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819B1 - 태핑 가공 유닛 - Google Patents

태핑 가공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819B1
KR102060819B1 KR1020190082568A KR20190082568A KR102060819B1 KR 102060819 B1 KR102060819 B1 KR 102060819B1 KR 1020190082568 A KR1020190082568 A KR 1020190082568A KR 20190082568 A KR20190082568 A KR 20190082568A KR 102060819 B1 KR102060819 B1 KR 10206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mounting
seating
driving
t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호
Original Assignee
배재호
주식회사 진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호, 주식회사 진백 filed Critical 배재호
Priority to KR102019008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02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on an external or internal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 e.g. on recesses
    • B23G1/04Machines with on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22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operating on pipes or tubes
    • B23G1/225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operating on pipes or tubes automatical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23G1/48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for guiding the thread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핑 가공 유닛으로서, 소정의 거치몸체부(110); 상기 거치몸체부(110)에 구비되어, 가공 대상물이 적재되는 거치부(120); 및 상기 거치부(120)에 거치되는 가공 대상물을 태핑 가공하기 위한 태핑 가공부(130); 가이드 레일부(140);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140)에서 유동되는 일측의 제1 거치부(150); 상기 가이드 레일부(140)에서 유동되는 타측의 제2 거치부(160); 및 상기 제1 거치부(150)와 상기 제2 거치부(160) 사이에 구비되는 제3 거치부(170)를 포함하는 제1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부(150) 내지 상기 제3 거치부(170)는, 적재되는 가공 대상물의 길이이 대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거나 근접하도록 구동되는 태핑 가공 유닛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공 대상물에 대한 태핑 가공을 수행함에 있어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여 태핑 가공시 가공 대상물에 대한 효율적인 취급이 가능하며, 가공 수단 자체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태핑 가공 유닛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핑 가공 유닛{TAPPING UNIT}
본 발명은 태핑 가공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대상물에 대한 태핑 가공을 수행함에 있어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여 태핑 가공시 가공 대상물에 대한 효율적인 취급이 가능하며, 가공 수단 자체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태핑 가공 유닛에 관한 것이다.
태핑가공은 가공된 홀 내경에 암나사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탭(tap)을 통하여 가공한다. 이러한 태핑가공을 위한 태핑수단은 다양한 타입과 형상 크기로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핑 수단들은 작업시간 단축과 작업인력 절감을 통한 경제적 이익창출을 위해 각각 저마다의 방식으로 개량되고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로서는 가공 대상물에 대한 태핑과 표면 처리 등을 보다 복잡적으로 수행하여 후속 가공(예 : 표면 연마 등)이 생략되거나 다축 시킬 수 있는 기술은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에 치중한 나머지 태핑수단 자체에 대한 안정적인 운용과 관리에 대한 부분은 소홀히 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24034호
본 발명은 가공 대상물에 대한 태핑 가공을 수행함에 있어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여 태핑 가공시 가공 대상물에 대한 효율적인 취급이 가능하며, 가공 수단 자체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태핑 가공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핑 가공 유닛으로서, 소정의 거치몸체부; 상기 거치몸체부에 구비되어, 가공 대상물이 적재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가공 대상물을 태핑 가공하기 위한 태핑 가공부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서 유동되는 일측의 제1 거치부;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서 유동되는 타측의 제2 거치부; 및 상기 제1 거치부와 상기 제2 거치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3 거치부를 포함하는 제1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부 내지 상기 제3 거치부는, 적재되는 가공 대상물의 길이이 대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거나 근접하도록 구동되는 태핑 가공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 대상물에 대한 태핑 가공을 수행함에 있어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여 태핑 가공시 가공 대상물에 대한 효율적인 취급이 가능하며, 가공 수단 자체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태핑 가공 유닛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핑 가공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는 도 1에 따른 태핑 가공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도 1의 거치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2는 도 1의 거치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핑 가공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는 도 1에 따른 태핑 가공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태핑 가공 유닛으로서,
