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521B1 - 헤드폰 - Google Patents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521B1
KR101567521B1 KR1020140115904A KR20140115904A KR101567521B1 KR 101567521 B1 KR101567521 B1 KR 101567521B1 KR 1020140115904 A KR1020140115904 A KR 1020140115904A KR 20140115904 A KR20140115904 A KR 20140115904A KR 101567521 B1 KR101567521 B1 KR 10156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sound
space
housing
head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황진호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음향 전달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이어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어 패드와의 결합 부분에 하우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음향 전달 공간의 체적을 보충하는 체적 보충 영역을 구비하는 체적보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적보충부는 상기 음향 전달 공간과 체적 보충 영역을 음향적으로 연통시키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음향 형성 공간의 체적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목욕탕 현상 및 부밍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노이즈가 음향 형성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폰{Headphone}
본 발명은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혼자서 주변 소음에 대한 방해를 받지 않고 음악 등을 감상하기 위해 헤드폰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비행기나 열차, 공사장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 헤드폰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헤드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악 등의 원래 음향 이외에도 헤드폰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음향, 즉 외부 노이즈가 중복되어 들려 원래의 음향을 청취하는데 방해가 된다.
그러므로 헤드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원래 음향 이외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부 노이즈를 수동적인 방법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밀폐형 헤드폰이 이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귀를 덮어 외부 노이즈를 차단하는 수프라-오랄 헤드폰(Supra-aural headphone)과 귓속으로 삽입되는 인-이어 헤드폰(In-ear headphone)이 있으며, 수프라-오랄 헤드폰에는 귀 전체를 완전히 덮어 외부 노이즈를 차단하는 어라운드-이어 헤드폰(Around-ear headphone)과 귀 위에 얹어지는 온-이어 헤드폰(On-ear headphone)이 해당된다.
한편, 밀폐형 헤드폰의 경우, 스피커와 귀 사이의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이 밀폐된 관계로 공간 내에서 음향이 웅웅거리는 목욕탕 현상 및 저음에서의 부밍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68028호(2005.07.05. 공개)가 제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종래기술은 헤드폰 전, 후방음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도음관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 경우,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도음관을 통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출력 음향이 타인에게 과도하게 전달되거나 외부 소음이 도음관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 노이즈에 의한 출력 음향의 청취를 방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밀폐형 헤드폰의 경우, 스피커와 귀 사이의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이 밀폐된 관계로 헤드폰을 귀에 장착할 때 음향공간의 압축 및 축소에 의해 스피커 유닛 진동판의 떨림을 발생 시켜 찌거덕 거리는 소리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헤드폰을 편안하게 착용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존재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적 체적을 보충하기 위하여 음향 전달 공간 외에 음향 체적을 증가시킨 하우징 구조 및 이어패드 구조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음향 전달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이어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어 패드와의 결합 부분에 하우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음향 전달 공간의 체적을 보충하는 체적 보충 영역을 구비하는 체적보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적보충부는 상기 음향 전달 공간과 체적 보충 영역을 음향적으로 연통시키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헤드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적보충부는 상기 이어 패드와 결합되는 부분에 이어 패드와 연통되는 제1관통홀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체적보충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2관통홀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음향 형성 공간의 체적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목욕탕 현상 및 부밍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노이즈가 음향 형성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폰을 귀에 장착할 때 음향공간의 압축 및 축소에 의한 영향을 음향 체적보충부로 분산시켜 찌거덕 소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헤드폰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의 측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의 측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은, 스피커(10), 하우징(20), 이어 패드(30) 및 체적보충부(40)를 포함한다.
스피커(10)는 음향을 출력시키는 주체로써 진동판, 코일 등의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성이 결합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하우징(20)의 중심 부분에 배치 및 결합된다.
하우징(20)은 스피커(1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어 패드(30)와 결합되고, 체적보충부(40)를 형성한다.
이어 패드(30)는 일면이 사용자의 귀(E)에 접촉되고 타면이 하우징(20)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연질의 다공성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하우징(20)의 테두리(원주)를 따라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헤드폰 착용 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S)을 형성한다.
체적보충부(40)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 하우징(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스피커(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S)에 대한 체적을 보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스피커(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전달되기 위하여 체적보충부(40)의 일측에 관통홀(4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체적보충부(40)는 측단면을 기준으로 스피커(10)의 상, 하측에 일정한 영역(S1, 이하에서는 '체적 보충 영역'이라 함)을 구비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벽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적보충부(40)의 체적 보충 영역(S1)은 스피커(10)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의 링 또는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며, 필요에 따라 링 또는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는 체적 보충 영역(S1)을 일정 간격 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전부 또는 일부 구획시키는 하나 이상의 벽을 설치하여 스피커(10)에서 발생된 음향 중 일부가 체적 보충 영역(S1)을 따라 흐르거나 갇히도록 구성하여 헤드폰의 노이즈 감쇄를 구현할 수 도 있다.
또한, 음향 전달 공간(S)에서 체적 보충 영역(S1)으로 음향이 전달되는 부분인 관통홀(42)은 체적보충부(40)의 일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원주를 따라 전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관통홀(42)이 미리 설계된 부분에 형성되는 형태 또는 전술한 체적보충부(40)의 벽에 의한 구획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어, 관통홀(42)의 개방 부분의 크기도 노이즈 감쇄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가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헤드폰 착용 기준으로 귀의 전방부분 및 외이도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관통홀(42)은 크게 귀의 후방부분 및 외이도에 먼 부분에 형성되는 관통홀(42)은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체적보충부(40)는, 도 2 에서와 같이, 이어 패드(30)와 결합되는 부분에 이어 패드(30)와 연통되는 제1관통홀(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42)로 유입된 음향의 일부가 제1관통홀(44)을 따라 이어 패드(3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며, 이에 의해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S)의 체적은 체적보충부(40)가 형성하는 체적 보충 영역(S1)에 더하여 이어 패드(30) 공간으로 더욱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이어 패드(30)는 일반적으로 다공성 재질의 스펀지 등으로 마련되므로 체적 보충 영역(S1)에서 이어 패드(30) 내부의 공간으로 음향이 전달될 수 있으며, 전달된 음향은 이어 패드(30) 내부에서 흡음되는 현상으로 인해 소음 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적보충부(40)는, 도 3 에서와 같이, 외부와 연통되는 제2관통홀(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관통홀(46)은 하우징(20)을 이루는 벽체에 형성되어 체적 보충 영역(S1)으로 유입된 음향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경우, 관통홀(42)로 유입된 음향의 일부가 제2관통홀(46)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의해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S)의 체적은 체적보충부(40)가 형성하는 체적 보충 영역(S1)에 더하여 외부의 공간으로 더욱 확장될 수 있다. 하지만, 외부로 배출되는 음향은 타인에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제2관통홀(46)의 위치, 크기, 형성 구조 등이 최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제1관통홀(44)과 제2관통홀(46)의 배치 간격, 형성 형태, 크기의 가변화 등의 사항은 전술한 관통홀(42)에서 설명된 사항과 같이 헤드폰의 기능,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은, 음향 형성 공간의 체적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목욕탕 현상 및 부밍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노이즈가 음향 형성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피커
20 : 하우징
30 : 이어 패드
40 : 체적보충부
42 : 관통홀
44 : 제1관통홀
46 : 제2관통홀
S : 음향 전달 공간
S1 : 체적 보충 영역
E : 귀

