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134B1 - 자성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자성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134B1
KR102059134B1 KR1020130030984A KR20130030984A KR102059134B1 KR 102059134 B1 KR102059134 B1 KR 102059134B1 KR 1020130030984 A KR1020130030984 A KR 1020130030984A KR 20130030984 A KR20130030984 A KR 20130030984A KR 102059134 B1 KR102059134 B1 KR 10205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nnector
coupling portion
terminal
magnetic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816A (ko
Inventor
서환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13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자기력으로 결합되는 자성 접속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자성 접속 장치는 제1 자성 결합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제1 자성 결합부와 자기력으로 결합되는 제2 자성 결합부와, 제2 자성 결합부가 제1 자성 결합부와 자기력으로 결합될 때에 제1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전기적 접촉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1 자성 결합부는 제1 자성 배열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자성 요소들을 가지며, 제2 자성 결합부는 제2 자성 배열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자성 요소들을 포함하며, 제1 자성 배열 패턴의 자성 요소들과 제2 자성 배열 패턴의 자성 요소들은, 제1 자성 결합부와 제2 자성 결합부가 제1 방향에서 접촉할 때 자기적 인력이 발생되는 순서대로 배열된다.

Description

자성 접속 장치{Magnetic connecting device}
본 개시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으로 체결되는 자성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전자 기기 사이에서 전기 신호나 전력을 유선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인 연결을 만들어 주기 위한 전선 연결이 필요하다. 서로 다른 전자 기기간의 연결을 영구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라면 전선을 쉽게 탈착할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각종 전기적 접속 장치가 쓰인다.
전통적인 방식의 접속 장치는 핀을 수취부에 끼워맞추거나 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으로 전극을 접촉시켜서 암놈 커넥터 단자와 수놈 커넥터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만들고, 암놈 커넥터 단자와 수놈 커넥터 단자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의 접속 장치는 암놈 커넥터 단자와 수놈 커넥터 단자에서 서로 대응하는 부품 사이의 끼워맞춤 특성과 탄성에 의해 체결 강도와 전기 접촉 특성 등이 결정되는데, 이런 특성 때문에 끼고 빼는 데 상당히 강한 힘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의 접속 장치는 방향성을 맞춰 끼우지 않으면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의 접속 장치는 접촉부위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체결불량에 의해 잡음이 발생하거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성으로 체결되는 체결 구조를 가진 자성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는 자성 접속 장치는, 제1 자성 결합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자기력으로 결합되는 제2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자기력으로 결합될 때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전기적 접촉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 결합부는 제1 자성 배열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자성 요소들을 가지며, 상기 제2 자성 결합부는 제2 자성 배열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자성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 배열 패턴의 자성 요소들과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의 자성 요소들은,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1 방향에서 접촉할 때 자기적 인력이 발생되는 순서대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이 위치하며 상기 제2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다른 부위에 위치하며 제3 커넥터와 탈부착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이 위치하며 상기 제1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다른 부위에 위치하며 제4 커넥터와 탈부착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단자는 각각 동일 유형의 암놈 커넥터 단자 및 숫놈 커넥터 단자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단자는 서로 다른 유형의 커넥터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단자는 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 IEEE 1394 규격, D-SUB 규격, DIV (Digital Video Interface) 규격, 및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 배열 패턴과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은,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에서 접촉할 때 자기적 인력이 발생되는 배열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촉 방향을 판별하는 신호처리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각각 상호 접속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하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촉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의 복수의 제1 전극들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복수의 제2 전극들의 순서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접촉할 때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인식할 수 있는 자극 인식 센서가 더 마련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자극 인식 센서에서 인식된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촉 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복수의 제1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제1 전극에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촉 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1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는 자성 요소들과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2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는 자성 요소들은 어느 한쪽의 자성 요소가 강자성체의 자성 요소고 다른 한쪽의 자성 요소가 상자성체의 상자성 요소이거나, 어느 한쪽의 자성 요소가 강자성체의 자성 요소고 다른 한쪽의 자성 요소가 비자성체의 비자성 요소이거나, 양쪽 자성 요소가 서로 다른 극성의 강자성체 자성 요소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 배열 패턴과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은,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에서 접촉할 때 자기적 척력이 발생되는 배열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1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는 자성 요소들은 어느 한쪽의 자성 요소가 강자성체의 자성 요소고 다른 한쪽의 자성 요소가 상자성체의 상자성 요소이거나, 어느 한쪽의 자성 요소가 강자성체의 자성 요소고 다른 한쪽의 자성 요소가 비자성체의 비자성 요소이거나, 양쪽 자성 요소가 서로 다른 극성의 강자성체 자성 요소들이며,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2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는 자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의 자성 요소들은 서로 같은 극성의 강자성체 자성 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성 배열 패턴은, 강자성체의 N극 요소, 강자성체의 S극 요소, 및 상자성체의 상자성 요소, 및 비자성체의 비자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각각 상호 상보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자성 접속 장치는 타측 커넥터와 자기력으로 결합되어 쌍이 되는 커넥터으로서, 소정의 자성 배열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자성 