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962B1 -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962B1
KR102060962B1 KR1020110082744A KR20110082744A KR102060962B1 KR 102060962 B1 KR102060962 B1 KR 102060962B1 KR 1020110082744 A KR1020110082744 A KR 1020110082744A KR 20110082744 A KR20110082744 A KR 20110082744A KR 102060962 B1 KR102060962 B1 KR 10206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ontent
change
coordinat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238A (ko
Inventor
김융관
권용진
이기원
이호신
이효진
성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962B1/ko
Priority to EP12158901.4A priority patent/EP2560086B1/en
Priority to US13/463,207 priority patent/US9310991B2/en
Priority to JP2012180918A priority patent/JP6273081B2/ja
Priority to CN2012102974019A priority patent/CN102955661A/zh
Publication of KR2013002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보다 큰 콘텐츠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방법은 상기 콘텐츠의 일부를 표시하는 중에 화면에 대한 포인팅 지점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면, 현재 포인팅 지점을 추적하여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화면에 대한 최초 포인팅 지점을 원점으로 하여 상기 원점에서 상기 현재 포인팅 지점까지의 X축 변화량 및 Y축 변화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X축 임계값 및 Y축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포인팅 지점의 이동 방향을 X축, Y축 및 XY축(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여 상기 콘텐츠의 다른 부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ON SCREEN USING POINTING UNIT}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보다 큰 콘텐츠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포인팅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텐츠 이동 장치는 화면보다 큰 콘텐츠에서 일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콘텐츠를 이동시키기 위한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포인팅 장치로는 주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컨텐츠 이동 장치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콘텐츠(예, 이미지)를 이동시켜 콘텐츠의 다른 부위를 화면에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컨텐츠 이동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은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 단말기와는 달리, 앱스토어 등의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조작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 실수나 이동 방향에 대한 측정 오차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콘텐츠가 이동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 실수나 이동 방향에 대한 측정 오차 등을 감안하여 콘텐츠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은 상기 콘텐츠의 일부를 표시하는 중에 화면에 대한 포인팅 지점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면, 현재 포인팅 지점을 추적하여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화면에 대한 최초 포인팅 지점을 원점으로 하여 상기 원점에서 상기 현재 포인팅 지점까지의 X축 변화량 및 Y축 변화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X축 임계값 및 Y축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포인팅 지점의 이동 방향을 X축, Y축 및 XY축(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여 상기 콘텐츠의 다른 부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화면보다 큰 콘텐츠에서 일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화면의 특정 지점을 포인팅하기 위한 포인팅부; 상기 화면에 상기 콘텐츠의 일부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화면에 대한 포인팅 지점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면 현재 포인팅 지점을 추적하여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화면에 대한 최초 포인팅 지점을 원점으로 하여 상기 원점에서 상기 현재 포인팅 지점까지의 X축 변화량 및 Y축 변화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X축 임계값 및 Y축 임계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포인팅 지점의 이동 방향을 X축, Y축 및 XY축(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방향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된 콘텐츠의 해당 부위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콘텐츠를 사용자가 의도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의 화면 및 이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의 발생 및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평 및 대각선 방향으로의 콘텐츠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드래그의 출발점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장치로써,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 MP3 플레이어), 휴대형 게임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여기서, 포인팅 장치는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라이트 펜, 마우스, 터치패드, 트랙볼 및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포인팅 장치를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의 화면 및 이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이동 장치는 그 화면(110)보다 큰 사이즈의 콘텐츠(120)에서 일부를 화면(110)에 표시한다. 여기서, 콘텐츠(120)는 사진, 웹페이지 또는 문서 등이 될 수 있다. 