소정의 거치몸체부(110); 상기 거치몸체부(110)에 구비되어, 가공 대상물이 적재되는 거치부(120); 및 상기 거치부(120)에 거치되는 가공 대상물을 태핑 가공하기 위한 태핑 가공부(130) 가이드 레일부(140);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140)에서 유동되는 일측의 제1 거치부(150); 상기 가이드 레일부(140)에서 유동되는 타측의 제2 거치부(160); 및 상기 제1 거치부(150)와 상기 제2 거치부(160) 사이에 구비되는 제3 거치부(170)를 포함하는 제1 이송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거치부(150) 내지 상기 제3 거치부(170)는, 적재되는 가공 대상물의 길이이 대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거나 근접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태핑 가공 유닛의 구동에 따른 충격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거치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안착모듈(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모듈(200)은 상기 거치몸체부(110)하부에 접하는 안착몸체부(211)와, 상기 거치몸체부(110)하부에 접하는 안착몸체부(211)와, 상기 안착몸체부(2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몸체부(110)의 저면부의 내 부측 공간(SP) 삽입되는 삽입부(212)와, 상기 안착몸체부(211)를 상부와 하부로 출몰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213)와, 상기 거치몸체부(110)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몸체부(211)의 양측을 각각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214)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212)는 상기 안착몸체부(211)에서 좌우 길이 방향간에 유동되는 제1 삽입부(212a)와 제2 삽입부(212b)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삽입부(212a)와 상기 제2 삽입부(212b)가 상호 대향하는 외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안착몸체부(211)의 걸림영역부(L1, L2)에 안착되어 접하도록 안착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안착몸체부(211)는 상기 구동부(213)에서 하방 유동되어, 상기 제1 삽입부(212a)와 상기 제2 삽입부(212b)로 하여금 상기 걸림영역부(L1, L2)를 매개로 가압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가압부(214)는 상기 거치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압구동부(214a)와, 상기 가압구동부(214a)에서 전진하여 상기 안착몸체부(211)를 가압하는 가압접촉부(214b)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접촉부(214b)는 상기 구동부(213)에서 하방 유동되는 상태인 상기 안착몸체부(211)를 가압하며, 상기 가압접촉부(214b)의 단부에는 고정돌출부(T)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접촉부(214b)에 끼움 결속된다.
상기 안착모듈(200)은 상기 거치몸체부(110)에 내장되어 구비되는 내장구동부(215a)와, 내부에 수평방향의 중공(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내장구동부(215a)에서 상하 유동되는 관형상의 홀딩부(215b)가 구비되는 고정모듈(2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접촉부(214b)는 상기 홀딩부(215b)의 상기 중공을 경유하여 상기 안착몸체부(211)를 가압한다. 상기 홀딩부(215b)는, 상기 중공을 경유하는 상기 가압접촉부(214b)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제1 모드와, 상기 중공을 경유하는 상기 가압접촉부(214b)를 하부로 끌어내리는 제2 모드와,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수평방향 상의 둘레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 회전되는 제3 모드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압접촉부(214b)는, 외주면 길이방향에 그루브 형태의 장착홈(214H)이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홀딩부(215b)가 회전되면 상기 홀딩부(215b)의 길이방향 전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몸체부(211)는 기저부에 대한 관통 고정을 수행하기 위한 관통모듈(TM)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모듈(TM)은, 상기 안착몸체부(211)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패널부(216)와, 상기 베이스패널부(216)에 구비되어 관통을 수행하는 관통체(217)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패널부(216)는 제1 관통체(217a)가 구비되는 일측의 제1 베이스패널부(216a)와, 제2 관통체(217b)가 구비되는 타측의 제2 베이스패널부(216b)와, 제3 관통체(217c)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베이스패널부(216a)와 상기 제2 베이스패널부(216b) 사이에 구비되는 제3 베이스패널부(216c)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몸체부(211)는 상기 제1 베이스패널부(216a) 내지 상기 제3 베이스패널부(216c)가 상기 제1 관통체(217a) 내지 상기 제3 관통체(217c)를 통해 기저부에 관통 고정된다.