요소들을 가지는 자성 결합부와;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 배열 패턴의 자성 요소들은 상기 자성 결합부가 타측 커넥터의 자성 결합부와 제1 방향에서 접촉할 때 자기적 인력이 발생되는 순서대로 배열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자성 접속 장치는 사용자가 수 커넥터 혹은 암 커넥터를 눌러 끼우는 힘이 아니라 자성에 의해 당기는 힘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접속 장치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차이에 따른 접촉 품질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교적 약한 힘만으로 탈착이 용이하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자성 접속 장치는 보안 기능이나 식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자석 접속 장치는 접속 방향에 대한 보상 기능을 부가하여, 어떤 방향으로 꽂아도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자성 장속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 등에서 많이 쓰이는 USB 커넥터 등에 대한 커넥터 변환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 접속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성 접속 장치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2 커넥터의 제1 단자측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커넥터의 제1 단자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2 커넥터의 제1 단자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및 제2 커넥터가 상호 올바로 결합되었을 때의 자성 배열 배턴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및 제2 커넥터가 상호 잘못 결합되었을 때의 자성 배열 배턴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커넥터의 제1 단자에서 자극 및 전극의 배열 패턴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커넥터의 제1 단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커넥터의 제1 단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 접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13a는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커넥터의 제1 단자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3b는 도 13a의 제1 단자가 180도 회전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4a는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2 커넥터의 제1 단자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4b는 도 14a의 제2 단자가 180도 회전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커넥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및 제2 커넥터가 결합된 제1 태양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및 제2 커넥터가 결합된 제2 태양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 접속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성 접속 장치(100)는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10)는 제2 커넥터(120)와 접속되는 제1 단자(111)와 외부의 제3 커넥터(130)와 접속되는 제2 단자(119)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는 자성 커넥터 단자로서, 제2 커넥터(120)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도 5의 1111 참조)과, 제2 커넥터(120)에 부착되는 자기적 체결력을 주는 제1 자성 결합부(도 5의 1112 참조)를 포함한다. 제1 단자(111)의 전극이나 제1 자성 결합부의 구체적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는 접속하고자 하는 외부의 제3 커넥터(130)의 단자(131)와 결합가능한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령, 제2 단자(119)는 디지털 혹은 아날로그 방식의 전기적 인터페이스 구조를 지닐 수 있다. 또는 제2 단자(119)는 광학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져 광학적 연결 방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 및 제3 커넥터(130)의 단자(131)는 공지의 커넥터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 및 제3 커넥터(130)의 단자(131)는 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 IEEE 1394 규격, D-SUB 규격, DIV (Digital Video Interface) 규격,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또는 그밖에 알려진 공지의 규격을 만족하는 커넥터 단자일 수 있다. 또는 제3 커넥터(130)의 단자(131)가 보안 혹은 기기 식별을 위해 규격화되지 않은 특별한 유형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지닐 수도 있는바, 이 경우 제2 단자(119) 역시 제3 커넥터(130)의 단자(131)에 상응하는 규격화되지 않은 특별한 유형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지닐 수 있다. 나아가,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는 어느 한 규격의 커넥터 단자일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규격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범용 커넥터 단자일 수도 있다.
제2 커넥터(120)는 자성 커넥터 단자로서, 제1 커넥터(110)와 접속되는 제1 단자(121)와, 다른 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 단자(129)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는 자성 커넥터 단자로서, 제1 커넥터(110)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도 6의 1211 참조)과, 제1 커넥터(110)에 부착되는 자기적 체결력을 주는 제2 자성 결합부(도 6의 1212 참조)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는 자기력에 의해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와 상호 접속할 수 있다(영역 A). 제2 단자(121)의 전극이나 제2 자성 결합부의 구체적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9)는 접속하고자 하는 외부의 제4 커넥터(140)의 단자(141)와 결합가능한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령, 제2 단자(129)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공지의 커넥터 단자이거나, 혹은 규격화되지 않은 특별한 유형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지닐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9)는 어느 한 규격의 커넥터 단자일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규격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범용 커넥터 단자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9)눈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와 함께 동일 유형의 암놈 커넥터 단자 및 숫놈 커넥터 단자일 수 있다. 또는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9)는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와 서로 다른 유형의 커넥터 단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커넥터(110)는 제3 커넥터(130)의 단자(131)를 자성 커넥터 단자로 변환하는 커넥터 변환기로 기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자성 접속 장치(1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자성 접속 장치(1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다. 한편, 도 4는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100)의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 측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는 제2 커넥터(120)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복수의 제1 전극(1111)들과, 제2 커넥터(120)에 부착되는 자기적 체결력을 주는 제1 자성 결합부(1112)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는 제1 커넥터(110)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복수의 제2 전극(1211)들과, 제1 커넥터(110)에 부착되는 자기적 체결력을 주는 제2 자성 결합부(1212)을 포함한다.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와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자성 커넥터 단자를 이룬다. 한편,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는 USB 숫놈 단자이고,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9)는 USB 암놈 단자일 수 있다.