컨텐츠 이동 장치는 드래그(Drag)가 발생되면, 드래그의 방향으로 콘텐츠(120)를 이동하여 콘텐츠의 새로운 부위를 표시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게 되면, 콘텐츠의 새로운 부위가 화면의 위 부분에 나타나면서 상대적으로 화면 아래에 있던 기존에 표시되는 부위는 사라지게 된다. 여기서,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지점을 포인팅 즉,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드래그는 스크롤이라고도 한다. 한편, 사용자는 일정한 방향으로 드래그를 한다고 하지만, 컨텐츠 이동 장치에서 감지되는 드래그의 방향은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일정치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드래그 방향상의 오차에 대해 컨텐츠 이동 장치가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방향으로 콘텐츠(120)를 이동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래그의 발생 및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의 발생 및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면(210)에 대한 최초 포인팅 지점(220)을 원점으로 하여 원점에서 현재 포인팅 지점까지의 X축 변화량(△x = xn - x0; 여기서, x0은 최초 포인팅 지점(220)의 좌표이고, xn은 현재 포인팅 지점의 좌표이며, n은 0 또는 양의 정수를 나타냄)이 X축 임계값(Xth)을 초과하고 반면에 현재 포인팅 지점의 Y축 변화량(△y= yn - y0)이 Y축 임계값(Yth) 이하인 경우,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드래그의 방향을 수평 즉, X축으로 판단하고, 상기 △x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이동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컨텐츠 이동 장치는 △x만큼 수평으로 콘텐츠를 이동하여 표시한다. 한편, △x ≤ Xth 이고 △y > Yth이면,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드래그의 방향을 수직 즉, Y축으로 판단하고, △y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이동하여 표시한다. 또한, △x > Xth 이고 △y > Yth이면,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드래그의 방향을 대각선 즉, XY축으로 판단하고, △x 및 △y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이동하여 표시한다. 또한, △x 및 △y 모두 해당 임계값 이하이면,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최초 포인팅 지점(220)에서 아직 드래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콘텐츠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다시 말해,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최초 포인팅 지점(220)에서 "Xth 및 Yth에 의해 정해지는 임계 영역(230; 도 2 참조)"을 벗어날 경우에만, 컨텐츠 이동 장치는 드래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평 및 대각선 방향으로의 콘텐츠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드래그의 방향(310)이 오른쪽으로 결정되면, 화면(320)을 기준으로 콘텐츠(33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드래그의 방향이 왼쪽으로 결정되면, 화면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드래그의 방향(410)이 위쪽으로 결정되면, 화면(420)을 기준으로 콘텐츠(430)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드래그의 방향이 아래쪽으로 결정되면, 화면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드래그의 방향(510)이 대각선 즉, 북동쪽으로 결정되면, 화면(520)을 기준으로 콘텐츠(530)를 북동쪽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다른 대각선 즉, 북서쪽, 남동쪽 및 남서쪽으로 콘텐츠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8개의 방향으로 콘텐츠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터치스크린(610), 키입력부(620), 표시부(630), 저장부(640), 무선통신부(650), 카메라(660) 및 제어부(6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화면보다 큰 사이즈의 콘텐츠에서 일부를 표시하는 중에 드래그가 발생되면, 발생된 드래그의 방향을 결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상기 결정된 드래그의 방향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이동시켜 콘텐츠의 다른 부위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터치의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 장치는 상기 추적 결과 소정의 시간 동안 위치의 변동이 없으면, 해당 지점을 드래그의 발생 및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드래그의 출발점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드래그의 출발점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드롭(Drop)하지 않는 이상, 최초 터치 지점으로 계속 유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컨텐츠 이동 장치의 각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터치스크린(610)은 화면의 특정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670)로 전달한다. 이러한 터치이벤트는 그 동작에 따라, 터치(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플릭(Flick) 및 드래그 앤 플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을 누르는 동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즉, 드롭하는 동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동작이며, 프레스는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동작이며, 드래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손가락을 떼는 동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드래그 앤 플릭은 드래그를 하다가 어느 시점에 플릭을 하는 동작(즉, 손가락이 터치스크린(610)에 접촉된 상태에서 드래그와 플릭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을 의미한다. 제어부(670)는 이동 속도로 플릭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이러한 터치이벤트들을 기반으로 콘텐츠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특히, 콘텐츠의 일부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터치이벤트들 중에서 임계 영역(230; 도 2 참조)을 벗어나는 드래그가 발생되면, 제어부(670)는 드래그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키입력부(620)는 컨텐츠 이동 장치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로 구성되고, 키 신호를 제어부(670)로 전달한다. 