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543B1 -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 Google Patents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543B1
KR101799543B1 KR1020160038962A KR20160038962A KR101799543B1 KR 101799543 B1 KR101799543 B1 KR 101799543B1 KR 1020160038962 A KR1020160038962 A KR 1020160038962A KR 20160038962 A KR20160038962 A KR 20160038962A KR 101799543 B1 KR101799543 B1 KR 101799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window frame
window
type anti
rest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221A (ko
Inventor
제정원
Original Assignee
제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정원 filed Critical 제정원
Priority to KR102016003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54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4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for assisting in opening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창틀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수용되는 레일수용부가 요입 형성된 윈도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레일수용부 내의 실내측 벽면 및 실외측 벽면에는 장착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장착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 벽면을 향해 압축 혹은, 복원 가능하게 이루어지면서 윈도우프레임의 열림이나 닫힘에 상관없이 상기 가이드레일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윈도우프레임의 떨림을 방지하는 복원형 떨림방지부가 각각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윈도우 어셈블리로 제공되는 외풍이나 지진 등의 진동 발생시에도 해당 윈도우 어셈블리가 안정적인 설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윈도우 어셈블리의 열림 조작시 신속시 구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window structure}
본 발명은 창호 구조물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풍이나 지진 등의 진동 발생시에도 윈도우 어셈블리가 안정적인 설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열림 조작시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로부터 빠르게 구속 해제되도록 복귀시켜 윈도우 어셈블리의 개방 동작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구조물은 건물 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새시 어셈블리 및 상기 새시 어셈블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새시 어셈블리의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윈도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이러한 창호 구조물 중 윈도우 어셈블리는 윈도우와 이 윈도우가 장착되는 윈도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새시 어셈블리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선택적으로 차단 혹은, 개방하게 된다.
상기한 창호 구조물은 다양한 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통상적으로는 미닫이 구조로 창문을 여닫는 미닫이 방식의 창호 구조물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미닫이 방식의 창호 구조물은 통상 두 윈도우 어셈블리가 하나의 쌍을 이루면서 새시 어셈블리에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새시 어셈블리를 이루는 두 수평측 창틀프레임의 대향면에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두 윈도우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를 받아 정확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된 미닫이 방식의 창호 구조물의 경우 두 윈도우 어셈블리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새시 어셈블리와 윈도우 어셈블리의 틈새 사이 혹은, 두 윈도우 어셈블리 간의 틈새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거나 혹은, 실내 공기가 유출됨으로써 단열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새시 어셈블리와 윈도우 어셈블리의 틈새 사이 혹은, 두 윈도우 어셈블리 간의 틈새 사이에 부직포나 융 혹은, 가스켓을 적용함으로써 단열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349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160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211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22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상기 틈새를 폐쇄하는 각종 기밀부재가 과도하게 클 경우에는 각 윈도우 어셈블리의 동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상기 각 윈도우 어셈블리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기밀부재가 과도하게 작아질 수밖에 없어서 틈새의 씰링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특히, 브러시 구조나 부직포 등의 구조는 윈도우 어셈블리의 동작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각 브러시 사이로 공기의 통과가 이루어짐에 따라 씰링성이 극히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물론, 종래에는 윈도우 어셈블리를 완전히 닫을 경우 두 윈도우 어셈블리 사이를 구획하는 새시 어셈블리의 구획 격벽에 상기 닫고자 하는 윈도우 어셈블리가 밀착되면서 해당 측의 틈새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하여 씰링성의 확보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구조의 경우도 윈도우 어셈블리가 열림 상태에 놓여 있을 경우 레일의 중심과 윈도우 어셈블리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지 않고 어긋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이러한 윈도우 어셈블리의 열림 상태에서는 바람이나 지진 등의 제공시 그 떨림에 따른 진동으로 파손이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윈도우 어셈블리를 닫을 경우는 씰링을 위해 해당 윈도우 어셈블리가 안정적인 구속 상태를 이룸으로써 바람이나 지진 등의 영향에 따른 떨림 발생시 그 떨림은 새시 어셈블리를 통해 건물의 외벽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윈도우 어셈블리의 파손이 발생되지는 않지만, 윈도우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에서는 이 윈도우 어셈블리의 구속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이나 