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346B1 - 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346B1
KR102060346B1 KR1020170156357A KR20170156357A KR102060346B1 KR 102060346 B1 KR102060346 B1 KR 102060346B1 KR 1020170156357 A KR1020170156357 A KR 1020170156357A KR 20170156357 A KR20170156357 A KR 20170156357A KR 102060346 B1 KR102060346 B1 KR 10206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housing
auxiliary heater
hea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8927A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346B1/en
Publication of KR2019005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3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1Heat exchangers, burners, igni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 및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칵핏모듈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상기 차량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cockpit module and the front glass window inside the vehicl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ckpit module and discharged upward from the cockpit module A housing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air to be discharged;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heat the sucked air and a blowing unit for blowing air heated from the heating unit to be discharged into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과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각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기 전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서 나오는 공기를 재가열시켜 차량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고 전면 유리창에 발생한 얼음 및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more specifically, installed between the cockpit module and the front glass window inside the vehicle to reheat the air from the top of the cockpit module befor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of the vehicle is sufficiently raised inside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that supplies warm air to and easily removes ice and frost generated from a windshield.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히터는 냉각수의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한 후, 가열된 공기를 에어덕트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the heater provided in the vehicle is configured to heat the air using the heat of the cooling water, and then supply the heated air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rough the air duct.

그런데, 이러한 히터는 차량의 냉각수의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므로, 공기가 충분히 가열되기 위해서는 엔진과 냉각수가 충분히 뜨거워져야 한다.However, since the heater heats the air by using the heat of the cooling water of the vehicle, the engine and the cooling water must be sufficiently hot in order for the air to be sufficiently heated.

따라서, 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엔진이 충분히 가열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그전까지 냉풍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warm air, it is necessary to wait until the engine is sufficiently he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ld air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until then.

특히, 히터를 주로 사용하는 겨울철에는 공기 역시 차가워져 있으므로, 온풍이 발생될 때까지 비교적 긴 시간(5분 이상)이 걸리게 되며, 운전자가 엔진과 냉각수가 뜨거워질 때까지 예열운전을 하므로, 불필요하게 연료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winter when the heater is mainly used, the air is also cold, so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more than 5 minutes) to generate a warm air, and the driver preheats the engine and the coolant until it is hot. There was a problem of consuming fuel.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히팅 시트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부가장치는 몸이 접촉되는 부분만 따뜻하게 가열할 수 있어서, 운전자나 승객이 빠른 시간 내에 충분한 온기를 느끼기는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various additional devices, such as heating seats, have been used to solve this problem. However, these additional devices can heat only the part where the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was an insufficient problem.

또한, 차량의 히터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히터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한 냉풍을 가열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차량의 히터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설치할 수 없고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method of heating the cold air generated by using an auxiliary heater device installed in the heater of the vehicle, but these conventional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heater of the vehicle, so that the user is not easy to install and is not easy to attach or detach. there was.

또한, 히터 내부에 설치되어 고장 등이 발생되었을 경우 차량을 뜯어 수리할 수 밖에 없어 수리 및 교체가 불편하고 이에 따른 비용 및 시간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installed inside the heater has a problem that the repair and replacement is inconvenient, and the cost and time consumption is large because there is no choice but to repair the vehicle by tearing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과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각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기 전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서 나오는 공기를 재가열시켜 차량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고 전면 유리창에 발생한 얼음 및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cockpit module and the front glass window inside the vehicle to reheat the air from the top of the cockpit module befor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of the vehicle is sufficiently raised to supply the warm air inside the vehicle And to provide an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easily remove the ice and frost generated in the front window.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 및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칵핏모듈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상기 차량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cockpit module and the front glass window inside the vehicl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ckpit module A housing for sucking and discharging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cockpit module;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heat the sucked air and a blowing unit for blowing air heated from the heating unit to be discharged into the vehicle.

