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965B1 -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965B1
KR102058965B1 KR1020180002127A KR20180002127A KR102058965B1 KR 102058965 B1 KR102058965 B1 KR 102058965B1 KR 1020180002127 A KR1020180002127 A KR 1020180002127A KR 20180002127 A KR20180002127 A KR 20180002127A KR 102058965 B1 KR102058965 B1 KR 10205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late
far
electromagnetic waves
temperature superconductor
infrared electro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409A (ko
Inventor
이래진
Original Assignee
이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진 filed Critical 이래진
Priority to KR102018000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965B1/ko
Priority to PCT/KR2019/000188 priority patent/WO2019135646A1/ko
Publication of KR2019008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8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은, 고온 초전도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 및 음이온과 같은 유용성분이 고온 초전도체에 내장된 전도판으로 포집되는 것을 극대화 함과 아울러 전도판으로 포집된 다량의 원적외선 전자기파, 및 음이온과 같은 유용성분은 자동차의 성능 개선 에너지원으로 작용되도록 하고자, 자동차의 해당부분(예컨데, 전기계통의 전장품, 배터리, 및 내연기관(엔진) 등)으로 보다 빠르게 전송하는 벤츄리 효과를 발휘하게 한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Automobile Performance Improvement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온 초전도체에 내장되는 다지형 전도판 및 이 다지형 전도판의 연결 구성을 개선하여 고온 초전도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 음이온과 같은 유용성분의 흡수량을 극대화하고, 또한 흡수된 다량의 원적외선 전자기파 및 음이온과 같은 유용성분은 자동차의 해당부분(예컨데,전기계통의 전장품, 배터리, 및 내연기관(엔진)등)에 성능 개선 에너지원으로서 속히 전송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번호 제10-2014-0088425호로 공표된 '차량용 전류 개선장치'가 있다.
이 선행기술은 고순도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내부에 매설되어 그 원적외선 방사물질에서 발산하는 음이온, 회전전자파, 원적외선 등을 흡수하게 하는 전도체의 표면적을 확장하여 차량에 공급되는 전류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였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원적외선 방사체(세라믹 구성물)가 교번자기장과 회전전자파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회전전자파는 원적외선으로 전환되어 방출(방사율 92%)되고, 이 원적외선은 다시 교번자기장에 의해 회전전자파로 전환되는 변환운동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면서 원적외선 방사체에 연결된 전도판 및 도선과의 전압차이에 의해 전도판과 도선으로 흘러 들어가 이에 연결된 모든 해당물에 공명흡수 작용이 형성되게 하여 전원에 존재하는 잡음 제거와 아울러 왜곡된 전자흐름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전기 저항을 감소 시키어 안정화된 전류흐름이 공급되도록 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원적외선 방사체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다지형(多枝形) 전도판들과 그리고 여기에 형성된 엠보부를 통하여 흡수하고 있으나, 원적외선 전자파의 전도판 및 여기에 설치된 엠보부를 통한 흡수량이 작아서 자동차의 성능 개선에 큰 효과를 주지 못하고 있고, 아울러 원적외선 방사체로부터 전도판으로 흡수되는 원적외선 전자파는 전도판에 연결된 하나의 도선을 통해 전송하고 있어, 원적외선 전자파의 전송 속도 또한 약하여 자동차의 성능 개선에 큰 영향은 주지 못하고 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과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문헌2 내지 4가 있다.
