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297B1 -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297B1
KR102060297B1 KR1020190052747A KR20190052747A KR102060297B1 KR 102060297 B1 KR102060297 B1 KR 102060297B1 KR 1020190052747 A KR1020190052747 A KR 1020190052747A KR 20190052747 A KR20190052747 A KR 20190052747A KR 102060297 B1 KR102060297 B1 KR 102060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resin
unit
mold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경
Original Assignee
김황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황경 filed Critical 김황경
Priority to KR1020190052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7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having different col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29C48/901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of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관과 이 내관을 수용하는 외관의 이중관 구조를 갖는 통신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내관들을 외관과 동시에 성형하게 되는 통신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내관 압출 성형부는, 내관의 외피 성형용 수지를 압출하는 내관 외피 압출부와, 내관의 내피 성형용 수지를 압출하는 내관 내피 압출부와, 내관 외피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외피 성형용 수지 및 내관 내피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내피 성형용 수지를 성형 위치로 유도하는 수지 유도부재와, 상기 성형 위치에서 수지 유도부재에 결합되어 외피 성형용 수지와 내피 성형용 수지가 각각 내관의 외피와 내피로 일체화 성형되도록 성형 유로를 형성하는 아웃 다이 및 인 다이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 다이와 상기 수지 유도부재의 결합 부위에는 각각 단차부와 나선부가 요철식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인 다이의 외측단에는 상기 나선부의 나선 결합을 위해 렌치를 작용시키는 렌치홈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아웃 다이는 인 다이와의 사이에 상기 성형 유로를 형성하도록 인 다이를 감싸면서 수지 유도부재에 요철식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조립 클램프를 매개로 볼팅 고정이 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Optic cable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roducing multicolored inner pipe and outer pipe}
본 발명은 통신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관과 이 내관을 수용하는 외관의 이중관 구조를 갖는 통신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내관들을 외관과 동시에 성형하게 되는 통신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선 보호관이라고도 하는 통신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의 통신선(예를 들면, 광케이블이나 전신선 등)을 각각 격리 수용함으로써, 빗물이나 지하수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침수 피해를 방지함과 아울러 토압 등의 외압에 의해 통신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는 통신관은 통신선을 직접 수용하는 복수 개의 내관들과 이 내관들이 삽입되어 내관을 보호하는 외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내관들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외관에 삽입된 내관들의 초입부와 말단부를 구분하기 쉽도록 하여 통신선을 각각의 내관에 인입 및 인출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처럼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통신관을 제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색상별로 내관을 성형하는 복수 개의 내관 성형장치들과 외관 성형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내관 성형장치들에서 각각의 내관들을 성형 제조하고, 외관 성형장치에서 외관을 성형한 후, 외관에 내관들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었다. 그런데, 이처럼 내관과 외관을 별도로 제조하여 결합하는 방법은 비용과 생산성 면에서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의 경우, 내관과 외관을 동시에 성형하면서 성형 직후 내관들을 외관에 삽입하는 다수의 내관을 갖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다수의 내관들이 모두 하나의 압출기와 다이스 유닛으로부터 성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색상이 아닌 동일 색상의 내관들만을 성형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장치를 이용하여서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에 성형 제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문헌 2는 서로 다른 색상의 수지를 복수 개의 압출기로 공급하여 상이한 색상의 내관들을 성형함과 아울러 이중관 성형금형에서 내관들이 외관에 삽입되는 구조로 외관을 성형하는 구성의 통신선용 보호관의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내관은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는데, 내관을 외관과 별도로 제작하는 종래의 통신관 제조장치는 물론 상기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의 장치들에서는 내관의 내피와 외피를 성형할 때 다이스의 결합 구조상 내피와 외피의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통신관 제조장치들은 내관의 성형 원료인 수지를 압출하는 스크루를 회전 구동함에 있어서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다단 기어를 사용하고 있다. 