제3 커넥터(130)의 단자(131)는 USB 규격을 만족하는 USB 암놈 단자이고, 제4 커넥터(140)의 단자(141)는 USB 규격을 만족하는 USB 숫놈 단자인 경우에, 제3 커넥터(130)의 단자(131)에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를 꽂아 놓고, 제4 커넥터(140)의 단자(141)에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9)를 꽂아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넥터(110)는 제3 커넥터(130)의 USB 암놈 단자(131)를 자성 커넥터 단자로 변환하는 USB-자성 커넥터 변환기이고, 제2 커넥터(120)는 제4 커넥터(140)의 USB 숫놈 단자(141)를 자성 커넥터 단자로 변환하는 커넥터 변환기로 기능하게 된다. 기존의 USB 커넥터는 암놈 단자와 숫놈 단자의 탄성 가압되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결합되므로, 끼고 빼는 데 상당히 강한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접촉부위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체결불량에 의해 잡음이 발생하거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반면에 제1 및 제2 커넥터(110, 120)는 자기적 결합력에 의해 접속되므로, 제3 커넥터(130)와 제4 커넥터(140)의 접속에 있어서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차이에 따른 접촉 품질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교적 약한 힘만으로 탈착이 용이하다. 예시적으로 제3 커넥터(130)는 모바일 기기에 마련된 것이고, 제4 커넥터(140)는 모바일 기기와 접속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라고 할 때, 본 실시예의 자성 접속 장치(100)는 기존의 USB 단자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모바일 기기 등에서 더욱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탈착을 할 수 있게 하는 USB-자성 커넥터 변환기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자성 접속 장치(100)는 굳이 USB 커넥터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일반적인 모든 커넥터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 및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9)는 USB 규격이외의 다른 유형의 커넥터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 및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9)는 동일 유형의 커넥터 단자일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유형의 커넥터 단자 일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 및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9) 둘 다 혹은 어느 하나를 핀 수가 매우 많은 범용 커넥터 단자로 만들어 놓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 및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의 구체적 구성은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100)의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100)의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전극(1111)들과, 복수의 전극(1111)들을 둘러싸는 제1 자성 결합부(1112)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전극(1111)들은 예를 들어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며 탄성 가압되는 도체 핀이거나, 혹은 단순한 도체 패드일 수 있다.
제1 자성 결합부(1112)는 제1 및 제2 자성 요소들(1112A, 1112B)의 특정 배열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서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서로 다른 해칭은 서로 다른 극성을 나타낸다. 즉, 제1 자성 요소(1112A)와 제2 자성 요소(1112B)는 서로 다른 극성을 나타낸다. 가령, 제1 자성 요소(1112A)와 제2 자성 요소(1112B)는 각각 N극과 S극이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들(1112A, 1112B)은 영구자석(강자성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전극(1211)들과, 복수의 제2 전극(1211)들을 둘러싸는 제2 자성 결합부(1212)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의 복수의 제2 전극(1211)들은 예를 들어 단순한 도체 패드이거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며 탄성 가압되는 도체일 수 있다. 제1 커넥터(110)의 제1 전극(1111)들과 제2 커넥터(120)의 제2 전극(1211)들은 서로 같은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10)의 제1 전극(1111)들과 제2 커넥터(120)의 제2 전극(1211)들은,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가 결합될 때, 서로 맞닿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 혹은 제2 커넥터(120)의 제1 단자(121)에 여분의 전극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자성 결합부(1212)의 제1 및 제2 자성 요소들(1212A, 1212B)은 영구자석(강자성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2 자성 결합부(1212)의 서로 다른 해칭은 서로 다른 극성을 나타낸다. 즉, 제1 자성 요소(1212A)와 제2 자성 요소(1212B)는 서로 다른 극성을 나타낸다. 제2 자성 결합부(1212)의 제1 및 제2 자성 요소들(1212A, 1212B)의 자성 배열 패턴은 제1 커넥터(110)의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자성 배열 패턴과 상보적일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와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1)가 기설정된 올바른 위치에서 접촉될 때, 도 5에서 좌상단의 제1 자성 요소(1112A)는 도 6에서 우상단의 제1 자성 요소(1212A)와 대향되게 되는 바, 제1 커넥터(110)의 제1 자성 요소(1112A)와 와 제2 커넥터(120)의 제1 자성 요소(1212A)가 서로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자기적 인력이 작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와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1)가 기설정된 올바른 위치에서 접촉될 때, 제1 커넥터(110)의 제2 자성 요소(1112B)와 와 제2 커넥터(120)의 제2 자성 요소(1212B)가 서로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자기적 인력이 작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및 제2 커넥터가 상호 올바로 결합되었을 때의 자성 배열 배턴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및 제2 커넥터(110, 120)가 상호 잘못 결합되었을 때의 자성 배열 배턴을 보인 단면도이다.