먼저, 특허문헌2는 는 내벽에 견운모 등을 주재로 회전전자파를 발산시키는 세라믹층을 도포하고 외부로의 도파가 차단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하우징, 하우징 내부 공간에 일정 높이의 간격유지봉에 지지되어 세라믹층에서 발산하는 회전전자파를 흡수 및 발산을 반복하여 공명흡수 작용토록 하는 내부 덮개판, 내부 덮개판과 바닥판 사이의 자유공간에 유도되는 회전전자파가 침투하도록 받침 절연판에 안치된 전도판, 전도판으로의 회전 전자파를 하우징의 외부로 유츌시켜 전력모선에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여 구성한 전기절전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3은 본 발명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의 전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전류 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적외선을 발산시키는 세라믹분체가 충진된 세라믹충진체와 상기 원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게 상기 세라믹분체와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세라믹충진체에 내설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도체가 흡수한 원적외선을 외부 전력모선에 전송하는 도선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세라믹분체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의 방출량이 최대화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상기 원적외선에 의한 회전전자파가 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수집되어 전력모선에 도달되게 함으로써, 전력모선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켜 전류의 흐름을 개선함과 동시에 음이온 발생에 의한 환경개선은 물론 전류량의 소모를 최소화하여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류 개선장치에 관한 것임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4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에서 발산하는 토션필드(Torsion Field Energy)를 흡수 및 발산시켜 공명 흡수상태를 이루어 유도되는 토션필드와 음이온 물질에서 방사되는 음이온을 전력선 및 화석 연료 연소 장치에 공급하여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어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연소장치의 연소 효율을 높이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정전기 발생 감소 및 수맥파 차단 기능을 구현하는 미세에너지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라고 하여, 내벽에 폴리에틸렌 (Polyethylene)코팅층이 도포된 합성수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바닥면에 분말(맥반석과 황토)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물질층과 입자가 큰 화산석층과 입자가 작은 화산석층을 순차적으로 압착하고 구획판(절연판: 베크라이트)으로 구획된 압착층과, 상기 압착층 상면에 안치되고 내부에 음이온 발산물질을 수용하는 전도판과, 상기 전도판에 연결되어 하우징 외부로 유출된 전선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벽에 폴리에틸렌(PE)코팅층이 도포된 압착층을 내면에 부착한 덮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토션필드(Torsion Field Energy)를 일정 공간에서 수집하고, 수집되는 토션필드를 배출수단에 의해 선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활성화 에너지 즉 미세 에너지 유도창치(Subtle Energy Generator)를 제공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내지4 또한 상기 특허문헌1의 경우와 같은 문제들 즉, 원적외선 전자파의 전도판을 통한 흡수 효율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와, 그리고 원적외선 방사체로부터 흡수된 원적외선 전자파의 도전판과 연결된 하나의 도선을 통한 해당 구성물로의 전송은 도선을 통한 원적외선 전자파의 전송이 약하여 원하는 성능 개선 효율을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는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전도판으로 흡수되는 원적외선 전자파의 흡수량을 극대화 하고, 또한 대량으로 흡수된 원적외선 전자파를 자동차의 해당 부분으로 보다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기술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88425호 KR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62710호 KR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16821호 KR 특허 등록번호 제10-07152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고온 초전도체로부터 전도판으로 흡수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 음이온과 같은 유용성분의 흡수량을 극대화하고, 또한 다량으로 흡수된 원적외선 전자기파, 음이온과 같은 유용성분은 보다 빨리 자동차의 출력증강, 연료절감 및 미세 먼지 요인의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는 에너지 원으로 작용하도록, 자동차의 원하는 부분(예컨데, 전기계통의 전장품, 배터리, 및 내연기관(엔진) 등)으로 보다 빨리 신속히 전송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 초전도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음이온과 같은 유용성분의 손실 최소화를 위해, 고온 초전도체의 외부 전체를 적어도 2중으로 압박하는 상태로 감싸는 밀폐 구조를 이루게 한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는, 케이스 내에 충진재로 고정되며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이 방사되는 방사물질로 가압 성형한 고온 초전도체; 상기 고온 초전도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의 유출 방지와 아울러 상기 고온 초전도체를 압박하고자 상기 고온 초전도체를 2중으로 압박하는 상태로 밀폐하는,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로는 상기 고온 초전도체를 강제적으로 압입후 탄성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압박공간을 갖는 고무튜브와 이 고무튜브의 외부 전체를 압박하는 상태로 감싸는 외부 압박비닐지로 된 탄성 압박부재; 상기 탄성 압박부재에 의하여 밀폐 상태로 압박된 상기 고온 초전도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을 대량 흡수하는 다지형 전도판; 상기 고온 초전도체로부터의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의 흡수량을 높이기 위한 상기 고온 초전도체와의 접촉면적 확장을 위해 상기 다지형 전도판의 양 표면으로 형성한 O자, X자,V자, 삼각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파형(波形), 직선형, 망형, 점선형중 어느 하나 혹은 둘이상의 결합으로 된 다양한 모양의 스크래치(Scratch)부 및 상기 다지형 전도판의 둘레에 소정 형태로 형성한 절단부; 상기 다지형 전도판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지형 전도판에 흡수된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1유도선; 상기 다지형 전도판 및 상기 제1유도선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다지형 전도판과 상기 제1유도선보다는 작은 직경을 이루어 상기 다지형 전도판과 상기 제1유도선을 연결하여, 상기 다지형 전도판으로부터 대량으로 흡수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을 상기 제1유도선을 통해 해당부분으로 보다 빠른 속도로 전송하기 위한 직경이 작은 전송로를 제공하는 동선에 니켈, 알루미늄 혹은 크롬을 도금하여 된 제2유도선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유도선은 동선 혹은 동선에 니켈, 알루미늄 혹은 크롬을 도금한 