상기 제1 베이스패널부(216a)는 상기 제1 관통체(217a)의 관통에 의한 기저부의 이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틸트 가능한 제1 가드부(218)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베이스패널부(216b)는 상기 제2 관통체(217b)의 관통에 의한 기저부의 이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틸트 가능한 제2 가드부(219)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베이스패널부(216a) 내지 상기 제3 베이스패널부(216c)는 상기 제1 관통체(217a) 내지 상기 제3 관통체(217c)의 관통 수행 이후에, 상기 안착몸체부(211)에서 상호 간에 일정 범위로 이격 유동되도록 구동되는 제1 고정방식으로 기저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안착몸체부(211)에서 상호 간에 일정 범위로 초기 이격 유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체(217a) 내지 상기 제3 관통체(217c)의 관통 수행 이후에, 상기 안착몸체부(211)에서 상호 간을 향하여 근접 유동되도록 구동되는 제2 고정방식으로 기저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 가드부(218) 및 상기 제2 가드부(219)는, 외측부에 기저부 또는 장애물을 절개하기 위한 커팅부(218a, 219a)가 구비되어, 반복적인 틸트 유동을 통해 기저부를 짝어 파쇄시키도록 구동된다.
각 단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체(217a) 내지 상기 제3 관통체(217c)는, 상기 제1 베이스패널부(216a) 내지 상기 제3 베이스패널부(216c)에서 각기 독립적으로 좌우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태핑 가공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부(140)에서 유동되는 일측의 제4 거치부(220); 상기 가이드 레일부(140)에서 유동되는 타측의 제5 거치부(221); 및 상기 제4 거치부(220)과 상기 제5 거치부(221) 사이에 구비되는 제6 거치부(222)를 포함하는 제2 이송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4 거치부(220) 내지 상기 제6 거치부(222)는 각각 대상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구동몸체(223)가 구비된다. 상기 각 구동몸체(223)는,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몸체부(223a)와, 상기 외측몸체부(223a)에서 진퇴 구동되며 가공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내측몸체부(223b)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몸체부(223b)는, 상기 가공대상물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유동부(223b1)와, 틸트방식으로 상기 거치유동부애 거치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유동부(223b2)가 구비되된다.
상기 가압유동부(223b2)는 상방의 제1 유동부(M1)와, 상기 제1 유동부(M1)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접촉 고정시키거나, 회전 유동을 통해 펴면 연마 가공을 수행하는 제2 유동부(M2)가 구비된다.
상기 거치유동부(223b1)는 거치된 가공 대상물이 상기 가압유동부(223b2)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에서, 가공 대상물에 대하여 일정 범위내의 회전유동에 기반하는 가압고정힘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태핑 가공 유닛은 상기 안착몸체부(211)로부터 출몰되어, 상기 제1 베이스패널부(216a)와 상기 제2 베이스패널부(216b) 사이로 진입되는 제1 보조 출몰체(224)와, 상기 안착몸체부(211)로부터 출몰되어, 상기 제2 베이스패널부(216b)와 상기 제3 베이스패널부(216c) 사이로 진입되는 제2 보조 출몰체(2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조 출몰체(224)와 상기 제2 보조 출몰체(225)는, 상기 제1 관통체(217a) 내지 상기 제3 관통체(217c)를 통해 상기 안착몸체부(211)가 기저부에 고정된 이후에 구동되어, 상기 안착몸체부(211)의 기저부에 대한 고정을 보강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도 1의 거치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휠(340)과 밀착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420)는,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400)는, 휠(340)과 대향하는 회동 프레임(362)의 하측면에 케이스(420)가 설치되며, 회동 프레임(362)이 휠(340) 방향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탄성력을 형성하는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판(410)과 휠(340) 밀착되어 휠(340)을 제동시킨다.

도 12 내지 도 16는 도 11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 17 내지 도 22는 도 1의 거치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몸체부(510),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5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스탠드(520)는,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물체를 지지한다.
제2 스탠드(530)는,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510)를 지지한다.
