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154B1 -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환경 변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환경 변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154B1
KR102062154B1 KR1020180004635A KR20180004635A KR102062154B1 KR 102062154 B1 KR102062154 B1 KR 102062154B1 KR 1020180004635 A KR1020180004635 A KR 1020180004635A KR 20180004635 A KR20180004635 A KR 20180004635A KR 102062154 B1 KR102062154 B1 KR 10206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pace
temperature sensor
inform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289A (ko
Inventor
김종훈
정학근
류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0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1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6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arrangement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s, e.g. by multiplex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제1공간으로 난방에너지를 공급하는 난방장치의 작동정보로부터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에너지(공급에너지)를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공간의 제1지점에 배치되는 제1검출장치로부터 상기 제1지점에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에너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포함하는 공간에너지정보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환경 변수 검출장치{ENERGY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AND ENERGY ENVIRONMENT VARIABLE DETECTING DEVICE}
본 실시예는 건물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는 노력이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건물의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 소비는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여름 극서기나 겨울 극한기의 경우 산업용 에너지 소비에 더하여 건물의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 소비가 겹쳐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에너지 관리의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의 피크 소비에 대응하기 위한 발전소의 건설, 송배전선의 확충 등은 비용 문제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건물의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것은 에너지 소비의 절대적인 양을 줄인다는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의 피크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에너지 절감 방법이 될 수 있다.
건물에서의 냉난방 등에 사용되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이 정확하게 진단될 필요가 있다. 건물 입주자들에게 에너지 절감을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실제 에너지 소비를 줄일 가능성이 높지 않다.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 적은 에너지의 투입으로도 입주자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 건물 벽체에서의 단열 기능과 건물 벽체 외의 다른 경로를 통한 건물 외부와의 열 교환(이하 '누기'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정도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일 목적은,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건물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효율성을 분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건물의 에너지환경모니터링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환경변수에 대한 검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제1공간으로 난방에너지를 공급하는 난방장치의 작동정보로부터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에너지(공급에너지)를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공간의 제1지점에 배치되는 제1검출장치로부터 상기 제1지점에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에너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포함하는 공간에너지정보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은 실내온도센서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내온도센서값의 변동폭이 일정 범위 이내에 해당되는 시구간(제1시구간)에서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상기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에너지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의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은, 상기 제1시구간에서의 상기 제1공간의 실외온도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내온도센서값, 상기 실외온도값 및 상기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에너지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의 단열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은 실내온도센서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내온도센서값의 시간당 변화량 및 상기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의 열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은, 상기 제1공간의 건축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의 비교대상열용량을 계산하거나 상기 제1공간의 건축물정보에 의해 계산되는 상기 비교대상열용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공간의 열용량과 상기 비교대상열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은 상기 제1지점의 벽면에서의 실내표면온도센서값 및 상기 제1공간의 실내온도센서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실외온도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표면온도센서값, 상기 실내온도센서값 및 상기 실외온도값을 이용하여 열관류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관류율에 대응되는 상기 제1공간의 건물에너지상태값(제1상태값) 및 상기 공급에너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1공간의 건물에너지상태값(제2상태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진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제1공간으로 난방에너지를 공급하는 난방장치의 작동정보를 생성하는 난방모니터링장치; 상기 제1공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배치되고 각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장치; 및 상기 작동정보로부터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에너지(공급에너지)를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며, 상기 공급에너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포함하는 공간에너지정보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난방장치는 상기 제1공간의 바닥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장치이고, 상기 난방모니터링장치는 상기 보일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온오프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작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장치 중 제1검출장치는 제1지점에 배치되고 제2검출장치는 제2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제1지점에서의 제1센서값과 상기 제2지점에서의 제2센서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의 에너지환경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1공간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상이하고,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상기 제1공간에서의 높이에 따른 에너지환경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은 실내온도센서값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실내온도센서값의 변동폭이 일정 범위 이내에 해당되는 시구간(제1시구간)에서 상기 실내온도센서값을 이용하여 상기 난방장치의 용량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기판에서 벽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온도센서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생성된 센싱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벽면에 부착되고 상기 센서부,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전원부를 둘러싸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장치; 및 상기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계부, 및 상기 센싱정보가 시간정보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거나 외부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허브장치를 포함하는 검출장치을 제공한다.
