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512B1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512B1
KR102060512B1 KR1020140172225A KR20140172225A KR102060512B1 KR 102060512 B1 KR102060512 B1 KR 102060512B1 KR 1020140172225 A KR1020140172225 A KR 1020140172225A KR 20140172225 A KR20140172225 A KR 20140172225A KR 102060512 B1 KR102060512 B1 KR 102060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icing
blower
ai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7285A (en
Inventor
정재원
김재형
유형석
윤서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512B1/en
Publication of KR2016006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2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5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감지 및 판별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로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의 모드도어들 및,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7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과;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에서 증발기의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하면서 압축기를 컷 오프(Cut-Off)시켜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함과 아울러, 모드도어들을 플로어 모드(Floor Mode)로 제어하여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by improving the detection and discriminating structure of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cing occurrence discri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thereby, to respond quickly to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wer for sucking and blowing air into and out of an interior, an evaporator for cooling air blown into a vehicle with refrigerant supplied from a compressor, and discharge of air blown into a vehicle interior.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ode door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and the temp door 7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blown into the cabin, Icing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cing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Generation determination mean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is generated by the icing occurrence determining means, the compressor is cut-off whil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o cut off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and the mode doors are in floor mode. And a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감지 및 판별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by improving the detection and discriminating structure of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cing generation discri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It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an respond quickly to.

자동차에는 차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의 증발기(1)를 갖추고 있다.An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car to cool and heat a cabin. This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equipped with the evaporator 1 of an air conditioner, as shown in FIG.

증발기(1)는, 압축기(3)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내부유로(도시하지 않음)로 도입한 다음, 도입된 냉매를 블로어(5)에서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냉기를 차실내로 공급하여 차실내를 냉방한다.The evaporator 1 introduces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3 into an internal flow path (not shown), and then heats the introduced refrigerant with air blown by the blower 5 to generate cold air, and generates the cold air. Cool the inside of the vehicle by supplying it to the vehicle interior.

한편, 이러한 증발기(1)는, 내부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그 표면에 수분이 결빙(Icing, 이하, "아이싱"이라 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공조장치는, 증발기(1)의 아이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싱 방지장치(7)를 갖추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circulating along the internal flow path is too low, such an evaporator 1 may cause moisture to freeze on its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cing"). Therefore,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icing prevention device 7 for preventing the icing phenomenon of the evaporator 1. As shown in FIG.

아이싱 방지장치(7)는, 증발기(1)를 통과한 하류측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7a)와, 온도감지센서(7a)에서 입력된 증발기(1)의 하류측 공기온도에 따라 에어컨의 압축기(3)를 제어하는 제어부(7b)를 포함한다.The icing prevention device 7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7a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downstream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 and a downstream air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1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a. And a control unit 7b for controlling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제어부(7b)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온도감지센서(7a)에서 "증발기 하류측 공기온도"가 입력되면, 입력된 "증발기 하류측 공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예를 들면, 빙점(0℃) 이하로 저하되는지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7b is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When the evaporator downstream air temperature is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a, the input "evaporator downstream air temperature" is a preset temperature, for example, a freezing point. It determines whether it falls below (0 degreeC).

판단 결과, "증발기 하류측 공기온도"가 빙점(0℃) 이하로 저하될 경우,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 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컨의 압축기(3)를 컷 오프(Cut-Off)시킨다. 따라서,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한다. 이로써, 증발기(1)의 아이싱 현상을 방지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evaporator downstream air temperature" falls below the freezing point (0 ° C), it is determined that an icing phenomenon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and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is cut off (Cut-Off). ) Therefore,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is cut off. This prevents the icing phenomenon of the evaporator 1.

통상적으로, 아이싱 방지장치(7)의 온도감지센서(7a)는, 증발기(1)의 하류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되, 증발기(1)의 각 부분별 온도 중, 가장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왜냐하면, 가장 낮은 온도의 증발기(1) 표면부터 수분의 결빙현상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Usually, the temperature sensor 7a of the icing prevention device 7 is provid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evaporator 1, but in the part which maintains the lowest temperature among the temperature of each part of the evaporator 1, It is installed to correspond. This is because water freezing starts from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at the lowest temperatur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아이싱 방지장치(7)는, 증발기(1)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내,외기온도 조건과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따라, 가장 낮은 온도의 증발기(1) 부분이 각기 다르게 변화되므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부분"이 수시로 변화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cing prevention device 7, the parts of the evaporator 1 having the lowest temperature are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vaporator 1 and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 driving habits of the driver. ,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cing generating part" of the evaporator 1 changes from time to time.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특정부분에 고정된 오직 하나의 온도감지센서(7a)로는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에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And because of this disadvanta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nly one temperature sensor (7a) fixed to a specific portion is not able to accurately detect the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1, because of this problem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1) There is a drawback that it cannot cope wit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감지 및 판별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o improve the "icing generation"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structure of the evaporat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cing generation deter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an respond quickly to the "icing generation" of an evapo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증발기의 "아이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차실내의 냉방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icing generation discri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quickly eliminate the "icing" of the evaporator, by being configured to respond quickly to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As a result, there is provided a vehic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improving the cooling performance in a vehicle interio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로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의 모드도어들 및,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과;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에서 상기 증발기의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압축기를 컷 오프(Cut-Off)시켜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모드도어들을 플로어 모드(Floor Mode)로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lower for suck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and blowing into the cabin,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air blown into the cabin with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the interior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ode doors for adjust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blown into the vehicle, and a temporal door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blown into the vehicle cabin, whether the icing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Icing occurrence determining means for discriminat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is generated by the icing occurrence determining means, the compressor is cut-off whil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o cut off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and the mode doors a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or mode (Floor Mode) to discharg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단수로 상승시켜, 상기 증발기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when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tage of the blower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stage,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evaporator side.