선을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꼬아서 만든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 초전도체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 음이온과 같은 유용성분을 전도판으로 보다 많이 흡수되게 한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대량으로 흡수된 원적외선 전자기파 등의 유용성분은 보다 빨리 자동차의 출력증강, 연료절감 및 미세 먼지 요인의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는 에너지 원으로 작용하도록, 자동차의 해당 부분(예컨데, 전기계통의 전장품, 배터리, 및 내연기관(엔진) 등)으로 보다 빨리 전송하는 벤츄리 효과를 발휘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원적외선 방사체를 적어도 2중으로 압박하는 상태로 감싸는 밀폐구조를 이루게 하여, 고온 초전도체로부터 생성되는 원적외선 전자파는 외부 손실 없이 그대로 전도판에 대량으로 흡수되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의 일예를 보호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가 보호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1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벤츄리 효과를 발휘하게 구성된 다지형 전도판과 유도선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원적외선 전자기파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a는 도 3a에서 다지형 전도판 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를 전면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4c는 도 4a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5표시의 다지형 전도판들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의 다른 일예를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의 또 다른 일예를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가 보호케이스에 내장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가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으며,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의 일 예를 보호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표시의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가 보호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100)는, 대략 장방형상의 보호 케이스(120)내부에 방수 특성을 갖는 우레탄과 같은 충진재(170)로 고정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는 물론 여러가지 유용성분을 방사하는 물질로 성형한 고온 초전도체(110)와, 이 고온 초전도체(110)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 는 물론 여러가지 유용성분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1,제2유도선(150,1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제2유도선(150,160)은 절연을 위하여 통상의 외피로 보호되어 있고, 상기 제1유도선(150)의 자유단부가 자동차의 예컨데, 전기계통의 전장품, 배터리, 및 내연기관(엔진) 등에 접속되어 지속적으로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아울러 음이온 등의 유용성분이 흐르게 하여 자동차의 성능을 개선 시키는 활발한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의 형상을 장방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일 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의 사각형상 이외에 원형, 타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보호 케이스(120)의 형상도 변형 됨은 도면 표시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는 도1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벤츄리 효과를 발휘하게 구성된 다지형 전도판과 유도선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원적외선 전자기파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는 저항을 적게하는 다량의 음이온, 회전전자파 및 원적외선 전자기파는 물론 그밖의 저항을 줄이는데 유용한 성분을 방사하는 다양한 무기 물질들을 초전도체 합성공법(SHS공법)으로 합성한 것으로, 이러한 고온 초전도체(110)를 만드는 물질로는 운모,규소,실리카, 알루미나,점토, 플라이 애쉬, 벤토나이트, 맥반석, 탈크, 감람석, 석고, 지르콘, 황토, 탄화규소, 질화규소, 카본, 이산화티탄, 산화마그네슘, 산화철지르코니아, 토르말린, 영구자석분말, 그래핀, 그래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분말화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는 외부 전체를 탄성압박부재(140)로 압착하는 상태로 포위되게 하여,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는 물론 유용성분이 외부로 손실됨이 없게 하여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에 그대로 머물게 하는 저류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즉, 이 탄성압박부재(140)는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로는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를 강제적으로 압입(壓入)할수 있게 하면서 압입 후에는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압착공간(143)을 갖는 고무튜브(142)와 이 고무튜브(142)의 외부 전체를 다시 이중으로 압착하는 상태로 감싸는 외부압박비닐지(144)로 이루어져,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는 물론 유용성분이 외부로 방출됨이 없이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의 내부에 그대로 저류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에 내장되게 매설된 다지형(多枝形) 전도판(130)에 자동차 성능 개선의 주 요인으로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는 물론 유용성분의 대량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은 다수개의 기다란 소정넓이의 사각 판체(132)들의 일단을 일체로 결속하여 다지형(多枝形)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은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를 소정 형태로 형성시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와 직접 접촉하는 상태를 이루게 함에 의해,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 및 유용성분은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보다는 낮은 압력의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측으로 전자기파 형태로 다량으로 흡수되게 한 것이며,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에 흡수된 대량의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그 밖의 유용성분들은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보다 낮은 압력의 상기 제1유도선(150)을 통하여 자동차의 성능 개선부분 예컨데, 자동차 배터리, 엔진, 전기 계통의 전장품 등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유용성분이 예컨데 자동차의 성능 개선부분인 자동차 배터리, 엔진, 전기 계통의 전장품 등으로 빨리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제1유도선(150)과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의 사이에는 벤츄리 효과 유발 수단을 설치하였다. 이 벤츄리 효과 유발 수단이 상기 제1유도선(150)에 결합된 제2유도선(160)이다.
