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630B1 -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 - Google Patents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630B1
KR102060630B1 KR1020190013278A KR20190013278A KR102060630B1 KR 102060630 B1 KR102060630 B1 KR 102060630B1 KR 1020190013278 A KR1020190013278 A KR 1020190013278A KR 20190013278 A KR20190013278 A KR 20190013278A KR 102060630 B1 KR102060630 B1 KR 102060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assembly
groove
folding d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철
Original Assignee
박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철 filed Critical 박수철
Priority to KR102019001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결합되는 모서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는 제1 결합체 및 상기 폴딩도어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상기 제1 결합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 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는, 상기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판 및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판 일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45°각도로 절단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는 상기 폴딩도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Corner structure for folding door}
본 발명은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방으로 구비되는 폴딩도어 사이의 틈을 모서리에 구비되는 지주 없이도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열림 시 확장된 공간 형성과 폴딩도어 이동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공할 수 있도록 폴딩도어 양단에 결합되는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레일을 이용해 이동하여 개폐되는 폴딩도어의 경우에는 사방으로 설치하여 개폐할 수 있는데, 이때, 각 모서리에는 닫힘 시 폴딩도어 사이의 빈틈으로 유입되는 찬공기, 냄새 등을 방지하는 위해 지주가 설치되어 왔다.
이와 같이 지주가 구비되게 되면 추후, 모서리 양측으로 폴딩도어를 열 때, 지주로 인해 조망권 획득 및 공간확장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지주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치워야 되는 시공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지주 없이도 빈틈을 방지하고, 공간확장이 용이하며, 조망권을 망치지 않도록 개폐가 용이한 부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본 발명은 사방으로 구비되는 폴딩도어 사이의 틈을 모서리에 구비되는 지주 없이도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열림 시 확장된 공간 형성과 폴딩도어 이동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공할 수 있도록 폴딩도어 양단에 결합되는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결합되는 모서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는 제1 결합체 및 상기 폴딩도어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상기 제1 결합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 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는, 상기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판 및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판 일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45°각도로 절단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는 상기 폴딩도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판은, 경사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패킹홈 및 상기 패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 사이의 틈을 방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돌출부 및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중공부를 구비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 사이의 틈을 방지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중공부가 구비된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결합판 및 제2 결합판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홈부; 상기 제1 및 제2 홈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을 결합시키는 잠금부; 상기 제1 및 제2 홈부에 각각 일단 및 타단이 삽입되어 구비되며, 양단 상하단에 돌출단이 형성된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홈부에 걸리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 입구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제1 홈부 또는 제2 홈부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잠금돌기 및 상기 제1 홈부 또는 제2 홈부의 연결부에 상기 잠금돌기와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잠금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출단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 간격을 넓힐 때,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로부터 상기 연장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의 경사면이 맞 닿을 시 폴딩도어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제1 결합판 및 제2 결합판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차단부는,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를 결합하며, 상기 제2 결합판에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에 구비되어 틈을 방지하며, 충격을 분산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의 제2 결합판 경사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의 제2 결합판 경사면에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는 지주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미관상 보기 좋고,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간확장의 효과를 줄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높다.
또한, 폴딩도어 열림 시 조망권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 및 구비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서리 구조체 중 제2 결합판 패킹홈에 결합된 패킹부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제1 결합체에 더 구비되는 조절부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결합체에 더 구비되는 충격차단부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 및 구비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모서리 구조체는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폴딩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폴딩도어의 높이만큼 길이를 형성하여 직각으로 마주하는 2개의 폴딩도어의 각 일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평면 방향에서 바라보는 기준으로 폴딩도어 4개가 각 변을 담당하는 사각형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예시하면, 본 발명의 모서리 구조체는 사각형 구조에 형성되는 4개의 꼭지점의 위치에 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직각설치구조의 폴딩도어 사이로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주를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모서리 구조체는 2개의 폴딩도어 사이로 마련되어 폴딩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작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폴딩도어의 닫힘 시에는 2개의 폴딩도어 간의 유격을 메꾸는 역할을 함으로써, 고정된 지주를 모서리에 구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본 발명의 모서리 구조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구조체는 제1 결합체(100) 및 제2 결합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체(100)는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는 구성이며, 제1 결합판(110) 및 제2 결합판(120)을 포함한다.