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와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1)가 기설정된 올바른 위치에서 접촉되게 되면,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10)의 제1 자성 결합부(1112)와 제2 커넥터(120)의 제2 자성 결합부(1212)의 상보적인 자성 배열 패턴에 의한 자기적 인력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성에 의해 당기는 힘에 의해서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가 접속되므로, 접속 장치(100)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차이에 따른 접촉 품질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교적 약한 힘만으로 탈착이 용이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제1 커넥터(110)의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자성 배열 패턴과 제2 커넥터(120)의 제2 자성 결합부(1212)의 자성 배열 패턴은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가령, 도 6을 참조할 때, z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의 자성 배열 패턴은 회전 전의 자성 배열 배턴과 상이하다. 여기서, z축의 방향은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의 법선 방향이다.
제1 및 제2 자성 결합부(1112, 1212)의 자성 배열 패턴이 방향성을 갖는 결과,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와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1)가 기설정된 위치에서 180도 회전한 상태로 접촉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10)의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일부 자극과 제2 커넥터(120)의 제2 자성 결합부(1212)의 일부 자극이 동일 극성끼리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자기적 척력으로 말미암아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의 결합에 실패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 커넥터(110, 120)의 자성 배열 패턴이 방향성을 갖는 경우, 결합되는 정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자성 배열 패턴과 제2 자성 결합부(1212)의 자성 배열 패턴이 상보적인 경우에만 자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커넥터(110, 120)의 자성 배열 패턴은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보안 커넥터이나 기기 식별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 식별 커넥터일 수 있다.
가령, 제3 커넥터(130)는 보안 대상이나 식별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는 보안 대상이나 식별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에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커넥터(110, 120)의 자성 배열 패턴은 보안 기능이나 기기 식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 결합을 위해 별도의 고정 수단(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 접착제, 덥게,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제1 커넥터(110)의 임의 탈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커넥터(110) 및 제3 커넥터(130)에 시건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4 커넥터(140)는 보안 대상이나 식별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에 접속하고자 하는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 메모리 장치,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및 제4 커넥터(130, 140)가 공지의 커넥터일지라도, 제3 커넥터(130)와 제4 커넥터(14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서는, 제1 및 제2 커넥터(110, 120)의 전기적 접속이 요구된다. 즉, 제1 커넥터(110)의 제2 단자(119)를 보안 대상이나 식별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에 고정 결합시킨 경우, 보안 대상이나 식별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와 접속하기 위해서는, 제1 커넥터(110)의 자성 배열 패턴에 상보적인 자성 배열 패턴을 갖는 제2 커넥터(120)가 필요하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100)의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에서 자극 및 전극의 배열 패턴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다. 물론,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100)에서 제2 커넥터(120)의 제2 단자(121)의 자극 및 전극의 배열 패턴은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에서 자극 및 전극의 배열 패턴에 상보적인 배열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전극(1111)들과,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및 제2 자성 요소(1112A, 1112B)들이 z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커넥터(110)의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자성 배열 패턴과 제2 커넥터(120)의 제2 자성 결합부(1212)의 자성 배열 패턴은 회전 대칭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는 어느 한 쪽이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결합하더라도 올바로 결합하여 제 기능을 다하게 될 것이다.
도 9b는, 전극(1111)들의 배치는 z축을 중심으로 한 180도 회전 대칭성을 가지고 있으나,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및 제2 자성 요소(1112A, 1112B)들의 배치, 즉 자성 배열 패턴은 z축 중심의 180도 회전 대칭성이 없는 경우가 도시된다. 이 경우,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는 특정 방향에서만 올바로 결합하게 될 것이다.
도 9c는, 제1 및 제2 자성 요소(1112A, 1112B)들의 배치가 z축 중심의 180도 회전 대칭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전극(1111)들의 배치도 대칭성도 없는 경우가 도시된다. 이 경우 역시 도 9b와 비슷하게,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는 특정 방향에서만 올바로 결합하게 될 것이다.
