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724B1 - 진동 유량계들에서의 비대칭 유동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유량계들에서의 비대칭 유동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724B1
KR102061724B1 KR1020167031130A KR20167031130A KR102061724B1 KR 102061724 B1 KR102061724 B1 KR 102061724B1 KR 1020167031130 A KR1020167031130 A KR 1020167031130A KR 20167031130 A KR20167031130 A KR 20167031130A KR 102061724 B1 KR102061724 B1 KR 102061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meter
strain
tubes
strain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5071A (ko
Inventor
마르틴 앤드류 슐로써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4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31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electronic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27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36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 G01F1/846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 G01F1/8472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curved measuring conduits, i.e. whereby the measuring conduits' curved center line lies within a plane
    • G01F1/8477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curved measuring conduits, i.e. whereby the measuring conduits' curved center line lies within a plane with multiple measuring conduits

Abstract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가 제공된다. 유량계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유동 튜브들에 커플링되고 유동 튜브들에서 구동 모드 진동을 유도하도록 배향된 구동기를 포함한다.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은 2개의 유동 튜브들에 커플링되고, 구동 모드 진동의 위상을 검출하도록 배향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은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과 전기적으로 통신하며, 브릿지 회로들은 2개의 유동 튜브들 사이의 비대칭 유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진동 유량계들에서의 비대칭 유동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SYMMETRIC FLOW IN VIBRATING FLOWMETERS}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진동 계량기들(vibrating meters)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다중-유동 튜브 진동 계량기들에서의 비대칭 유동의 검출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진동 도관 센서들, 예컨대,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들 및 진동 농도계들은, 전형적으로, 유동하는 재료들을 포함하는 진동 도관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작동한다. 도관의 재료와 연관된 속성들, 예컨대, 질량 유동, 밀도, 등은, 도관과 결합된 움직임 변환기들로부터 수신된 측정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진동 재료-충진된 시스템(vibrating material-filled system)의 진동 모드들은 일반적으로, 도관에 포함된 재료 및 도관의 총 질량(combined mass), 강성(stiffness), 및 댐핑(damping) 특성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파이프라인을 통해 유동하는 재료들의 질량 유동 및 다른 속성들을 측정하기 위해 진동 계량기들을 사용하는 것이 주지되어 있다. 예컨대, 진동 코리올리 유량계들은, 1985년 1월 1일에 등록된, J.E. Smith, 외의 미국 특허 제 4,491,025 호, 및 또한, 1983년 11월 29일 등록된, J.E. Smith 의 Re. 31,450에 개시된다. 이러한 진동 계량기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체 튜브들을 갖는다.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의 각각의 유체 튜브 구성은 고유 진동 모드들의 세트를 갖는데, 이는, 단순 굽힘(simple bending), 비틀림(torsional), 방사상(radial), 측방향(lateral), 또는 결합형(coupled) 타입일 수 있다. 각각의 유체 튜브는 이러한 고유 모드들 중 하나에서의 공진(resonance)으로 진동하도록 구동된다. 진동 모드들은 일반적으로, 튜브에 포함되는 재료 및 함유 유체 튜브의 총 질량, 강성, 및 댐핑 특성들에 의해 영향받으며, 따라서, 질량, 강성, 및 댐핑은 전형적으로, 주지된 기법들을 사용하여 진동 계량기의 초기 캘리브레이션 동안에 결정된다.
재료는 진동 계량기의 유입구 측에 연결된 파이프라인으로부터 유량계 내로 유동한다. 그런 다음, 재료는 유체 튜브 또는 유체 튜브들을 통해 지향되어, 배출구 측에 연결된 파이프라인으로 유량계를 빠져나간다.
구동기(driver), 예컨대, 보이스-코일 스타일 구동기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체 튜브들에 힘을 가한다. 힘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체 튜브들로 하여금 진동하게 한다. 유량계를 통하여 유동하는 재료가 없는 경우, 유체 튜브를 따른 모든 포인트들은 동일한 위상(phase)으로 진동한다. 재료가 유체 튜브들을 통해 유동하기 시작하면, 코리올리 가속들은 유체 튜브들을 따른 각각의 포인트로 하여금 유체 튜브들을 따른 다른 포인트들에 대해 상이한 위상을 갖도록 한다. 유체 튜브의 유입구 측 상에서의 위상은 구동기를 지연시키는(lag) 반면, 배출구 측 상의 위상은 구동기를 선도한다(lead). 센서들은, 2개의 포인트들에서의 유체 튜브의 움직임을 대표하는 사인곡선(sinusoidal)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유체 튜브 상의 2개의 상이한 포인트들에 위치된다.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2개의 신호들의 위상 차이는 시간 단위로 계산된다.
2개의 센서 신호들 사이의 위상 차이는 유체 튜브 또는 유체 튜브들을 통해 유동하는 재료의 질량 유량에 비례한다. 재료의 질량 유량은 위상 차이에 유동 캘리브레이션 인자를 곱함으로써 결정된다. 유동 캘리브레이션 인자(flow calibration factor)는 재료 속성들 및 유체 튜브의 단면 속성들에 따른다. 유동 캘리브레이션 인자에 영향을 주는, 유체 튜브의 주요 특성들 중 하나는 유체 튜브의 강성이다. 파이프라인 내로의 유량계의 설치에 앞서서, 유동 캘리브레이션 인자는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에 의해 결정된다.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 동안, 알려진 유체는 주어진 유량으로 유체 튜브에 통과되고, 위상 차이와 유량 사이의 비율이 계산된다. 유체 튜브의 강성 및 댐핑 특성들은 또한,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 동안,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결정된다.
코리올리 유량계의 하나의 장점은, 측정되는 질량 유량의 정확도가, 유량계의 이동하는 컴포넌트들의 마모에 영향받지 않는다는 점인데, 이는, 진동 유체 튜브에는 이동하는 컴포넌트들이 없기 때문이다. 유량은 유체 튜브 상의 2개의 포인트들 사이의 위상 차이와 유동 캘리브레이션 인자를 곱함으로써 결정된다. 유일한 입력은, 유체 튜브 상의 2개의 포인트들의 진동을 나타내는, 센서들로부터의 사인곡선 신호들이다. 위상 차이는 사인곡선 신호들로부터 계산된다. 유동 캘리브레이션 인자는 재료 및 유체 튜브의 단면 속성들에 비례하기 때문에, 위상 차이 측정 및 유동 캘리브레이션 인자는 유량계의 이동하는 컴포넌트들의 마모에 영향받지 않는다.
전형적인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변환기들(또는 픽오프(pickoff) 센서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전형적으로, 유동 도관 또는 도관들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 채용되며, 그리고 전형적으로, 구동기의 상류 및 하류의 위치들에 위치된다. 픽오프 센서들은 전자 기기에 연결된다. 기기는, 특히, 질량 유량 측정을 유도해내기 위해, 2개의 픽오프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신호들을 프로세싱한다.