또한, 제2 결합체(200)도 제1 결합판(210) 및 제2 결합판(220)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결합체(100)와 형상 및 구성이 동일하되, 제2 결합체(200)는 제1 결합체(100)와 결합되는 폴딩도어와 모서리를 이룰 수 있도록 수직하게 설치되어 직각으로 마주하는 다른 폴딩도어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제1 결합체(100)와 제2 결합체(200)는 서로 직각 방향으로 대응되는 구성이며, 상기 제1 결합체(100) 및 제2 결합체(200)는 상기 각각 결합된 폴딩도어를 따라 이동되면서 폴딩도어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닫힘 시 직각 설치된 2개의 폴딩도어 간의 유격을 메꾸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 지주를 따로 구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체(100)의 제1 결합판(110)과 제2 결합체(200)의 제1 결합판(210)은 2개의 폴딩도어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폴딩도어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이때, 상기 제1 결합판(110, 210) 타단은 상기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상방에서 하방 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판(110, 210) 상기 폴딩도어와 고정결합 시 외부공기 출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패킹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115, 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체(100)와 제2 결합체(200)의 제2 결합판(120, 220)은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판(110, 210) 일단과 결합되며, 타단이 45°각도로 절단되어 경사면(123, 223)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3, 223) 외측 단에 형성되는 구배부(127, 227)가 형성되어 폴딩도어에 시공 시 안전하고, 흠집발생도 적어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판(120, 220)은, 경사면(123, 223)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고정돌기(125a, 225a)를 구비하는 패킹홈(125, 225) 및 상기 패킹홈(125, 225)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체(100)와 제2 결합체(200) 사이의 틈을 방지하는 패킹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300)는 상기 고정돌기(125a)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돌출부(315) 및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중공부(317)를 구비하는 삽입부(310) 및 상기 삽입부(310)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체(100)와 제2 결합체(200) 사이의 틈을 방지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중공부(325)가 구비된 압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300)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310)의 돌출부(31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고정돌기(125a)에 걸려 패킹부재(300)를 제2 결합판(120)의 경사면(123)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310)의 제1 중공부(317)는 경량화 및 탄성력 제공을 위해 형성되는 빈 공간이며, 상기 돌출부(315)와 함께 상기 패킹홈(125)에 삽입되는 것이다.
압착부(320)는 경량화 및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중공부(325)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체(100)와 제2 결합체(200) 사이의 틈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기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압착부(320)는 일측이 라운드진 형상일 수 있는 데 이는 패킹부재(300)의 손상을 방지하고, 탄성력을 높이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300)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2개의 폴딩도어 중 하나의 제2 결합판(120) 패킹홈(125)에만 구비되어도 되고, 2개의 폴딩도어의 제2 결합판(120, 220) 패킹홈(125, 225)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서리 구조체는 상기 제1 결합판(110)과 제2 결합판(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판(110)과 제2 결합판(12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400)는 제1 홈부(410), 제2 홈부(420), 잠금부(430), 연장판(440) 및 걸림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홈부(410) 및 제2 홈부(420)는 각각 제1 결합판(110)과 제2 결합판(120)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잠금부(430)는 상기 제1 홈부(410) 및 제2 홈부(42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판(110)과 제2 결합판(120)을 결합시키는 구성이며, 연결부(435), 잠금돌기(437) 및 잠금홈(43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35)는 제1 홈부(410) 및 제2 홈부(420) 입구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이다.