그리고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하측부분 좌,우측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의 하측부분 좌,우측에 대응되는 상기 증발기의 하류부분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증발기 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에서 입력된 상기 증발기의 좌,우측 하류의 공기온도들 간의 온도편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편차 이상일 시에 상기 증발기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cing generation determination means, respectively, at intervals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so as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of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evaporator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troller to determine that icing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when a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downstream air temperature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It is characterized by.

경우에 따라,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상,하측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의 상,하측에 대응되는 상기 증발기의 하류부분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증발기 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에서 입력된 상기 증발기의 상,하측 하류의 공기온도들 간의 온도편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편차 이상일 시에 상기 증발기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some cases, the icing generation determination means is spaced apart at intervals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vaporator so as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vaporator,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evaporator sensors that are installed so as to be install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icing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when a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air temperature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It is characterized by.

경우에 따라,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은, 상기 블로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과; 상기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블로어의 현재 회전속도가,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한 정상조건에서의 블로어의 회전속도 대비, 미리 설정된 제 1기준비율 이상으로 저감될 시에, 상기 증발기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some cases, the icing generation determining means may include: a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Icing on the evaporator when the current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input from the blower rotational speed sensing means is reduced to more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ratio relative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under normal conditions by automatic control or manual contro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at this has occurr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여부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증발기의 좌,우측 공기의 "온도편차", 또는 "상,하측 공기의 "온도편차" 또는, 블로어의 회전속도를 감안하여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을 판별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left and right air, or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upper and lower air or the blower of the evaporator which reacts sensitively depending on whether the "icing" of the evaporator occurs.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speed, since the structure of discriminating the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accuracy deter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므로, 증발기의 "아이싱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발기의 "아이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차실내의 냉방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cing generation discri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so that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can be quickly responded, thereby quickly removing the "icing" of the evaporator, and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room.

또한, 증발기의 "아이싱"을 제거할 시에는, 증발기를 통과한 덥고 습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유도하는 구조이므로, 증발기의 "아이싱" 제거 시에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cing" of the evaporator is removed, the hot and humi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is directed to the floor surface of the vehicle, and thus, the comfort in the vehicle can be improved when the "icing" of the evaporator is removed. It works.

또한, 증발기의 "아이싱"을 제거할 시에,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높여 증발기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구조이므로, 증발기 표면의 "아이싱"을보다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제거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removing the "icing" of the evaporator, the structur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blower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evaporator sid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effectively and quickly remove the "icing" of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There is this.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1 및 제 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 1실시예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증발기 센서의 설치 사례를 나타내는 증발기의 사시도,
도 4는 제 1실시예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는 제 2실시예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증발기 센서의 설치 사례를 나타내는 증발기의 사시도,
도 6은 제 2실시예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 3실시예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first and second evaporator sensors constituting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first and second evaporator sensors constituting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second embodiment;
6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second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thir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제 1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First, before looking at the feature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reference to FIG.

차량용 공조장치는, 에어컨의 증발기(1)를 구비한다. 에어컨의 증발기(1)는, 압축기(3)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내부유로로 도입한 다음, 도입된 냉매를 블로어(5)에서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된 냉기를 차실내로 공급한다. 따라서, 차실내를 냉방한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evaporator 1 of an air conditioner. The evaporator 1 of the air conditioner introduces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3 into the internal flow path, and then heats the introduced refrigerant with the air blown by the blower 5 to generate cold air. Then, the generated cold air is supplied into the cabin. Therefor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cooled.

그리고 공조장치는, 다수의 모드도어(10, 12, 14)들을 구비한다. 다수의 모드도어(10, 12, 14)들은, 디프 도어(Def. Door)(10)와, 벤트 도어(Vent Door)(12)와, 플로어 도어(Floor Door)(14)를 포함하며, 이들 모드도어(10, 12, 14)들은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한다.And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de doors (10, 12, 14). The plurality of mode doors 10, 12, 14 include a Def. Door 10, a Vent Door 12, and a Floor Door 14, these The mode doors 10, 12, and 14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supplied into the vehicle interior.

특히, 모드도어(10, 12, 14)들은, "벤트 모드"(Vent Mode),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 "플로어 모드"(Floor Mode), "믹스 모드"(Mix Mode), "디프 모드"(Def. Mode) 등으로 제어되며, 이렇게 제어되는 모드도어(10, 12, 14)들은,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mode doors 10, 12, and 14 include the "Vent Mode", "Bi-Level Mode", "Floor Mode", and "Mix Mode". ) And "Def. Mode" and the like, and the mode doors 10, 12 and 14 controlled in this way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supplied into the vehicle interior.

참고로, "벤트 모드"는, 냉,온풍을 탑승객의 얼굴방향으로 토출하는 모드이고, "바이 레벨 모드"는, 냉,온풍을 차실내의 바닥면과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며, "플로어 모드"는, 냉,온풍을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For reference, the "vent mode" is a mode for discharging cold and hot air toward the passenger's face, and the "bi level mode" is a mode for discharging cold and hot air to the floor surface of the cabin and the face of the passenger. "Floor mode" is a mode which discharges cold and hot air to the floor surface of a vehicle interior.

그리고 "믹스 모드"는 냉,온풍을 창유리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며, "디프 모드"는, 냉,온풍을 창유리 방향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The "mix mode" is a mode for discharging cold and hot air to the window glass and the floor surface in the cabin, and the "diff mode" is a mode for discharging cold and hot air in the window glass dire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feature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증발기(1)의 아이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싱 방지장치(20)를 갖추고 있다.First, the air conditioner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icing prevention apparatus 20 for preventing the icing phenomenon of the evaporator 1. As shown in FIG.