또한, 상기 하우징은 배면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정면 중심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n inle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and an outlet formed on the front center.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정면 및 배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의 기울기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glass window,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glass window.

또한, 상기 열선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열선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정면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열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t wire part may include a first hot wire part form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hot wire part form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apparatus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배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 유리창의 기울기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of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a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glass window,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glass windo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정면 및 상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2개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n inle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two outlet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top surfaces.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정면 및 상면이 연결되는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정면의 배출구 및 상면의 배출구 중 하나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formed on the corner side that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is connected;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holder and rotating; Rotation moto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by rotating by the rotary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s heated by one of the outlet and the outlet of the upper surface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discharged. It is done.

또한, 상기 하우징은 배면 내측 중심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partition portion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rear surface to induce the movement of the sucked air.

또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면의 배출구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의 배출구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er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blower for blowing air heated to the outlet of the front and the second formed inside the bottom of the housing to blow air heated to the outlet of the upper surface It may include a blow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과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각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기 전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서 나오는 냉풍을 재가열시켜 차량 내부에 바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cockpit module and the front glass window inside the vehicle to reheat the cold air from the upper end of the cockpit module befor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of the vehicle is sufficiently raised to directly warm air inside the vehicle Can be supplied.

이에 따라, 엔진과 냉각수가 가열될 때까지 차량을 공회전시키는 예열운전을 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하게 연료를 소비하지 않을 수 있다.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preheating operation of idling the vehicle until the engine and the coolant are heated, thereby avoiding unnecessary consumption of fuel.

또한, 전면 유리창에 발생한 얼음 및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ice and frost generated in the front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정면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측면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싱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도시한 저면투영도.
도 8은 도 5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의 개폐부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n installation example showing a front view of a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stallation example showing a side view of a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Figure 5 is an installation example showing a side view of a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seal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projection view showing an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5. FIG.
Figure 9 (a) an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discharging air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themselves,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 the repeated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정면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installation diagram showing a front view of a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측면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installation diagram showing a side view of a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A cross section of FIG. 2.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B cross section of FIG. 2.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는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CP) 및 전면 유리창(L) 사이에 설치되어 칵핏모듈(CP)의 상단에서 나오는 공기를 흡입하여 재가열할 수 있다.1 to 4, the auxiliary heater device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 cockpit module CP and a front windshield L inside a vehicle, It can be reheated by inhaling air from the top.

이를 위해,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는 하우징(100), 열선부(200), 송풍부(300), 전원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apparatus 1 may include a housing 100, a hot wire unit 200, a blower unit 300,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하우징(100)은 칵핏모듈(CP)의 상단에 설치되어 칵핏모듈(CP)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ckpit module CP to suck and discharge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cockpit module CP.

즉, 하우징(100)은 칵핏모듈(CP)의 상단에 형성된 에어덕트 위에 설치되어 에어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That is, the housing 100 may be installed on the air duct formed on the top of the cockpit module CP to suck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uct.

이러한 하우징(100)은 정면에서 칵핏모듈(CP)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는 칵핏모듈(CP)의 길이에 상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ckpit module (CP) from the front, the length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ckpit module (CP).

또한, 하우징(100)은 정면 및 배면이 하단부터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from the front to the rear.

또한, 하우징(100)의 상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전면 유리창(L)의 기울기와 상응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have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glass window (L).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칵핏모듈(CP) 및 전면 유리창(L) 사이에 저면 및 상면이 밀착되고, 양측면이 차량내측 측면에 딱 맞게 설치되어, 칵핏모듈(CP)의 상단 에어덕트에서 나오는 공기가 차량내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하우징(100)의 흡입구(110)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using 100 has a bottom and an upper surface closely contacted between the cockpit module CP and the front glass window L, and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are fit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housing 100 comes out of the upper air duct of the cockpit module CP. The air may be sucked into the inlet 110 of the housing 100 without escaping into the vehicle.

또한, 하우징(100)은 흡입구(110) 및 배출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n inlet port 110 and an outlet port 120.