잠금돌기(437)는 제1 홈부(410) 또는 제2 홈부(420)의 연결부(435)에 형성되는 구성이고, 잠금홈(436)은 상기 제1 홈부(410) 또는 제2 홈부(420)의 연결부(435)에 상기 잠금돌기(437)와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부(410) 상단에 형성된 잠금홈(436)에 제2 홈부(420) 상단에 형성된 잠금돌기(437)가 삽입되고, 제1 홈부(410) 하단에 형성된 잠금돌기(437)가 제2 홈부(420) 하단에 형성된 잠금홈(436)에 삽입되어 제1 결합판(110)과 제2 결합판(120) 사이를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연장판(440)은 제1 홈부(410) 및 제2 홈부(420)에 각각 일단 및 타단이 삽입되어 구비되며, 양단 상하단(평면상으로 바라 볼때의 상하측)에 돌출단(445)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판(440)은 상기 제1 결합판(110)과 제2 결합판(120) 사이가 분리됨에 따라 노출되는 구성으로 폴딩도어의 높이만큼 길이가 형성되어 빈틈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공간확장 효과를 줄 수 있다.
걸림부(450)는 연장판(440) 양단이 상기 제1 홈부(410) 및 제2 홈부(420)에 걸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연장판(440)이 각각 제1 홈부(410)와 제2 홈부(4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걸림부(450)는 걸림홈(451) 및 걸림돌기(45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451)은 돌출단(445)에 형성되는 구성이며, 걸림돌기(452)는 상기 걸림홈(451)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435)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1 결합판(110)과 제2 결합판(120)이 분리되면서 사이 간격이 넓어질 때, 상기 걸림홈(451)에 상기 걸림돌기(452)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홈부(410) 및 제2 홈부(420)로부터 상기 연장판(440)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결합체(100)에 더 구비되는 조절부(400)를 설명하였으나, 제2 결합체(200)도 제1 결합체(100)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하게 조절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공간확장 효과가 사방(폴딩도어가 설치되는 동서남북방향)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서리 구조체는 상기 제1 결합체(100)와 제2 결합체(200)의 경사면이 맞닿을 시 폴딩도어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제1 결합판(110) 및 제2 결합판(120)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차단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차단부(500)는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를 결합하며, 상기 제2 결합판에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힌지부(510) 및 제1 결합판(110)과 제2 결합판(120) 사이에 구비되어 틈을 방지하며, 충격을 분산시키는 탄성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510)는 제2 결합판(1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되, 탄성부재(520)에 의해 회전력에 반동을 받아 비틀림이 방지되면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폴딩도어에 각각 결합된 제1 결합체(100)의 제2 결합판(120)과 제2 결합체(200)의 제2 결합판(120)이 서로 맞닿으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효과를 줄 수 있어 제1 결합판(110)과 폴딩도어로 전해지는 충격을 감쇄 시킬 수 있어 폴딩도어의 유리가 파손되는 위험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520)의 경우에는 도면에서는 나선형의 스프링형태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무, 실리콘, 스폰지 재질 중 하나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결합체(100)에 더 구비되는 충격차단부(500)를 설명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폴딩도어가 맞닿으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구성이므로 제1 결합체(100)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지는 제2 결합체(200)도 동일하게 충격차단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구조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구조체의 구성 중 제2 결합판(120, 220) 경사면(123, 223)에 형성되는 패킹홈(125, 225) 및 패킹부재(30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구조체는 제1 결합체(100) 및 제2 결합체(200)의 제2 결합판(120, 220) 경사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돌기부(140, 240) 및 상기 제1 결합체(100) 및 제2 결합체(200)의 제2 결합판(120, 220) 경사면(123, 223)에 상기 돌기부(140, 24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130, 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하게 설치되는 폴딩도어 각각의 제2 결합판(120, 220) 경사면(123, 223)에 돌기부(140, 240) 및 수용홈(130, 230)이 형성됨에 따라, 서로 맞닿아 틈을 방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전단력으로 인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어 결속력을 높임과 동시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수용홈(130, 230)과 돌기부(140, 240)에는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성체는 분리가 쉽도록 수용홈(130, 230) 일부와 이에 대응되는 돌기부(140, 240) 일부에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구조체도 상기에서 설명한, 조절부(400)와 충격차단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제1 결합체
200 : 제2 결합체
110, 210 : 제1 결합판
120, 220 : 제2 결합판
115, 215 : 공간부
123, 223 : 경사면
125, 225 : 패킹홈
125a, 225a : 고정돌기
127, 227 : 구배부
130, 230 : 수용홈
140, 240 : 돌기부
300 : 패킹부재
310 : 삽입부
315 : 돌출부
317 : 제1 중공부
320 : 압착부
325 : 제2 중공부
400 : 조절부
410 : 제1 홈부
420 : 제2 홈부
430 : 잠금부
435 : 연결부
436 : 잠금홈
437 : 잠금돌기
440 : 연장판
445 : 돌출단
450 : 걸림부
451 : 걸림홈
452 : 걸림돌기
500 : 충격차단부
510 : 힌지부
520 : 탄성부재

Claims (8)

  1.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결합되는 모서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는 제1 결합체 및