다단 기어 장치는 구동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적정한 속도로 감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구동 모터로부터 다단 기어에 의한 감속에 이르기까지 10∼20마력의 토크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투입되는 전력량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대용량의 구동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큰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기어 부위에 대한 윤활유 관리가 필요하고, 기어 물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며,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의 통신관 제조장치들은 다이스로부터 내관의 외형이 성형된 직후에 외형의 치수를 정밀화하는 사이징이 이루어지고, 그 후에 냉각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내관의 치수 정밀도가 기대에 못미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0337호(2009.08.1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6923호(2017.01.16.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내관들을 외관과 동시에 성형하되 내관의 내피와 외피를 성형할 때 내피와 외피의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관 성형을 위해 구동되는 요소의 전력량 소모량을 절감함과 아울러 비용과 관리 및 장치의 부피 면에서 유리하게 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관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는, 복수 개의 상이한 색상을 갖는 내관들을 압출 및 성형하는 복수 개의 내관 압출 성형부와, 이 내관 압출 성형부에서 성형된 내관들을 냉각하는 내관 냉각부와, 성형된 내관들의 사이즈를 정밀화하는 내관 사이징부와, 이 내관 사이징부를 경유한 내관들을 인취하는 복수 개의 내관 인취부와, 이 내관 인취부를 경유한 복수 개의 내관들을 취합하는 내관 취합부와, 이 내관 취합부를 경유한 내관들을 수용하는 외관을 압출 및 성형하는 외관 압출 성형부와, 성형된 외관을 냉각하는 외관 냉각부와, 이 외관 냉각부를 경유하면서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으로 형성이 완료된 통신관을 인취하는 통신관 인취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관 압출 성형부는, 내관의 외피 성형용 수지를 압출하는 내관 외피 압출부와, 내관의 내피 성형용 수지를 압출하는 내관 내피 압출부와, 내관 외피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외피 성형용 수지 및 내관 내피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내피 성형용 수지를 성형 위치로 유도하는 수지 유도부재와, 상기 성형 위치에서 수지 유도부재에 결합되어 외피 성형용 수지와 내피 성형용 수지가 각각 내관의 외피와 내피로 일체화 성형되도록 성형 유로를 형성하는 아웃 다이 및 인 다이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 다이와 상기 수지 유도부재의 결합 부위에는 각각 단차부와 나선부가 요철식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인 다이의 외측단에는 상기 나선부의 나선 결합을 위해 렌치를 작용시키는 렌치홈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아웃 다이는 인 다이와의 사이에 상기 성형 유로를 형성하도록 인 다이를 감싸면서 수지 유도부재에 요철식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조립 클램프를 매개로 볼팅 고정이 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도부재에는 성형되는 상기 내관의 내부에 통신선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선이 인입되는 인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 유도부재에서 인 다이 및 아웃 다이가 결합되는 부위의 반대쪽 부위에는 상기 유도선의 인입을 보조하는 와이어 가이드가 수지 유도부재의 표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수지 유도부재의 내부에는 수지 유도부재의 내부에 작용하는 열이 인입로 내의 유도선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공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수지 유도부재 내에 삽입되면서 상기 유도선이 지나가게 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체부와, 이 관체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수지 유도부재의 내부에 관체부가 안정적으로 삽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와, 관체부의 선단에서 수지 유도부재의 표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관체부를 지지하되 중앙에는 유도선이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관 외피 압출부는, 내관의 외피 성형용 수지를 공급하는 제1공급 호퍼와, 공급된 상기 외피 성형용 수지를 수지 유도부재 측으로 압출하는 제1스크루와, 제1스크루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와, 제1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제1스크루로 전달하는 제1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부는 감속 기능을 갖는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동력 전달부는 제1스크루와 직결된 제1스핀들과 이 제1스핀들을 상기 기어드 모터와 연결하는 제1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관 내피 압출부는, 내관의 내피 성형용 수지를 공급하는 제2공급 호퍼와, 공급된 내피 성형용 수지를 수지 유도부재 측으로 압출하는 제2스크루와, 제2스크루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제2스크루로 전달하는 제2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구동부는 감속 기능을 갖는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는 제2스크루와 직결된 제2스핀들과 이 제2스핀들을 상기 기어드 모터와 연결하는 제2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관 냉각부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 수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관 사이징부는 냉각 수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관 사이징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사이징기와 제2사이징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사이징기와 상기 제2사이징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내관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되 상기 내관이 관통하면서 사이즈가 정밀화되는 사이징 홀이 형성된 본체와, 이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 수조의 양측벽에 밀착되면서 볼트가 체결되는 두 날개면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냉각 수조 내의 냉각수가 냉각 수조의 양측벽 밖으로 넘치지 않고 