상기 허브장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장치는 상기 송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더 송신하고, 상기 허브장치의 표시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허브장치는 USB통신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USB통신인터페이스부는 외부 USB장치에 포함된 메모리로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센서는 상기 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외선을 상기 벽면에 조사하여 상기 벽면의 표면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와 인접한 부분에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온도센서로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하고, 상기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건물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효율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검출 기술을 이용하면, 전술한 건물의 에너지환경모니터링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의 구성과 그 주변 시설물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공급에너지를 일정 시간 동안 공급했을 때의 실내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공급에너지와 실내온도를 이용하여 열용량을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의 구성과 그 주변 시설물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10)은 검출장치(12), 난방모니터링장치(14), 사용자단말(16) 및 서버(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6) 및 서버(18)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서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10)에 사용자단말(16)만 포함되고 사용자단말(16)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10)에 서버(18)만 포함되고 서버(18)가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혹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10)에 사용자단말(16)과 서버(18)가 모두 포함되고, 사용자단말(16)과 서버(18)가 분담하여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10)에 사용자단말(16) 및 서버(18)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검출장치(12)는 건물 내의 제1공간(40)의 일 지점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배치 지점에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는 일 예로서, 온도센서일 수 있고, 습도센서일 수 있고, 이산화탄소 농도센서일 수 있고, 미세먼지 농도센서일 수 있다.
검출장치(12)는 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서로 다른 종류의 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종류의 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검출장치(12)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검출장치(12)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검출장치(12)는 벽면(30)에 부착되어 있으면서, 둘 이상의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벽면(30)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실내 공기(내기)의 온도(실내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공간(40) 내에는 둘 이상의 검출장치(12)가 둘 이상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둘 이상의 검출장치(12)는 제1공간(40)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10)은 둘 이상의 검출장치(12)를 통해 제1공간(40)의 서로 다른 높이에서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1공간(40)에서의 높이에 따른 에너지환경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둘 이상의 검출장치(120)는 제1공간(40)에서 평면상의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10)은 둘 이상의 검출장치(12)를 통해 제1공간(40)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각 위치에서의 에너지환경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검출장치(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정보(D1)를 생성하고 센싱정보(D1)를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6)-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수신된 센싱정보(D1)를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고, 센싱정보(D1)에 포함된 센서값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제1공간(40)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분석할 수 있다.
제1공간(40)에는 난방에너지를 공급하는 난방장치(20)가 배치될 수 있다. 난방장치(20)는 일 예로서, 제1공간(40)의 바닥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장치일 수 있다.
난방장치(20)에는 난방모니터링장치(14)가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난방모니터링장치(14)는 난방장치(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신호를 분석하여 난방장치(20)의 작동정보(D2)를 생성할 수 있다. 난방장치(20)는 특정 프로토콜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장치(20)는 온/오프를 지시하는 펄스신호를 난방모니터링장치(14)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난방모니터링장치(14)는 이러한 온오프신호를 바탕으로 작동정보(D2)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난방장치(20)는 직렬통신(예, RS-232)을 통해 신호를 난방모니터링장치(14)로 송신하고, 난방모니터링장치(14)는 이러한 신호를 분석하여 작동정보(D2)를 생성할 수 있다.