도 9d는 전극(1111)들의 배치 및 제1 및 제2 자성 요소(1112A, 1112B)들의 배치가 무질서한 패턴을 갖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는 특정 방향에서만 올바로 결합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자성 요소들이 모두 강자성체에 의한 자극, 즉 N극과 S극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100)의 제1 커넥터(110)의 제1 단자(11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자성 요소들은 강자성체에 의한 제1 및 제2 자성 요소(1112A, 1112B)들 외에도, 상자성체로 만들어진 제3 자성 요소(1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넥터(110)의 제3 자성 요소(112C)에 상호 대향되는 제2 커넥터(120)의 자성 요소는 강자성체에 의해 만들어짐으로써, 상호 대향되는 제2 커넥터(120)의 자성 요소의 극성에 무관하게 자기적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100)에서도 상자성체로 형성된 자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도 2의 자성 접속 장치의 제1 커넥터의 제1 단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10)의 제2 커넥터(120)와의 접촉면(1113)이 곡면일 수가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의 자성 접속 장치(100)는 자성을 이용하여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를 결합하기에 그 접촉면의 형상은 비교적 자유롭다. 물론, 제1 커넥터(110)의 접촉면(1113)이 볼록한 면이면, 제2 커넥터(120)의 접촉면은 오목한 면이 될 것이다. 제1 및 제2 커넥터(110, 120)의 상호 접촉면은 평면 혹은 곡면뿐만 아니라, 상호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다양한 기하학적 면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 접속 장치(200)를 도시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성 접속 장치(200)는 제1 커넥터(210), 제2 커넥터(220) 및 신호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300)는 제1 커넥터(210)에 내장되거나 혹은 제1 커넥터(210)가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미도시)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커넥터(210)는 제2 커넥터(220)와 접속되는 제1 단자(211)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210)는 케이블(219)을 통해 전자 기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1 커넥터(210)는 케이블(219) 없이 직접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커넥터(210)는 전술한 실시예처럼 제2 단자(도 2의 119 참조)를 더 포함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와 접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커넥터(210)의 제1 단자(211)는 자성 커넥터 단자로서, 제2 커넥터(220)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복수의 제1 전극(2111)들과, 제2 커넥터(220)에 부착되는 자기적 체결력을 주는 제1 자성 결합부(2112)와, 자극 인식 센서(2113)를 포함한다. 자극 인식 센서(2113)는 제1 커넥터(210)와 제2 커넥터(220)의 접촉 방향을 판별하는 센서의 일례이다.
복수의 제1 전극(1111)들의 배열은 제1 커넥터(210)를 적어도 2방향에 대해 대칭성이 있게 배열된다. 또한,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자성 배열 배턴은, 자극 인식 센서(2113)를 제외한 나머지 자성 요소들에 대해 적어도 2방향에 대해 대칭성이 있게 배열된다.
도 13a는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200)의 제1 커넥터(210)의 제1 단자(211)의 일예를 도시하며, 도 13b는 도 13a의 제1 단자(211)가 z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전극(2111)들은 제1 단자(211)의 중앙부에 일렬로 배열되며, 제1 자성 결합부(2112)는 복수의 전극(2111)들을 둘러싸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13b에 도시되듯이, 복수의 제1 전극(2111)들은 제1 커넥터(210)의 제1 단자(211)를 z축을 중심으로 180도 돌린 경우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열된 대칭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자성 배열 배턴은 제1 내지 제3 자성 요소들(2112A, 2112B, 2112C)이 복수의 제1 전극(1111)들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들(2112A, 2112B)은 강자성체로 형성된 서로 다른 극성을 나타낸다. 가령, 제1 자성 요소(2112A)와 제2 자성 요소(2112B)는 각각 N극과 S극이 될 수 있다. 제1 자성 요소(1112A)와 제2 자성 요소(1112B)는 서로 다른 극성을 한편, 제3 자성 요소(2112C)는 상자성체로 형성되어 자극을 가지지 않은 자성 요소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극 인식 센서(2113)가 제1 자성 결합부(2112)에 마련된다. 제1 자성 결합부(1112)에서 제1 및 제2 자성 요소들(2112A, 2112B)의 자성 배열 배턴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경우에 대해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제3 자성 요소(2112C)는 제1 커넥터(210)의 제1 단자(211)를 z축을 중심으로 180도 돌렸을 때 자극 인식 센서(2113)가 놓이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220)는 자성 커넥터 단자로서, 제1 커넥터(210)와 접속되는 제1 단자(221)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220) 역시 케이블(229)을 통해 전자 기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2 커넥터(220)도 케이블(229) 없이 직접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 커넥터(220)는 제2 단자(도 2의 129 참조)를 더 포함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와 접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커넥터(220)의 제1 단자(221)는 자성 커넥터 단자로서, 제1 커넥터(210)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복수의 제2 전극(2211)들과, 제1 커넥터(210)에 부착되는 자기적 체결력을 주는 제2 자성 결합부(2212)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220)의 복수의 제2 전극(2211)들의 배열은 제1 커넥터(210)의 복수의 제1 전극(2111)들에 상응하게 배열된다.