본체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도록 하는 넘침방지 유도홈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면에는 냉각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슬릿을 통해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이징기와 상기 제2사이징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냉각 수조에서 내관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수직벽에 결합이 되되, 상기 수직벽은 '凹'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사이징기와 제2사이징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凹'자형의 수직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원둘레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내관이 관통하면서 사이즈가 정밀화되는 사이징 홀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내관 압출 성형부의 인 다이와 수지 유도부재가 정합되는 구조로 결합이 됨으로써, 인 다이와 수지 유도부재 사이에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관의 내피와 외피의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둘째, 내관 압출 성형부의 인 다이를 수지 유도부재 측에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렌치홈이 인 다이의 길이 방향의 외측단에 형성이 되기 때문에 인 다이와 아웃 다이 사이의 성형 유로가 일정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지의 유동량이 균일하게 됨으로써 내관의 두께 편차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고, 내피와 외피의 표면이 균일하게 되며 치수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내관 외피 압출부와 내관 내피 압출부에서 기어드 모터를 구동부로 사용하고, 구동력 전달부의 구성이 스핀들과 체인에 의해 간소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력소모량의 저감, 윤활유 관리의 불필요, 소음 저감, 가격과 비용의 절감, 유지 보수의 간편화, 부피 감소, 구동력 전달의 원활화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넷째, 내관의 성형과 사이징 작업 후에 냉각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사용하던 종래의 통신관 제조장치들과 달리, 내관 냉각부인 냉각 수조 내에 내관 사이징부가 설치됨으로써, 성형된 내관에 대한 보다 신속한 사이징이 가능하게 되며, 내관의 치수 정밀도를 보다 더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내관 외피 압출부를 나타낸 정면도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내관 내피 압출부를 나타낸 정면도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나타난 내관 외피 압출부의 스크루 부위와 내관 내피 압출부의 스크루 부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내관의 내피와 외피를 각각 성형하는 성형 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성형 부위에서 인 다이 조립부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예를 대조한 도면으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B)는 종래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성형 부위에서 수지 유도부재의 말단부위에 대한 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내관 냉각부를 나타낸 정면도와 좌,우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구비되는 사이징기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구비되는 사이징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내관 인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도로서, 상이한 색상의 내관들과 이 내관들을 수용하는 외관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통신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복수 개의 상이한 색상을 갖는 내관들을 압출 및 성형하기 위한 내관 압출 성형부(100)가 내관의 수량에 맞추어 복수 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5개의 내관들을 성형하는 것으로 예시됨에 따라, 도 1에는 5개의 내관 압출 성형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인 이중관 구조의 통신관에서 내관의 수량은 2∼10개로 마련되므로, 내관의 수량에 맞추어 내관 압출 성형부(100)의 개수 또한 가변적이다.
본 발명에서 성형하고자 하는 내관은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져 있는데, 예컨대 내관의 전체 두께에서 외피는 90%, 내피는 10%의 비율을 가질 수 있으며, 외피와 내피의 두께 비율은 필요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내관의 외피는 내충격성을 발휘하여 내관에 삽입되는 통신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내관의 내피는 통신선의 삽입시 통신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외피와 내피를 형성하기 위한 소재로는, 외피의 경우 실리콘 수지, 내피의 경우 폴리에틸렌수지 등 시중에 통용되고 있는 다양한 합성수지들 중에서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 내관을 성형하기 위하여 각각의 내관 압출 성형부(1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내관의 외피 성형용 수지를 압출하는 내관 외피 압출부(110)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내관의 내피 성형용 수지를 압출하는 내관 내피 압출부(120)를 포함한다. 또, 내관 압출 성형부(1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 외피 압출부(110)로부터 압출된 외피 성형용 수지 및 내관 내피 압출부로(120)부터 압출된 내피 성형용 수지를 성형 위치로 유도하는 수지 유도부재(130)와, 성형 위치에서 수지 유도부재(130)에 결합되어 외피 성형용 수지와 내피 성형용 수지가 각각 내관의 외피와 내피로 일체화 성형되도록 성형 유로를 형성하는 아웃 다이(140) 및 인 다이(150)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통신관 제조장치는 내관 압출 성형부(100)에서 성형된 내관들을 냉각하는 내관 냉각부(200)와, 성형된 내관들의 사이즈(두께와 직경)를 정밀화하는 내관 사이징부(300)와, 이 내관 사이징부(300)를 경유한 내관들을 인취(引取)하는 내관 인취부(400)를 구비하는데, 이들 내관 냉각부(200)와 내관 사이징부(300) 및 내관 인취부(400)는 복수 개의 내관 압출 성형부(100)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비된다.