여기서,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부(630)는 제어부(670)로부터 입력받은 콘텐츠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6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30)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되는 좌/우안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깊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3D 구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3D 구현부는 표시부(630) 위에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3D 구현부는 사용자의 좌우 양안에 각각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가 인식되게 한다. 3D 구현 방식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된다. 안경 방식은 색 필터 방식, 편광 필터 방식 및 셔터 글라스 방식 등이 있으며, 무안경 방식은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및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등이 있다. 3D 구현 방식은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6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표시부(630)에 출력될 화면 이미지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640)는 터치스크린(610)의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6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컨텐츠 이동 장치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의 지원을 위한 사용자 기능,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사용자 기능,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을 각각 지원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드래그의 발생 및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드래그의 출발점을 재설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컨텐츠 이동 장치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데이터,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영역은 컨텐츠의 일부가 표시되는 중에 발생된 드래그의 최초 출발점 및 재설정된 출발점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출발점의 재설정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발점 재설정 여부는 사용자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670)는 터치스크린(610) 또는 키입력부(620)를 통해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부(640)로 전달하고, 저장부(640)는 전달받은 설정값을 데이터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65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무선통신부(650)는 네트워크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650)는 CDMA, GSM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WCDMA, OFDMA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660)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제어부(670)로 출력하는 것으로,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컨텐츠 이동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및 컨텐츠 이동 장치의 내부 블록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670)는 표시부(630)에서 콘텐츠의 일부가 표시되는 중에 화면에 대한 포인팅 즉, 터치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면, 현재 터치 지점을 추적하여 획득하는 획득부(671)와, 최초 터치 지점을 원점으로 하여 원점에서 현재 터치 지점까지의 X축 변화량 및 Y축 변화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X축 임계값과 Y축 임계값과 비교하는 비교부(672)와, 비교부(672)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터치의 이동 방향을 X축, Y축 및 XY축(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방향 결정부(673)와, 방향 결정부(673)에 의해 결정된 방향으로 콘텐츠를 이동하고, 표시부(630)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된 콘텐츠의 해당 부위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674)와, 터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위치 변동 없이 스톱된 상태인 경우, 상기 스톱된 위치를 원점으로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원점을 비교부(672)에 전달하는 원점 재설정부(67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670)의 기능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 701에서 표시부(63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따라 화면보다 큰 사이즈의 콘텐츠에서 그 일부를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702에서 제어부(670)의 획득부(671)는 화면 즉, 터치스크린(610)에 대한 터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면, 단계 703에서 제어부(670)는 최초 터치 지점(x0, y0)을 기준으로 현재 터치 지점(xn, yn)를 획득한다. 여기서, 현재 터치 지점을 획득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컨대, 획득부(671)는 터치스크린(61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 값을 일정 주기마다 적절히 샘플링하여 현재 터치 지점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70)의 비교부(672)는 X축 변화량(△x) 및 Y축 변화량(△y)을 계산한 다음, 이들을 각각 X축 임계값(Xth) 및 Y축 임계값(Yth)과 비교한다.
단계 704에서 제어부(670)의 방향 결정부(763)는 △x 및 △y 모두 그 임계값들과 같거나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같거나 작은 경우 드래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71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드래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드래그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단계 705로 진행한다.