전형적인 코리올리 유량계들은, 계량기의 진동 유동 튜브/튜브들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 픽오프 센서와 같은 자석 및 코일의 사용을 통해 유량 및/또는 밀도를 측정한다. 계량기를 통하는 질량 유량은, 계량기의 유동 튜브들의 유입구 및 배출구 근처에 위치된 다수의 픽오프 신호들 사이의 위상 차이로부터 결정된다. 그러나, 코일/자석 픽오프들 대신에 스트레인 게이지들(strain gages)을 사용하여 유동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Improved vibrating flowmeter and related methods" 라는 명칭의 국제 특허 출원 제 PCT/US2014/033188 호는, 진동 유량계가, 질량 유동을 계산하기 위해, 코일/자석 픽오프들 대신에 스트레인 게이지들을 활용하는 다수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이러한 출원은 인용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포함된다. 2개의 센서 타입들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는, 코일/자석 픽오프들은 유동 튜브들의 속도를 측정하고 스트레인 게이지들은 유동 튜브들의 스트레인을 측정한다는 점이다. 코일/자석 픽오프들을 활용하는 하나의 이익은, 2개의 유동 튜브들 사이에서 유량이 어떻게 분할되든지 간에, 계량기 유동 제어 인자(FCF)는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유동 튜브들 중 하나에서의 장애물들 또는 잔류물 축적은 질량 유동 측정들을 방해하지 않는다. 코일/자석 픽오프들의 바로 이러한 "이익"은, 유동 튜브들에서의 장애물들 또는 잔류물 축적을 검출하는 것에 대해서, 코일/자석 픽오프들의 사용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유량계들의 문제는, 방해물 또는 축적 검출에 대한 자신들의 내재된 부족함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이러한 그리고 다른 문제들을 극복하며, 당업계에서의 진전이 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유동 튜브들에서의 잔류물 축적 또는 방해물들을 검출할 목적을 위해, 유량계의 유동 튜브들 사이의 비대칭 유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구비된 유량계를 제공한다. 다양한 조합들의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들이 구비된 유량계 상에서의 다양한 배치들 및 배향들을 갖는, 다양한 조합들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을 연결함으로써, 유동 비대칭이 검출 가능하게 되고, 보고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 조립체(sensor assembly) 및 계량기 전자장치(meter electronics)를 포함하는 진동 계량기(vibrating meter)가 제공된다. 진동 계량기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및 2개의 유동 튜브들에 커플링된 구동기를 포함한다. 구동기는 2개의 유동 튜브들에서 구동 모드 진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진동 계량기는 또한, 2개의 유동 튜브들에 커플링되고 구동 모드 진동의 위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은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과 전기적으로 통신하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사이의 비대칭 유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계량기가 제공된다. 진동 계량기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및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는 2개의 유동 튜브들 사이의 비대칭 유동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2개의 유동 튜브들을 구동 모드 진동으로 진동시키는 단계;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유동 튜브들의 진동 응답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제 1 유동 튜브와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2개의 유동 튜브들을 구동 모드 진동으로 진동시키는 단계;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유동 튜브들의 진동 응답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제 1 유동 튜브와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태에 따르면,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계량기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2개의 유동 튜브들에 커플링되고 2개의 유동 튜브들에서 구동 모드 진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구동기; 2개의 유동 튜브들에 커플링되고 구동 모드 진동의 위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및,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과 전기적으로 통신하고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사이에서 비대칭 유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신호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사이의 스트레인 차이에 비례한다.
바람직하게, 신호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의 신호로부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의 신호의 전기적 감산(electrical subtraction)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신호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의 위상-시프팅된 신호로부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의 위상-시프팅된 신호의 감산을 포함하는 차이에 비례하는 진폭을 갖는 구동 모드 주파수에서의 사인곡선 출력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진동 계량기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에 커플링된 자석/코일 픽오프 센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진동 계량기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사이의 비대칭 유동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표시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표시기는 시각적 및 청각적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일 스트레인 게이지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중 하나에 커플링되고,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중 하나의 스트레인 - 스트레인은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중 하나의 길이방향 축과 대략 평행함 - 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일 스트레인 게이지는, 구동 모드 진동에 의해 유도되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의 대략 최대 스트레인 진폭을,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일 스트레인 게이지가 겪도록, 브레이스 바아 근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유입구 레그(leg)의 말단부 표면에 커플링된다;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 중 제 1 브릿지 회로의 제 1 위치와 전기적으로 통신한다;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유입구 레그의 말단부 표면에 커플링된다; 그리고,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 중 제 1 브릿지 회로의 제 2 위치와 전기적으로 통신한다.
바람직하게,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유입구 레그의 근부 표면에 커플링된다;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 중 제 1 브릿지 회로의 제 1 위치와 전기적으로 통신한다;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유입구 레그의 근부 표면에 커플링된다; 그리고,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 중 제 1 브릿지 회로의 제 2 위치와 전기적으로 통신한다.
양태에 따르면,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계량기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및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는, 2개의 유동 튜브들 사이의 비대칭 유동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이다.
바람직하게, 진동 계량기는 센서와 통신하는 전기 회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기 회로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신호는 브릿지 회로에서의 불균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신호는 브릿지 회로의 출력의 변경되는 진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신호는 센서의 위상-시프팅된 신호를 포함하는 전기적 감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신호는, 센서의 위상-시프팅된 신호를 포함하는 전기적 감산을 포함하는 차이에 비례하는 진폭을 갖는 구동 모드 주파수에서의 사인곡선 출력을 더 포함한다.
양태에 따르면,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2개의 유동 튜브들을 구동 모드 진동으로 진동시키는 단계;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유동 튜브들의 진동 응답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제 1 유동 튜브와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방법은: 제 1 유동 튜브와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진동 응답들에서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보다 더 큰 경우에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유동 튜브와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진동 응답들에서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보다 더 큰 경우에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나타내는 단계는 알람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는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는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는 제 1 스트레인 게이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브릿지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는 제 2 스트레인 게이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브릿지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를 제 1 유동 튜브의 레그의 말단부 표면에 커플링하는 단계 -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브릿지 회로의 제 1 위치와 전기적으로 통신함 -; 및,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를 제 2 유동 튜브의 레그의 말단부 표면에 커플링하는 단계 -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브릿지 회로의 제 2 위치와 전기적으로 통신함 -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유동 튜브들의 진동 응답들을 비교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브릿지 회로로부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은 제 1 유동 튜브의 스트레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은 제 2 유동 튜브의 스트레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브레이스 바아 근처에서 제 1 유동 튜브에 커플링된다; 그리고,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브레이스 바아 근처에서 제 2 유동 튜브에 커플링된다.
