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545B1 - Automatic juice mixer of circulation type - Google Patents

Automatic juice mixer of circulation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545B1
KR102058545B1 KR1020190044634A KR20190044634A KR102058545B1 KR 102058545 B1 KR102058545 B1 KR 102058545B1 KR 1020190044634 A KR1020190044634 A KR 1020190044634A KR 20190044634 A KR20190044634 A KR 20190044634A KR 102058545 B1 KR102058545 B1 KR 10205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juice
wire
mixing
mixing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태준
Original Assignee
와이즈 브라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 브라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즈 브라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5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5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making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mixing bowls with a rotary blade perform crushing and mixing while being circulated to continuously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of making and transferring juice into a cup after inputting materials for the juice and washing the mixing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making apparatus comprises: a wire (100) guided along a track to be circulated; a bowl unit (200) including the mixing bowl (210) having the rotary blade (211) rotatably disposed on an inner lower surface and a link (220) exten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ixing bowl (210), thereby being connected to the wire (100) to be circulated with the wire (100); and a pivot adjustment rail (300) disposed with a height difference while following the track of the wire (100) to control a pivot angle of the bowl unit (200) in accordance with a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bowl unit (200). Accordingly, the apparatus performs from making juice to washing the mixing bowl without separate manpower, thereby operating a beverage store without generating personnel cost. Moreover, the apparatus makes juice in accordance with a fixed recipe, thereby always providing juice of uniform and good quality.

Description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Automatic juice mixer of circulation type}Automatic juice mixer of circulation type

본 발명은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 칼날이 마련된 다수의 믹싱 보울이 순환하면서 분쇄 및 혼합함으로써, 주스재료를 투입한 후 주스를 제조하여 컵으로 옮기며 믹싱 보울을 세척하는 일련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써, 별도의 인력 없이도 주스의 제조에서 믹싱 보울의 세척까지 가능하여 인건비의 발생 없이 음료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주스의 제조가 수행됨으로써 항상 균일한 양질의 주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mixing bowls provided with a rotary blade is pulverized and mixed while circulating, to prepare a series of juices and then to prepare a juice to move to a cup to wash the mixing bowl As a device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everage store without incurring labor costs by making the juice from the juice production to washing the mixing bowl without any additional manpower. It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good quality juice.

일반적으로 생과일 주스 등을 판매하는 음료 매장에서는 손님이 주스를 주문하면 주문 내역에 따라 주스재료를 믹서에 투입한 후 주스를 제조하며, 이후 제조가 완료된 주스를 컵에 옮겨 담아 서빙하는 한편, 믹서 용기에 대한 세척을 실시하여 다시 주스의 제조에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in a beverage store that sells fresh fruit juices, when customers order juices, juice ingredients are put into a mixer according to the order details, and then juices are prepared. Washing is carried out and used again for the preparation of juice.

이에 따라, 음료 매장에서는 손님의 주문을 받거나 주스를 제조하여 서빙하는 등 많은 인력이 요구되어 인건비 상승의 원인되고 있다.As a result, a large number of manpower is required in the beverage store, such as receiving orders from customers or preparing and serving juice, which causes labor costs to rise.

게다가, 주스의 제조 시,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정량의 주스재료를 투입해야 하지만, 믹서의 구동 속도 및 구동 시간 등의 변수에 의해 주스의 제조 상태가 항상 변화하기 때문에, 제조된 주스는 때마다 다른 상태로 제조되기 쉬어 균일한 레시피에 따라 주스를 제조하여 손님에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juice is prepared, a certain amount of juice material should be add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cipe, but since the state of manufacture of the juice is always changed by variables such as the speed of the mixer and the time of operation, the juice produced is different from time to time. There was a problem in the prior art that it is difficult to prepare the juice according to the uniform recipe to provide to the custom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 칼날이 마련된 다수의 믹싱 보울이 순환하면서 다양한 혼합 재료의 주스를 빠르게 무인 제조하는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인력 없이도 주스의 제조에서 믹싱 보울의 세척까지 가능하여 인건비의 발생 없이 음료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주스의 제조가 수행됨으로써 항상 균일한 양질의 주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for unattended manufacturing of juice of various mixed materials while rotating a plurality of mixing bowls provided with a rotary blade, the production of juice without a separate manpower It can be used to wash mixing bowls, so that beverage stores can be operated without incurring labor costs, and juice production is carried o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cipe, thereby providing a 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that can provide a uniform quality juice at all times. I would like to.

이러한 본 발명은 궤적을 따라 안내되어 순환하는 와이어와; 내부 저면에 회전 칼날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믹싱 보울과, 상기 믹싱 보울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함께 순환하는 보울부와; 상기 와이어의 궤적을 따르되 높이 차이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보울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보울부의 피봇 각도를 위치에 따라 제어하는 피봇 조절 레일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 that is guided and circulated along the trajectory; A bowl portion connected to the wire and circulated together, including a mixing bowl having a rotary blade rotatably provided at an inner bottom thereof, and a link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mixing bowl; It is achieved by including a pivot adjusting rail dispos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wire with a height difference to control the pivot angle of the bowl part by contact with the bowl part.