흡입구(110)는 하우징(1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칵핏모듈(CP)에서 나오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The suction port 11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suck air from the cockpit module CP.

이러한 흡입구(110)는 배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배면 전체에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The suction port 11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but this is only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ction port 1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is formed on the entire rear surface. I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to inhale air.

배출구(120)는 하우징(100)의 정면에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에서 가열된 공기(온풍)를 차량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outlet 120 may be formed at the front of the housing 100 to discharge air (hot air) heated in the housing 100 into the vehicle.

이러한 배출구(120)는 하우징(100)의 정면 중심 상측에 형성되어 전면 유리창(L)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하우징(100)의 다양한 위치 및 형태로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온풍)를 배출할 수 있다.The outlet 120 is formed above the front center of the housing 100 to discharge the air he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indow (L), but this is only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00 It is formed in various positions and shapes to discharge heated air (hot air).

또한 배출구(120)는 하우징(100)의 정면 중심에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조절이 가능한 조절날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12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at the front center of the housing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blade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조절날개(미도시)는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하방향 조절되어 전면 유리창(L)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운전자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wing (not shown) can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it is adjusted up and down can discharge the air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glass (L), or can discharge the air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

열선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The hot wire unit 2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to heat the sucked air.

즉, 열선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공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That is, the hot wire unit 20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air to heat the air.

이러한 열선부(200)는 하우징(100)의 배면 내측에 형성된 제1 열선부(210) 및 하우징(100)의 정면 내측에 형성된 제2 열선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상면 내측에 형성된 것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t wire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hot wire unit 210 form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a second hot wire unit 220 formed in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further include a thing form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like.

송풍부(300)는 열선부(200)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차량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할 수 있다.The blowing unit 300 may blow the air heated from the hot wire unit 200 to be discharged into the vehicle.

즉, 송풍부(300)는 하우징(100)의 배면 내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를 배출구(120) 방향으로 송풍하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blowing unit 3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blow the heated air toward the discharge port 120 to facilitate the discharge.

전원부(미도시)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supply power to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1 to operate.

이러한 전원부(미도시)는 시거잭에 연결되는 것으로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별도의 전원공사가 필요없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Such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igar jack can receive the power of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1) can be used conveniently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또한, 전원부(미도시)는 배터리로 형성되어 충전하는 것으로, 별도의 전원연결 없이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s formed of a battery to charge, it can supply power to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1) without a separate power connection.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를 on 시키면 열선부(200) 및 송풍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고, off 시키면 열선부(200) 및 송풍부(300)의 작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not shown) may operate the heating unit 200 and the blowing unit 300 when the user turns on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1, and when the user turns off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200 and the blowing unit 300. You can let this stop.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not shown).

센서부(미도시)는 흡입구(110)측에 설치되고 흡입구(11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센싱하여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suction port 110 and may transmit a signal measured by sens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110 to the controller (not shown).

센서부(미도시)는 공기측정센서 및 공기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not shown) may include an air measurement sensor and an air temperature sensor.

공기측정센서는 흡입구(110)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속을 측정하여 흡입구(110)로 공기가 흡입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공기측정센서는 풍속센서 및 유량센서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구(110)로 공기가 흡입되는지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The air measurement sensor measures the flow rate or the wind speed of the air at the inlet port 110 so as to know whether the air is sucked into the inlet port 110. To this end, the air measurement sensor may be provided as one of the wind speed sensor and the flow rate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sensors may be used to measure whether air is sucked into the inlet 110.

공기온도센서는 흡입구(11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온도센서는 온도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구(11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The air temperature sensor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110. To this end, the air temperature sensor may be provided as a temperature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use various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110.