상기 제2유도선(160)은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 및 상기 제1유도선(150)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동(銅)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2유도선(160)은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 및 상기 제1유도선(150)보다는 적어도 작은 사이즈를 이루게 하여, 일단은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의 집합단부(134)와 연결단자(136)를 통하여 연결하였고, 타단은 연결관(162)을 개재하여 상기 제2유도선(160)보다는 굵은 상기 제1유도선(150)의 어느 일단에 일체로 접속하는 상태로 연결하였다. 상기 제1유도선(150)은 상기 제2유도선(160)과 같이 전도율이 좋은 동선(銅線)을 상기 제2유도선(150)보다는 적어도 직경이 굵게 하고자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든 것이며, 상기 제1유도선(150)의 외부로는 보호용 외피(152)를 씌워서 절연과 아울러 절단이나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으로 흡수되는 대량의 원적외선 전자기파는 물론 유용한 성분이 상기 제1유도선(150)을 통하여 자동차의 성능개선부분으로 빠른 속도로 전송되는 벤츄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c의 표시와 같이, 상기 제2유도선(160)은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 및 상기 제1유도선(150)보다는 작은 사이즈를 이루게 하여,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과 상기 제1유도선(150)을 연결한 구성에 의해,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과 상기 제1유도선(150)의 사이에는 상기 제2유도선(160)에 의해 유도로의 직경이 축소되었다가 확대되는 상태의 전송로 제공으로,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으로부터 상기 제1유도선(150)으로 흐르는 원적외선 전자기파 등의 유용성분은 상기 제2유도선(160)을 경유시 압력은 작아지면서 전송(흐름)속도가 빨라지게 하는 벤츄리 효과가 얻어지게 하여,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으로 흡수되는 원적외선 전자파 등의 유용성분은 상기 제1,제2유도선(150,160)을 통해 더 강하고 빠른 속도로 자동차의 성능개선 요구부분인 예컨데, 자동차 배터리, 엔진, 전기 계통 전장품 등으로 신속히 전송되어져서, 자동차의 출력증강, 연료절감 및 매연 배출 감소를 위한 공진,공명작용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도 4a는 도 3a에서 다지형 전도판 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를 전면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4c는 도 4a의 측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고온 초전도체(110)에 내장되는 상태로 매설된 다지형 전도판(130)은 직사각형의 다수개의 전도판들(132)을 어느 일단을 집합하여 다지형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다지형 전도판(130)은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의 흡수량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상기 고온 초전도체(110)와의 접촉면적 확장을 위해 각 전도판(132)의 양 표면으로는 엠보부(133)형성과 아울러 엠보부(133)에는 다양한 모양의 스크래치(Scratch)부(135)를 형성하였고, 또한 각 전도판(132)의 전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형태의 절단부(137)을 형성하였다.
상기 엠보부(133)에 형성된 상기 스크래치(Scratch)부(135)는, 본 실시예에서는 열십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표시하였으나, O자형, *형, V자형, 삼각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파형(波形), 직선형, 망형, 점선형 중 어느 하나 혹은 둘이상의 결합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단부(137)를 직선형으로 절단 한 것을, 일 예로들어 표시하였으나, 파형으로 절단할 수 있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을 이루는 전도판들(132)을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으로 구성한 것을 일 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진원형, 타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구성할수도 있다.