이때, 상기 와이어의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와이어에 클램핑 되며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안내되어 함께 순환하되, 상기 보울부를 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guide rail dispos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wi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over clamped to the wire and guided on the guide rail to circulate together, pivotally supporting the bowl.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부 구간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가동자에는 상기 단자 레일에 접촉하여 통전되는 단자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보울부에는 상기 단자 롤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회전 칼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guide rail is provided with a terminal rail for power supply, the mover is provided with a terminal roller that is energized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rail, the bowl portion receives power from the terminal roll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이와 다르게, 상기 와이어의 궤적을 따르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치합하여 상기 보울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칼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도 양호하다.Alternatively, the rack is formed in some sections along the trajectory of the wire; It is also preferable to include a pinion that is engaged with the rack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blad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owl portion.

게다가, 상기 보울부의 믹싱 보울 내에 주스재료를 투입 가능한 호퍼와; 상기 와이어의 순환 속도와 동일 속도로 구동하면서 컵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보울부의 믹싱 보울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노즐이 추가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a hopper capable of injecting juice material into the mixing bowl of the bowl portion;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 cup while driving at the same speed as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wire; It would also be desirable to further comprise a cleaning nozzle for cleaning the mixing bowl of the bowl.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회전 칼날이 마련된 다수의 믹싱 보울이 순환하면서 다양한 혼합 재료의 주스를 빠르게 무인 제조하는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인력 없이도 주스의 제조에서 믹싱 보울의 세척까지 가능하여 인건비의 발생 없이 음료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주스의 제조가 수행됨으로써 항상 균일한 양질의 주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for unattended manufacturing of juice of various mixed materials while circulating a plurality of mixing bowls provided with a rotary blade, from the production of juice to the washing of the mixing bowl without a separate manpower It is possible to operate a beverage store without incurring labor costs, it is an invention that can always provide a uniform quality juice by the production of ju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c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보울부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믹싱 보울에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링크에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믹싱 보울에 구름 롤러를 통해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링크에 구름 롤러를 통해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보울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믹싱 보울에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와이어와 보울부 사이에 가동자를 적용하되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에 구름 롤러를 통해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와이어와 보울부 사이에 가동자를 적용하되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에 구름 롤러를 통해 접촉하는 예의 피봇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와이어와 보울부 사이에 가동자를 적용하되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회전 가능한 믹싱 보울에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와이어와 보울부 사이에 가동자를 적용하되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회전 가능한 믹싱 보울에 접촉하는 예의 피봇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회전 칼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회전 칼날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배치의 다양한 예시를 도시하는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bowl portion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ivot adjusting rail in contact with the mixing bowl of the bowl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ivot adjusting rail in contact with the link of the bowl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ivot control rail is in contact with the mixing bowl of the bowl portion through the rolling roller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ivot adjusting rail is in contact with the link of the bowl portion through the rolling roller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owl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ivot adjusting rail in contact with the mixing bowl of the bowl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control between the wire and the bowl portion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ivot control rail is in contact with the bowl through the rolling roller,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pivot state of an example in which a mover is applied between a wire and a bowl part while the pivot control rail contacts the bowl part through a rolling roller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control between the wire and the bowl portion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ivot control rail is in contact with the rotatable mixing bowl of the bowl;
15 is a view showing a pivot state of an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control between the wire and the bowl portion in the re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ivot control rail is in contact with the rotatable mixing bowl of the bowl;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rrangement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보울부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믹싱 보울에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링크에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bowl portion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ivot control rail in the bowl mixing bowl of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xample of contacting, and FIG. 7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xample which a pivot control rail contacts the link of a bowl part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믹싱 보울에 구름 롤러를 통해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링크에 구름 롤러를 통해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And,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ivot control rail in contact with the mixing bowl bowl bowl mixing roller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xample which a pivot adjusting rail contacts a link of a bowl part through a rolling roller in a manufacturing apparatus.

게다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보울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믹싱 보울에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owl portion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mixing bowl of the bowl portion of the pivot control rail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xample which contacts to.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와이어와 보울부 사이에 가동자를 적용하되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에 구름 롤러를 통해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와이어와 보울부 사이에 가동자를 적용하되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에 구름 롤러를 통해 접촉하는 예의 피봇 상태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13의 (a)는 재료 투입 구간을 도시하는 도이며, 도 13의 (b)는 주스 배출 구간을 도시하는 도이고, 도 13의 (c)는 세척 구간을 도시하는 도이다.In addi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control between the wire and the bowl portion in the re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ivot control rail is in contact with the bowl through the rolling roller, Figure 13 is 13 is a view illustrating a pivot state of an example in which a movable controller is applied between a wire and a bowl part, but the pivot control rail contacts the bowl part through a rolling roller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terial input section, FIG. 1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juice discharge section, and FIG. 13C is a view showing a washing section.