또, 본 발명의 통신관 제조장치는 내관 인취부(400)를 경유한 복수 개의 내관들을 동심원 형태로 취합하는 내관 취합부(500)와, 이 내관 취합부(500)를 경유한 내관들을 수용하는 외관을 압출함과 아울러 외관 성형 몰드(610)에 의해 성형하는 외관 압출 성형부(600)와, 성형된 외관을 냉각하는 외관 냉각부(700)와, 외관 냉각부(700)를 경유하면서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으로 형성이 완료된 통신관을 인취하는 통신관 인취부(800)를 포함하며, 통신관 인취부(800)의 다음 위치에는 통신관을 보빈에 와인딩하는 권취부(9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관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내관 외피 압출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의 외피 성형용 수지를 공급하는 제1공급 호퍼(111)와, 제1공급 호퍼(111)로부터 공급된 외피 성형용 수지를 수지 유도부재(130) 측으로 압출하는 제1스크루(112)와, 제1스크루(11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13)와, 제1구동부(113)의 회전 구동력을 제1스크루(112)로 전달하는 제1구동력 전달부(11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1구동부(113)는 감속 기능을 갖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로 이루어지고, 제1구동력 전달부(114)는 제1스크루(112)와 직결된 제1스핀들(114a)과 이 제1스핀들(114a)을 기어드 모터와 연결하는 제1체인(114b)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종래의 압출장치에서 일반 모터를 구동부로 사용하면서 감속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단 기어를 필요로 하고, 구동력 전달부로는 구동부의 회전축을 스크루의 축에 벨트로 연결하는 구성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압출장치는 다단 기어 구성으로 인해 투입 전력량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소음이 크며, 기어 연결 부위에 윤활유를 정기적으로 공급하여 관리하여야 하고, 가격과 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부피도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구동부(113)로서 기어드 모터를 적용함에 따라 별도의 다단 기어를 배제함으로써 필요한 전력량만 공급하여 전력소모량을 절감함은 물론 윤활유 관리가 불필요하며, 소음이 적을 뿐만 아니라, 가격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제1구동력 전달부(114)로서 제1스핀들(114a)과 제1체인(114b)이라는 간단한 요소를 적용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벨트가 아닌 체인(114b)의 적용으로 인해 계절별 장력 차이의 발생이나 동력전달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도시된 것과 같은 내관 내피 압출부(120)는, 상기 내관 외피 압출부(110)와 마찬가지로, 내관의 내피 성형용 수지를 공급하는 제2공급 호퍼(121)와, 제2공급 호퍼(121)로부터 공급된 내피 성형용 수지를 수지 유도부재(130) 측으로 압출하는 제2스크루(122)와, 제2스크루(12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23)와, 제2구동부(123)의 회전 구동력을 제2스크루(122)로 전달하는 제2구동력 전달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구동부(123)는 감속 기능을 갖는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지고, 제2구동력 전달부(124)는 제2스크루(122)와 직결된 제2스핀들(124a)과 이 제2스핀들(124a)을 기어드 모터와 연결하는 제2체인(124b)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내관 내피 압출부(120)의 구성 요소들은 각각 전술한 내관 외피 압출부(110)의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5는 내관의 내피와 외피를 각각 성형하는 성형 부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수지 유도부재(130)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내관 외피 압출부(110)로부터 압출된 외피 성형용 수지를 수지 유도부재(130) 측으로 공급하는 외피 수지 공급 어댑터(131)가 외피 수지 공급로(132)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고, 수지 유도부재(130)의 타측에는 내관 내피 압출부(120)로부터 압출된 내피 성형용 수지를 수지 유도부재(130) 측으로 공급하는 내피 수지 공급 어댑터(133)가 외피 수지 공급로(134)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피 수지 공급 어댑터(131)는 도 2에 도시된 내관 외피 압출부(110)의 제1스크루 최종단부(112a) 측에 결합이 되어 제1스크루(112)에 의해 압출되는 외피 수지를 공급받게 된다. 또, 내피 수지 공급 어댑터(133)는 도 3에 도시된 내관 내피 압출부(120)의 제2스크루 최종단부(122a) 측에 결합이 되어 제2스크루(122)에 의해 압출되는 내피 수지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수지 유도부재(130)의 내부에는, 외피 수지 공급 어댑터(131)로부터 외피 수지 공급로(132)를 통해 공급된 외피 수지가 흘러가는 외피 수지 유동로(130a)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피 수지 공급 어댑터(133)로부터 내피 수지 공급로(134)를 통해 공급된 내피 수지가 흘러가는 내피 수지 유동로(13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피 수지 유동로(130a)와 내피 수지 유동로(130b)의 최종단측에서 수지 유도부재(130)에는 상기 아웃 다이(140)와 인 다이(150)가 결합된다. 위에서 언급한 성형 위치는 이들 아웃 다이(140)와 인 다이(150)가 수지 유도부재(130)에 결합되는 위치를 말한다. 아웃 다이(140)와 인 다이(150)의 사이에는 외피 수지 유동로(130a)와 내피 수지 유동로(130b)로부터 흘러나온 외피 성형용 수지와 내피 성형용 수지가 각각 내관의 외피와 내피로 일체화 성형되도록 하는 성형 유로(141)가 형성된다.