지진 등의 영향에 따른 떨림 발생시 이 떨림에 의해 새시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되어 건물 외부로 낙하되는 우려가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풍이나 지진 등의 진동 발생시에도 윈도우 어셈블리가 안정적인 설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열림 조작시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로부터 빠르게 구속 해제되도록 복귀시켜 윈도우 어셈블리의 개방 동작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에 따르면 가이드레일이 돌출 형성된 창틀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수용되는 레일수용부가 요입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는 윈도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프레임을 이루는 레일수용부 내의 실내측 벽면 및 실외측 벽면에는 장착턱이 요입 형성된 장착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장착부의 장착턱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 벽면을 향해 압축 혹은, 복원 가능하게 이루어지면서 윈도우프레임의 열림이나 닫힘에 상관없이 상기 가이드레일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윈도우프레임의 떨림을 방지하는 복원형 떨림방지부가 각각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원형 떨림방지부는 상기 두 장착부 중 가이드레일을 기준으로 볼 때 닫힘 조작시 윈도우프레임이 인접하는 어느 한 측의 장착부에 설치되는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 및 상기 윈도우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다른 한 측의 장착부에 설치되는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장착부의 장착턱 내에 요입되어 걸리는 고정부재와, 압축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부재의 외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 벽면에 밀착되는 압축복원부재와, 상기 압축복원부재의 외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윈도우프레임의 구속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압축복원부재와 가이드레일 사이의 틈새는 차단하면서도 서로 간의 접촉면적을 줄여주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원형 떨림방지부는 상기 두 장착부 중 가이드레일을 기준으로 볼 때 닫힘 조작시 윈도우프레임이 인접하는 어느 한 측의 장착부에 설치되는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 및 상기 윈도우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다른 한 측의 장착부에 설치되는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장착부의 장착턱 내에 요입되어 걸리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윈도우프레임의 구속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와 가이드레일과의 접촉면적을 줄여주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원형 떨림방지부는 각 장착부마다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각 장착부에는 상기 복수의 복원형 떨림방지부가 윈도우프레임의 이동 방향으로 유동됨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재는 상기 장착부의 장착턱 내에 요입되면서 구속되어 고정되는 걸림고정단과, 상기 걸림고정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복원형 떨림방지부에 비해서는 가이드레일을 향해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되는 돌출지지단과, 상기 돌출지지단으로부터 상기 장착부의 저면 혹은, 상면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절곡받침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은 윈도우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에서도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가 가이드레일의 양측 벽면에 밀착되면서 파지하는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해당 윈도우 어셈블리의 떨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즉, 윈도우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에서도 복원형 떨림방지부에 의한 가이드레일의 지지를 받아 그 떨림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나 지진 등의 영향으로 윈도우 어셈블리가 떨림에 따라 야기되었던 유리의 파손 혹은, 윈도우 어셈블리의 이탈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은 각 윈도우 어셈블리의 열림 조작시 신속히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에 의한 구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열림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은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에 추가로 구비되는 브러시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가 가이드레일의 양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룸에도 불구하고 윈도우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동작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도어 닫힘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도어 닫힘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도어 닫힘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
도 8은 도 6의 “D”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도어 열림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도어 열림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E”부 확대도