이러한 센서부(미도시)는 공기의 온도와 유량 또는 풍속을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not shown) may measure the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or the wind speed of the air to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공기의 온도와 유량 또는 풍속의 측정값을 전송받아, 공기의 온도 및 흡입구(110)로 공기흡입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receive the measured values of the air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or the wind speed from the sensor unit (not shown), and determine whether the air intake to the air temperature and the suction port 110.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흡입구(110)로 공기가 흡입되고 기설정된 온도보다 공기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낮을 경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operate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1 when the air is sucked into the inlet 110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air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측정값을 전송받아 흡입구(110)로 공기가 흡입되고 있더라도 공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이상일 경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not shown) stops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heater device 1 for a vehic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even though the air is being sucked to the suction port 110 by receiving the measured value from the sensor unit (not shown). You can.

따라서,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는 칵핏모듈(CP)의 상단에서 공기가 나오고 그 공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만 자동으로 작동하여 공기를 재가열하여 차량 내부에 온풍을 배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1 may automatically operate only when the air comes out from the top of the cockpit module CP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is low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to reheat the air to discharge the warm air inside the vehicle. .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installation diagram showing a side view of a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싱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6 (a) and 6 (b)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seal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도시한 저면투영도다.7 is a bottom projection view showing an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5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C cross section of FIG. 5.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의 개폐부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9 (a) and 9 (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tate of discharging air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2)는 하우징(10), 열선부(20), 송풍부(30), 전원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5 to 9,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heating wire part 20, a blower part 30, a power supply part (not shown), and a control part. (Not shown).

여기서 하우징(10), 열선부(20) 및 송풍부(30)의 위치, 개폐부(13)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2)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와 동일하다.Here,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positions of the housing 10, the heating wire part 20 and the blower part 30, and the opening / closing part 13,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the same as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1 of the first embodiment.

따라서, 하우징(10), 열선부(20) 및 송풍부(30)의 위치, 개폐부(13)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positions of the housing 10, the hot wire unit 20, the blower unit 30, and the opening / closing unit 13 will be described.

하우징(10)은 배면이 상단부터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have a rear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top to the front.

이러한 하우징(10)의 배면은 전면 유리창(L)의 기울기와 상응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windshield (L).

이에 따라, 하우징은 칵핏모듈(CP) 및 전면 유리창(L) 사이에 저면 및 배면이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10)가 칵핏모듈(CP)의 상단 에어덕트 위치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ousing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he back between the cockpit module CP and the front glass window L, and the suction port 110 formed at the bottom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air duct position of the cockpit module CP. can do.

여기서, 배면이 전면 유리창(L)에 밀착되는 것일 가장 바람직하나 차량에 따라 밀착되지 않을 수 있고, 흡입구(11)가 상단 에어덕트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단 에어덕트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유출되지 않고 흡입구(11)로 흡입될 수 있다.Here, the back surface is most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window (L), but may not be in close contact according to the vehicle, the inlet 11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air duct so that the air from the upper air duct does not flow out the inlet (11) can be inhaled.

또한, 하우징(10)은 흡입구(11) 및 배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0 may include an inlet 11 and an outlet 12.

흡입구(11)는 하우징(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저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11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배출구(12)는 하우징(10)의 정면 및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정면 및 상면 중심에 각각 형성되어 2개가 형성되어, 전면 유리창(L) 또는 운전석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하우징(10)의 다양한 위치 및 형태로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온풍)을 배출할 수 있다. The outlets 12 may be formed at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and two outlets 12 may be formed to receive air he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indshield L or the driver's seat. Although it may be discharged, this is only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and shapes of the housing 10 to discharge heated air (hot air).

또한, 하우징(10)은 개폐부(13) 및 격벽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3 and a partition wall portion 14.

개폐부(13)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12.

이를 위해, 개폐부(13)는 고정대(13a), 회전축(미도시), 회전모터(미도시) 및 개폐판(13b)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 may include a fixing stand 13a, a rotating shaft (not shown), a rotating motor (not shown), and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13b.