도 6의 (A)그림에 보이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인 다이(150)와 수지 유도부재(130)의 결합 부위에는 각각 서로 정합을 이루는 단차부(130c,151)가 요철식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단차부(130c,151)의 끝에는 서로 치합되는 나선부(130d,152)가 요철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인 다이(150)의 외측단에는 상기 나선부(130d,152)의 나선 결합을 위해 렌치(예를 들면, 육각 렌치)를 작용시킬 수 있는 렌치홈(15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6의 (B)그림에 도시된 종래의 인 다이(15)와 수지 유도부(13)의 결합 부위를 보면, 인 다이(15)와 수지 유도부재(13)가 단차부 없이 나선부(13d,15a) 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나선 결합을 위한 공구를 작용시키는 공구 작용홈(15b)이 인 다이(15)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단차부가 존재하지 않고 단순히 나선부(13d,15a) 만으로 결합이 됨으로 인해, 인 다이(15)가 수지 유도부재(13)에 결합될 때 편심이 발생하여 내관의 성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인 다이(15)의 외측에서 아웃 다이가 수지 유도부재(13)에 결합이 되었을 때 인 다이(15)의 공구 작용홈(15b)에만 수지의 유동량이 많아져 내관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인 다이(150)와 수지 유도부재(130)의 결합 부위에 단차부(130c,151)가 요철식으로 형성되어 정합이 되기 때문에 인 다이(150)와 수지 유도부재(130) 간에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선부(130d,152)를 치합시키기 위한 렌치홈(153)이 인 다이(150)의 원주면이 아니라 길이 방향의 외측단에 형성이 되기 때문에 인 다이(150)와 아웃 다이(140) 사이의 성형 유로(141)가 일정하여 수지의 유동량이 균일하게 됨으로써 내관의 두께 편차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아웃 다이(140)는 인 다이(150)와의 사이에 상기 성형 유로(141)를 형성하도록 인 다이(150)를 감싸면서 수지 유도부재(130)에 요철식으로 결합이 됨과 아울러 조립 클램프(142)를 매개로 볼트(143)로 고정이 된다.
도 7은 도 5의 성형 부위에서 수지 유도부재(130)의 말단부위에 대한 단면도와 정면도로서, 다음과 같은 구조가 하나의 실시예로 적용이 될 수 있다. 먼저, 수지 유도부재(130) 내에는 내관으로 성형이 될 수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히터(135)가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수지 유도부재(130)에는 성형되는 내관의 내부에 통신선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선(L)이 인입되는 인입로(136)가 형성된다. 상기 유도선(L)은 나일론과 같은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나일론은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수지 유도부재(130)에 매설되어 있는 히터(135)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유도선(L)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지 유도부재(130)의 내부에는 히터(135)로부터 수지 유도부재(130)의 내부에 작용하는 열이 인입로(136) 내의 유도선(L)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공의 홈(137)이 형성된다. 또, 수지 유도부재(130)에서 인 다이(150) 및 아웃 다이(140)가 결합되는 부위의 반대쪽 부위에는 유도선(L)의 인입을 보조하는 와이어 가이드(138)가 수지 유도부재(130)의 표면에 이격 공간(139)을 형성하는 상태로 볼트(138a)로 결합이 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 가이드(138)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수지 유도부재(130) 내에 삽입되면서 유도선(L)이 지나가게 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체부(138b)와, 이 관체부(138b)의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수지 유도부재(130)의 내부에 관체부(138b)가 안정적으로 삽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138c)와, 관체부(138b)의 선단에서 수지 유도부재(130)의 표면에 이격 공간(139)을 형성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관체부(138b)를 지지하되 중앙에는 유도선(L)이 지나가는 관통공(138e)이 형성된 브래킷(138d)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8c)는 관체부(138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두 개소 위치에서 관체부(138b)의 원주면을 따라 세 군데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내관 냉각부(200)를 나타낸 정면도와 좌,우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관 냉각부(200)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 수조로 이루어지고, 이 냉각 수조 내에 상기 내관 사이징부(300)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내관 사이징부가 내관 냉각부의 외부에 별도의 장치로 설치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관 냉각부(200)인 냉각 수조 내에 내관 사이징부(300)가 설치됨으로써 성형된 내관에 대한 보다 신속한 사이징이 가능하게 된다. 냉각 수조로 구체화된 내관 냉각부(200)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201)와, 이 공급관로(201)의 선단에 구비되어 냉각수를 냉각 수조 안으로 분사하는 노즐(20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관 사이징부(30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사이징기(301)와 제2사이징기(30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도 8에 구비되는 사이징기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제1사이징기와 제2사이징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도 9에 예시된 것과 같은 사이징기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사이징기(301)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9의 제1사이징기(301)는 내관의 진행방향(즉, 냉각 수조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되 내관이 관통하면서 사이즈가 정밀화되는 사이징 홀(301a)이 형성된 본체(301b)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본체(301b)의 양측에는 냉각 수조(즉, 내관 냉각부(200))의 양측벽에 밀착되면서 볼트(303)가 체결되는 두 날개면(301c)을 구비된다. 