아이싱 방지장치(20)는,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 현상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을 포함한다.The icing prevention device 20 includes icing occurrence determining means 30 for determining whether an icing phenomenon h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은, 증발기(1)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 1증발기 온도센서(32)와 제 2증발기 온도센서(34) 및, 이들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공기온도 데이터들을 통해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을 판별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The icing generation discrimination means 30 includes a first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 32 and a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 34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1, and thes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34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40 for determining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1 through the air temperature data input.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는, 증발기(1)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의 좌,우측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 특히, 증발기(1) 하측부분의 좌,우측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are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1, but as shown in FIG. 3, spaced apart from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1,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spaced apart. In particular, it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여기서,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는, 지지대(32a, 34a)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대(32a, 34a)는 공조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34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upports 32a, 34a, and the supports 32a, 34a are fixedly installed in an air conditioning case (not shown). .

이러한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는, 증발기(1)의 좌,우측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각각 감지한 다음, 감지된 증발기(1) 좌,우측 하류의 공기온도 데이터들을 제어부(40)에 입력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evaporator 1, respectively, and then detect the air temperatures downstream of the detected evaporator 1 left and right. The data is input to the controller 40.

제어부(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증발기(1) 좌,우측 하류의 공기온도 데이터들이 각각 입력되면, 입력된 2개의 온도 간의 온도편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편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40 is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when the air temperature data of the left and right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1 are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respectively, between the two input temperatur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devi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판단 결과, 2개의 온도 간의 온도편차가 "기준온도편차" 이상이면,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two temperatur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deviation”,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the “icing phenomenon” h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and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그리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를 컷오프시킨다. 따라서,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하여 증발기(1)의 "아이싱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이로써, 증발기(1)의 "아이싱"으로 인한 냉방성능 저하를 방지한다.And the control part 40 which entered into the "icing prevention mode" cuts off the compressor 3 of an air conditioner. Therefore,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is blocked to prevent the "icing phenomenon" of the evaporator 1 at its source. This prevents a decrease in cooling performance due to "icing" of the evaporator 1.

한편,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 진입 시에, 각 모드도어(10, 12, 14)를 "플로어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증발기(1)를 통과한 공기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respective mode doors 10, 12, 14 to the "floor mode" when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hu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 is dischar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아이싱 방지 모드" 시에는 증발기(1)의 냉각작용이 중단된 상태이므로, 증발기(1)를 통과한 공기가 덥고 습한 상태인데, 이러한 덥고 습한 공기를 탑승객의 발쪽으로 유도하여 탑승객의 불쾌감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evaporator 1 is stopped in the "icing prevention mode",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 is hot and humid, and the hot and humid air is directed to the passenger's foot. This is to prevent the discomfort of the passengers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 진입 시에,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단수"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3단"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And the control part 40 is comprised so that the rotational stage number of the blower 5 may be raised to the preset "number of reference stages" at the time of entering "Icing prevention mode". For example, it is configured to raise to "three steps".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아이싱 방지 모드" 시에, 증발기(1)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켜 증발기(1) 표면에 형성된 아이싱을 신속하게 해빙시키기 위함이다. The reason for this is to increase the air volume of the air blown to the evaporator 1 side in the " icing prevention mode " to quickly thaw the icing formed on the evaporator 1 surface.

여기서,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 진입 전의 블로어(5)의 회전단수가 "기준단수" 이상일 경우에는,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시, "아이싱 방지 모드" 진입 전의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Here, when the rotational stage of the blower 5 befor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andard number of stages", the control unit 40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the blower 5 befor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It is configured to keep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한편, 제어부(40)에 내장된 "기준온도편차"는, "6℃"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built into the control unit 40 is preferably set to "6 ° C".

이렇게 설정한 이유는, 시험결과, 증발기(1) 하측부분의 좌,우측을 통과한 공기온도간의 온도편차가 "6℃" 이상일 시에,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 발생"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setting is that when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air temperatures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 is "6 degrees Celsius" or more, "icing generation" start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Because it appears.

그리고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판별" 시에,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2개의 온도 간의 온도편차가 "기준온도편차" 이상이더라도,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의 온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제 1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만,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may determine that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two temperatures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andard temperature deviation” at the time of determining the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1. , The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is configured to enter the "icing prevention mode" only when at least one is less than the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의 온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3℃" 미만일 경우에만,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하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it is configured to enter the "icing prevention mode" only when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34 is less than "3 ° C".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증발기(1)의 좌,우측을 통과한 공기온도가 "3℃" 이상일 시에는,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될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1 is more than " 3 ° C. ",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icing"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is very low.

그리고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후,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온도 데이터들 모두가 "제 1기준온도"보다 높은 "제 2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증발기(1)의 "아이싱"이 완전히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다.After the entry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controller 40 include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in which all of the temperature data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ar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n the case of abnormal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has been completely eliminated, and is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예들 들면,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의 온도 데이터들 모두가 "10℃" 이상일 경우에는,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when both the temperature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are "10 ° C" or more, it is configured to be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그리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와 각 모드도어(10, 12, 14)와 블로어(5)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공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And the control part 40 canceled |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returns the compressor 3 of each air conditioner, each mode door 10, 12, 14, and blower 5 to an original state. Therefore,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to operate normally.

한편,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과 해제 시에,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디스플레이부(50)상에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과 해제를 특정 문자나 기호,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 when entering and releas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entry and release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on the display unit 50 of the controller (not shown), specific characters or symbols, or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s a picture.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증발기(1)에 "아이싱"이 발생되어 이를 처리하는 중임을 알려주거나, 또는 증발기(1)의 "아이싱"이 완전히 처리되었음을 알려준다.Thus, the user is informed that "icing" is currently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 and is being processed, or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has been completely processed.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먼저,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증발기(1)의 좌,우측을 통과한 공기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 1기준온도"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103). 예를 들면, 3℃ 미만인지를 판단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S101), it is determined whether at least one of the air temperatures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1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S103). For example, it is judged whether it is less than 3 degreeC.