양태에 따르면,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2개의 유동 튜브들을 진동시키는 단계;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절대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절대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유동 튜브와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절대 위상에서의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방법은: 제 1 유동 튜브의 제 1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단계; 및 제 2 유동 튜브의 제 2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방법은: 제 1 유동 튜브와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절대 위상에서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보다 더 큰 경우에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도면들은 반드시 실척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유량계를 예시한다;
도 2는 유량계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3은 계량기 전자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브릿지 회로에 연결되는 유량계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5는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브릿지 회로에 연결되는 유량계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이하의 설명은, 당업자에게 유량계 및 관련된 방법들의 실시예들의 최상의 모드를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를 교시하기 위해, 특정 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교시할 목적으로, 몇몇 통상적인 양태들은 간략화되거나 생략되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예들로부터의 변형들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은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들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정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직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유량계(5), 예컨대, 진동 유량계 또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예시한다. 유량계(5)는 센서 조립체(10) 및 계량기 전자장치(20)를 포함한다. 계량기 조립체(10)는 프로세스 재료의 질량 유량 및 밀도에 응답한다. 계량기 전자장치(20)는, 경로(26)를 통해서 밀도, 질량 유량, 및 온도 정보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관계없는 다른 정보도 제공하기 위해, 리드들(leads; 100)을 통해 계량기 조립체(10)에 연결된다. 계량기 조립체(10)는 한 쌍의 매니폴드들(150 및 150'), 플랜지 넥들(110 및 110')을 갖는 플랜지들(103 및 103'), 한 쌍의 평행한 유동 튜브들(130(제 1 유동 튜브) 및 130'(제 2 유동 튜브)), 구동기(180), 온도 센서(190), 및 한 쌍의 픽오프들(170L 및 170R), 예컨대, 자석/코일 속도 센서들, 스트레인 게이지들, 광학 센서들,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픽오프를 포함한다. 유동 튜브들(130 및 130') 각각은 유입구 레그들(131 및 131') 및 배출구 레그들(134 및 134')을 갖는데, 이들은 유동 튜브 장착 블록들(120 및 120')을 향해 모인다. 유동 튜브들(130 및 130')은 튜브들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칭적인 위치를 구부리며, 튜브들의 길이 전체에서 본질적으로 평행하다. 브레이스 바아들(140 및 140')은 축(W 및 W')을 정의하도록 역할을 하며, 이러한 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유동 튜브가 진동한다.
차례대로(in turn), 유동 튜브들(130 및 130')의 측 레그들(131, 131' 및 134, 134')은 유동 튜브 장착 블록들(120 및 120')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이러한 블록들은, 매니폴드들(150 및 150')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는 센서 조립체(10)를 통하는 연속적인 폐쇄된(closed) 재료 경로를 제공한다.
홀들(102 및 102')을 갖는 플랜지들(103 및 103')은 유입구 단부(104) 및 배출구 단부(104')를 통해 프로세스 라인(도시되지 않음) 내로 연결되며, 프로세스 라인은 측정되는 프로세스 재료를 운반한다. 재료는, 오리피스(101)를 통해 유입구 단부(104)에 진입하여, 매니폴드(150)를 통해 유동 튜브 장착 블록(120)으로 통과한다. 매니폴드(150) 내에서, 재료는 분할되고 유동 튜브들(130 및 130')을 통해 라우팅된다. 유동 튜브들(130 및 130')을 빠져나갈 때, 프로세스 재료는 매니폴드(150') 내에서 단일 스트림으로 재결합되고 그 후에, 볼트 홀들(102')을 갖는 플랜지(103')에 의해 프로세스 라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배출구 단부(104')로 라우팅된다.
각각, 굽힘 축들(W--W 및 W'--W')에 대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질량 분배, 관성 모멘트들, 및 영률을 갖기 위해, 유동 튜브들(130 및 130')이 선택되어 유동 튜브 장착 블록들(120 및 120')에 적절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굽힘 축들은 브레이스 바아들(140 및 140')을 통과한다. 유동 튜브들의 영률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고, 이러한 변화가 유동 및 밀도의 계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유동 튜브의 온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온도 센서(190), 예컨대, 저항성 온도 검출기(RTD)가 유동 튜브(130')에 장착된다. 유동 튜브의 온도, 그리고 따라서 RTD를 통과하는 주어진 전류에 대해 RTD에 걸쳐 나타나는 전압은 유동 튜브를 통과하는 재료의 온도에 의해 지배된다. 유동 튜브 온도의 임의의 변화들에 기인한 유동 튜브들(130 및 130')의 탄성 계수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RTD에 걸쳐 나타나는 온도에-따른 전압은, 계량기 전자장치(20)에 의해, 주지된 방법에서 사용된다. RTD는 리드(195)에 의해 계량기 전자장치(20)에 연결된다.
유량계의 제 1 이상(out-of-phase) 굽힘 모드로 명명되는 모드에서, 유동 튜브들(130 및 130') 양자 모두는 구동기(180)에 의해 유동 튜브들 각각의 굽힘 축들(W 및 W')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들로 구동된다. 이러한 구동기(180)는 주지된 많은 배열체들 중 임의의 배열체, 예컨대, 유동 튜브(130')에 장착된 자석 및 유동 튜브(130)에 장착된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동 튜브들 양자 모두를 진동시키기 위해 교류가 통과된다. 적합한 구동 신호는 계량기 전자장치(20)에 의해, 리드(185)를 통해, 구동기(180)에 인가된다.
계량기 전자장치(20)는 리드(195) 상에서 RTD 온도 신호를, 그리고 리드들(165L 및 165R) 상에서, 각각, 나타나는 좌측 및 우측 속도 신호들을 수신한다. 계량기 전자장치(20)는 리드(185) 상에서 구동기(180)로 나타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튜브들(130 및 130')을 진동시킨다. 계량기 전자장치(20)는, 계량기 조립체(10)를 통과하는 재료의 질량 유량 및 밀도를 계산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 속도 신호들 및 RTD 신호를 프로세싱한다. 이러한 정보는, 다른 정보와 함께, 계량기 전자장치(20)에 의해 경로(26)를 통해 활용 수단에 적용된다.
전형적으로, 코리올리 계량기들은 제 1 이상 굽힘 모드에서 구동되며, 유량계의 유입구 및 배출구 레그들 상에 장착된 코일/자석 픽오프들을 사용하여 감지되는, 유입구 레그들과 배출구 레그들 사이의 유동-유도된 위상을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유동을 계산하기 위한, 계량기 그 자체 및 방법들은, 2개의 분리된 신호들 사이의 위상이 송신기에서 계산되는 전통적인 방법들과 다르다. 실시예에서, 유체 유동은 적어도 하나 스트레인 게이지에 연결된 브릿지 회로의 출력의 진폭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되는데, 그러한 진폭은, 유동이 없는 조건(즉, 구동 모드는, 유입구 및 배출구 레그들 상에서 스트레인이 동일한 정상 모드임) 하에서 보통, 제로(zero)이다. 그러나, 유동이 도입될 때, 구동 모드는 복잡해지고, 튜브의 유입구 및 배출구의 움직임 사이에 위상 지연이 존재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들에 의해 검출되는 이러한 차이는,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들을 포함하여, 브릿지 회로들을 사용하여 활용된다.