특히, 본체(301b)의 상단에는 냉각 수조 내의 냉각수가 냉각 수조의 양측벽 밖으로 넘치지 않고 본체(301b)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도록 하는 넘침방지 유도홈(301e)이 형성된다. 또한, 날개면(301c)에는 냉각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슬릿(301d)이 형성되어, 볼트(303)가 슬릿(301d)을 통해 체결됨에 따라 냉각 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체(301b)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도 8에 구비되는 사이징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로서, 이 역시 제1사이징기와 제2사이징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도 10에 예시된 것과 같은 사이징기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2사이징기(302)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0의 제2사이징기(302)는 원반 형태로 이루어져 내관 냉각부(200)인 냉각 수조에서 내관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수직벽(203)에 결합이 된다. 즉, 냉각 수조의 출구쪽에 수직벽(203)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수직벽(203)은 '凹'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2사이징기(302)는 '凹'자형인 수직벽(203)의 오목한 홈 안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원둘레를 따라 삽입홈(302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사이징기(302)의 중앙부에는 내관이 관통하면서 사이즈가 정밀화되는 사이징 홀(30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제2사이징기(302)는 내관 냉각부(200)의 수직벽(203)을 상대로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하고자 하는 내관의 직경 크기에 따라 적합한 내경의 사이징 홀(302b)을 가진 제2사이징기(302)를 선택하여 내관 냉각부(200)에 설치하면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내관 제조에 적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내관 인취부(40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관 인취부(400)는 통상적인 인취기가 적용이 된다. 내관 인취부(400)는 내관의 외주면과 면접촉을 하면서 내관을 견인하는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다. 즉, 모터(4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캐터필러 구조물(420)을 구비하고 있는데, 캐터필러 구조물(420)은 구조물 지지체(430) 상에서 모터(410)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내관을 견인/이송한다. 이때 캐터필러 구조물(420)이 내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내관을 당기는 힘이 우수하여 내관의 진원도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견인/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관 취합부(500)와 외관 압출 성형부(600), 외관 냉각부(700), 통신관 인취부(800) 및 권취부(900)는 통신관 제조장치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상적인 구성 요소들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관 제조장치는 내관의 내피와 외피를 일체화 성형하는 아웃 다이(140)와 인 다이(150)의 구조에 있어서, 인 다이와 수지 유도부재(130)의 결합 부위에는 각각 단차부(130c,151)와 나선부(130d,152)가 요철식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인 다이(150)의 외측단에는 나선부(130d,152)의 나선 결합을 위해 렌치를 작용시키는 렌치홈(15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인 다이(150)와 수지 유도부재(130) 간에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선부(130d,152)를 치합시키기 위한 렌치홈(153)이 인 다이(150)의 길이 방향의 외측단에 형성이 되기 때문에 인 다이(150)와 아웃 다이(140) 사이의 성형 유로(141)가 일정하여 수지의 유동량이 균일하게 됨으로써 내관의 두께 편차 발생이 전혀 없이 내피와 외피의 표면이 균일하고 치수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통신관 제조장치는 내관 외피 압출부와 내관 내피 압출부의 구성에 있어서, 제1,2구동부(113,123)는 감속 기능을 갖는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지고, 제1,2구동력 전달부(114,124)는 제1,2스크루(112,122)와 직결된 제1스핀들(114a,124a)과 이 제1스핀들(114a,124a)을 기어드 모터와 연결하는 제1체인(114b,124b)으로 구성이 된다. 따라서, 다단 기어 장치를 사용하던 종래에 비하여 필요한 전력량만 공급하면 되므로 전력소모량을 절감함은 물론 윤활유 관리가 불필요하며, 소음이 적을 뿐만 아니라, 가격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2구동력 전달부(114,124)로서 제1스핀들(114a,124a)과 제1체인(114b,124b)이라는 간단한 요소를 적용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비용과 관리 및 장치의 부피 면에서 유리하며, 벨트가 아닌 체인(114b,124b)의 적용으로 인해 계절별 장력 차이의 발생이나 동력전달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통신관 제조장치는, 내관의 성형과 사이징 작업 후에 냉각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사용하던 종래의 통신관 제조장치들과 달리, 내관 냉각부(200)인 냉각 수조 내에 내관 사이징부(300)가 설치됨으로써 성형된 내관에 대한 보다 신속한 사이징이 가능하게 되며, 내관의 치수 정밀도를 보다 더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내관 압출 성형부 110 : 내관 외피 압출부
111 : 제1공급 호퍼 112 : 제1스크루
