018-12-06 | Multi-channel sound implementation device using open-ear headphones and method therefor |
PCT/KR2018/015441 WO2019103584A1 (ko) | 2017-11-23 | 2018-12-06 |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7453A KR102062260B1 (ko) | 2017-11-23 | 2017-11-23 |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9642A KR20190059642A (ko) | 2019-05-31 |
KR102062260B1 true KR102062260B1 (ko) | 2020-01-03 |
Family
ID=6663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7453A KR102062260B1 (ko) | 2017-11-23 | 2017-11-23 |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366990A1 (ko) |
KR (1) | KR102062260B1 (ko) |
WO (1) | WO201910358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8787B1 (ko) * | 2018-12-21 | 2019-11-26 | (주)디트리플 | 골전도 및 공기전도 겸용 헤드폰 |
JP6559921B1 (ja) * | 2019-03-06 | 2019-08-14 | 株式会社ネイン | 音声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の制御方法、情報処理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音声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音声出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EP3998781A4 (en) * | 2019-07-08 | 2022-08-24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SPEAKER SYSTEM, SOUND PROCESSING DEVICE, SOUND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KR102372792B1 (ko) * | 2020-04-22 | 2022-03-0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운드의 병행 출력을 통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제어 시스템 |
KR102324816B1 (ko) * | 2020-04-29 | 2021-11-0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운드의 병행 출력을 통한 공간 이동에 따른 사운드 인터렉션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011401A (ko) * | 2020-07-21 | 2022-01-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음상 정위에 따른 음성 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EP4258686A4 (en) | 2021-01-13 | 2024-06-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THE POSTURE OF A USER AND METHOD THEREFOR |
KR20240095455A (ko) * | 2021-11-09 | 2024-06-25 |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 초기 반사 패턴을 이용한 가청화의 개념 |
CN114928786A (zh) * | 2022-05-23 | 2022-08-19 | 深圳市展杰文达电子有限公司 | 一种抗干扰蓝牙耳机及其抗干扰方法 |
US11895472B2 (en) * | 2022-06-08 | 2024-02-06 | Bose Corporation | Audio system with mixed rendering audio enhancement |
WO2024186771A1 (en) * | 2023-03-03 | 2024-09-12 | Syng,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spatial audi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35922A (ja) * | 2006-02-01 | 2007-09-13 | Sony Corp | 電気音響変換器及びイヤースピーカ装置 |
JP2011512745A (ja) * | 2008-02-11 | 2011-04-21 | ボーン・トーン・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リミテッド | 音響システム及びサウンドを提供する方法 |
JP2015233284A (ja) * | 2015-06-10 | 2015-12-2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6009900A (ja) * | 2014-06-23 | 2016-01-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500U (ja) * | 1991-06-20 | 1993-01-14 | 日本コロムビア株式会社 | ワイヤレス・スピーカ・ヘツドホンシステム |
KR101567521B1 (ko) | 2014-09-02 | 2015-11-10 | 크레신 주식회사 | 헤드폰 |
KR101993348B1 (ko) * | 2014-09-24 | 2019-06-2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2017
- 2017-11-23 KR KR1020170157453A patent/KR10206226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12-06 US US16/765,838 patent/US2020036699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12-06 WO PCT/KR2018/015441 patent/WO201910358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35922A (ja) * | 2006-02-01 | 2007-09-13 | Sony Corp | 電気音響変換器及びイヤースピーカ装置 |
JP2011512745A (ja) * | 2008-02-11 | 2011-04-21 | ボーン・トーン・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リミテッド | 音響システム及びサウンドを提供する方法 |
JP2016009900A (ja) * | 2014-06-23 | 2016-01-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
JP2015233284A (ja) * | 2015-06-10 | 2015-12-2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3584A1 (ko) | 2019-05-31 |
US20200366990A1 (en) | 2020-11-19 |
KR20190059642A (ko) | 2019-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2260B1 (ko) |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 |
US11676568B2 (e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djustable noise cancellation | |
CN108141696B (zh) | 用于空间音频调节的系统和方法 | |
KR102713228B1 (ko) | 비차단 이중 드라이버 이어폰들 | |
JP5992409B2 (ja) | 音再生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AU748427B2 (en) | System for producing an artificial sound environment | |
KR20150041974A (ko) |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 그리고 스피커 장치 | |
KR20110069112A (ko) | 보청기 시스템에서 바이노럴 스테레오를 렌더링하는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 |
CN102651831A (zh) | 耳机装置及其声音再现方法 | |
CN109729484A (zh) | 提供及传输音频信号 | |
JP2015507572A (ja) | 車両内の音を指向させる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 |
JP2009509185A (ja) | 同期音声データ処理のための音声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 |
JP2013535894A5 (ko) | ||
US1122182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between multiple audio spaces | |
CN115777203A (zh) | 信息处理装置、输出控制方法和程序 | |
US20230276188A1 (en) | Surround Sound Location Virtualization | |
US20130243201A1 (en) | Efficient control of sound field rotation in binaural spatial sound | |
KR102609084B1 (ko) |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 |
JP2023548849A (ja) | 増強されたオーディオ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WO2013042324A1 (ja) | 音響再生装置 | |
WO2022185725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965513B1 (ko) |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 |
US6983054B2 (en) | Means for compensating rear sound effect | |
WO2023171279A1 (ja) |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 | |
US11895472B2 (en) | Audio system with mixed rendering audio enhanc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