고정대(13a)는 하우징(10)의 정면 및 상면이 연결되는 모서리측에 형성될 수 있다.Fixing plate 13a may be formed at a corner side to which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housing 10 are connected.

회전축(미도시)은 고정대(13a)에 양끝단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Rotating shaft (not shown) may be fixed to be rotatable by inserting both ends to the holder 13a.

회전모터(미도시)는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rotating moto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not shown)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not shown).

개폐판(13b)은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하여 배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판(13b)은 상단이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고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하여 상측으로 회전하여 상면의 배출구(12)를 닫을 수 있고, 하측으로 회전하여 정면의 배출구(12)를 닫을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3b may rotate by a rotation shaft (not shown)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12.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3b has an upper end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not shown), rotated by a rotating shaft (not shown), and rotated upward to close the outlet 12 on the upper surface, and rotate downward to discharge the front outlet 12. Can be closed.

이와 같이, 개폐부(13)에 의해 정면의 배출구(12) 및 상면의 배출구(12) 중 하나를 닫아 닫히지 않은 배출구(12)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13 may close the one of the front outlet 12 and the upper outlet 12 to control the heat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unopened outlet 12.

이러한 개폐부(13)를 제어부(미도시)가 사용자가 전면 유리창(L)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설정하면 개폐부(13)의 회전모터(미도시)를 작동시키고 개폐판(13b)이 하측으로 회전하여 정면의 배출구(12)를 닫아 상면의 배출구(12)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f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set such that the user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glass window (L),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 operates a rotating motor (not shown)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3b rotates downward to face the front. By closing the outlet 12 of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12 of the upper surface.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설정하면 개폐부(13)의 회전모터(미도시)를 작동시키고 개폐판(13b)이 상측으로 회전하여 상면의 배출구(12)를 닫아 정면의 배출구(12)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not shown) when the user is set to discharge in the driver's seat direction to operate the rotary motor (not show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3b is rotated upwards to close the discharge port 12 of the upper surface front The outlet 12 of the air can be discharged.

격벽부(14)는 하우징(10)의 배면 내측 중심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여 열선부(20)에 의한 공기의 가열효율이 높고, 가열된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partition 14 may be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induce the movement of the sucked air, thereby increasing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air by the hot wire unit 20 and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the heated air. .

이러한 격벽부(14)는 저면측에서 바라봤을 때 단면이 'ㄷ'자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저면 양측에 형성된 흡입구(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14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c'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bottom, and may be formed between the suction ports 11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ttom.

이에 따라, 흡입구(11)로 흡입된 공기가 제1 열선부(21) 및 격벽부(14)의 측면에 형성된 제3 열선부(23)에 의해 가열되며 격벽부(14)에 의해 이동로가 형성되어 정면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면서 제2 열선부(22) 및 격벽부(14)의 정면에 형성된 제3 열선부(23)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며 배출구(12)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1 is heated by the third hot wire portion 23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hot wire portion 21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14, and the moving path is opened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14. As the air is moved to the front side, the air is heated by the third hot wire part 23 form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hot wire part 22 and the partition wall part 14,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let 12.

격벽부(14)가 하우징(10)에 형성되지 않을 경우 하우징(10)의 내부에 빈공간 면적이 넓어지면서 열선부(20)의 영향이 저하될 수 있고, 저면측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정면측 또는 상면측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If the partition 14 is not formed in the housing 10, the void area may be widened inside the housing 10 and the influence of the hot wire portion 20 may be reduced. Alternatively, since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upper surface side, air may not flow smoothly in the housing 10.

열선부(20)는 제1 열선부(21), 제2 열선부(22) 및 제3 열선부(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t wire part 20 may include a first hot wire part 21, a second hot wire part 22, and a third hot wire part 23.

제3 열선부(23)는 격벽부(14)에 형성될 수 있고, 격벽부(14)의 양측면 및 정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hot wire part 23 may be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part 14, and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and a front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4,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formed.