판단 결과, 증발기(1)의 좌,우측을 통과한 공기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3℃ 미만이면,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좌,우측을 통과한 2개의 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가 "기준온도편차"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05). 예를 들면, 6℃ 이상인지를 판단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at least one of the air temperatures pass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1 is less than 3 ° C.,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e " temperature between the two air temperatures pass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1.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or not the deviation is "standard temperature deviation" (S105). For example, it determines whether it is 6 degreeC or more.

판단 결과, 2개의 온도 간의 온도편차가 6℃ 이상이면,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다(S107).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two temperatures is 6 ° C. or more,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icing” h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and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S107).

그리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를 컷오프시키고, 각 모드도어(10, 12, 14)를 "플로어 모드"로 제어하며,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기준단수"로 상승시킨다(S109).Then, the control unit 40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cuts off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controls the respective mode doors 10, 12, and 14 in the "floor mode", and rotates the blower 5. The number of stages is raised to the "standard stage" (S109).

그러면,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가 차단되면서 증발기(1)의 "아이싱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증발기(1)를 통과한 덥고 습한 공기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되면서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킨다. 그리고 증발기(1)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되면서 증발기(1)의 "아이싱"이 신속하게 제거된다.Then, while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is blocked, the "icing phenomenon" of the evaporator 1 is prevented. And hot and humi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 is dischar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to improve the comfort in the vehicle interior. And while the air volume of the air blown to the evaporator 1 side increases,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removed quickly.

한편,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후,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을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50)상에 표시한다(S109). 그러면, 사용자가 현재 증발기(1)의 "아이싱"이 처리 중인 것을 인지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entry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control unit 40 displays the entry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on the display unit 50 of the controller (S109). The user then knows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currently being processed.

다시,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증발기(1)의 좌,우측을 통과한 공기온도 모두가 "제 2기준온도"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11). 예를 들면, 10℃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2 and 4, the controller 40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e-determination of the recognition (S111).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it is 10 degreeC or more.

판단 결과, 10℃ 이상일 경우에는, 증발기(1)의 "아이싱"이 완전히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다(S113).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it is 10 degreeC or more, it determines with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being completely eliminated, and it releases from an "icing prevention mode" (S113).

그리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와 각 모드도어(10, 12, 14)와 블로어(5)와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5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S115). 그러면, 공조장치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된다.The controller 40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resets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the mode doors 10, 12, 14, the blower 5, and the display unit 50 of the controller to their original state. It returns to (S115). The air conditioner then operates normally again.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1)의 좌,우측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편차"를 근거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을 판별하는 구조이므로, 1군데의 온도 데이터만을 근거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을 감지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1 is determ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1, only one temperature data is used. On the basis of thi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accuracy deter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1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detecting the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1.

또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므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발기(1)의 "아이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차실내의 냉방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cing occurrence discri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1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1 can be quickly responded, thereby quickly "icinging" the evaporator 1. It can remove, and as a result, the cooling performance in a vehicle interior can be improved.

또한, 증발기(1)의 "아이싱"을 제거할 시에는, 증발기(1)를 통과한 덥고 습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유도하는 구조이므로, 증발기(1)의 "아이싱" 제거 시에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removing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since the hot and humi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 is dir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when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removed The comfort of the room can be improved.

또한, 증발기(1)의 "아이싱"을 제거할 시에,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높여 증발기(1)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구조이므로, 증발기(1) 표면의 "아이싱"을 신속하게 제거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removing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sinc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blower 5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air volume of the air blown to the evaporator 1 side, the "icing" of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Can be removed quickly.

[제 2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Next,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실시예의 공조장치는,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의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가, 증발기(1)의 상,하측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of the icing generation determining means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vaporator 1, respectively. Has a structure to be installed.

이렇게 설치된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는, 증발기(1)의 상,하측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고, 감지된 증발기(1) 상,하측 하류의 공기온도 데이터들을 제어부(40)에 입력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installed in this way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vaporator 1, respectively, and detect the air temperature above and below the evaporator 1, respectively. The data is input to the controller 40.

제어부(40)는, 도 5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증발기(1) 상,하측 하류의 공기온도 데이터가 각각 입력되면, 입력된 증발기(1) 상,하측의 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편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5 and 2, when the air temperature data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1 is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respective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air temperature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vaporator 1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판단 결과, "기준온도편차" 이상이면,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하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를 컷오프시킨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the "icing phenomenon" h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and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One control part 40 cuts off the compressor 3 of an air conditioner.

따라서,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하여 증발기(1)의 아이싱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Therefore,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is blocked to prevent the icing phenomenon of the evaporator 1 at its source.

한편, 제어부(40)는, 상술한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아이싱 방지 모드" 진입 시에, 각 모드도어(10, 12, 14)를 "플로어 모드"로 제어하고,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기준단수"로 상승시킨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each of the mode doors 10, 12, 14 to the "floor mode" when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the blower 5 Raise the number of revolutions to "standard number".

또한, 제어부(40)는,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2개의 온도 간의 온도편차가 "기준온도편차" 이상이더라도,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의 온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 1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만,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even if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two temperatures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deviation”. Only when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data of 34) is less than the " first reference temperature ", it is configured to enter the "icing prevention mode".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의 온도 데이터 중, 증발기(1)의 상측부분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의 온도 데이터가 "3℃" 미만일 경우에만,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하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the "icing prevention mode" only when the temperature data of the temperature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is set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is less than "3 ° C". Is configured to enter.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증발기(1)의 상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온도가 "3℃" 이상일 시에는,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될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is " 3 ° C. " or highe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icing"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is very low.

그리고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후,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온도 데이터들 모두가 "제 1기준온도"보다 높은 "제 2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증발기(1)의 "아이싱"이 완전히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되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와 각 모드도어(10, 12, 14)와 블로어(5)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After the entry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controller 40 include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in which all of the temperature data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ar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n case of abnormality, the control unit 40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judged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has been completely eliminated, and the control unit 40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ar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Each mode door 10, 12, 14 and blower 5 are returned to an original state.