도 14a는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200)의 제2 커넥터(220)의 제1 단자(221)의 일예를 도시하며, 도 14b는 도 14a의 제2 단자(221)가 z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10)의 제1 전극(1111)들의 배열이 제1 커넥터(210)를 180도 돌린 경우에 대해 대칭성이 있게 배열되므로, 제2 커넥터(220)의 제2 전극(2211)들의 배열 역시 제2 커넥터(220)를 180도 돌린 경우에 대해 대칭성이 있게 배열된다.
또한, 제2 자성 결합부(2212)의 자성 요소들에 있어서, 제1 커넥터(210)의 자극 인식 센서(2113)에 대향되는 자극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자성 요소들은 제1 및 제2 커넥터(210, 220)가 정 방향이나 180도 회전한 방향에서 결합될 때 항상 자기적 인력이 발생되도록 배열된다. 한편, 제1 커넥터(210)의 자극 인식 센서(2113)에 대향되는 자극 요소는 제2 커넥터(220)가 정위치에 있는 경우와 180도 회전한 경우 두 개가 있는데, 이들 두 자극 요소는 서로 반대의 자극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220)가 정위치에서 제1 커넥터(210)에 결합하는 경우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1 커넥터(210)에 결합하는 경우에 자극 인식 센서(2113)에 가해지는 자기력이 반대 방향이 된다. 반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10)의 제3 자성 요소(2112C)는 상자성체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향되는 제2 커넥터(220)의 자성 요소가 N극의 극성을 지니거나 혹은 S극의 극성을 지니더라도 항상 자기적 인력이 발생된다.
도 15는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200)의 제1 커넥터(210)의 자극 인식 센서(2113)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자극 인식 센서(2113)는 제1 커넥터(210)의 하우징(215)의 내부(2151)에 인입 가능하게 움직이는 가동 자성 요소(2114)와 가동 자성 요소(2114)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2116)과, 가동 자성 요소(2113)가 하우징(215)의 내부(2151)로 인입된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 전극(2115)을 포함한다. 가동 자성 요소(2114)는 강자성체로 형성된 것으로 N극 혹은 S극일 수 있다. 가동 자성 요소(2114)는 외력이 없거나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면 센서 전극(2115)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으며, 가동 자성 요소(2114)에 자기적 척력이 작용하여 하우징(215)의 내부(2151)에 인입하게 되면 센서 전극(2115)에 접촉하게 된다.
도 16은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200)의 제1 및 제2 커넥터(210, 220)가 결합된 제1 태양을 도시하며, 도 17은 도 12의 자성 접속 장치(200)의 제1 및 제2 커넥터(210, 220)가 결합된 제2 태양을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220)가 정위치에서 제1 커넥터(210)에 결합되었을 때, 자극 인식 센서(2113)의 가동 자성 요소(2114)가 자신에 대향되는 제2 커넥터(220)의 제1 자성 요소(2212A)와 서로 반대 극성이 되어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자극 인식 센서(2113)의 가동 자성 요소(2114)는 센서 전극(2115)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220)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1 커넥터(210)에 결합되었을 때, 자극 인식 센서(2113)의 가동 자성 요소(2114)가 자신에 대향되는 제2 커넥터(220)의 제2 자성 요소(2212B)와 서로 같은 극성이 되어 자기적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자극 인식 센서(2113)의 가동 자성 요소(2114)는 센서 전극(2115)와 접촉하게 되어, 접촉 신호가 발생되며, 발생된 접촉 신호는 도선(2119)을 통해 신호 처리부(300)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자극 인식 센서(2113)에서 검출된 신호는 신호 처리부(300)의 신호 처리를 통해 제2 커넥터(220)가 제1 커넥터(210)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자극 인식 센서(2113)에서 검출된 제1 커넥터(210)와 제2 커넥터(220)의 접촉 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커넥터(210)의 전극(2111)들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220)의 전극(2211)들의 순서, 즉 대응관계를 구별한다. 즉, 제2 커넥터(220)가 기설정된 정위치에서 제1 커넥터(210)에 결합되면, 신호 처리부(300)는 제1 커넥터(210)의 전극(2111)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기 신호들의 처리를 기설정대로 유지한다. 반면에 제2 커넥터(220)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1 커넥터(210)에 결합되면, 신호 처리부(300)는 제1 커넥터(210)의 전극(2111)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기 신호들을 제1 커넥터(210)의 전극(2111)들과 제2 커넥터(220)의 전극(2211)들의 180도 뒤바뀐 대응관계를 반영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뒤바뀐 대응관계의 반영은 신호처리 영역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커넥터(210)의 전극(2111)들에 연결되는 배선들을 기계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성 접속 장치(200)는 자극 인식 센서(2113)를 구비함으로써, 제2 커넥터(220)가 제1 커넥터(210)에 결합되는 방향이 바꾸더라도 자동적으로 올바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극(2111, 2211)들의 일렬 배열이나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구체적인 형상은 본 실시예를 제한하지 않는다. 가령, 제1 및 제2 전극(2111, 2211)들은 복수열로 배열되거나 혹은 적어도 2방향에서 대칭성을 가지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성 결합부(1112)의 자성 배열 배턴 역시 적어도 2방향에서 대칭성을 가지는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210)에 상자성체로 형성되는 제3 자성 요소(2112C)가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2 커넥터(220) 쪽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자극 인식 센서(2113)는 제1 자성 결합부(2112)의 어느 한 자성 요소(2112)의 위치에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극 인식 센서(2113)가 제1 자성 결합부(2112)의 자성 요소(2112)들 중 복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자극 인식 센서(2113)는 제2 커넥터(220)쪽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자극 인식 센서(2113)는 가동 자성 요소(2114)를 이용한 기계적 방식으로 자극을 인식하고 있으나,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가령, 자기 유도 코일이 설치된 경우, 대향되는 자성 요소의 극성에 따라 유도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므로, 자극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가동 자성 요소(2114)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전극들(2111)의 배선 자체를 기계적으로 재정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인 자성 접속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 자성 접속 장치