도5a 내지 5d는 도 5표시의 다지형 전도판들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전도판(132)에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의 흡수량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형성한 스크래치부를 사선 스크래치부(138-1), 직선스크래치부(138-2), 망형 스크래치부(138-3), 그리고 파형 스크래치부(138-4)로 각각 형성한 것을 표시한 것이다. 그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의 다른 일예를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는 3개의 고온 초전도체들(110-1,110-2,110-3)이 각각의 제2유도선들(160-1,160-2,160-3)을 사용하여 제1유도선(150)에 연결관(162)을 개재하여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좀더 많은 량의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데 사용할수 있다. 예컨데 중형 승용차나 소형 트럭 등이다. 그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의 또 다른 일예를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가 보호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는 4개의 고온 초전도체들(110-1,110-2,110-3,110-4)을 각각의 제2유도선들(160-1,160-2,160-3,160-4)을 사용하여 제1유도선(150)에 연결관(162)을 개재하여 연결한 상태 그대로를 보호 케이스(120)에 내장 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마력수가 큰 중,대형버스, 보트 및 선박이나 철도차량에 사용할 수 있다. 그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성능 개선장치(100)는, 도 9의 표시와 같이, 자동차의 경우 엔진룸에 설치되어 전장품, 배터리, 및 내연기관(엔진)에 연결 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고온 초전도체(110)로부터 정압차이에 의해 다지형 전도판(130)으로 흡수되는 대량의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은, 상기 다지형 전도판(130)과 상기 제1유도선(150)을 연결하면서 직경이 축소되었다가 확대 되게 하는 전송로를 제공하는 상기 제2유도선(160)에 의해 자동차의 성능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 예컨데, 자동차 배터리, 엔진, 전장품 등으로 보다 신속히 전송되게 하여 자동차의 출력증강, 연료절감 및 매연 배출 감소를 위한 공진,공명작용을 실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예컨데 자동차의 엔지 하우징에 본 발명에 따른 개선장치(100)의 외부로 길게 연장된 제1유도선(150)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우, 고온 초전도체(110)로부터 방사되어 빠른 속도로 전송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다양한 유용성분은 엔진 하우징 외벽으로부터 엔진 내부의 실린더 내벽으로 전송되어 엔진의 냉각수나 오일 등의 분자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피스톤과 원자 이온결합에 의한 마찰 저항 계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갖게 하여, 피스톤으로부터 강한 밀폐, 밀봉작용을 유발함으로써 흡기, 배기 폭발시 원활한 연소가 실행되게 하여 압축비 향상을 극대화, 연비 개선 및 출력증강 효과를 부여함과 아울러 연료의 연소 효율을 좋게하여 매연가스 배출을 적게 하고, 미세먼지 발생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다양한 유용성분은 전기계통의 선로 내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킨 안정화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소모가 절감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하여 배터리의 수명 증대는 물론 자동차의 각종 전장품의 수명 연장 효과를 주게됨은 물론 전기저항을 감소시킨 안정화된 전류흐름은 자동차 연비의 개선에도 도움을 주게되는 유리한 점이 있다.
본 제품을 2007년식 소나타 2000cc. 휘발유, LPG 차량에 각각 장착하여 최근에 문제가되고 있는 미세먼지 배출량을 측정해 보았다.
측정방법은 ASM-아이들링 상태로 30분 유지하여 CO, HC, NOx, CO2, 공기 과잉률(λ)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1과 같았다.
구분 기준 진단결과
일산화탄소(CO) 0.46/1.0% 이하 0.00/0.0%
탄화수소(HC) 37/120ppm 이하 6/5ppm 이하
질소산화물(NOx) 610ppm 이하 0
공기 과잉률(λ) 0.90~1.0 1.02
상기 표1에 의해서는 자동차의 엔진 및 배터리 쪽으로 고온 초전도체로부터 방사되는 다량의 원적외선 전자기파, 음이온 등의 유용성분이 강하게 보다 빨리 전송되게 함으로써 엔진 출력증강, 미세먼지와 같은 배출가스감소, 배터리 및 전기계통의 전장품의 수명증가에 도움을 주게 된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00 :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110 : 고온 초전도체
120 : 보호 케이스
130 : 다지형 전도판
132 : 전도판
135 : 스크래치(Scratch)부
137 : 절단부
140 : 탄성압박부재
142 : 고무튜브
144 : 외부압박용 비닐지
150,160: 제1,제2유도선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케이스 내에 충진재로 고정되며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이 방사되는 방사물질로 가압 성형한 고온 초전도체;
    상기 고온 초전도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의 유출 방지와 아울러 상기 고온 초전도체를 압박하고자 상기 고온 초전도체를 2중으로 압박하는 상태로 밀폐하는,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로는 상기 고온 초전도체를 강제적으로 압입후 탄성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압박공간을 갖는 고무튜브와 이 고무튜브의 외부 전체를 압박하는 상태로 감싸는 외부 압박비닐지로 된 탄성 압박부재;