작동정보(D2)는 난방장치(20)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온오프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작동의 모드를 지시하는 작동모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모드정보는 예를 들어, 난방모드, 외출모드, 온수모드 등일 수 있고, 봄모드, 여름모드, 가을모드, 겨울모드 등일 수 있다. 작동모드정보는 난방장치(20)에서 시간당 사용되는 에너지량을 계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난방모니터링장치(14)는 작동정보(D2)를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6)-로 송신할 수 있다.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6)-는 난방장치(20)의 작동정보(D2)로부터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에너지(공급에너지)를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6)-는 검출장치(12)에서 송신되는 센싱정보(D1)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6)-는 센싱정보(D1)와 작동정보(D2)를 조합하여 제1공간(40)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6)-는 제1공간(40)으로의 공급에너지 및 제1공간(40)의 일 지점에서의 센서값을 포함하는 공간에너지정보(D3)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6)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로서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분석할 수도 있고, 사용자단말(16)이 서버(18)로 공간에너지정보(D3)를 송신하고, 서버(18)가 공간에너지정보(D3)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제1공간(40)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서버(18)는 공간에너지정보(D3)에 대한 분석결과를 분석정보(D4)로서 사용자단말(16)로 송신하고, 사용자단말(16)은 공간에너지정보(D3) 및 분석정보(D4)를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외부정보-예를 들어, 기상정보(D5)-를 더 이용하여 제1공간(40)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기상서버(50)로부터 제1공간(40)의 실외온도값, 실외습도값, 실외풍량, 실외풍향 등의 기상정보(D5)를 수신하고, 이러한 기상정보(D5)를 더 이용하여 제1공간(40)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분석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장치의 외관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검출장치(12)는 허브장치(210) 및 센서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장치(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센서를 통해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센싱정보를 허브장치(21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장치(210)는 센싱정보를 시간정보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단말(예,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허브장치(210)는 통신부(302), 시계부(304), 제어부(306), 표시부(308), USB통신인터페이스부(3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2)는 외관적으로 안테나(250)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안테나(250)를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02)는 센서장치(250)와의 통신을 통해 센서장치(250)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예, 이동통신단말기)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단말로 센싱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302)는 근거리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센서장치(250) 및/혹은 사용자단말과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페어링은 페어링버튼(232, 26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허브장치(210)의 페어링버튼(232)이 눌려지면 허브장치(210)가 페어링 준비상태로 진입하고, 이후 센서장치(250)의 페어링버튼(261)이 눌려지면 허브장치(210)와 센서장치(250)가 페어링될 수 있다. 그 반대로, 센서장치(250)의 페어링버튼(261)이 눌려지면 센서장치(250_가 페어링 준비상태로 진입하고, 이후 허브장치(210)의 페어링버튼(232)이 눌려지면 허브장치(210)와 센서장치(250)가 페어링될 수 있다.
페어링상태는 엘이디(222, 224, 27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허브장치(210)가 페어링 준비상태에 진입하면, 제1엘이디(222)가 제1간격-예를 들어, 0.1초-으로 점멸될 수 있고, 허브장치(210)가 페어링을 완료하면, 제1엘이디(222)가 제2간격-예를 들어, 0.3초-으로 점멸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장치(250)가 페어링 준비상태에 진입하거나 페어링이 완료되면 제3엘이디(272)가 점등될 수 있다.
통신부(302)는 다수-예를 들어, 8개-의 센서장치(250)와 페어링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02)는 다수의 페어링을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딜리트버튼(233)이 눌려지면, 통신부(302)는 모든 페어링을 해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해제 상태는 제1엘이디(222) 및 제2엘이디(224)가 동시에 점멸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통신부(302)는 사용자단말-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예, 스마트폰)-과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02)는 센서장치(250)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를 시간정보와 함께 사용자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시계부(304)는 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시계부(304)는 내부적으로 타이머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타이머를 가동시켜 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머는 사용자설정에 의해 초기값이 설정될 수 있다.
시계부(304)는 타이머설정버튼(231), 업버튼(234), 오케이버튼(235) 및 다운버튼(236)을 이용하여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설정버튼(231)이 눌려지면, 년/월/일/시/분이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오케이버튼(235)이 눌려지면 설정이 확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업버튼(234)은 값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운버튼(236)은 값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306)는 허브장치(210)의 제어를 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6)는 센싱정보가 시간정보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센싱정보가 시간정보와 함께 통신부(302)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 각 구성에서 수행되지 않는 허브장치(210)의 제반 기능은 제어부(306)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표시부(308)는 표시패널(220), 제1엘이디(222) 및 제2엘이디(224)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308)는 표시패널(220)을 통해 정보를 텍스트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308)는 표시패널(220)의 제1영역(601)을 통해 페어링된 센서장치(250)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308)는 표시패널(220)의 제2영역(602)을 통해 메모리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제3영역(603)을 통해 시계부(304)에서 인식하고 있는 현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308)는 표시패널(220)의 제4영역(604)을 통해 센서장치(250)의 배터리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제5영역(605) 및 제6영역(606)을 통해 센서장치(250)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에 포함된 센서값들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08)는 페어링된 복수의 센서장치(250) 중 선택된 하나의 센서장치(25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상태, 센서값들 등-를 표시패널(220)에 표시할 수 있는데, 센서장치(250)의 선택은 업버튼(234) 및 다운버튼(23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USB통신인터페이스부(309)는 USB삽입부(240)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USB장치에 포함된 메모리로 센싱정보를 전송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외에 허브장치(210)는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직류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장치(250)는 센서부(402), 송신부(404), 전원부(406), 엘이디제어부(408) 및 USB전원인터페이스부(4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402)는 제1온도센서(541) 및 제2온도센서(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온도센서(541)는 벽면(30)의 표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2온도센서(542)는 제1공간의 실내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온도센서(541)는 기판(543)에서 벽면(3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장치(250)는 구성들을 둘러싸는 하우징부(548)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온도센서(541)는 하우징부(548)에서 벽면(30)에 밀착된 제1부분(5481)에 배치될 수 있고, 벽면(30)으로부터 일정 거리(L) 이격된 제2부분(548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온도센서(541)가 제1부분(5481)에 배치되는 경우, 제1온도센서(541)는 접촉식 온도센서일 수 있다. 