113 : 제1구동부 114 : 제1구동력 전달부
114a : 제1스핀들 114b : 제1체인
120 : 내관 내피 압출부 121 : 제2공급 호퍼
122 : 제2스크루 123 : 제2구동부
124 : 제2구동력 전달부 124a : 제2스핀들
124b : 제2체인 130 : 수지 유도부재
130a : 외피 수지 유동로 130b : 내피 수지 유동로
130c,151 : 단차부 130d,152 : 나선부
131 : 외피 수지 공급 어댑터 132 : 외피 수지 공급로
133 : 내피 수지 공급 어댑터 134 : 내피 수지 공급로
135 : 히터 136 : 인입로
137 : 홈 138 : 와이어 가이드
138a : 볼트 138b : 관체부
138c : 지지부 138d : 브래킷
138e : 관통공 139 : 이격 공간
140 : 아웃 다이 141 : 성형 유로
142 : 조립 클램프 150 : 인 다이
153 : 렌치홈 200 : 내관 냉각부
300 : 내관 사이징부 301 : 제1사이징기
301a : 사이징 홀 301b : 본체
301c : 날개면 301d : 슬릿
301e : 넘침방지 유도홈 302 : 제2사이징기
302a : 삽입홈 302b : 사이징 홀
400 : 내관 인취부 500 : 내관 취합부
600 : 외관 압출 성형부 610 : 외관 성형 몰드
700 : 외관 냉각부 800 : 통신관 인취부
900 : 권취부

Claims (9)

  1. 복수 개의 상이한 색상을 갖는 내관들을 압출 및 성형하는 복수 개의 내관 압출 성형부와, 상기 내관 압출 성형부에서 성형된 내관들을 냉각하는 내관 냉각부와, 상기 성형된 내관들의 사이즈를 정밀화하는 내관 사이징부와, 상기 내관 사이징부를 경유한 내관들을 인취하는 복수 개의 내관 인취부와, 상기 내관 인취부를 경유한 복수 개의 내관들을 취합하는 내관 취합부와, 상기 내관 취합부를 경유한 내관들을 수용하는 외관을 압출 및 성형하는 외관 압출 성형부와, 상기 성형된 외관을 냉각하는 외관 냉각부와, 상기 외관 냉각부를 경유하면서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으로 형성이 완료된 통신관을 인취하는 통신관 인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 압출 성형부는, 상기 내관의 외피 성형용 수지를 압출하는 내관 외피 압출부와, 상기 내관의 내피 성형용 수지를 압출하는 내관 내피 압출부와, 상기 내관 외피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외피 성형용 수지 및 상기 내관 내피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내피 성형용 수지를 성형 위치로 유도하는 수지 유도부재와, 상기 성형 위치에서 상기 수지 유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외피 성형용 수지와 상기 내피 성형용 수지가 각각 상기 내관의 외피와 내피로 일체화 성형되도록 성형 유로를 형성하는 아웃 다이 및 인 다이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 다이와 상기 수지 유도부재의 결합 부위에는 각각 단차부와 나선부가 요철식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인 다이의 외측단에는 상기 나선부의 나선 결합을 위해 렌치를 작용시키는 렌치홈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아웃 다이는 상기 인 다이와의 사이에 상기 성형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인 다이를 감싸면서 상기 수지 유도부재에 요철식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조립 클램프를 매개로 볼팅 고정이 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수지 유도부재에는 성형되는 상기 내관의 내부에 통신선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선이 인입되는 인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 유도부재에서 상기 인 다이 및 상기 아웃 다이가 결합되는 부위의 반대쪽 부위에는 상기 유도선의 인입을 보조하는 와이어 가이드가 상기 수지 유도부재의 표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수지 유도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수지 유도부재의 내부에 작용하는 열이 상기 인입로 내의 상기 유도선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공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수지 유도부재 내에 삽입되면서 상기 유도선이 지나가게 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체부와, 이 관체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지 유도부재의 내부에 상기 관체부가 안정적으로 삽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관체부의 선단에서 상기 수지 유도부재의 표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관체부를 지지하되 중앙에는 상기 유도선이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외피 압출부는, 상기 내관의 외피 성형용 수지를 공급하는 제1공급 호퍼와, 공급된 상기 외피 성형용 수지를 상기 수지 유도부재 측으로 압출하는 제1스크루와, 상기 제1스크루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스크루로 전달하는 제1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부는 감속 기능을 갖는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스크루와 직결된 제1스핀들과 이 제1스핀들을 상기 기어드 모터와 연결하는 제1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내피 압출부는, 상기 내관의 내피 성형용 수지를 공급하는 제2공급 호퍼와, 공급된 상기 내피 성형용 수지를 상기 수지 유도부재 측으로 압출하는 제2스크루와, 상기 제2스크루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2스크루로 전달하는 제2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구동부는 감속 기능을 갖는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2스크루와 직결된 제2스핀들과 이 제2스핀들을 상기 기어드 모터와 연결하는 제2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냉각부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 수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관 사이징부는 상기 냉각 수조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사이징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사이징기와 제2사이징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징기와 상기 제2사이징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내관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되 