110, 120, 210, 220 : 커넥터
111, 119, 121, 129, 211, 221 : 단자
1111, 1211, 2111, 2211 : 전극
1112, 1212, 2112, 2212 : 자성 결합부
2113 : 자극 인식 센서
300 : 신호처리부

Claims (20)

  1. 제1 자성 결합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자기력으로 결합되는 제2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자기력으로 결합될 때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전기적 접촉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촉 방향을 판별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 결합부는 제1 자성 배열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자성 요소들을 가지며, 상기 제2 자성 결합부는 제2 자성 배열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자성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 배열 패턴의 자성 요소들과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의 자성 요소들은,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1 방향에서 접촉할 때 자기적 인력이 발생되는 순서대로 배열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접촉할 때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인식할 수 있는 자극 인식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 인식 센서는 상기 제1 커넥터의 하우징의 내부에 인입 가능하게 움직이는 가동 자성 요소와, 상기 가동 자성 요소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가동 자성 요소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를 감지하는 센서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자성 요소는 외력이 없거나 상기 제2 자성 결합부에 의한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면 상기 센서 전극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가동 자성 요소에 상기 제2 자성 결합부에 의한 자기적 척력이 작용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인입하여 상기 센서 전극에 접촉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자극 인식 센서에서 인식된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촉 방향을 판별하는 자성 접속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이 위치하며 상기 제2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다른 부위에 위치하며 제3 커넥터와 탈부착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이 위치하며 상기 제1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다른 부위에 위치하며 제4 커넥터와 탈부착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자성 접속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단자는 각각 동일 유형의 암놈 커넥터 단자 및 숫놈 커넥터 단자인 자성 접속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단자는 서로 다른 유형의 커넥터 단자인 자성 접속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단자는 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 IEEE 1394 규격, D-SUB 규격, DIV (Digital Video Interface) 규격, 및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자성 접속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배열 패턴과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은,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에서 접촉할 때 자기적 인력이 발생되는 배열 패턴인 자성 접속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각각 상호 접속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하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촉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의 복수의 제1 전극들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복수의 제2 전극들의 순서를 구별하는 자성 접속 장치.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1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는 자성 요소들과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2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는 자성 요소들은 어느 한쪽의 자성 요소가 강자성체의 자성 요소고 다른 한쪽의 자성 요소가 상자성체의 상자성 요소이거나, 어느 한쪽의 자성 요소가 강자성체의 자성 요소고 다른 한쪽의 자성 요소가 비자성체의 비자성 요소이거나, 양쪽 자성 요소가 서로 다른 극성의 강자성체 자성 요소들인 자성 접속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배열 패턴과 상기 제2 자성 배열 패턴은,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에서 접촉할 때 자기적 척력이 발생되는 배열 패턴인 자성 접속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1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는 자성 요소들은 어느 한쪽의 자성 요소가 강자성체의 자성 요소고 다른 한쪽의 자성 요소가 상자성체의 상자성 요소이거나, 어느 한쪽의 자성 요소가 강자성체의 자성 요소고 다른 한쪽의 자성 요소가 비자성체의 비자성 요소이거나, 양쪽 자성 요소가 서로 다른 극성의 강자성체 자성 요소들이며,
    상기 제1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제2 자성 결합부가 제2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호 대응되는 자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의 자성 요소들은 서로 같은 극성의 강자성체 자성 요소인 자성 접속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성 배열 패턴은, 강자성체의 N극 요소, 강자성체의 S극 요소, 및 상자성체의 상자성 요소, 및 비자성체의 비자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자성 접속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각각 상호 상보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자성 접속 장치.