도 2는, 유량계(5)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본 발명이,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적인 측정 능력이 없는 진동 튜브 농도계로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지만,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가 설명된다. 도 1의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와의 공통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을 공유한다. 유량계의 제 1 이상 굽힘 모드로 명명되는 모드에서, 유동 튜브들(130 및 130')은 구동기(180)에 의해 유동 튜브들의 각각의 굽힘 축들(W 및 W')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들로 구동된다. 이러한 구동기(180)는 주지된 많은 배열체들 중 임의의 배열체, 예컨대, 유동 튜브(130')에 장착된 자석 및 유동 튜브(130)에 장착된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동 튜브들(130, 130') 양자 모두를 진동시키기 위해 교류가 통과된다. 적합한 구동 신호는 계량기 전자장치(20)에 의해, 리드(185)를 통해, 구동기(180)에 인가된다. 제 1 스트레인 게이지(200A)는 제 1 유동 튜브(130)의 유입구 레그(131) 상에 위치되고, 제 2 스트레인 게이지(200B)는 제 2 유동 튜브(130')의 유입구 레그(131') 상에 위치된다. 2개의 픽오프들(170L, 170R)(도 1)과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 사이의 주요한 차이는, 코일/자석 픽오프들은 유동 튜브들의 속도를 측정하고, 스트레인 게이지들은 유동 튜브들의 스트레인을 측정한다는 점이다.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은 움직임에서의 절대적인 변화들을 측정하는 반면, 코일/자석 픽오프들은 상대적인 움직임을 측정한다는 차이가 특히 중요한 것이며, 그러므로 유동 비대칭은 스트레인 게이지들에 의해 검출 가능하지만, 픽오프들(170L, 170R)은 자신들의 상대적인 본질 때문에, 그러한 비대칭을 검출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스트레인 게이지(200A-D)는, 그러한 스트레인 게이지가 커플링되는 유동 튜브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스트레인을 검출하도록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자석 속도 픽오프들(170L, 170R)의 경우, 최대 속도 진폭은 구동기(180) 근처이며, 이는 전형적으로, 유동 튜브(130, 130')의 "U"의 중앙에 위치된다. 그러나, 코일/자석 속도 픽오프들(170L, 170R)은 이러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는데, 이는, 그러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픽오프들(170L, 170R)을 구동기(180)에 너무 가깝게 위치시킬 것이기 때문이며, 그래서 픽오프들은 그 대신에, 위상 신호 차이를 검출하기 위해, 차선의, 그러나 분해 가능한 속도 진폭을 제공하는 지역에 위치된다. 그러나, 최대 스트레인 진폭은 유동 튜브(130, 130')의 각각의 브레이스 바아(140, 140') 근처이며, 이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이 바람직하게 위치되는 곳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활용되지만, 부가적인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량계(5)의 계량기 전자장치(20)를 예시한다. 계량기 전자장치(20)는 인터페이스(201) 및 프로세싱 시스템(2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계량기 전자장치(20)는 계량기 조립체(10)로부터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 예컨대, 스트레인 게이지(200A, 200B) 신호들을 수신한다. 계량기 전자장치(20)는, 계량기 조립체(10)를 통해 유동하는 유동 재료의 유동 특성들을 획득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계량기 전자장치(20)는, 예컨대, 센서 신호들로부터, 위상, 주파수, 시간 차이(Δt), 밀도, 질량 유량, 스트레인, 및 체적 유량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결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유동 특성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1)는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로부터 도 2에 예시된 리드들(100)을 통해 센서 신호들을 수신한다. 인터페이스(201)는 임의의 필요한 또는 바람직한 신호 컨디셔닝, 예컨대, 임의의 방식의 포맷팅, 증폭, 버퍼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호 컨디셔닝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싱 시스템(203)에서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인터페이스(201)는, 예컨대, 통신 경로(26)를 통해서, 계량기 전자장치(20)와 외부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예컨대. 인터페이스(201)는 임의의 방식의 전자, 광학, 또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인터페이스(201)는 디지타이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센서 신호는 아날로그 센서 신호를 포함한다. 디지타이저는 아날로그 센서 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타이징하여 디지털 센서 신호를 생성한다. 인터페이스/디지타이저는 또한, 임의의 필요한 데시메이션(decimation)을 수행할 수 있고, 필요한 신호 프로세싱의 양을 감소시키고 프로세싱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디지털 센서 신호는 데시메이팅된다.
프로세싱 시스템(203)은 계량기 전자장치(20)의 작동들을 실시하고 센서 조립체(10)로부터의 유동 측정들을 프로세싱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특성들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세싱 시스템(203)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싱 루틴들을 실행하고 이에 의해 유동 측정들을 프로세싱한다.
프로세싱 시스템(203)은 범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싱 시스템, 논리 회로, 또는 몇몇 다른 범용 또는 맞춤형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203)은 다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사이에 분포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203)은 임의의 방식의 통합형 또는 독립형 전자 저장 매체, 예컨대, 저장 시스템(2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203)은 둘 또는 그 초과의 진동/스트레인 응답들(220, 226)로부터 유동 특성들을 결정한다. 프로세싱 시스템(203)은 둘 또는 그 초과의 응답들(220, 226)의 적어도 규모, 위상 차이, 시간 차이, 및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과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브릿지 회로(206, 206')로부터의 신호는, 계량기 전자장치(20) 내로 입력된다.
저장 시스템(204)은 유량계 파라미터들 및 데이터, 소프트웨어 루틴들, 상수 값들, 및 변수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시스템(204)은 프로세싱 시스템(203)에 의해 실행되는 루틴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시스템(204)은 위상 시프트 루틴(212), 위상 비대칭 루틴(215), 주파수 루틴(216), 시간 차이(Δt) 루틴(217), 유동 특성들 루틴(218), 및 유동 비대칭 표시기/알람 루틴(219)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시스템(204)은 유량계(5)를 작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변수들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시스템(204)은 변수들, 예컨대,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로부터 수신되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진동 응답들(220, 226)을 저장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저장 시스템(204)은 계량기 전자장치(20)에 의해 생성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값들을 저장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저장 시스템(204)은 유동 측정들로부터 획득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특성들을 저장한다. 저장 시스템(204)은 또한, 유동 비대칭 알람 임계 값들과 관련된 변수들을 저장한다.