이러한 구조의 제어부(40)는,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40 having such a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제 2실시예의 제어부(40)는, 내장된 "기준온도편차"가, "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unit 40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built-in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is set to "5 degreeC".

이렇게 설정한 이유는, 시험결과, 증발기(1) 하측의 상,하측을 통과한 공기온도간의 온도편차가 "5℃" 이상일 시에,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 발생"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setting is that, when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air temperatures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1 is "5 ° C" or more, "icing generation" start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Because it appeared.

특히, 증발기(1)의 하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증발기(1)의 상측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에 비해, 5℃이상 높을 시에,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 발생"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 is 5 ° C. or mo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evaporator 1, “icing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Because it appeared to begin.

통상적으로, 증발기(1)의 하측부분에는 표면 응축수들이 모여있고, 이러한 표면 응축수들로 인해 증발기(1)의 하측부분부터 "아이싱"이 발생되며, 증발기(1) 하측부분의 "아이싱" 때문에 증발기(1) 하측부분의 공기 통과량이 급격하게 줄어든다. Typically, surface condensate is colle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 and the surface condensate causes "ic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 and evaporator because of the "icing" of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 (1) The air passage in the lower part decreases drastically.

따라서, 증발기(1)의 하측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증발기(1)의 상측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보다 높을 수 밖에 없으며, 이로써, 증발기(1)의 하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증발기(1)의 상측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에 비해, 얼마 이상 높은지를 감안하면,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must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thereb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Considering how much higher the temperature is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1.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2실시예의 작동예를 도 2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6.

먼저,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201), 증발기(1)의 상,하측을 통과한 공기온도 중, 상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온도가 "제 1기준온도"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203). 예를 들면, 3℃ 미만인지를 판단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S2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vaporator 1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S203). For example, it is judged whether it is less than 3 degreeC.

판단 결과, 증발기(1)의 상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온도가 3℃ 미만이면,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상,하측을 통과한 2개의 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가 "기준온도편차"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205). 예를 들면, 증발기(1)의 하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온도가, 증발기(1)의 상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온도 보다 5℃ 이상인지를 판단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is less than 3 ° C.,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two air temperatures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vaporator 1 is “reference temperature.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or not the difference is "deviation" (S205). For example, it is judged whether the air temperature which passed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 is 5 degreeC or more than the air temperature which passed the upper part of the evaporator 1.

판단 결과, 5℃ 이상이면,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다(S207).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at "icing" h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and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if it is 5 degrees C or more (S207).

그리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를 컷오프시키고, 각 모드도어(10, 12, 14)를 "플로어 모드"로 제어하며,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기준단수"로 상승시킨다(S209).Then, the control unit 40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cuts off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controls the respective mode doors 10, 12, and 14 in the "floor mode", and rotates the blower 5. The number of stages is raised to the "standard stage" (S209).

그러면,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가 차단되면서 증발기(1)의 "아이싱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증발기(1)를 통과한 덥고 습한 공기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되면서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킨다. 그리고 증발기(1)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되면서 증발기(1)의 아이싱이 신속하게 제거된다.Then, while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is blocked, the "icing phenomenon" of the evaporator 1 is prevented. And hot and humi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 is dischar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to improve the comfort in the vehicle interior. And as the air volume of the air blown to the evaporator 1 side increases,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removed quickly.

한편,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후,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을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50)상에 표시한다(S209). 그러면, 사용자가 현재 증발기(1)의 "아이싱"이 처리 중인 것을 인지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entry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control unit 40 displays the entry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on the display unit 50 of the controller (S209). The user then knows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currently being processed.

다시,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증발기(1)의 상,하측을 통과한 공기온도 모두가 "제 2기준온도"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211). 예를 들면, 10℃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2 and 6, the controller 40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vaporator 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e recognition is again determined (S211).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it is 10 degreeC or more.

판단 결과, 10℃ 이상일 경우에는, 증발기(1)의 "아이싱"이 완전히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다(S213).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it is 10 degreeC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completely eliminated, and it is canceled |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S213).

그리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와 각 모드도어(10, 12, 14)와 블로어(5)와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5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S215). 그러면, 공조장치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된다.The controller 40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resets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the mode doors 10, 12, 14, the blower 5, and the display unit 50 of the controller to their original state. It returns to (S215). The air conditioner then operates normally agai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2실시예의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여부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증발기(1)의 상,하측 공기의 "온도편차"를 근거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을 판별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evaporator 1 is based on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upper and lower air of the evaporator 1, which reacts sensitively depending on whether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occurs. Since the structure of discriminating the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1, the "accuracy of the icing generation discri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1 can be remarkably increased.

또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므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발기(1)의 "아이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cing occurrence discri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1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1 can be quickly responded, thereby quickly "icinging" the evaporator 1. Can be removed.

[제 3실시예]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7과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Next,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실시예의 공조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을 판별하는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을 구비하되,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은,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과,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에서 입력된 "블로어 회전속도"를 통해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을 판별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air conditioner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icing occurrence determining means 30 for determining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1, wherein the icing occurrence determining means 30 includes a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60 and the control unit 40 for determining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1 through the "blower rotational speed" input from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60.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은, 블로어(5)의 인가전압을 감지하는 블로어 전압센서(62)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블로어 전압센서(62)는, 블로어(5)의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블로어(5)의 회전속도를 감지한다.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on means is composed of a blower voltage sensor 62 for sensing the applied voltage of the blower 5, the blower voltage sensor 62 configured in this way, by detecting the voltage of the blower 5, the blower 5 Detect the rotation speed of).