  15. 타측 커넥터와 자기력으로 결합되어 쌍이 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소정의 자성 배열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자성 요소들을 가지는 자성 결합부와;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상기 자성 결합부가 타측 커넥터의 자성 결합부와 접촉할 때 상기 타측 커넥터의 자성 결합부의 자성 배열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인식할 수 있는 자극 인식 센서와;
    상기 타측 커넥터와의 접촉 방향을 판별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 배열 패턴의 자성 요소들은 상기 자성 결합부가 타측 커넥터의 자성 결합부와 제1 방향에서 접촉할 때 자기적 인력이 발생되는 순서대로 배열되며,
    상기 자극 인식 센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인입 가능하게 움직이는 가동 자성 요소와, 상기 가동 자성 요소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가동 자성 요소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를 감지하는 센서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자성 요소는 외력이 없거나 상기 타측 커넥터의 자성 결합부에 의한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면 상기 센서 전극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가동 자성 요소에 상기 타측 커넥터의 자성 결합부에 의한 자기적 척력이 작용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인입하여 상기 센서 전극에 접촉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자극 인식 센서에서 인식된 상기 타측 커넥터의 자성 배열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측 커넥터와의 접촉 방향을 판별하는 커넥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위치하며 상기 타측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다른 부위에 위치하며 또 다른 커넥터와 탈부착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USB 규격, IEEE 1394 규격, D-SUB 규격, DIV 규격, 및 HDMI 규격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커넥터.
  18. 삭제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배열 패턴은, 강자성체의 N극 요소, 강자성체의 S극 요소, 및 상자성체의 상자성 요소, 및 비자성체의 비자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커넥터.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커넥터가 상기 제1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130030984A 2013-03-22 2013-03-22 자성 접속 장치 KR10205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984A KR102059134B1 (ko) 2013-03-22 2013-03-22 자성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984A KR102059134B1 (ko) 2013-03-22 2013-03-22 자성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16A KR20140115816A (ko) 2014-10-01
KR102059134B1 true KR102059134B1 (ko) 2019-12-24

Family

ID=5199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984A KR102059134B1 (ko) 2013-03-22 2013-03-22 자성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652B1 (ko) 2019-08-26 2021-07-28 김남구 접속단자 연결용 접속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18B1 (ko) * 2010-11-29 2012-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케이블 커넥터 젠더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17A (ja) * 1993-06-15 1995-01-10 Hitachi Ltd コネクト装置
JPH0935818A (ja) * 1995-07-18 1997-02-07 Hitachi Ltd 接続装置
JPH11273770A (ja) * 1998-03-20 199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の入出力端子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18B1 (ko) * 2010-11-29 2012-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케이블 커넥터 젠더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16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7385B2 (en) Magnetic connection device
US7658613B1 (en) Magnetic connector
CN105431983B (zh) 插接连接器
US9735500B2 (en) Magnetic connector for a computing device
US7607920B1 (en) Connect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KR101348932B1 (ko) 비삽입형 컨넥터를 가지는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에 연결되는 젠더
JP3205902B2 (ja) 極性決め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536888B1 (ko)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CN103004035A (zh) 外部接触插塞连接器
CN101369693B (zh) 电连接器
US20150207268A1 (en) Dual orientation electical connector assembly
CN104782000B (zh) 具有至少两个可相互连接的转接部的转接装置
US10103471B1 (en) Reversible connector interface
US20200295494A1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with multiple latches
KR101557345B1 (ko)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US20170256886A1 (en) Electrical connectors
CN108370124B (zh) 具有c形锥式延伸部的电子连接器
US20150222062A1 (en) Dual coaxial cable-to-board connector
US20080200073A1 (en) Encoding device for connectors
KR102059134B1 (ko) 자성 접속 장치
CN104662748A (zh) 插入式连接器的绝缘体
WO2014021507A1 (ko)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US2010030460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connecting element thereof
CN106159553B (zh) 电连接器组件
TWM567496U (zh) Magnetic spring thimble connector structure with a recessed groove and its board en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