실시예들은, 유동튜브(130, 130')의 유입구 레그들(131, 131') 또는 유동튜브(130, 130')의 배출구 레그들(134, 134')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에 의해, 유동 비대칭을 감지한다. 적어도 하나 브릿지 회로(206, 206')에 연결된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은, 유동이 없는 조건(이는 구동 모드의 정상 모드 형상에 대응함, 즉, 유동 튜브들 사이에 위상 차이가 없음)인 모든 대칭 유동 조건들 동안, 또는 임의의 대칭 유동 조건 동안, 제로-진폭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비대칭 유동 동안, 동일한 구성은, 주파수의 진폭 및 사인(sign)이, 유동 튜브들(130, 130') 사이의 불균등한 유동의 레벨의 표시인 구동 주파수에서, 사인곡선 신호 출력을 생성할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은 바람직하게, 브레이스 바아(140, 140') 근처의 영역에서 유동 튜브(130, 130')의 유입구(131, 131') 또는 배출구(134, 134') 측들 상에 위치되는데, 이는, 가장 큰 포지티브 스트레인(인장) 및 가장 높은 네거티브 스트레인(압축)이, 유동 튜브들(130, 130')과 각각의 브레이스 바아들(140, 140') 사이의 결합부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유동 튜브에 커플링될 스트레인 게이지에 대한 바람직한 거리는 브레이스 바아(140, 140')와 유동 튜브(130, 130')의 정상부 사이의 직선 거리(브레이스 바아의 최상위 부분에서 유동 튜브 방향에 대해 수직인 벡터를 따라 측정됨)의 대략 0% 내지 15%이다. 심지어 더 바람직한 거리는 약 6% 내지 9%이다. 그러나, 이러한 거리들은 예들로서 역할을 하며, 다른 거리들이 또한, 설명 및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은 바람직하게, 유동 튜브들(130, 130') 상의 수직 스트레인(즉, 유동 튜브(130, 130')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스트레인)을 감지하도록 위치된다.
도 4는, 브릿지 회로(206)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을 갖는, 유량계(5)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브릿지 회로(206)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의 작은 변화들을 전압의 상대적으로 큰 변화들로 변환한다. 브릿지 회로(206)는 공급 전압(Vs), 4개의 레지스터들(R1 내지 R4), 및 출력 전압(Vo)으로 구성된다. R1=R2 및 R3=R4일 때, 브릿지는 균형이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되고, 출력 전압은 0v 이다. 레지스터들 중 임의의 레지스터에서의 변화는 브릿지를 불균형하게 만들 것이고 출력 전압은 더이상 제로가 아닐 것이다. 공급 전압, 저항들, 그리고 출력 전압 사이의 관계는 식(1)에 보여진다.
Figure 112016108692243-pct00001
레지스터 개수들은 도 4에 도시된 레지스터 위치들에 대응한다. 브릿지 회로(206)의 레지스터들 중 임의의 또는 모든 레지스터들은 스트레인 게이지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은 유동 튜브들(130, 130')의 유입구 측들(131, 131') 상에 존재하고, 브릿지 회로(206)에 연결된다. 제 1 게이지(200A)는 브릿지 회로(206)의 제 1 위치(R1)에 연결되고, 제 2 게이지(200B)는 브릿지 회로(206)의 제 2 위치(R2)에 연결된다. 나머지 레지스터들(R3 및 R4)은 고정 값 레지스터들이며, 각각은 동일한 값을 갖는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이 유동 튜브들(130, 130')의 동일한 상대적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스트레인 게이지(200A)는 제 1 유동 튜브(130)의 제 1 유입구 레그(131)의 말단부 표면(131A) 상에서 배향되는 한편, 제 2 스트레인 게이지(200B)는 제 2 유동 튜브(130')의 제 2 유입구 레그(131')의 말단부 표면(131'A) 상에서 배향되는 것을 의미한다. 게이지들(200A, 200B)이 자신들의 위치들을 교환해서 갖는 경우에는, 이에 의해, 제 1 게이지(200A)는 브릿지 회로(206)의 제 2 위치(R2)에 위치되고 제 2 게이지(200B)는 브릿지 회로(206)의 제 1 위치(R1)에 위치되며, 비대칭 검출은 온전하게 유지될 것이라는 점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유사하게, 고정 레지스터들이 위치들(R1 및 R2)에서 사용되는 경우, 게이지들(200A, 200B)은 자신들의 위치들을 브릿지 회로(206)의 R3 및 R4 측으로 교환해서 갖는 한편, 비대칭 검출 기능은 또한 온전하게 유지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이 유동 튜브들(130, 130')의 배출구 레그들(134, 134') 상에 위치되는 유사한 실시예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5는 또한, 브릿지 회로(206)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C, 200D)을 갖는, 유량계(5)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C, 200D)은 유동 튜브들(130, 130')의 유입구 측들(131, 131') 상에 존재하고, 브릿지 회로(206)에 연결된다. 제 1 게이지(200C)는 브릿지 회로(206)의 제 1 위치(R1)에 연결되고, 제 2 게이지(200D)는 브릿지 회로(206)의 제 2 위치(R2)에 연결된다. 나머지 레지스터들(R3 및 R4)은 고정 값 레지스터들이고, 각각은 동일한 값을 갖는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스트레인 게이지들(200C, 200D)이 유동 튜브들(130, 130')의 동일한 상대적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스트레인 게이지(200C)는 제 1 유동 튜브(130)의 제 1 유입구 레그(131)의 근부 표면(131B) 상에서 배향되는 한편, 제 2 스트레인 게이지(200D)는 제 2 유동 튜브(130')의 제 2 유입구 레그(131')의 근부 표면(131'B) 상에서 배향되는 것을 의미한다. 게이지들(200C, 200D)이 자신들의 위치들을 교환해서 갖는 경우에는, 이에 의해, 제 1 게이지(200C)는 브릿지 회로(206)의 제 2 위치(R2)에 위치되고 제 2 게이지(200D)는 브릿지 회로(206)의 제 1 위치(R1)에 위치되며, 비대칭 검출은 온전하게 유지될 것이라는 점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유사하게, 고정 레지스터들이 위치들(R1 및 R2)에서 사용되는 경우, 게이지들(200C, 200D)은 자신들의 위치들을 브릿지 회로(206)의 R3 및 R4 측으로 교환해서 갖는 한편, 비대칭 검출 기능은 또한, 온전하게 유지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들(200C, 200D)이 유동 튜브들(130, 130')의 배출구 레그들(134, 134') 상에 위치되는 유사한 실시예들이 또한 고려된다.
부가적인 게이지들이 부가될 수 있고, 이로써 유입구 레그들(131, 131') 및 배출구 레그들(134, 134') 양자 모두의 스트레인을 동시에 측정하는 4개의 게이지들이 존재하며, 이는 브릿지 회로(206)의 신호 출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단일 브릿지 회로(206)가 전체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에 연결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유입구 레그들(131, 131')은 제 1 브릿지 회로(206)에 연결되고, 배출구 레그들(134, 134')은 제 2 브릿지 회로(206')에 연결된다.