도 12는 도 10의 “F”부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중 이동방지부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윈도우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중 이동방지부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G”부 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H”부 확대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에 근접부재가 적용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도어 닫힘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도어 닫힘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도어 닫힘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은 크게 새시 어셈블리(100)와, 윈도우 어셈블리(201,202), 그리고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는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떨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에 대한 열림 조작시 창틀프레임(120)의 가이드레일(121)로부터 신속히 구속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열림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는 창호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하면서 후술될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새시 어셈블리(100)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두 수직측 창틀프레임(110) 및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제공되는 두 수평측 창틀프레임(120)이 사각틀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두 수직측 창틀프레임(110) 간의 대향면에는 한 쌍의 수용돌부(1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두 수평측 창틀프레임(120) 간의 대향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21)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각 창틀프레임(110,120) 간의 대향면 중 각 가이드레일(121)들의 사이 및 수용돌부(111)들의 사이에는 구획부(112,122)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획부(112,122)는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기울어짐 및 원치않은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새시 어셈블리(100)와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 간의 틈새를 통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상기한 구획부(112,122)로 인해 새시 어셈블리(100) 내부는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구획부(112,122)는 수직측 창틀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수직측 구획부(112) 및 수평측 창틀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수평측 구획부(122)로 구분되며, 상기 구획부(112,122)의 양측 벽면에는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인접 이동시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양측 벽면에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113,123)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는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가 제공하는 실내측 및 실외측 설치 영역 내에 각각 설치되면서 실내 및 실외를 투시 가능한 창문으로 구획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는 실내측에 위치되는 실내측 윈도우 어셈블리(201) 및 실외측에 위치되는 실외측 윈도우 어셈블리(202)를 포함하여 이루어디며, 이러한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는 상기 새시 어셈블리(100)를 이루는 두 수평측 창틀프레임(120)의 가이드레일(121)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는 각각 윈도우(210) 및 이 윈도우(210)를 지지하는 윈도우 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220)은 상기 윈도우(210)의 둘레를 감싸는 사각틀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윈도우 프레임(220)의 각 둘레면 중 두 수평측 창틀프레임(120)과 대향되는 상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1)의 수용을 위한 레일수용부(221)가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윈도우 프레임(220)의 각 둘레면 중 두 수직측 창틀프레임(110)과 대향되는 전후면에는 상기 수용돌부(111)의 수용을 위한 돌기수용부(222)가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윈도우 프레임(220)의 두 레일수용부(221) 중 하측에 위치되는 레일수용부(221) 내에는 하측의 가이드레일(121) 상면에 얹혀 구름 동작되는 롤러(223)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윈도우 프레임(220)의 두 레일수용부(221) 중 하측에 위치되는 레일수용부(221) 내의 양측 벽면(상측 가이드레일의 양측 벽면과 대향되는 면)에는 장착턱(231)이 요입 형성된 장착부(230,240)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230,240)의 장착턱(231,241)은 후술될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의 설치를 위한 부위로 제공되며, 이러한 장착부(230,240)는 가이드레일(121)의 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실내측에 위치되는 실내측 장착부(230)와, 실외측에 위치되는 실외측 장착부(240)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윈도우 프레임(220)의 돌기수용부(222) 내에는 가압부재(224)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224)는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닫힘시 상기 수용돌부(111)와의 점진적인 접촉에 의해 실내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는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떨림 방지 및 빠른 원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부위로써,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실내측 장착부(230) 및 실외측 장착부(240)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는 상기 레일수용부(221) 중 새시 어셈블리(100)의 가이드레일(121) 양측 벽면과 대향되는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가이드레일(121)의 양측 벽면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압축 혹은, 복원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21)과의 접촉 유지를 통해 상기 윈도우프레임(220)의 떨림을 방지하면서도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열릴 경우 신속한 구속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는 가이드레일(121)을 기준으로 볼 때 실외측 혹은, 실내측 중 어느 한 측의 장착부(230,240)에 설치되는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 및 다른 한 측의 장착부(230,240)에 설치되는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장착부(230,240)의 장착턱(231,241) 내에 요입되어 걸리는 고정부재(311)와, 압축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부재(311)의 외벽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21)의 벽면에 밀착되는 압축복원부재(312)와, 상기 압축복원부재(312)의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러시(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압축복원부재(312)는 