단계 705에서 방향 결정부(763)는 △x가 Xth 이하이고 △y가 Yth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x가 Xth 이하이고 △y가 Yth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드래그의 방향을 Y축 방향으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단계 706에서 제어부(670)의 표시 제어부(674)는 dy(=yn - yn-1)만큼 Y축 방향으로 콘텐츠를 이동시키고 표시부(630)를 제어하여 이동된 콘텐츠를 표시하게 한 후, 단계 71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yn-1은 이전에 획득된 터치 위치의 Y 좌표로써 최초 터치 지점의 Y 좌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705에서의 판단 결과 △x가 Xth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707로 진행한다.
단계 707에서 방향 결정부(673)는 △x가 Xth를 초과하고 △y가 Yth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x가 Xth를 초과하고 △y가 Yth 이하인 경우에는 드래그의 방향을 X축 방향으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단계 708에서 표시 제어부(674)는 dx(=xn - xn-1)만큼 X축 방향으로 콘텐츠를 이동시키고 표시부(630)를 제어하여 이동된 콘텐츠를 표시하게 한 후, 단계 71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xn-1은 이전에 획득된 터치 위치의 X 좌표로써 최초 터치 지점의 X 좌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방향 결정부(673)는 단계 707에서의 판단 결과 △y가 Yth 이하가 아닌 경우 즉, △x 및 △y 모두 해당 임계값들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드래그의 방향을 XY축 즉, 대각선 방향으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단계 709에서 표시 제어부(674)는 dx 만큼 X축 방향 그리고 dy 만큼 Y축 방향으로 콘텐츠를 이동시키고 표시부(630)를 제어하여 이동된 콘텐츠를 표시하게 한 후, 단계 710으로 진행한다.
단계 710에서 제어부(670)는 드롭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드롭이 발생된 경우에는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단계 71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경우 즉, 터치 이동 중이거나 터치 이동이 스톱된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670)는 단계 703으로 복귀하여 콘텐츠의 이동을 위한 상술한 과정들을 다시 수행한다.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래그가 임계 영역(230)을 벗어났는지 여부의 기준이 되는 드래그의 출발점은 터치 이동의 스톱 여부와 상관없이 터치가 드롭되지만 않으면 최초 터치 지점으로 유지된다. 그에 비해, 이하 설명은 스톱된 위치를 드래그의 출발점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단계 801 내지 단계 810은 각각, 앞서 설명한 단계 701 내지 710과 동일한 과정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단계 803은 항상 최초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현재 터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 812에 의해 재설정된 원점을 기준으로 현재 터치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811에서 제어부(670)는 터치 위치를 추적하여 터치의 스톱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터치가 스톱되지 않고 계속 움직이는 경우 단계 803으로 복귀한다. 반면에, 터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자리인 경우에는 단계 812에서 제어부(670)의 원점 재설정부(675)는 스톱된 위치를 드래그의 출발점인 원점으로 재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670)는 재설정된 원점을 기준으로 현재 위치를 획득하게 되고, 이렇게 획득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드래그 발생의 판단 및 드래그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과정들을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드래그의 출발점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670)는 화면(910)에 대한 최초 터치 지점(920; x0, y0)을 기준으로 제 1 임계 영역(940)을 결정한다. 이후 터치 위치가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되고 그 지점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자리인 경우, 제어부(670)는 해당 지점(930; x1, y1)을 원점으로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원점(930)을 기준으로 제 2 임계 영역을 재설정한다. 드래그가 재설정된 원점(930)에서 출발하여 제 2 임계 영역(950)을 벗어날 경우, 제어부(670)는 드래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670)는 저장부(640)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설정값을 확인하여 원점의 재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10, 210, 320, 420, 520, 910: 화면
120, 330, 430, 530: 콘텐츠
230: 임계 영역
940: 제 1 임계 영역 950: 제 2 임계 영역
610: 터치스크린 620: 키입력부
630: 표시부 640: 저장부
650: 무선통신부 660: 카메라
670: 제어부

Claims (10)

  1.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이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일부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중에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을 이동 방향의 결정을 위한 원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원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까지의 X축 변화량 및 Y축 변화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X축 임계값 및 Y축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이동 방향을 X축, Y축 및 XY축(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여 상기 콘텐츠의 다른 부위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른 부위가 표시된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위치의 변동 없이 스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위치의 변동 없이 스톱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을 상기 이동 방향의 결정을 위한 원점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X축 변화량이 상기 