부가적인 게이지들을 부가하는 것의 효과들은 식(2)의 관계를 사용하여 식(1)을 다룸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
Figure 112016108692243-pct00002
ΔR은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의 변화이고, R은 스트레인 게이지의 스트레인되지 않은 저항이며, GF는 게이지의 게이지 인자이고, ε는 게이지 상의 스트레인이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게이지 인자(GF)는 게이지 상의 스트레인을 게이지의 저항에서의 대응하는 변화와 관련시킨다. 생산 동안 캘리브레이팅될 때, 스트레인 게이지에는 특정 게이지 인자가 할당된다. 상기 관계를 사용하여, 그리고 ΔR이 R보다 훨씬 작다고 가정하여, 식(2)은 식(3)으로 다시 쓰여질 수 있다:
Figure 112016108692243-pct00003
도 4 및 도 5에 의해 예시된 실시예들의 경우, 유량계(5)를 통하는 유동이 없고 유량계(5) 구동 모드에서 진동하고 있을 때,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 양자 모두에 의해 감지되는 사인곡선 스트레인은 이론적으로 동상(in-phase)이고 상쇄될 것이며,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로 전압 출력을 초래한다. 실제로, 유동 없음(보통, 기계적 제로로서 지칭됨)에서, 낮은 진폭 사인곡선을 초래하는 일부 위상이 있을 수 있는데, 이의 진폭은 측정될 것이고 오프셋으로서 제거될 것이다.
일단 유량계(5)에 유동이 있으면, 브릿지 회로(206)의 게이지들의 위치 및 유입구 레그들(131, 131') 또는 배출구 레그들(134, 134')(실시예에 따름) 상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의 배향에 기초하여, 유동 튜브들(130, 130')은 동상으로 진동할 것이고, 어느쪽 유동 튜브에도 방해물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2개의 스트레인 측정들 사이에서 제로 지연(제로 위상 시프트)을 초래할 것이다. 특히, 스트레인 값들은 식(2)에 의해 상쇄될 것이고, 브릿지 회로(206)의 출력 전압은 제로일 것이다. 유동이 비대칭이 되면(예컨대, 블로킹 또는 다른 현상에 기인하여), 각각의 유동 튜브(130, 130')를 따른 위상은 상이해질 것인데, 이는, (양자 모두의 유동 튜브들(130, 130') 사이의 상대적인 위상이 동일하게 유지되고, 통상적인 픽오프 수단을 사용하는 유동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더라도) 각각의 유동 튜브(130, 130')에 상이한 질량 유동이 있기 때문이다. 2개의 스트레인 측정들 사이에 시간 지연(위상 시프트)이 생겨나고, 이하의 식(4)에서의 2개의 위상-시프팅된 신호들의 전기적 감산은(구동 주파수에서) 사인곡선 출력을 초래할 것이며, 이의 진폭은 위상 시프트에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유동이 더 비대칭이 되면, 위상 시프트가 증가하고 브릿지 회로(206)로부터의 전압의 진폭이 증가한다. 식(4)은 도 4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 및 도 5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C, 200D)의 구성을 설명한다. 브릿지 회로(206)와 관련하여:
Figure 112016108692243-pct00004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식은 유동이 없는 조건들 또는 대칭 유동 하에서 제로 출력임을 나타내지만, 유동 비대칭이 존재하는 경우, R1과 R2 사이의 감산은 검출 가능한 Vout 을 산출한다.
유동 튜브들(130, 130')이 구동되는 중일 때,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 200B)로부터의 스트레인 신호들은 사인곡선들로서 생각될 수 있으며, 각각은 자신 고유의 진폭(αi) 및 사인곡선들 사이의 상대적 위상(Φ)을 갖는다. 이러한 2개의 신호들은 감산되어, 결과적인 신호는 이하에서 식(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진폭을 가질 것이다:
Figure 112016108692243-pct00005
이러한 감산은 브릿지 회로(206)에 의해 전기적으로 수행된다. 유동이 대칭적일 때, Φ 는 제로이고 개별 진폭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진폭이 없는, A=0인 신호를 초래한다. 사실상, 개별 αi 는 약간 상이할 수 있고, 대칭 유동 동안 바이어스를 초래하며, 이는 특징화되고 설명된다. 유동이 비대칭적으로 될 때, Φ 는 제로가 아니게(nonzero) 되는데, 이는, 제 1 및 제 2 유동 튜브들(130, 130') 사이에 질량 유동 불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그러므로 출력 신호 진폭(A)이 변한다. 이러한 변화가 검출되어, 유동 비대칭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에서, 위상 시프트들은, 유동 비대칭 및 유량을 검출하기 위해, 각각의 튜브에서, 유입구(131, 131') 및 배출구(134, 134')에서 2개 초과의 게이지들을 통합함으로써 그리고 국제 특허 출원 제 PCT/US2014/033188 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유동 측정을 채용함으로써 캘리브레이팅된다.
실시예에서, 진단 표시기는 유량계(5)의 사용자에게 유동이 대칭적으로 분할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린다. 알림은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 알람을 포함한다. 관련된 실시예에서, 진폭 임계가 결정된다. 제 1 및 제 2 유동 튜브들(130, 130') 사이의 질량 불균형에 기인하여 유동의 진폭이 비대칭적으로 되고 Φ 가 제로가 아니게 될 때, 브릿지 회로(206)의 출력 신호 진폭이 증가하고, 진폭이, 미리 결정된 임계를 초과할 때, 알람이 트리거링된다. 알람은 간단하게, 유량계(5) 사용자의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임계는 공장에서의 계량기 전자장치(20)의 프리셋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브릿지 회로(206)에 부가적으로 전자 컴포넌트들(400)을 포함한다. 2개의 게이지들(200A, 200B) 및 단일 브릿지 회로(206)가 예로서 예시되었지만, 전자 컴포넌트들(400)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바와 같이, 임의의 개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및 브릿지 회로 조합들과의 사용을 위해 적응될 수 있다.
브릿지 회로(206)로부터의 출력은, 브릿지 완성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는 전자 컴포넌트들(40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브릿지 완성 증폭기는 대략 800의 게인을 갖지만, 특정 유량계(5)에만 국한되는, 특정한 스트레인 게이지들, 상이한 유동 제어 인자들, 상이한 전자장치, 및 다른 변수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게인들이 고려된다. 브릿지 완성 증폭기는 하이-패스 필터를 갖고 AC 커플링된다. 실시예에서, 하이-패스-필터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용량 결합은 실질적으로, 신호의 DC 컴포넌트를 차단한다. 관련된 실시예에서, 하이-패스 필터로부터의 출력은, 특정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의 샘플링 레이트보다 더 큰 주파수들을 갖는 신호들이, 그러한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ADC)에 의해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우-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안티-앨리어싱된다. ADC는 로우-패스 필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신호는 계량기 전자장치(20)로 전송된다.