Claims (3)

  1.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음향 전달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이어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어 패드와의 결합 부분에 하우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음향 전달 공간의 체적을 보충하는 체적 보충 영역을 구비하는 체적보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적보충부는 상기 음향 전달 공간과 체적 보충 영역을 음향적으로 연통시키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체적보충부는 상기 이어 패드와 결합되는 부분에 이어 패드와 연통되는 제1관통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보충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2관통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KR1020140115904A 2014-09-02 2014-09-02 헤드폰 KR10156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04A KR101567521B1 (ko) 2014-09-02 2014-09-02 헤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04A KR101567521B1 (ko) 2014-09-02 2014-09-02 헤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521B1 true KR101567521B1 (ko) 2015-11-10

Family

ID=5460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04A KR101567521B1 (ko) 2014-09-02 2014-09-02 헤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37A1 (ko) * 2017-03-15 2018-09-20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헤드폰
KR101965513B1 (ko) 2017-11-23 2019-04-03 구본희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KR20190059642A (ko) 2017-11-23 2019-05-31 구본희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048A (ja) 2009-10-14 2011-04-28 Audio Technica Corp ヘッドホ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048A (ja) 2009-10-14 2011-04-28 Audio Technica Corp ヘッドホ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37A1 (ko) * 2017-03-15 2018-09-20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헤드폰
KR101965513B1 (ko) 2017-11-23 2019-04-03 구본희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KR20190059642A (ko) 2017-11-23 2019-05-31 구본희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7016B2 (en) Earphone capable of reducing pressure in ear canal and providing enhanced sound qual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301040B2 (en) Pressure equalization in earphones
US9762989B2 (en) Earset
TWI519174B (zh) 骨傳導耳機
JP3202035U (ja) カナル型開放型ノイズキャンセル防水イヤホンの構造
WO2016103983A1 (ja) 骨伝導ヘッドホン
US9881600B1 (en) Acoustically open headphone with active noise reduction
TW201622429A (zh) 具有聲學調諧機制之耳機
JP2009219122A (ja) インイヤーイヤホン
JP6824890B2 (ja) 気導スピーカと組織伝導スピーカとの間のインテリジェント切り替え
US9473842B2 (en) Earset
KR101567521B1 (ko) 헤드폰
JP2014187679A (ja) イヤホンマイク
US20150382093A1 (en) Noise reducing memory foam earbuds
JPWO2017149915A1 (ja) 音響出力装置
JP2020025341A (ja) 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イヤホン
JP3091406U (ja) 伝導性聴力障害および衝撃ノイズの無いイヤホン
US20060147079A1 (en) Earphone
TW201906420A (zh) 耳塞式耳機
CN105704595A (zh) 一种具有主动噪声抵消和闹钟功能的睡眠降噪耳塞
KR100825335B1 (ko) 음향기기용 이어폰
JP3197746U (ja) カナル型イヤホン
KR102645970B1 (ko) 이어폰
CN215818535U (zh) 一种具有前腔调音孔的入耳式降噪耳机
JP2015080183A (ja) ハウリング防止構造を持つイヤ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