    상기 폴딩도어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상기 제1 결합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 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는 각각,
    상기 폴딩도어 일단 또는 양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판 및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판 일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45°각도로 절단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는 상기 폴딩도어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2 결합판은,
    경사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패킹홈 및
    상기 패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 사이의 틈을 방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모서리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모서리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결합판 및 제2 결합판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홈부;
    상기 제1 및 제2 홈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을 결합시키는 잠금부;
    상기 제1 및 제2 홈부에 각각 일단 및 타단이 삽입되어 구비되며, 양단 상하단에 돌출단이 형성된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홈부에 걸리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모서리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 입구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제1 홈부 또는 제2 홈부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잠금돌기 및
    상기 제1 홈부 또는 제2 홈부의 연결부에 상기 잠금돌기와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잠금홈을 포함하는 모서리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의 경사면이 맞 닿을 시 폴딩도어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제1 결합판 및 제2 결합판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모서리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차단부는,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를 결합하며, 상기 제2 결합판에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에 구비되어 틈을 방지하며, 충격을 분산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모서리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의 제2 결합판 경사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의 제2 결합판 경사면에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모서리 구조체.
KR1020190013278A 2019-02-01 2019-02-01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 KR102060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78A KR102060630B1 (ko) 2019-02-01 2019-02-01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78A KR102060630B1 (ko) 2019-02-01 2019-02-01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630B1 true KR102060630B1 (ko) 2019-12-30

Family

ID=6910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278A KR102060630B1 (ko) 2019-02-01 2019-02-01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531A (ko) * 2020-01-10 2021-07-20 강민성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의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97Y1 (ko) 2009-12-15 2012-05-24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폴딩 도어 시스템
KR200487665Y1 (ko) 2018-02-09 2018-10-18 주식회사 미래알루미늄 사용자 보호형 접이식 도어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97Y1 (ko) 2009-12-15 2012-05-24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폴딩 도어 시스템
KR200487665Y1 (ko) 2018-02-09 2018-10-18 주식회사 미래알루미늄 사용자 보호형 접이식 도어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531A (ko) * 2020-01-10 2021-07-20 강민성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의 구조
KR102448911B1 (ko) 2020-01-10 2022-09-28 강민성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890B2 (en) Door frame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door frame structure
KR102060630B1 (ko) 폴딩도어용 모서리 구조체
BR102017004050B1 (pt) Dispositivo e conjunto divisor de cabo e método de divisão de cabos
KR101898939B1 (ko) 창호 시스템
CN109477357B (zh) 可移除式型材结构
KR102177932B1 (ko) 내진성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KR20160095890A (ko)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KR101799543B1 (ko)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KR20190098596A (ko) 단열 및 차음 효과가 우수한 셔터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101896954B1 (ko) 유리패널이 장착된 엘리베이터 도어
KR102344812B1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WO2015151541A1 (ja) サッシ上枠
KR100648888B1 (ko) 건축물 창문틀 이용시설
KR200489546Y1 (ko) 멀티프레임슬라이드 방식으로 창틀간 이격을 최소화한 창문틀용 프레임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JP7179676B2 (ja) 建具、及び、網材の固定方法
KR102114832B1 (ko) 현관 방화문 장치
KR102326777B1 (ko) 창틀용 기능성 밀폐장치
CN206629175U (zh) 一种摄像机外罩和监控设备
KR102633856B1 (ko)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KR200413513Y1 (ko) 새시용 바람막이
KR101479466B1 (ko) 미닫이 창호용 고정장치
KR20190136175A (ko) 외풍 차단을 겸하는 미닫이식 창호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2303712B1 (ko) 충격 흡수 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