본원의 실시예들의 경우, 브릿지 회로(206, 206')의 전압 출력은 계량기 전자장치(20) 내로 입력된다. 스트레인 게이지 측정에 내재된 DC 드리프트 때문에, 디지털 전자장치의 사용은 신호들 사이에 정확한 위상 측정들을 만드는 것에 도움이 된다. 아날로그 전자장치의 경우, 예컨대,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로부터의 2개의 사인곡선 신호들 사이의 위상은 전형적으로, 게이지들(200A-D)로부터의 신호들이 제로 볼트를 통과해서 가로지를 때의 사이클에 한번 계산된다. 스트레인 게이지들과 함께 일부 DC 드리프트가 있기 때문에, 신호들은 항상 제로 볼트에 센터링되지 않으며, 안정된 위상 계산을 어렵게 만든다. 실시예는, 2개의 픽오프 신호들 사이의 위상을 연속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힐버트 필터를 활용한다. 이러한 접근법을 이용하여, 신호의 DC 오프셋은 위상 계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도록 고려되는 모든 실시예들의 철저한 설명들은 아니다. 실제로, 당업자는, 상기-설명된 실시예들의 특정한 엘리먼트들은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제거될 수 있고, 그러한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교시들 내에 있다는 점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상기-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교시들 내에서 부가적인 실시예들을 생성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 및 예들은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가 인지함에 따라, 다양한 등가의 수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교시들은, 상기 설명되고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되는 실시예들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다른 디바이스들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들로부터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31)

  1. 센서 조립체(sensor assembly; 10) 및 계량기 전자장치(meter electronics; 20)를 포함하는 유량계(flowmeter; 5)로서,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flow tubes; 130, 130');
    2개의 유동 튜브들(130, 130')에 커플링되고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130, 130')에 구동 모드 진동(drive mode vibration)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구동기(driver; 180);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130, 130')에 커플링되고 상기 구동 모드 진동의 위상(phase)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strain gages; 200A-D)로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가 제 1 유동 튜브(130)에 장착되며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가 제 2 유동 튜브(130')에 장착된,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과 전기적으로 통신하고(electrical communication)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사이의 비대칭 유동(asymmetric flow)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bridge circuits; 206, 206');을 포함하고,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일 스트레인 게이지가, 상기 구동 모드 진동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의 최대 스트레인 진폭을 겪도록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일 스트레인 게이지는 브레이스 바아(brace bar; 140, 140') 근처에 위치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사이의 스트레인 차이(strain difference)에 비례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의 신호의 전기적 감산(electrical subtraction)을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의 위상-시프팅된(phase-shifted) 신호로부터,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상기 제 1 스트레인 게이지의 위상-시프팅된 신호의 감산을 포함하는 차이에 비례하는 진폭을 갖는 구동 모드 주파수에서의 사인곡선 출력(sinusoidal output)을 더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에 커플링되는 자석/코일 픽오프 센서(pickoff sensor)를 더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사이의 비대칭 유동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시각적 및 청각적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일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중 하나의 유동 튜브에 커플링되고,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중 상기 하나의 유동 튜브의 스트레인 - 상기 스트레인은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중 상기 하나의 유동 튜브의 길이방향 축(longitudinal axis)과 평행함 - 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중 제 1 유동 튜브의 유입구 레그(inlet leg; 131)의 말단부 표면(distal surface; 131A)에 커플링되고;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206, 206') 중 제 1 브릿지 회로(206)의 제 1 위치(R1)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며;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중 제 2 유동 튜브의 유입구 레그(131)의 말단부 표면(131'A)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206, 206') 중 제 1 브릿지 회로(206)의 제 2 위치(R2)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중 제 1 유동 튜브의 유입구 레그(131)의 근부 표면(proximal surface; 131B)에 커플링되고;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206, 206') 중 제 1 브릿지 회로(206)의 제 1 위치(R1)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며;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중 제 2 유동 튜브의 유입구 레그(131)의 근부 표면(131'B)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레인 게이지들(200A-D) 중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브릿지 회로들(206, 206') 중 제 1 브릿지 회로(206)의 제 2 위치(R2)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1. 센서 조립체(10) 및 계량기 전자장치(20)를 포함하는 유량계(5)로서,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 중 제 1 유동 튜브(130), 및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 (130, 130') 중 제 2 유동 튜브(130')에 커플링된 센서(20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200)는 2개의 유동 튜브들(130, 130') 사이의 비대칭 유동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200)는, 구동 모드 진동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유동 튜브들(130, 130')의 최대 스트레인 진폭을 겪도록 위치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00)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00)와 통신하는 전기 회로를 더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는 브릿지 회로(206, 206')를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브릿지 회로(206, 206')에서의 불균형을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브릿지 회로(206, 206')의 출력의 변화된 진폭을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센서(200)의 위상-시프팅된 신호를 포함하는 전기적 감산을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센서(200)의 위상-시프팅된 신호를 포함하는 전기적 감산을 포함하는 차이에 비례하는 진폭을 갖는 구동 모드 주파수에서의 사인곡선 출력을 더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 및 계량기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량계.
  19.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2개의 유동 튜브들을 구동 모드 진동으로 진동시키는 단계;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유동 튜브들의 진동 응답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제 1 유동 튜브와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상기 제 2 스트레인 게이지가, 상기 구동 모드 진동에 의해 유도되는, 유동 튜브들의 최대 스트레인 진폭을 겪도록 상기 제 1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상기 제 2 스트레인 게이지 중 일 스트레인 게이지는 브레이스 바아 근처에 위치되는,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 튜브와 상기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진동 응답들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보다 더 큰 경우에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 튜브와 상기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진동 응답들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보다 더 큰 경우에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나타내는 단계는 알람을 트리거링하는(triggering) 단계를 포함하는,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는 제 1 스트레인 게이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브릿지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을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는 제 2 스트레인 게이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브릿지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를 상기 제 1 유동 튜브의 레그의 말단부 표면에 커플링하는 단계 - 상기 제 1 스트레인 게이지는 브릿지 회로의 제 1 위치와 전기적으로 통신함 -;
    상기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를 상기 제 2 유동 튜브의 레그의 말단부 표면에 커플링하는 단계 - 상기 제 2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브릿지 회로의 제 2 위치와 전기적으로 통신함 - 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동 튜브들의 진동 응답들을 비교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회로로부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은 상기 제 1 유동 튜브의 스트레인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유동 튜브의 진동 응답은 상기 제 2 유동 튜브의 스트레인을 포함하는,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6.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2개의 유동 튜브들을 진동시키는 단계;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1 유동 튜브의 절대 위상(absolute phase)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2개의 유동 튜브들 중 제 2 유동 튜브의 절대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유동 튜브와 상기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절대 위상의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동 튜브와 상기 제 2 유동 튜브 사이의 절대 위상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보다 더 큰 경우에 유동 비대칭의 존재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 튜브의 제 1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유동 튜브의 제 2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의 2개의 유동 튜브들을 통하는 유동 비대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67031130A 2014-04-07 2014-04-07 진동 유량계들에서의 비대칭 유동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61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33211 WO2015156767A1 (en) 2014-04-07 2014-04-07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symmetric flow in vibrating flowme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071A KR20160145071A (ko) 2016-12-19
KR102061724B1 true KR102061724B1 (ko) 2020-01-02

Family

ID=50625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130A KR102061724B1 (ko) 2014-04-07 2014-04-07 진동 유량계들에서의 비대칭 유동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209112B2 (ko)
EP (1) EP3129754B1 (ko)
JP (1) JP6336122B2 (ko)
KR (1) KR102061724B1 (ko)
CN (1) CN106461442B (ko)
AR (1) AR099958A1 (ko)
AU (1) AU2014390066B2 (ko)
BR (1) BR112016022804B1 (ko)
CA (1) CA2944987C (ko)
MX (1) MX2016012369A (ko)
RU (1) RU2643226C1 (ko)
SG (1) SG11201608221VA (ko)
WO (1) WO2015156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9755B1 (en) * 2014-04-07 2022-07-20 Micro Motion, Inc. Improved vibrating flowmeter and related methods
MX2016012369A (es) * 2014-04-07 2016-12-02 Micro Motion Inc Aparato y metodo para detectar flujo asimetrico en medidores de flujo vibratorios.