X축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Y축 변화량이 상기 Y축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방향을 X축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X축 변화량이 상기 X축 임계값 이하이고 상기 Y축 변화량이 상기 Y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을 Y축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X축 변화량이 상기 X축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Y축 변화량이 상기 Y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을 XY축(대각선)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의 재설정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설정값을 확인하여 상기 원점의 재설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방향이 X축이면, 현재 획득한 X좌표와 이전에 획득한 X좌표의 차이만큼 X축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방향이 Y축이면, 현재 획득한 Y좌표와 이전에 획득한 Y좌표의 차이만큼 Y축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방향이 XY축(대각선)이면, 현재 획득한 X좌표와 이전에 획득한 X좌표의 차이 그리고 현재 획득한 Y좌표와 이전에 획득한 Y좌표의 차이만큼 XY축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6.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중에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을 이동 방향의 결정을 위한 원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원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까지의 X축 변화량 및 Y축 변화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X축 임계값 및 Y축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이동 방향을 X축, Y축 및 XY축(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여 상기 콘텐츠의 다른 부위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부위가 표시된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위치의 변동 없이 스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위치의 변동 없이 스톱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포인팅 지점을 상기 이동 방향의 결정을 위한 원점으로 재설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X축 변화량이 상기 X축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Y축 변화량이 상기 Y축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방향을 X축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X축 변화량이 상기 X축 임계값 이하이고 상기 Y축 변화량이 상기 Y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을 Y축 방향으로 결정하며,
    상기 X축 변화량이 상기 X축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Y축 변화량이 상기 Y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을 XY축(대각선) 방향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방향이 X축이면, 현재 획득한 X좌표와 이전에 획득한 X좌표의 차이만큼 X축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고,
    상기 결정된 방향이 Y축이면, 현재 획득한 Y좌표와 이전에 획득한 Y좌표의 차이만큼 Y축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며,
    상기 결정된 방향이 XY축(대각선)이면, 현재 획득한 X좌표와 이전에 획득한 X좌표의 차이 그리고 현재 획득한 Y좌표와 이전에 획득한 Y좌표의 차이만큼 XY축 방향으로 상기 콘텐츠를 이동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110082744A 2011-08-19 2011-08-19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206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44A KR102060962B1 (ko) 2011-08-19 2011-08-19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EP12158901.4A EP2560086B1 (en) 2011-08-19 2012-03-09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content on screen using pointing device
US13/463,207 US9310991B2 (en) 2011-08-19 2012-05-03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content on screen using pointing device
JP2012180918A JP6273081B2 (ja) 2011-08-19 2012-08-17 ポインティング装置を用いたコンテンツ移動方法および装置
CN2012102974019A CN102955661A (zh) 2011-08-19 2012-08-20 用于使用指示装置引导屏幕上的内容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44A KR102060962B1 (ko) 2011-08-19 2011-08-19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238A KR20130020238A (ko) 2013-02-27
KR102060962B1 true KR102060962B1 (ko) 2020-01-02

Family

ID=4581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744A KR102060962B1 (ko) 2011-08-19 2011-08-19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10991B2 (ko)
EP (1) EP2560086B1 (ko)
JP (1) JP6273081B2 (ko)
KR (1) KR102060962B1 (ko)
CN (1) CN1029556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4755B2 (en) * 2011-12-20 2015-03-31 Alcatel Lucent Servers, display devices, scrolling methods and methods of generating heatmaps
KR101892567B1 (ko) * 2012-02-24 2018-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에서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WO2014079043A1 (zh) * 2012-11-23 2014-05-30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远程浏览的方法及装置
JP5666641B2 (ja) * 2013-03-13 2015-02-1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端末
US10824328B2 (en) * 2013-05-10 2020-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zed non-grid based navigation