도 17의 제2 스탠드(5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탠드(5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18 및 도 19은 도 17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바디(511), 상부 설치홈(512), 하부 설치홈(513), 탄성 지지체(514) 및 충격흡수 패드(515)를 포함한다.
바디(511)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512) 및 하부 설치홈(513)에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설치홈(512)은, 제1 스탠드(5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5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5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러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체(514)는, 상부 설치홈(5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520) 또는 하부 설치홈(5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5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5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5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5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5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지지한다.
충격흡수 패드(515)는, 제1 스탠드(520) 또는 제2 스탠드(5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5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5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설치홈(513)의 내부 형성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설치홈(512)의 형성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도 17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스탠드(520)는, 지지바아(521), 받침대(522) 및 슬라이딩 패드(523)를 포함한다.
지지바아(521)는, 상부 설치홈(5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5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5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5211)을 형성한다.
받침대(5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5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5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패드(523)는,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받침대(5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22)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523)는, 슬라이딩홈(5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5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몸체부(110)의 유동에 따라 결속홈(142)을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패드(5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5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5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제2 스탠드(5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2 스탠드(5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거치몸체부
120 : 거치부
130 : 태핑 가공부
140 : 가이드 레일부
150 : 제1 거치부
160 : 제2 거치부
170 : 제3 거치부

Claims (2)

  1. 태핑 가공 유닛으로서,
    소정의 거치몸체부(110); 상기 거치몸체부(110)에 구비되어, 가공 대상물이 적재되는 거치부(120); 상기 거치부(120)에 거치되는 가공 대상물을 태핑 가공하기 위한 태핑 가공부(130); 가이드 레일부(140); 및상기 가이드 레일부(140)에서 유동되는 일측의 제1 거치부(150); 상기 가이드 레일부(140)에서 유동되는 타측의 제2 거치부(160); 및 상기 제1 거치부(150)와 상기 제2 거치부(160) 사이에 구비되는 제3 거치부(170)를 포함하는 제1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부(150) 내지 상기 제3 거치부(170)는, 적재되는 가공 대상물의 길이이 대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거나 근접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태핑 가공유닛은, 상기 태핑 가공 유닛의 구동에 따른 충격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거치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안착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모듈(200)은, 상기 거치몸체부(110)하부에 접하는 안착몸체부(211)와, 상기 안착몸체부(2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몸체부(110)의 저면부의 내부측 공간(SP)에 삽입되는 삽입부(212)와, 상기 안착몸체부(211)를 상부와 하부로 출몰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213)와, 상기 거치몸체부(110)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몸체부(211)의 양측을 각각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214)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212)는, 상기 내부측 공간(SP)에 위치된채 상기 안착몸체부(211)에서 좌우 길이방향간에 유동하는 제1 삽입부(212a)와 제2 삽입부(212b)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삽입부(212a)와 상기 제2 삽입부(212b)가 상호 대향하는 외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안착몸체부(211)의 걸림영역부(L1, L2)에 안착되어 접하도록 안착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안착몸체부(211)는, 상기 구동부(213)에서 하방 유동되어, 상기 제1 삽입부(212a)와 상기 제2 삽입부(212b)로 하여금 상기 걸림영역부(L1, L2)를 매개로 접촉하여 가압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부(214)는, 상기 거치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압구동부(214a)와, 상기 가압구동부(214a)에서 전진하여 상기 안착몸체부(211)를 가압하는 가압접촉부(214b)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접촉부(214b)는 상기 구동부(213)에서 하방 유동되는 상태인 상기 안착몸체부(211)를 가압하며, 상기 가압접촉부(214b)의 단부에는 고정돌출부(T)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접촉부(214b)에 끼움 결속되며,
    상기 안착모듈(200)은, 상기 거치몸체부(110)에 내장되어 구비되는 내장구동부(215a)와, 내부에 수평방향의 중공가 형성되며 상기 내장구동부(215a)에서 상하 유동되는 관형상의 홀딩부(215b)가 구비되는 고정모듈(2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접촉부(214b)는, 상기 홀딩부(215b)의 상기 중공을 경유하여 상기 안착몸체부(211)를 가압하며,
    상기 홀딩부(215b)는, 상기 중공을 경유하는 상기 가압접촉부(214b)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제1 모드와, 상기 중공을 경유하는 상기 가압접촉부(214b)를 하부로 끌어내리는 제2 모드와,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수평방향 상의 둘레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 회전되는 제3 모드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접촉부(214b)는, 외주면 길이방향에 그루브 형태의 장착홈(214H)이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홀딩부(215b)가 회전되면 상기 홀딩부(215b)의 길이방향 전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태핑 가공 유닛.