고무재질의 스폰지로 형성하여 충분한 압축이 이루어지면서도 압축력의 해제시에는 빠른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장착부(230,240)의 장착턱(231,241) 내에 요입되어 걸리는 고정부재(321)와, 상기 고정부재(321)의 외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재(322) 및 상기 몸체부재(322)의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러시(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실내측 윈도우 어셈블리(201)에 구비되는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는 실외측 장착부(240)에 장착됨과 더불어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는 실내측 장착부(320)에 장착되고, 실외측 윈도우 어셈블리(202)에 구비되는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는 실내측 장착부(230)에 장착됨과 더불어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는 실외측 장착부(24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는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닫힘 조작시 가이드레일(121)의 어느 한 측 벽면에 압축된 상태로 밀착되면서 해당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를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열림 조작시에는 그 열림 조작이 발생되는 순간 가이드레일(121)과의 접촉 상태는 유지하면서도 압축복원부재(312)의 복원에 따른 신속한 구속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열림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는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열림 조작시 가이드레일(121)의 다른 한 측 벽면에 접촉되면서 해당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바람이나 진동의 영향 등에 의한 떨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의 고정부재(311,321)는 강성을 가지면서 각 장착부(230,240) 내에 안정적인 설치 상태 유지할 수 있도록 PVC 혹은,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를 이루는 브러시(313,323)의 경우는 윈도우프레임(220)의 구속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121)과의 접촉면적을 줄여줌으로써 윈도우프레임(2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쉽고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한편,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은 상기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 및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가 각 장착부(230,240)마다 복수로 각각 제공되며, 상기 각 장착부(230,240)에는 상기 복수의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가 윈도우프레임(220)의 이동 방향으로 유동됨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재(330,340)가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 제1복원형 떨림림방지부(310) 및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는 장착부(230,240)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단일체의 구조가 아니라 각각 복수로 구성되면서 상기 장착부(230,240) 내에 부분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나 조립의 편리성 및 제조 단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방지부재(330,340)는 상기 장착부(230,240)의 장착턱(231,241) 내에 요입되면서 구속되어 고정되는 걸림고정단(331,341)과, 상기 걸림고정단(331,341)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에 비해서는 가이드레일(121)을 향해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되는 돌출지지단(332,342)과, 상기 돌출지지단(332,342)으로부터 상기 장착부(230,240)의 저면 혹은, 상면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절곡받침단(333,3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돌출지지단(332,342)은 상기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의 압축복원부재(312)나 브러시(313) 및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의 브러시(323)가 과도하게 압축되어 마모됨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압축복원부재(312) 및 각 브러시(313,323)의 유지보수 기간(교체기간)을 최대한 늘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추가로 수행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구조물의 실내측 윈도우 어셈블리(201) 및 실외측 윈도우 어셈블리(202)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닫힌 상태에서는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돌기수용부(222) 내에 구비된 가압부재(224)가 수용돌부(111)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를 서로 간의 대향 방향으로 강제 이동된 상태를 이루며, 이와 함께 상기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는 구획부(112,122)의 벽면에 구비된 기밀부재(123)와의 밀착이 이루어진 상태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실외측 윈도우 어셈블리(201)를 이루는 두 장착부(230,240)의 장착홈(231,241)에 각각 설치된 두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 중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는 압축복원부재(312)가 압축된 상태로 가이드레일(121)의 실외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는 상기 가이드레일(121)의 실내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로써, 상기 실외측 윈도우 어셈블리(201)와 새시 어셈블리(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외기의 실내 유입은 기밀부재(113,123)에 의해 방지되면서도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는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의 떨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열게 되면 돌기수용부(222) 내에 구비된 가압부재(224)는 새시 어셈블리(100)의 수용돌부(111)로부터 이탈되며, 이로써 실내측 윈도우 어셈블리(201) 및 실외측 윈도우 어셈블리(202)는 기밀부재(113)의 복원력에 의해 구획부(112,122)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더불어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를 이루는 압축복원부재(312) 역시 열림 조작에 의한 가압력의 해제로 인해 