제1온도센서(541)는 벽면(30)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벽면(30)의 표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온도센서(541)가 제2부분(5482)에 배치되는 경우, 제1온도센서(541)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온도센서(541)는 벽면(30)으로 적외선(IR)을 조사하여 벽면(30)의 표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온도센서(542)는 기판(543)을 기준으로 제1온도센서와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548)에서 제2온도센서(542)와 인접한 부분에는 다수의 개구부(25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개구부(252)를 통해 실내 공기가 제2온도센서(542)로 순환될 수 있는데, 제2온도센서(542)는 이러한 실내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제1공간의 실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송신부(404)는 센서부(402)에 의해 생성된 센싱정보를 허브장치(21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404)는 전원부(406)에 포함된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허브장치(210)로 더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의 상태정보는 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압일 수 있다. 허브장치(210)는 배터리의 전압을 통해 배터리의 SoC(state-of-charge)를 추정하고, 추정된 SoC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패널(22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원부(406)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배터리를 이용하여 기판(543) 등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엘이디제어부(408)는 제3엘이디(272)를 통해 센서장치(25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USB전원인터페이스부(409)는 USB전원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USB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전술한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들-예를 들어, 난방모니터링장치, 검출장치,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으로 난방에너지를 공급하는 난방장치의 작동정보로부터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에너지(공급에너지)를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S700).
난방장치는 제1공간의 바닥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장치일 수 있고, 작동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는 난방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된 난방모니터링장치일 수 있다.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난방모니터링장치로부터 난방장치의 온오프정보를 포함하는 작동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작동정보는 시간정보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작동정보가 시간정보없이 수신되는 경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작동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작동정보와 시간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센서값은 예를 들어, 실내온도센서값일 수 있고, 실내습도센서값일 수 있고, 벽면의 실내측 표면온도센서값일 수 있고, 이산화탄소농도센서값, 미세먼지농도센서값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공급에너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포함하는 공간에너지정보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704).
검출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값이 실내온도센서값을 포함하는 경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실내온도센서값의 변동폭이 일정 범위 이내에 해당되는 시구간(제1시구간)에서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에너지량을 이용하여 제1공간 혹은 제1공간의 벽체의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8은 공급에너지를 일정 시간 동안 공급했을 때의 실내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공간으로 시간당 일정량의 에너지(Qs)를 공급하면, 실내온도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일정값으로 수렴하게 된다. 실내온도가 일정값으로 수렴한다는 것은 실내온도의 변동폭이 일정 범위 이내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내온도가 일정값으로 수렴한 시점에서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에너지(Qs)를 이용하면 제1공간의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h=Qs/dT (h: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 Qs: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시간당 에너지량, dT: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는 제1공간의 단열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가 높을수록 단열효율이 낮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가 제1공간의 벽면의 넓이(Aw)를 알고 있는 경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벽체의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hw=Qs/(dT*Aw) (hw: 벽체의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 Qs: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시간당 에너지량, dT: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 Aw: 제1공간의 벽면의 넓이)
벽체의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낮아질 수 있는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기적으로 벽체의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를 계산하고, 벽체의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가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 사용자단말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식에서 사용되는 실외온도값은 기상서버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고,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시간당 에너지량은 난방장치의 작동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작동정보가 온오프정보만 포함하는 경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난방장치가 온(ON)되어 있을 때, 공급하는 에너지량을 미리 저장해 놓고 있으면서 이를 활용하여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급에너지(Qs)를 계산할 수 있다.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에 대한 실내온도센서값의 시간당 변화량 및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1공간의 열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9는 공급에너지와 실내온도를 이용하여 열용량을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제1공간의 열용량은 두 시점에서 실내온도의 차이와 두 시점 사이의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평균값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
C=Qa/(Tib-Tia) (C: 제1공간의 열용량, Qa: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평균값, Tia: 제1시점의 실내온도, Tib: 제2시점의 실내온도)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시점(Tia)과 제2시점(Tib)에서 실내온도센서값을 획득하고, 제1시점(Tia)과 제2시점(Tib) 사이에 공급한 에너지의 평균값(Qa)을 이용하여 제1공간의 열용량(C)을 계산할 수 있다.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에 대해 계산한 열용량을 표준적인 열용량과 비교하여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의 건축물정보(건축물정보는 제1공간의 체적, 제1공간의 면적, 제1공간에 사용된 건축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제1공간에 대응되는 표준공간의 열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이러한 표준공간의 열용량을 비교대상열용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에 대해 계산한 열용량과 비교대상열용량을 비교하여 제1공간의 열효율을 진단할 수 있다.