제어부(40)는,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으로부터 "블로어 회전속도"가 입력되면, 입력된 "블로어 회전속도"가,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한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 대비, 미리 설정된 "제 1기준비율" 이상으로 저감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 대비, 70% 이상으로 저감되었는지를 판단한다.The controller 40, when the "blower rotational speed" is input from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on means 60, the input "blower rotational speed" is compared with the "blower control rotational speed" of the normal conditions by automatic control or manual contro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duc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reference ratio."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duction is 70% or more compared to the "blower control rotation speed" of the normal condition.

판단 결과,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의 "블로어 회전속도"가,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 대비, 70% 이상으로 저감되었으면,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되어 통기저항이 발생되고, 발생된 통기저항 때문에 블로어(5)의 회전속도가 저감되는 것으로 판단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blower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on means 60 is reduced to 70% or more compared with the "blower control rotational speed" of a normal condition, the control part 40 will be made to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Icing" is generated to generate a ventilation resistanc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is reduced because of the generated ventilation resistance.

그리고 이러한 판단이 들면,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하면서 에어컨의 압축기(3)를 컷오프시킨다. 따라서,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하여 증발기(1)의 아이싱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When the determination is made, the control section 40 cuts off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whil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refore,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is blocked to prevent the icing phenomenon of the evaporator 1 at its source.

여기서, 제어부(40)는,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의 "블로어 회전속도"를,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에 대한, 비율(%)값으로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control unit 40 has a built-in program for calculating the "blower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on means 60 as a ratio (%) value with respect to the "blower control rotational speed" of a normal condition. Of course.

또한, 제어부(40)는,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한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 값들을 다양하게 저장하고 있다. 특히, "공기토출모드별" 및, "템프도어(70)의 개도위치별"로 다양하게 저장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variously stores the "blower control rotation speed" values of the normal condition by the automatic control or the manual control. In particular, it stores variously by "air discharge mode" and "by opening position of the temp door 70".

따라서,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여부를 판단할 시에, 현재의 "공기토출모드"와 "템프도어(70)의 개도위치"에 대응되는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를 검출한 다음, 검출된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와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의 "블로어 회전속도"를 비교 처리하여,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when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cing occurs in the evaporator 1, the "blower" of the normal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ir discharge mode" and "opening position of the temp door 70" is determined. After detecting the control rotational speed, the "blower control rotational speed" of the detected normal condition and the "blower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60 are compared and processed, and the "icing occurrence" of the evaporator 1 is determined. Is configured to determine.

한편, 제어부(40)는, 상술한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아이싱 방지 모드" 진입 시에, 각 모드도어(10, 12, 14)를 "플로어 모드"로 제어하고,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기준단수"로 상승시킨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each of the mode doors 10, 12, 14 to the "floor mode" when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the blower 5 Raise the number of revolutions to "standard number".

또한,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후,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의 "블로어 회전속도"와,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를 계속해서 비교한다.Moreover, the control part 40 continuously compares the "blower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on means 60, and the "blower control rotational speed" of a normal condition after entering into the "icing prevention mode."

이때,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에 대한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의 "블로어 회전속도" 비율이, "제 1기준비율"보다 높은 "제 2기준비율"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예를 들면, 90%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아이싱"이 제거되어 블로어(5)의 회전속도가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된 것으로 판단한다.At this time, when the "blower rotational speed" ratio of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60 to the "blower control rotational speed" of the normal condition is raised to the "second reference ratio"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ratio", For example, when rising to 90% or more,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has been removed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has been restored to its normal state.

그리고 이러한 판단이 들면,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되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와 각 모드도어(10, 12, 14)와 블로어(5)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When the determination is made, the controller 40 is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the controller 40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includes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and each of the mode doors 10, 12, and 14. And the blower 5 to the original state.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3실시예의 작동예를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먼저,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301), 블로어(5)의 현재 회전속도가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 대비, "제 1기준비율" 이상으로 저감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3). 예를 들면,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 대비, 70% 이상으로 저감되었는지를 판단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S3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is reduced to "first reference ratio" or more compared to the "blower control rotational speed" of the normal condition ( S303).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duction is 70% or more compared to the "blower control rotation speed" of the normal condition.

판단 결과, 70% 이상으로 저감되었으면,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아이싱" 때문에 블로어(5)의 회전속도가 저감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다(S305).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reduced to 70% or more,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is reduced due to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and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S305). .

그리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를 컷오프시키고, 각 모드도어(10, 12, 14)를 "플로어 모드"로 제어하며,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기준단수"로 상승시킨다(S307).Then, the control unit 40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cuts off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controls the respective mode doors 10, 12, and 14 in the "floor mode", and rotates the blower 5. The number of stages is raised to the "standard stage" (S307).

그러면,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가 차단되면서 증발기(1)의 "아이싱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증발기(1)를 통과한 덥고 습한 공기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되면서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킨다. 그리고 증발기(1)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되면서 증발기(1)의 아이싱이 신속하게 제거된다.Then, while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is blocked, the "icing phenomenon" of the evaporator 1 is prevented. And hot and humi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 is dischar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to improve the comfort in the vehicle interior. And as the air volume of the air blown to the evaporator 1 side increases,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removed quickly.

한편,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후,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을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50)상에 표시한다(S307). 그러면, 사용자가 현재 증발기(1)의 "아이싱"이 처리 중인 것을 인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 displays the entry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on the display unit 50 of the controller after the entry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S307). The user then knows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currently being processed.

다시,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의 "블로어 회전속도"가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 대비, "제 2기준비율" 이상으로 상승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309). 예를 들면, 정상조건의 "블로어 제어 회전속도" 대비, 90% 이상으로 상승되었는지를 판단한다.7 and 8 again, the controller 40 enters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the "blower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rotation speed detecting means 60 is "blower control rotation" under normal conditions.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it has risen above the "second reference ratio" relative to the "speed" (S309). For example, it is judged whether it has risen more than 90% compared with the "blower control rotation speed" of a normal condition.