    상기 탄성 압박부재에 의하여 밀폐 상태로 압박된 상기 고온 초전도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을 대량 흡수하는 다지형 전도판;
    상기 고온 초전도체로부터의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의 흡수량을 높이기 위한 상기 고온 초전도체와의 접촉면적 확장을 위해 상기 다지형 전도판의 각 전도판의 양 표면으로 형성한 O자, X자,V자, 삼각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파형(波形), 직선형, 망형, 점선형중 어느 하나 혹은 둘이상의 결합으로 된 다양한 모양의 스크래치(Scratch)부 및 상기 다지형 전도판의 각 전도판의 둘레에 소정 형태로 형성한 절단부;
    상기 다지형 전도판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지형 전도판에 흡수된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1유도선;및
    상기 다지형 전도판 및 상기 제1유도선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다지형 전도판과 상기 제1유도선보다는 작은 직경을 이루어 상기 다지형 전도판과 상기 제1유도선을 연결할 수 있게하며, 상기 다지형 전도판으로부터 대량으로 흡수되는 원적외선 전자기파와 같은 유용성분을 상기 제1유도선을 통해 해당부분으로 보다 빠른 속도로 전송하기 위한 직경이 작은 전송로를 제공하는 동선에 니켈, 알루미늄 혹은 크롬을 도금하여 된 제2유도선;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선은 동선 혹은 동선에 니켈, 알루미늄 혹은 크롬을 도금한 선을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꼬아서 만든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KR1020180002127A 2018-01-08 2018-01-08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KR10205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27A KR102058965B1 (ko) 2018-01-08 2018-01-08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PCT/KR2019/000188 WO2019135646A1 (ko) 2018-01-08 2019-01-07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27A KR102058965B1 (ko) 2018-01-08 2018-01-08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09A KR20190084409A (ko) 2019-07-17
KR102058965B1 true KR102058965B1 (ko) 2019-12-24

Family

ID=6714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127A KR102058965B1 (ko) 2018-01-08 2018-01-08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8965B1 (ko)
WO (1) WO201913564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14B1 (ko) * 2004-07-30 2010-05-27 넥쌍 실린더형 초전도체 부품 및 저항 전류 제한기로서의 그 사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12B1 (ko) 2002-01-18 2004-02-21 김은국 전기절전장치
KR100715288B1 (ko) 2006-01-23 2007-05-08 주식회사 이피텍 미세 에너지 발생장치
KR101036932B1 (ko) 2009-04-23 2011-05-25 임재근 전류 개선장치
KR20140088425A (ko) 2013-01-02 2014-07-10 이래진 차량용 전류 성능 개선장치
KR20150106087A (ko) * 2014-03-11 2015-09-21 주식회사 제위드 전자밀도 향상을 이용한 에너지 개선장치
KR101596645B1 (ko) * 2015-09-11 2016-02-23 김문배 전류흐름 개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14B1 (ko) * 2004-07-30 2010-05-27 넥쌍 실린더형 초전도체 부품 및 저항 전류 제한기로서의 그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09A (ko) 2019-07-17
WO2019135646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1227B2 (en) Plasma reactor,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e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CN101682209B (zh) 电功率节约设备
AU2002336753A1 (en) A very low emission hybrid electric vehicle incorporating an integrated propulsion system including a hydrogen power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high power ni-mh battery pack
CN102388214A (zh) 用于热隔离发动机或发动机部件的结构件,尤其用于内燃机的隔热屏
EP1361349A3 (en) A microgenerator of electrical energy
KR102058965B1 (ko) 자동차의 성능 개선장치
CN207530726U (zh) 一种气缸套温差发电装置
WO2018180480A1 (ja) コネクタ
CN101232130A (zh) 用于机动车的电单元的电连接线
CN209708818U (zh) 一种模块化无线充电装置
CN204558193U (zh) 矿用油浸式电力变压器
KR20140088425A (ko) 차량용 전류 성능 개선장치
CN215069302U (zh) 一种多层屏蔽柔性新能源车用高压电缆
CN101512145B (zh) 用于收集、储存以及输出能量的装置
CN205490396U (zh) 一种光伏接线盒
CN110635256A (zh) 超声波焊接电连接件
CN209515429U (zh) 无线充电装置
CN107707132A (zh) 逆变器
CN207082650U (zh) 一种端子散热环及充电枪
CN219610057U (zh) 一种车用电感线圈用漆包扁线
CN211684960U (zh) 一种汽车用低碳配方高阻抗材料绝缘橡胶件
CN104295650B (zh) 直线型发电式减振器
CN210956271U (zh) 一种新能源汽车用车内轻型高压电线电缆
CN210575095U (zh) 车载播放器的分层防水隔热结构
CN212751916U (zh) 一种汽车微型电机的定子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