한편, 검출장치는 배치된 지점에서 벽면의 실내표면온도센서값을 생성할 수 있고, 실내온도센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검출장치로부터 실내표면온도센서값 및 실내온도센서값을 획득하고, 기상서버 등으로부터 실외온도값을 획득할 수 있으면, 이들 센서값을 이용하여 벽체의 열관류율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4]
B=(Ti-Ts)/(Ti-To) * K (B: 열관류율, Ti: 실내온도, Ts: 벽면 표면온도(실내측), To: 실외온도, K: 계수(미리 설정될 수 있음))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열관류율마다 각각의 값에 대응되는 건물에너지상태값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계산된 열관류율(B)에 따라 제1공간의 건물에너지상태값(제1상태값)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으로 공급하는 시간당 에너지량의 각각의 값에 대응되는 건물에너지상태값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급에너지에 따라 제1공간의 건물에너지상태값(제2상태값)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상태값과 제2상태값을 비교하여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공간의 열관류율이 낮은데, 공급에너지는 높다고 한다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의 누설에너지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1공간의 열관류율이 높고, 공급에너지는 낮다면,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제1공간의 벽면에서의 단열이 좋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건물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효율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검출 기술을 이용하면, 전술한 건물의 에너지환경모니터링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제1공간으로 난방에너지를 공급하는 난방장치와 통신 연결된 난방모니터링장치로부터의 상기 난방장치의 작동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에너지(공급에너지)를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공간에서 서로 다른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를 갖는 복수의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검출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의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을 수신하여,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에너지 및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 측정된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을 포함하는 공간에너지정보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외부 기상서버로부터 상기 제1공간의 실외온도값, 실외습도값, 실외풍량 및 실외풍향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상정보, 상기 공급에너지 및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 측정된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공간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에 따른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의 변동폭이 일정 범위 이내에 해당되는 시구간(제1시구간)에서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상기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에너지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의 열전달계수 혹은 열누출계수를 계산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구간에서의 상기 제1공간의 실외온도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 상기 실외온도값 및 상기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에너지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의 단열상태를 진단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의 시간당 변화량 및 상기 공급에너지의 시간당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의 열용량을 계산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의 건축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의 비교대상열용량을 계산하거나 상기 제1공간의 건축물정보에 의해 계산되는 상기 비교대상열용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공간의 열용량과 상기 비교대상열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진단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을 수신하여,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공간의 벽면에 배치되는 제3검출장치로부터 측정된 실내표면온도센서값을 더 수신하여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고,
    상기 제1공간의 실외온도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표면온도센서값,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 및 상기 실외온도값을 이용하여 열관류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관류율에 대응되는 상기 제1공간의 건물에너지상태값(제1상태값) 및 상기 공급에너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1공간의 건물에너지상태값(제2상태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진단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방법.