송풍부(30)는 제1 송풍부(31) 및 제2 송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30 may include a first blower 31 and a second blower 32.

제1 송풍부(31)는 하우징(10)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어 정면의 배출구(12)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격벽부(14)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격벽부(14)의 정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part 31 may be form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blow air heated by the outlet 12 of the front side, and when the partition part 14 is formed, It may be formed on the front.

제2 송풍부(32)는 하우징(10)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면의 배출구(12)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The second blowing unit 32 may be formed inside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to blow air heated by the outlet 12 of the upper surface.

이러한 송풍부(30)를 제어부(미도시)가 사용자가 전면 유리창(L)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설정하면 제2 송풍부(32)를 작동시킬 수 있고, 운전석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설정하면 제1 송풍부(31)를 작동시켜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set such that the user blows out the blower 30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indshield L, the blower 30 may operate the second blower 32. Can be controlled by operating (31).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과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각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기 전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서 나오는 냉풍을 재가열시켜 차량 내부에 바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cockpit module and the front glass window inside the vehicle to reheat the cold air from the top of the cockpit module befor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of the vehicle is sufficiently raised Hot air can be supplied directly inside the vehicle.

이에 따라, 엔진과 냉각수가 가열될 때까지 차량을 공회전시키는 예열운전을 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하게 연료를 소비하지 않을 수 있다.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preheating operation of idling the vehicle until the engine and the coolant are heated, thereby avoiding unnecessary consumption of fuel.

또한, 전면 유리창에 발생한 얼음 및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ice and frost generated in the front window.

CP: 칵핏모듈
L: 전면 유리창
1: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100: 하우징
110: 흡입구
120: 배출구
200: 열선부
210: 제1 열선부
220: 제2 열선부
300: 송풍부
2: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10: 하우징
11: 흡입구
12: 배출구
13: 개폐부
13a: 고정대
13b: 개폐판
14: 격벽부
20: 열선부
21: 제1 열선부
22: 제2 열선부
23: 제3 열선부
30: 송풍부
31: 제1 송푸부
32: 제2 송풍부
CP: Cockpit Module
L: front window
1: Vehicle auxiliary heater
100: housing
110: inlet
120: outlet
200: hot wire part
210: first hot wire portion
220: second heating element
300: blower
2: vehicle auxiliary heater
10: housing
11: inlet
12: outlet
13: opening and closing part
13a: holder
13b: opening and closing board
14: partition
20: heating element
21: first heating element
22: second heating element
23: third heating element
30: blower
31: First Songpubu
32: second blower