  2. 삭제
KR1020190082568A 2019-07-09 2019-07-09 태핑 가공 유닛 KR10206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568A KR102060819B1 (ko) 2019-07-09 2019-07-09 태핑 가공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568A KR102060819B1 (ko) 2019-07-09 2019-07-09 태핑 가공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819B1 true KR102060819B1 (ko) 2019-12-31

Family

ID=6905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568A KR102060819B1 (ko) 2019-07-09 2019-07-09 태핑 가공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8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49B1 (ko)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승하강 장치
KR102182150B1 (ko)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절곡 장치
CN112372089A (zh) * 2020-10-10 2021-02-19 南京飞赫电器有限公司 一种灯具用螺母的攻丝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242049B1 (ko) * 2020-11-13 2021-04-19 남윤태 승하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888B1 (ko) 2013-07-08 2014-03-10 김수권 탭 깊이에 따른 회전력과 마찰력에 의해 자동화 실시되는 탭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888B1 (ko) 2013-07-08 2014-03-10 김수권 탭 깊이에 따른 회전력과 마찰력에 의해 자동화 실시되는 탭 검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49B1 (ko)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승하강 장치
KR102182150B1 (ko)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절곡 장치
KR102254116B1 (ko) * 2020-06-29 2021-05-20 남윤태 절곡 장치
CN112372089A (zh) * 2020-10-10 2021-02-19 南京飞赫电器有限公司 一种灯具用螺母的攻丝装置及其工作方法
CN112372089B (zh) * 2020-10-10 2021-12-07 南京飞赫电器有限公司 一种灯具用螺母的攻丝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242049B1 (ko) * 2020-11-13 2021-04-19 남윤태 승하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819B1 (ko) 태핑 가공 유닛
KR101507650B1 (ko) 용접용 회전 테이블
CN105904082B (zh) 用于轮罩的焊接机
CN100340449C (zh) 车体装配方法
CN105436809B (zh) 一种主管的水平支撑装置
CN207314318U (zh) 一种边坡自动修整设备
KR102049532B1 (ko) 피가공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cnc장치
JP2000202646A (ja) 摩擦攪拌接合装置及び摩擦攪拌接合方法
CN108817784A (zh) 一种机械加工用箱架自动翻转焊接装置
CN100340448C (zh) 车体装配方法
KR102054510B1 (ko) Cnc 가공 머신을 이용한 가공 시스템
CN110773937A (zh) 一种汽车油箱托架机器人焊接工装
CN114260719B (zh) 一种制动器部件自动化生产系统
KR102036602B1 (ko) 전선 드럼용 회전 모듈
CN213764664U (zh) 一种机器人点焊夹具快换系统
CN217513201U (zh) 一种汽车零部件焊装夹具
CN210146699U (zh) 大型折弯机的机床
CN209868015U (zh) 一种数控铣床用便于拆卸的夹具
KR102049205B1 (ko)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CN112605817A (zh) 一种建筑材料加工装置
CN206065778U (zh) 一种大、中型客车后围蒙皮组焊工装
CN216505156U (zh) 一种焊接机器人翻转机构
CN209936252U (zh) 装载机前车架变位焊接夹具
CN216326108U (zh) 一种下车架三维定位工装
CN214921354U (zh) 定位装置、周向定位机构、工装夹具及搅拌摩擦焊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