판단 결과, 90% 이상으로 상승되었으면, 제어부(40)는, 증발기(1)의 "아이싱"이 제거되어 블로어(5)의 회전속도가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된 것으로 판단하여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다(S311).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has risen to 90% or more,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has been restored to its normal state by removing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and releasing it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It becomes (S311).

그리고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에어컨의 압축기(3)와 각 모드도어(10, 12, 14)와 블로어(5)와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5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S313). 그러면, 공조장치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된다.The controller 40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resets the compressor 3 of the air conditioner, the mode doors 10, 12, 14, the blower 5, and the display unit 50 of the controller to their original state. It returns to (S313). The air conditioner then operates normally agai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3실시예의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여부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블로어(5)의 회전속도를 감안하여 증발기(1)의 "아이싱"을 감지하는 구조이므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third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sensed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which reacts sensitively depending on whether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occurs. As a result, the "accuracy deter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1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또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판별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므로,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발기(1)의 "아이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cing occurrence discrimination accuracy" of the evaporator 1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cing generation" of the evaporator 1 can be quickly responded, thereby quickly "icinging" the evaporator 1. Can be remo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증발기 3: 압축기
5: 블로어(Blower) 10, 12, 14: 모드도어(Mode Door)
20: 아이싱 방지장치 30: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
32: 제 1증발기 온도센서 34: 제 2증발기 온도센서
40: 제어부 50: 디스플레이부
60: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 62: 전압센서
70: 템프도어(Temp. Door)
1: evaporator 3: compressor
5: Blower 10, 12, 14: Mode Door
20: icing prevention device 30: icing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32: first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 34: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
40: control unit 50: display unit
60: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on means 62: voltage sensor
70: Temp.Door