복원되면서 가이드레일(121)과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는,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압축복원부재(312)는 고무재질의 스폰지로 형성됨에 따라 압축력의 해제시에는 빠른 복원이 이루어지면서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구속을 해제함에 따라 사실상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열림 조작과 함께 구속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손쉽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열릴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실내외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하더라도 상기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를 이루는 압축복원부재(312)는 여전히 가이드레일(121)의 어느 한 측 벽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가 상기 가이드레일(121)의 다른 한 측 벽면에 접촉됨으로써 해당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는 그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열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두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가 가이드레일(121)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21)의 양측 벽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는 상기 두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에 파지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그의 떨림이 방지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더욱이, 상기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310) 및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320)는 상기 가이드레일(121)과의 밀착을 유지한다 하더라도 브러시(313,323)로 인해 가이드레일(121)과의 마찰력은 사실상 극히 작은 상태이기 때문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슬라이딩 이동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은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떨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열린 상태에서도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에 의한 가이드레일(121)의 지지를 받아 그 떨림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나 지진 등의 영향으로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떨림에 따라 야기되었던 유리의 파손 혹은,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이탈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은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에 의해 각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열림 조작시 신속히 구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열림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에 추가로 구비되는 브러시(313,323)는 가이드레일(121)과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각 복원형 떨림방지부(310,320)가 가이드레일(121)의 양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룸에도 불구하고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슬라이딩 동작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중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열림시에는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각 구획부(112,1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과 더불어 닫음시에는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각 구획부(112,12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는 전술된 실시예의 가압부재(224)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 사이에 서로 대응되는 구조의 근접 유도를 위한 근접부재(410,420)를 각각 추가로 설치하여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의 열림시에는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각 구획부(112,1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과 더불어 닫음시에는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각 구획부(112,12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근접부재(410,420)는 판재를 절곡시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간의 맞물림에 따라 두 윈도우 어셈블리(201,202)가 서로 인접되도록 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창호 구조물에의 적용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0. 새시 어셈블리 110. 수직측 창틀프레임
111. 수용돌부 112,122. 구획부
113,123. 기밀부재 120. 수평측 창틀프레임
121. 가이드레일 201. 실내측 윈도우 어셈블리
202. 실외측 윈도우 어셈블리 210. 윈도우
220. 윈도우 프레임 221. 레일수용부
222. 돌기수용부 223. 롤러
224. 가압부재 230. 장착부
231. 장착홈 232. 걸림홈
310,320. 복원형 떨림방지부 311,321. 고정부재
312. 압축복원부재 313,323. 브러시
330,340. 이동방지부재 331,341. 걸림고정단
332,342. 돌출지지단 333,343. 절곡받침단
410,420. 근접부재

Claims (5)

  1. 가이드레일이 돌출 형성된 창틀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수용되는 레일수용부가 요입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는 윈도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프레임을 이루는 레일수용부 내의 실외측 벽면에는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가 장착되도록 장착턱이 요입 형성된 장착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레일수용부 내의 실내측 벽면에는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가 장착되도록 장착턱이 요입 형성된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윈도우프레임은 닫힘 조작시 실외측 벽면의 장착부가 가이드레일에 인접됨과 더불어 실내측 벽면의 장착부는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는 일부가 압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실외측 벽면의 장착부 내에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윈도우프레임의 닫힘시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면접촉된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압축됨과 더불어 상기 윈도우프레임의 열림시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복원되어 해당 가이드레일로부터 윈도우프레임이 밀려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는 압축되지 않는 PVC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실내측 벽면의 장착부 내에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윈도우프레임의 닫힘시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격됨과 더불어 상기 윈도우프레임의 열림시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와 함께 윈도우프레임의 떨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원형 떨림방지부는