JP2015026257A (ja) * 2013-07-26 2015-02-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36598B2 (ja) * 2013-08-07 2016-1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768869B2 (ja) * 2013-12-24 2015-08-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761034A (zh) * 2014-01-21 2014-04-30 国家电网公司 一种流程定义界面的图元移动方法
US9329051B1 (en) 2014-11-21 2016-05-03 Honda Motor Co. Lt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o scroll to user selected point of interests (POIs)
JP2017004377A (ja) * 2015-06-12 2017-01-05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CN107958092A (zh) * 2017-12-29 2018-04-24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对浏览器网页进行滚动式浏览的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8071A1 (en) * 2004-08-30 2006-03-02 Microsoft Corp. Scrolling web pages using direct interaction
JP2010237765A (ja) * 2009-03-30 2010-10-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フォーカス移動制御方法及びフォーカス移動制御プログラム
US20110043456A1 (en) * 2009-08-20 2011-02-24 Rubinstein Jonathan J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eting input movement on a computing device interface as a one- or two-dimensional inpu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7477A (en) 1992-01-28 1994-09-13 Jack Lee Pen-based form computer
JP4722349B2 (ja) 2001-09-27 2011-07-1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情報選択装置
KR100720335B1 (ko) * 2006-12-20 2007-05-23 최경순 접촉 위치 이동에 따라 생성되는 상대좌표값에 대응하는텍스트를 입력하는 텍스트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08976A (ko)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에서의 지도 스크롤 방법 및 그 네비게이션단말
KR101315415B1 (ko) * 2007-12-06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375336B2 (en) * 2008-05-23 2013-02-12 Microsoft Corporation Panning content utilizing a drag operation
KR20100011336A (ko) 2008-07-24 2010-0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화면 이동 방법
JP5806799B2 (ja) * 2009-01-26 2015-11-10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EP2392999A4 (en) * 2009-02-02 2013-11-27 Panasonic Corp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8850353B2 (en) * 2009-08-18 2014-09-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overlaying space-constrained display with a reference pattern during document scrolling oper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8071A1 (en) * 2004-08-30 2006-03-02 Microsoft Corp. Scrolling web pages using direct interaction
JP2010237765A (ja) * 2009-03-30 2010-10-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フォーカス移動制御方法及びフォーカス移動制御プログラム
US20110043456A1 (en) * 2009-08-20 2011-02-24 Rubinstein Jonathan J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eting input movement on a computing device interface as a one- or two-dimensional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73081B2 (ja) 2018-01-31
EP2560086A2 (en) 2013-02-20
JP2013045457A (ja) 2013-03-04
US20130044140A1 (en) 2013-02-21
CN102955661A (zh) 2013-03-06
KR20130020238A (ko) 2013-02-27
US9310991B2 (en) 2016-04-12
EP2560086A3 (en) 2017-08-09
EP2560086B1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962B1 (ko)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US9317196B2 (en) Automatic zooming for text selection/cursor placement
US104373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in terminal
JP5628300B2 (ja) アニメーションに使用するための望ましい物理的特徴を伴うグラフィックオブジェクトを生成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10838619B2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6055610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移动终端
US20160070463A1 (en) Flexible touch-based scrolling
US10073585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KR20130024280A (ko)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30167093A1 (en) Display apparatus for releasing locked state and method thereof
US20110291981A1 (en) Analog Touchscreen Methods and Apparatus
US20110291934A1 (en) Touchscreen Operation Threshold Methods and Apparatus
CN107148776B (zh) 获取视频数据的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076974A (zh) 一种触摸屏的解锁方法、装置及触摸屏设备
US9665232B2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for enlarging or reduc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KR101165388B1 (ko) 이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9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02

Effective date: 201909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