Claims (2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5)와, 압축기(3)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로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의 모드도어(10, 12, 14)들 및,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7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과;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에서 상기 증발기(1)의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압축기(3)를 컷 오프(Cut-Off)시켜 상기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모드도어(10, 12, 14)들을 플로어 모드(Floor Mode)로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1)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단수로 상승시켜, 상기 증발기(1)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은,
상기 증발기(1)의 하측부분 좌,우측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의 하측부분 좌,우측에 대응되는 상기 증발기(1)의 하류부분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증발기 센서(32, 34)와;
상기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상기 증발기(1)의 좌,우측 하류의 공기온도들 간의 온도편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편차 이상일 시에 상기 증발기(1)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상기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Blower 5 for sucking inside and outside air and blowing it into the cabin, the evaporator 1 for cooling the air blown into the cabin with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3,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blown into the cabin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ode doors (10, 12, 14) for adjusting the, and the temp door 7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blown into the vehicle cabin,
Icing generation determining means (3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cing h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generated by the icing occurrence determining means 30, the compressor 3 is cut off and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whil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Control unit 40 to block the refrigerant to be discharged, and to control the mode door (10, 12, 14) in the floor mode (Floor Mode) to discharg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40,
Upon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number of rotation stages of the blower 5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stage,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evaporator 1 side,
The icing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30,
In order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the interval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downstream portions of the evaporator 1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First and second evaporator sensors 32 and 3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cing on the evaporator 1 when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downstream air temperatures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Vehicle control unit comprising the control unit 40 to determine that the generated.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5)와, 압축기(3)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로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의 모드도어(10, 12, 14)들 및,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7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과;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에서 상기 증발기(1)의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압축기(3)를 컷 오프(Cut-Off)시켜 상기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모드도어(10, 12, 14)들을 플로어 모드(Floor Mode)로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1)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단수로 상승시켜, 상기 증발기(1)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은,
상기 증발기(1)의 상,하측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의 상,하측에 대응되는 상기 증발기(1)의 하류부분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증발기 센서(32, 34)와;
상기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상기 증발기(1)의 상,하측 하류의 공기온도들 간의 온도편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편차 이상일 시에 상기 증발기(1)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상기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Blower 5 for sucking inside and outside air and blowing it into the cabin, the evaporator 1 for cooling the air blown into the cabin with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3,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blown into the cabin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ode doors (10, 12, 14) for adjusting the, and the temp door 7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blown into the vehicle cabin,
Icing generation determining means (3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cing h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generated by the icing occurrence determining means 30, the compressor 3 is cut off and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whil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Control unit 40 to block the refrigerant to be discharged, and to control the mode door (10, 12, 14) in the floor mode (Floor Mode) to discharg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40,
Upon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number of rotation stages of the blower 5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stage,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evaporator 1 side,
The icing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30,
Installed at intervals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1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vaporator 1 so as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vaporator 1,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evaporator sensors (32, 34);
Icing the evaporator 1 when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ir temperatures of the evaporator 1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Vehicle control unit comprising the control unit 40 to determine that the genera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상기 증발기(1)의 상,하측 하류의 공기온도들 중, 상기 증발기(1)의 하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온도가, 상기 증발기(1)의 상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온도 보다 기준온도편차 이상 높을 시에, 상기 증발기(1)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40,
Among the air temperatures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1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 is the evaporat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icing has occurred in the evaporator (1) when the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is higher than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1).
삭제delet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의 좌,우측 하류의 공기온도들 간의 온도편차와 비교하여 상기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온도편차는,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downstream air temperatures of the evaporator (1),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6 ℃.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증발기(1)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더라도, 상기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공기온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제 1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만,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The control unit 40,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icing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 only when at least one of the air temperature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is low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o enter the icing prevention mode.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증발기(1)의 상,하측 하류의 공기온도들 간의 온도편차와 기준온도편차를 비교하여 상기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여부를 판별할 시에는,
상기 증발기(1)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더라도, 상기 증발기(1)의 상측부분을 통과한 공기온도가 제 1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만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air temperatures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1 and the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icing of the evaporator 1 occurs,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cing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only when the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ir conditioning system.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후, 상기 제 1 및 제 2증발기 온도센서(32, 34)에서 입력된 공기온도들 모두가 상기 제 1기준온도보다 높은 제 2기준온도 이상일 시에,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압축기(3)와 각 모드도어(10, 12, 14)와 블로어(5)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40,
After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when all of the air temperatures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s 32 and 34 are above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icing prevention mod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returning the compressor (3), each mode door (10, 12, 14) and blower (5) to its original stat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에 내장된 상기 제 1기준온도는 3℃이고, 상기 제 2기준온도는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embedded in the control unit 40 is 3 ℃,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is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10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과 해제 시에, 공조장치 제어용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50)상에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과 해제를 특정 문자 또는 기호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40,
When entering and releas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y and release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on the display unit (50) of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in a specific character, symbol or picture.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5)와, 압축기(3)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로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의 모드도어(10, 12, 14)들 및,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7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의 표면에 아이싱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과;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에서 상기 증발기(1)의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아이싱 방지 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압축기(3)를 컷 오프(Cut-Off)시켜 상기 증발기(1)로 공급되는 냉매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모드도어(10, 12, 14)들을 플로어 모드(Floor Mode)로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1)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단수로 상승시켜, 상기 증발기(1)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아이싱 발생 판별수단(30)은,
상기 블로어(5)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과;
상기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으로부터 입력된 블로어(5)의 현재 회전속도가,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한 정상조건에서의 블로어(5)의 회전속도 대비, 미리 설정된 제 1기준비율 이상으로 저감될 시에, 상기 증발기(1)에 아이싱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상기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Blower 5 for sucking inside and outside air and blowing it into the cabin, the evaporator 1 for cooling the air blown into the cabin with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3,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blown into the cabin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ode doors (10, 12, 14) for adjusting the, and the temp door 7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blown into the vehicle cabin,
Icing generation determining means (3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cing has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generated by the icing occurrence determining means 30, the compressor 3 is cut off and supplied to the evaporator 1 whil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Control unit 40 to block the refrigerant to be discharged, and to control the mode door (10, 12, 14) in the floor mode (Floor Mode) to discharg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40,
Upon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number of rotation stages of the blower 5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stage,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evaporator 1 side,
The icing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30,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60) for detect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The current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input from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6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first reference ratio relative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under normal conditions by automatic control or manual control. And a control unit (40) for discriminating that icing has occurred in the evaporator (1) when it is reduce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한 공기토출모드별 및 템프도어(70)의 개도위치별, 정상조건의 블로어(5) 회전속도 값들을 다양하게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여부를 판단할 시에, 현재의 공기토출모드와 템프도어(70)의 개도위치에 대응되는 정상조건의 블로어(5) 회전속도를 검출한 다음, 검출된 정상조건의 블로어(5) 회전속도와 상기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에서 입력된 블로어(5)의 회전속도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40,
By the air control mode by the automatic control or manual control and by the opening position of the temper door 70, the rotational speed values of the blower (5) of the normal conditions are variously stored,
In determining whether the evaporator 1 has an i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in the normal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ir discharge mode and the opening position of the temporal door 70 is detected, and then the detected normal condition is detected. Compa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input from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6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후, 정상조건에서의 블로어(5) 회전속도에 대한 상기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의 블로어(5) 회전속도 비율이, 상기 제 1기준비율보다 높은 제 2기준비율 이상으로 상승될 시에,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압축기(3)와 각 모드도어(10, 12, 14)와 블로어(5)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unit 40,
After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ratio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of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60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in the normal condition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ratio. When raised abov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which is released from the icing prevention mode and returns the compressor (3), each of the mode doors (10, 12, 14) and the blower (5) to their original stat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에 내장된 상기 제 1기준비율은 70%이고, 상기 제 2기준비율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reference ratio built in the control unit 40 is 70%, the second reference ratio is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9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과 해제 시에, 공조장치 제어용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50)상에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과 해제를 특정 문자 또는 기호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40,
When entering and releas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y and release of the icing prevention mode on the display unit (50) of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in a specific character, symbol or picture.
제 14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회전속도 감지수단(60)은,
상기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시에, 통기저항 증가로 인해 상기 블로어(5)의 회전속도 저감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블로어(5)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블로어(5)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블로어 전압센서(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8,
The blower rotational speed detecting means 60,
When the icing of the evaporator 1 occurs, by detecting the voltage of the blower (5)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due to the increased ventilation resistan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5) is sensed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wer voltage sensor (62).

제 4항, 제 5항,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 진입 전의 상기 블로어(5)의 회전단수가 상기 기준단수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의 진입 시, 상기 아이싱 방지 모드 진입 전의 블로어(5)의 회전단수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5 and 14,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blower 5 befor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blower 5 before entering the icing prevention mode is maintained as it is when the icing prevention mode is entered.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의 상,하측 하류의 공기온도들 간의 온도편차와 비교하여 상기 증발기(1)의 아이싱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온도편차는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reference temperature devi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icing of the evaporator (1)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air temperature of the upper, lower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1)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KR1020140172225A 2014-12-03 2014-12-03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0605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25A KR102060512B1 (en) 2014-12-03 2014-12-03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25A KR102060512B1 (en) 2014-12-03 2014-12-03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285A KR20160067285A (en) 2016-06-14
KR102060512B1 true KR102060512B1 (en) 2019-12-31

Family

ID=5619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225A KR102060512B1 (en) 2014-12-03 2014-12-03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51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8769A (en) * 2003-03-10 2004-09-30 Denso Corp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8769A (en) * 2003-03-10 2004-09-30 Denso Corp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285A (en)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428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US10017029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KR101475794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6702206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2295490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060512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4967779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60686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19280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160013310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935773B1 (en)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61584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649685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48005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619400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170022340A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exhaust gas inflow in vehicle
KR10195368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650905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90090642A (en) Display controlling method of fog probability in a car
KR101645184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140098541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171923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965651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229974B1 (en) Control apparatus of automotive vehicles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613356B1 (en) Blower control method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