    PVC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장착부의 장착턱 내에 요입되어 걸리는 고정부재와,
    압축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부재의 외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윈도우프레임의 닫힘 조작시 상기 가이드레일에 밀착되어 압축됨과 더불어 상기 윈도우프레임의 열림 조작시에는 복원되면서 상기 윈도우프레임을 가이드레일로부터 밀어내는 압축복원부재와,
    상기 압축복원부재의 외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윈도우프레임의 구속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압축복원부재와 가이드레일 사이의 틈새는 차단하면서도 서로 간의 접촉면적을 줄여주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원형 떨림방지부는
    PVC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장착부의 장착턱 내에 요입되어 걸리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윈도우프레임의 구속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와 가이드레일과의 접촉면적을 줄여주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4. 가이드레일이 돌출 형성된 창틀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수용되는 레일수용부가 요입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는 윈도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프레임을 이루는 레일수용부 내의 실내측 벽면 및 실외측 벽면에는 장착턱이 요입 형성된 장착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장착부의 장착턱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 벽면을 향해 압축 혹은, 복원 가능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윈도우프레임의 떨림을 방지함과 더불어 윈도우프레임의 열림 조작시 복원되는 복원형 떨림방지부가 각각 더 구비되며,
    상기 복원형 떨림방지부는 각 장착부마다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각 장착부에는 상기 복수의 복원형 떨림방지부가 윈도우프레임의 이동 방향으로 유동됨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재는
    상기 장착부의 장착턱 내에 요입되면서 구속되어 고정되는 걸림고정단과,
    상기 걸림고정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복원형 떨림방지부에 비해서는 가이드레일을 향해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되는 돌출지지단과,
    상기 돌출지지단으로부터 상기 장착부의 저면 혹은, 상면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절곡받침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KR1020160038962A 2016-03-31 2016-03-31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KR101799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962A KR101799543B1 (ko) 2016-03-31 2016-03-31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962A KR101799543B1 (ko) 2016-03-31 2016-03-31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21A KR20170112221A (ko) 2017-10-12
KR101799543B1 true KR101799543B1 (ko) 2017-11-20

Family

ID=6014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962A KR101799543B1 (ko) 2016-03-31 2016-03-31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768B1 (ko) * 2019-11-14 2021-07-08 주식회사 건원 개선된 복원 구조를 가지는 유동 방지형 미서기 창호
KR102353110B1 (ko) * 2020-01-31 2022-01-19 주식회사 경연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물
KR102277890B1 (ko) * 2020-11-12 2021-07-15 한빛건설 주식회사 기밀성 및 수밀성과 방충기능을 갖는 단열 창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59B1 (ko) * 2013-11-14 2014-04-07 정의국 창호용 방풍가스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59B1 (ko) * 2013-11-14 2014-04-07 정의국 창호용 방풍가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21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543B1 (ko) 유동 방지 및 위치 복귀형 창호 구조물
KR101441504B1 (ko)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레일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방충창 설치 구조
KR20180046781A (ko) 슬라이딩 창호용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도어 가이드 프레임
KR101543761B1 (ko) 기밀형 창호 구조물
KR101318590B1 (ko) 도어용 오토시일 어셈블리
JP4888332B2 (ja) 引戸の施工方法、及び引戸ユニット
KR102260557B1 (ko)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102344812B1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KR102274768B1 (ko) 개선된 복원 구조를 가지는 유동 방지형 미서기 창호
KR101961470B1 (ko) 방범 방충망 결합구조
JP2020066906A (ja) 網戸付きサッシ
JP6374802B2 (ja) 面材保持部品及び建具
JP6640058B2 (ja) 建具
JP6831076B2 (ja) 建具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JP6919003B2 (ja) サッシ
KR101562619B1 (ko) 창짝 프레임 이탈 방지 부재를 갖는 미닫이 창호 장치
KR200483440Y1 (ko) 기밀창호
JP6756542B2 (ja) 建具
JP7431600B2 (ja) 振れ防止具
JP7101514B2 (ja) 引戸
JP7179676B2 (ja) 建具、及び、網材の固定方法
JP3267244B2 (ja) 引 戸
JPH019918Y2 (ko)
JP3021665U (ja) ドア装置の密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