WO2018121930A1 (de) 2016-12-29 2018-07-05 Endress+Hauser Flowtec Ag VIBRONISCHES MEßSYSTEM ZUM MESSEN EINER MASSENDURCHFLUßRATE
US10928233B2 (en) 2016-12-29 2021-02-23 Endress+Hauser Flowtec Ag Vibronic measuring system for measuring a mass flow rate
DE102017106209A1 (de) 2016-12-29 2018-07-05 Endress+Hauser Flowtec Ag Vibronisches Meßsystem zum Messen einer Massendurchflußrate
JP6896156B2 (ja) * 2017-08-23 2021-06-30 マイクロ モ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チャネル流通管を備えた振動式流量計
DE102019134600A1 (de) * 2019-12-16 2021-06-17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ssaufnehmer und Coriolis-Messgerä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491B1 (ko) * 1996-09-20 2002-03-20 제프리 디. 웨어 선택된 진동특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섬유 및 이방성 물질을 이용한 코리올리 유량계
WO2003056282A1 (en) * 2001-12-29 2003-07-10 Siemens Flow Instruments A/S Coriolis mass flow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mass flow
US20130228003A1 (en) * 2010-08-02 2013-09-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riolis Mass Flowme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riolis Mass Flowmet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0733A (en) 1964-09-28 1967-09-12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Design for a strain gauge target flow meter
USRE31450E (en) 1977-07-25 1983-11-29 Micro Motion, Inc. Method and structure for flow measurement
US4381680A (en) 1980-12-29 1983-05-03 St Lab., Inc. Mass flow meter
US4491025A (en) 1982-11-03 1985-01-01 Micro Motion, Inc. Parallel path Coriolis mass flow rate meter
US4691578A (en) * 1986-02-21 1987-09-08 Fischer & Porter Company Coriolis-type mass flowmeter
US4852410A (en) * 1986-10-03 1989-08-01 Schlumberger Industries, Inc. Omega-shaped, coriolis-type mass flow rate meter
US4856346A (en) * 1986-11-13 1989-08-15 K-Flow Division Of Kane Steel Company, Inc. Dual flexures for coriolis type mass flow meters
US5027662A (en) * 1987-07-15 1991-07-02 Micro Motion, Inc. Accuracy mass flow meter with asymmetry and viscous damping compensation
JPH04204328A (ja) * 1990-11-30 1992-07-24 Tokico Ltd 質量流量計
JPH04220530A (ja) * 1990-12-20 1992-08-11 Tokico Ltd 質量流量計
US5370002A (en) 1993-07-23 1994-12-06 Micro Mo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tress in the brace bar of a Coriolis effect mass flow meter
JP3200826B2 (ja) * 1993-11-19 2001-08-20 横河電機株式会社 コリオリ質量流量計
JPH09196730A (ja) * 1996-01-19 1997-07-31 Tokico Ltd 振動式測定装置
US6526839B1 (en) * 1998-12-08 2003-03-04 Emerson Electric Co. Coriolis mass flow controller and capacitive pick off sensor
US6227059B1 (en) * 1999-01-12 2001-05-08 Direct Measure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an imaginary difference signal component to compensate for boundary condition effects on a Coriolis mass flow meter
US6684715B1 (en) * 2000-09-01 2004-02-03 Fmc Technologies, Inc. Coriolis mass flowmeter with improved accuracy and simplified instrumentation
EP2019295A1 (en) * 2007-07-25 2009-01-28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Calibrated Coriolis mass flow meter
DE102009002941A1 (de) * 2009-05-08 2010-11-11 Endress + Hauser Flowtec Ag Verfahren zum Detektieren einer Verstopfung in einem Coriolis-Durchflussmessgerät
DE102010040598A1 (de) * 2010-09-10 2012-03-15 Endress + Hauser Flowtec Ag Verfahren zum Detektieren einer Verstopfung in einem Durchflussmessgerät
WO2013006918A1 (en) * 2011-07-14 2013-01-17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Cryptographic processes
JP2014006230A (ja) * 2012-06-26 2014-01-16 Kazumasa Onishi コリオリ流量計
MX2016012369A (es) * 2014-04-07 2016-12-02 Micro Motion Inc Aparato y metodo para detectar flujo asimetrico en medidores de flujo vibratorio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491B1 (ko) * 1996-09-20 2002-03-20 제프리 디. 웨어 선택된 진동특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섬유 및 이방성 물질을 이용한 코리올리 유량계
WO2003056282A1 (en) * 2001-12-29 2003-07-10 Siemens Flow Instruments A/S Coriolis mass flow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mass flow
US20130228003A1 (en) * 2010-08-02 2013-09-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riolis Mass Flowme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riolis Mass Flow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12369A (es) 2016-12-02
CA2944987C (en) 2018-12-04
AR099958A1 (es) 2016-08-31
EP3129754A1 (en) 2017-02-15
KR20160145071A (ko) 2016-12-19
JP6336122B2 (ja) 2018-06-06
EP3129754B1 (en) 2020-11-11
AU2014390066A1 (en) 2016-09-29
WO2015156767A1 (en) 2015-10-15
BR112016022804A2 (pt) 2018-07-17
AU2014390066B2 (en) 2017-04-20
SG11201608221VA (en) 2016-10-28
JP2017510806A (ja) 2017-04-13
US20170082474A1 (en) 2017-03-23
CA2944987A1 (en) 2015-10-15
CN106461442B (zh) 2020-09-22
RU2643226C1 (ru) 2018-01-31
BR112016022804B1 (pt) 2020-10-20
US10209112B2 (en) 2019-02-19
CN106461442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724B1 (ko) 진동 유량계들에서의 비대칭 유동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103913B1 (en) Meter electronic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diagnostics for a Coriolis flow meter
KR101018401B1 (ko) 강성 계수 또는 질량 계수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한방법 및 계측 전자장치
KR101868375B1 (ko) 측방향 모드 강성을 결정함으로써 진동계에서 유체 튜브의 횡단면적의 변화에 대한 검출
US20160320227A1 (en) Vibratory flowmeter and methods and diagnostics for meter verification
CN106233099B (zh) 具有指引凸台的流量计量器歧管
CN106461443B (zh) 改进的振动流量计量器以及相关方法
CN106461430B (zh) 流体动量检测方法和相关装置
CA3109274C (en) Determining a decay characteristic of a meter assembly
WO2023191762A1 (en) Mode excitation detection for a vibratory flowmeter and related methods
WO2023191763A1 (en) Flowmeter primary containment failur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