  7. 제1공간으로 난방에너지를 공급하는 난방장치의 작동정보를 생성하는 난방모니터링장치;
    상기 제1공간에서 서로 다른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를 갖는 복수의 지점에 각각 배치되고 각 지점에서의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을 생성하는 복수의 검출장치; 및
    상기 작동정보로부터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되는 에너지(공급에너지)를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지점에 대한 상기 각 지점에서의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을 시간정보와 함께 확인하며, 상기 공급에너지 및 상기 각 지점에서의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을 포함하는 공간에너지정보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외부 기상서버로부터 상기 제1공간의 실외온도값, 실외습도값, 실외풍량 및 실외풍향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상정보, 상기 공급에너지 및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 측정된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공간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에 따른 상기 제1공간의 에너지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는 상기 제1공간의 바닥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장치이고,
    상기 난방모니터링장치는 상기 보일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온오프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작동정보를 생성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환경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의 변동폭이 일정 범위 이내에 해당되는 시구간(제1시구간)에서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센서값을 이용하여 상기 난방장치의 용량 적합성을 판단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는,
    기판에서 벽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온도센서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생성된 센싱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벽면에 부착되고 상기 센서부,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전원부를 둘러싸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장치; 및
    상기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계부, 및
    상기 센싱정보가 시간정보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거나 외부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허브장치
    를 포함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장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장치는 상기 송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더 송신하고,
    상기 허브장치의 표시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장치는 USB통신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USB통신인터페이스부는 외부 USB장치에 포함된 메모리로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센서는 상기 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외선을 상기 벽면에 조사하여 상기 벽면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와 인접한 부분에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온도센서로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하고, 상기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에너지환경모니터링시스템.
KR1020180004635A 2018-01-12 2018-01-12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환경 변수 검출장치 KR10206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635A KR102062154B1 (ko) 2018-01-12 2018-01-12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환경 변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635A KR102062154B1 (ko) 2018-01-12 2018-01-12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환경 변수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289A KR20190086289A (ko) 2019-07-22
KR102062154B1 true KR102062154B1 (ko) 2020-01-03

Family

ID=6746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635A KR102062154B1 (ko) 2018-01-12 2018-01-12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환경 변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589B1 (ko) * 2020-05-15 2022-02-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CN112524777B (zh) * 2020-11-18 2022-10-2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的温度调节时间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0639A (ja) * 2014-03-31 2015-1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温度分布データ生成システム
JP2017096522A (ja) * 2015-11-19 2017-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熱性能推定装置、及び、断熱性能推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229B1 (ko) * 1996-08-08 1999-01-15 손영목 연속난방식 온돌난방 주택의 다인자 온도제어장치
KR101579607B1 (ko) * 2014-01-13 2015-12-22 (주)에스코프로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실시간 에너지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0639A (ja) * 2014-03-31 2015-1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温度分布データ生成システム
JP2017096522A (ja) * 2015-11-19 2017-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熱性能推定装置、及び、断熱性能推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289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45844B2 (en) Universal demand-response remote control for ductless split system
US9268344B2 (en) Installation of thermostat powered by rechargeable battery
CN201141675Y (zh) 一种利用遥控器检测环境温度的空调器
KR102062154B1 (ko)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환경 변수 검출장치
KR101249882B1 (ko) 실내환경정보 제공 이동 단말기와 실내환경 제어 컴퓨터
JP2016526149A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871367B1 (ko) 디바이스들의 전력 소비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들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30883A (ko) 거주지를 위한 인텔리전트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CN105048628A (zh) 电力控制系统及方法
KR20180138100A (ko) 실내 환경 모니터링 센서 장치
JP5182043B2 (ja) 電力監視装置
KR102018182B1 (ko) 에너지 대비 쾌적도 효율성 지수 분석 시스템의 환경 모니터링 센서 장치
KR101791030B1 (ko) 전력 모니터링 장치
KR101822546B1 (ko) 발열유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8286813A (zh) 电热水器及其控制方法
KR20150073669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전력 사용량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088433A1 (en) Thermo Efficiency Measurement System
TW201326765A (zh) 區域內人員位置定位與活動量之偵測方法與裝置
KR101682008B1 (ko) 일조량에 의한 체감온도 변화에 따른 열원설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434421B1 (ko)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2130305B1 (ko) 센서 일체형 통신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9215586B2 (en) Method of obtaining data of home appliance
Hashmi et al. Design of a smart air conditioning controller based on the occupancy of a building
JP5535125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CN111783370A (zh) 一种平推窗开度智能提醒系统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