Claims (10)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 및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 형성된 에어덕트 위에 설치되어 상기 칵핏모듈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상기 차량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배면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정면 중심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정면 및 배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의 기울기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는,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조절이 가능한 조절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흡입구 측에 설치되고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센싱하여 측정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흡입구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속을 측정하는 공기측정센서 및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기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공기의 온도와 유량 또는 풍속의 측정값을 수신받아, 공기의 온도 및 상기 흡입구로의 공기흡입여부를 판별하고,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고 기설정된 온도 보다 상기 공기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In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installed between the cockpit module and the windshield inside the vehicle,
A housing installed on an air duc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ckpit module to suck and discharge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cockpit module;
A heating wire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heat the sucked air;
Including a blower for blowing so that the air heated from the hot wire portion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The housing,
Suction po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It includes an outle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The front and back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window,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window,
The outlet,
It includes a control wing that can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A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inlet side and sens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sensor unit,
Air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r wind speed of the inlet port
Including an ai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The control unit,
Receive measurement values of air temperature and flow rate or wind speed from the sensor unit to determine the air temperature and whether the air intake to the inlet,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when the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measured by the air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열선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정면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열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t wire portion,
A first hot wire portion form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econd heating wire portion formed inside the front of the housing.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 및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 형성된 에어덕트 위에 설치되어 상기 칵핏모듈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상기 차량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배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 유리창의 기울기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정면 및 상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2개의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조절이 가능한 조절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흡입구 측에 설치되고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센싱하여 측정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흡입구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속을 측정하는 공기측정센서 및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기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공기의 온도와 유량 또는 풍속의 측정값을 수신받아, 공기의 온도 및 상기 흡입구로의 공기흡입여부를 판별하고,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고 기설정된 온도 보다 상기 공기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In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installed between the cockpit module and the windshield inside the vehicle,
A housing installed on an air duc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ckpit module to suck and discharge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cockpit module;
A heating wire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heat the sucked air;
Including a blower for blowing so that the air heated from the hot wire portion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The housing,
The rea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window,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glass window,
Suction inle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Including two outlet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top surfaces,
The outlet,
It includes a control wing that can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A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inlet side and sens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sensor unit,
Air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r wind speed of the inlet port
Including an ai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The control unit,
Receive measurement values of air temperature and flow rate or wind speed from the sensor unit to determine the air temperature and whether the air intake to the inlet,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vehicle auxiliary heater device when the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measured by the air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정면 및 상면이 연결되는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정면의 배출구 및 상면의 배출구 중 하나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ixing rod is formed on the corner side that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is connected;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holder and rotating;
A rotating moto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to rotate by the rotary shaft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charging the heated air to on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배면 내측 중심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housing,
The auxiliary heater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partition portion formed in the rear inner cent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ucked ai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면의 배출구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의 배출구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blowing unit,
A first blower form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to blow air heated by the outlet of the front;
And a second blower formed inside the bottom of the housing to blow air heated by the outlet of the upper surface.
삭제delete
KR1020170156357A 2017-11-22 2017-11-22 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 KR1020603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57A KR102060346B1 (en) 2017-11-22 2017-11-22 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57A KR102060346B1 (en) 2017-11-22 2017-11-22 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27A KR20190058927A (en) 2019-05-30
KR102060346B1 true KR102060346B1 (en) 2019-12-30

Family

ID=6667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357A KR102060346B1 (en) 2017-11-22 2017-11-22 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3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732A (en) 2021-02-22 2022-08-31 제이비퀘스트 주식회사 Integrate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uxiliary device for vehicl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024A (en) 1999-01-29 2000-08-08 Zexel Corp Auxiliary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024A (en) 1999-01-29 2000-08-08 Zexel Corp Auxiliary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732A (en) 2021-02-22 2022-08-31 제이비퀘스트 주식회사 Integrate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uxiliary device for vehicl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27A (en)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53497A (en) In-car puts umbrella automatic blow-dry system
KR102060346B1 (en) 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
CN106766010A (en) A kind of indoor set heat-production control method, indoor set and air-conditioning
CN207702590U (en) Wall-hang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0992726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battery temperature of hybrid electric vehicle
JP2004203292A (en) Air conditioner for steering system
CN102950990B (en) Method and device for heating windows of a motor vehicle
CN205706056U (en) Venetian blind type abat-vent and use frost removal and the automobile of this abat-vent
CN202835672U (en) Heat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ar
CN206544520U (en) Electric car and its except defrosting system
CN105415856B (en) Vehicle glass quickly bakes film device
KR10090554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interior temperature of vehicle
KR101619104B1 (en) Air controlling method for vehicle air conditioner
CN110525257A (en) A kind of convenient and fast new energy sources for automobile device
KR101447724B1 (e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which is composed of the heater and hot air device
KR101250277B1 (en) A battery temperature arrang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KR101600300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SE468668B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ventilating the interior compartment of a parked vehicle
CN209130980U (en) A kind of electric heater of convection current
KR0185548B1 (en) Defroster for a car
CN110614897B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87635A (en) Valve for automobile heaters and ventilators
ITTO20010781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GROUP FOR THE CABIN OF A VEHICLE.
KR20040003780A (en) Frost removing device for a car window
KR200141334Y1 (en) Defroster for rear door glass of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