상기 내관이 관통하면서 사이즈가 정밀화되는 사이징 홀이 형성된 본체와, 이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 수조의 양측벽에 밀착되면서 볼트가 체결되는 두 날개면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냉각 수조 내의 냉각수가 상기 냉각 수조의 양측벽 밖으로 넘치지 않고 상기 본체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도록 하는 넘침방지 유도홈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면에는 냉각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슬릿을 통해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징기와 상기 제2사이징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냉각 수조에서 상기 내관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수직벽에 결합이 되되, 상기 수직벽은 '凹'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사이징기와 상기 제2사이징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凹'자형의 수직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원둘레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내관이 관통하면서 사이즈가 정밀화되는 사이징 홀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KR1020190052747A 2019-05-07 2019-05-07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KR10206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747A KR102060297B1 (ko) 2019-05-07 2019-05-07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747A KR102060297B1 (ko) 2019-05-07 2019-05-07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297B1 true KR102060297B1 (ko) 2019-12-27

Family

ID=6906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747A KR102060297B1 (ko) 2019-05-07 2019-05-07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29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744B1 (ko) * 2003-08-13 2006-01-26 진재성 합성수지 관의 압출성형장치
KR100910337B1 (ko) 2008-12-30 2009-08-17 주식회사 알씨씨 다수의 내관을 갖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KR101096096B1 (ko) * 2009-06-08 2011-12-19 전정자 전기 및 통신선로용 합성수지제 튜브
KR101512342B1 (ko) * 2014-12-29 2015-04-15 이진규 통신관 제조장치
KR101696923B1 (ko) 2016-07-14 2017-01-16 이진규 통신선용 보호관의 제조장치 및 그 통신선용 보호관
KR20180065802A (ko) *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상광 탄소 발열체 열선을 갖는 카본 케이블 이중압출 성형장치
KR20180067289A (ko) * 2016-12-12 2018-06-20 박국진 전기 통신 광케이블 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744B1 (ko) * 2003-08-13 2006-01-26 진재성 합성수지 관의 압출성형장치
KR100910337B1 (ko) 2008-12-30 2009-08-17 주식회사 알씨씨 다수의 내관을 갖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KR101096096B1 (ko) * 2009-06-08 2011-12-19 전정자 전기 및 통신선로용 합성수지제 튜브
KR101512342B1 (ko) * 2014-12-29 2015-04-15 이진규 통신관 제조장치
KR101696923B1 (ko) 2016-07-14 2017-01-16 이진규 통신선용 보호관의 제조장치 및 그 통신선용 보호관
KR20180065802A (ko) *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상광 탄소 발열체 열선을 갖는 카본 케이블 이중압출 성형장치
KR20180067289A (ko) * 2016-12-12 2018-06-20 박국진 전기 통신 광케이블 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30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able
KR101696923B1 (ko) 통신선용 보호관의 제조장치 및 그 통신선용 보호관
JPH02501913A (ja) 中空の光伝送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21045360A1 (ko) 내ㆍ외관 일체형 보호관의 성형장치 및 그 보호관
CN101655593B (zh) 光纤成缆模具
KR102060297B1 (ko) 상이한 색상의 내관을 외관과 동시 성형하는 통신관 제조장치
NZ200566A (en) Forming grooves in plastics filament:filament pulled through groove-forming die
CA1053726A (en) Irrigation pipes with dripper unit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KR101512342B1 (ko) 통신관 제조장치
FI104589B (fi) Menetelmä ja sovitelma toisiopäällystyslinjan yhteydessä
CN101635189B (zh) 改进的双色线缆护套挤塑模具
CN201525119U (zh) 一种光纤成缆模具
CN219191193U (zh) 一种光纤电缆护套挤出设备
CN109585081B (zh) 带螺旋彩条的线缆护套结构、其生产设备及其生产方法
US58305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optical cable slotted rods
CN112297377A (zh) 一种光缆挤塑模具
JP4462202B2 (ja) 被覆線状体の製造方法
CN217425766U (zh) 一种扁平式光缆及其注塑模具
FR2517074A1 (fr) Cable opt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P0189304A2 (en) Optical cable manufacture
GB2114771A (en) Optical cable manufacture
US5496164A (en) In-line tubing die
CN214926885U (zh) 多层滴灌管共挤复合机头
CN110103444A (zh) 大长径比锥形双螺杆挤出机
GB11975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Flexible H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