이와 더불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와이어와 보울부 사이에 가동자를 적용하되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회전 가능한 믹싱 보울에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와이어와 보울부 사이에 가동자를 적용하되 피봇 조절 레일이 보울부의 회전 가능한 믹싱 보울에 접촉하는 예의 피봇 상태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15의 (a)는 재료 투입 구간을 도시하는 도이며, 도 15의 (b)는 주스 배출 구간을 도시하는 도이다.In addi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control between the wire and the bowl portion in the re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ivot control rail is in contact with the rotatable mixing bowl of the bowl, 15 is a view showing a pivot state of an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control between the wire and the bowl portion in the re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ivot control rail is in contact with the rotatable mixing bowl of the bowl. a)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aterial input section, and FIG. 15 (b) is a figure which shows the juice discharge section.

마지막으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회전 칼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회전 칼날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배치의 다양한 예시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도 18의 (a)는 I자형 배치를 나타내며, 도 18의 (b)는 T자형 배치를 나타내고, 도 18의 (c)는 H자형 배치를 나타낸다.Finally, Figure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i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n the apparatus, and Fig. 18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rrangement in the re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Shows an I-shaped arrangement, FIG. 18B shows a T-shaped arrangement, and FIG. 18C shows an H-shaped arrang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terms such as first and / or 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only, for examp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called a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ta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that is implemented,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는 회전 칼날(211)이 마련된 다수의 믹싱 보울(210)이 순환하면서 다양한 혼합 재료의 주스를 빠르게 무인 제조하는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인력 없이도 주스의 제조에서 믹싱 보울(210)의 세척까지 가능하여 인건비의 발생 없이 음료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주스의 제조가 수행됨으로써 항상 균일한 양질의 주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lar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for rapidly and unmanned production of juices of various mixed materials while a plurality of mixing bowls 210 having a rotary blade 211 are provided thereon, thereby providing a separate manpower.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everage store without incurring labor costs because it is possible to wash the mixing bowl 210 without the production of juice, and that the production of juice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cipe so that it can always provide a uniform quality juice. It is a basic technical feature.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궤적을 따라 안내되어 순환하는 와이어(100)와; 내부 저면에 회전 칼날(211)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믹싱 보울(210)과, 상기 믹싱 보울(210)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링크(220)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100)에 연결되어 함께 순환하는 보울부(200)와; 상기 와이어(100)의 궤적을 따르되 높이 차이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보울부(20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보울부(200)의 피봇 각도를 위치에 따라 제어하는 피봇 조절 레일(3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wire is guided and circulated along the trajectory 100; A mixing bowl 210 having a rotary blade 211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bottom thereof and a link 220 extending from a bottom of the mixing bowl 210 are connected to the wire 100 and circulated together. Bowl unit 200;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the wire 100 is disposed with a difference in height is to include a pivot control rail 300 for controlling the pivot angle of the bowl portion 200 according to the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bowl portion 200 desirable.

즉, 본 발명의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는 크게, 와이어(100), 보울부(200), 그리고 피봇 조절 레일(3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That is,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100, a bowl part 200, and a pivot control rail 300 basically.

우선, 와이어(100)는 이하에 설명할 보울부(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다수의 안내 롤러(101)에 의해 소정의 궤적을 순환하도록 설치면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높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First, the wire 100 is horizontally approximately at the same height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so as to circulate a predetermined trajectory by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101 in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driving source for moving the bowl part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placed.

이와 같은 와이어(100)의 궤적은 클로우즈드 루프(closed loop)를 이루어 일방향, 예를 들어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진행할 것이며, 보울부(200)의 상태, 즉 믹싱 보울(210)의 피봇 각도에 따라 예를 들어, 재료 투입 구간, 믹싱 구간, 주스 배출 구간, 세척 구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The trajectory of such a wire 100 will proce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in FIG. 2, by making a closed loop, and the state of the bowl 200, that is, the pivot angle of the mixing bowl 210. For example, it may be divided into a material input section, mixing section, juice discharge section, washing section and the like.

여기에서, 재료 투입 구간이란 호퍼(700)를 이용하여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 내에 주스재료(1)를 투입하는 구간을 의미하며, 믹싱 구간이란 회전 칼날(211)을 회전시켜 믹싱 보울(210) 내에 투입된 주스재료(1)를 혼합 및 분쇄하여 주스를 제조하는 구간을 의미한다.Here, the material input section means a section for injecting the juice material 1 into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200 using the hopper 700, the mixing section by rotating the rotary blade 211 Means a section for preparing the juice by mixing and grinding the juice material (1) injected into the mixing bowl 210.

그리고, 주스 배출 구간이란 제조된 주스를 믹싱 보울(210)로부터 컨베이어(800)를 통해 이동하는 빈 컵(2)에 옮겨 담는 구간을 의미하고, 세척 구간이란 주스 제조에 기 사용된 믹싱 보울(210)에 대하여 세척 노즐(900)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구간을 의미한다.And, the juice discharge section means a section for transferring the prepared juice from the mixing bowl 210 to the empty cup (2) moving through the conveyor 800, the washing section is the mixing bowl 210 used in the juice production Means a section for washing using the washing nozzle (900).

따라서, 상기 와이어(100)는 안내 롤러(101)를 따라 무한궤도를 이루어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지니며, 다수의 보울부(200)를 동시에 순환 구동시킬 수 있는 적절한 장력을 유지할 정도의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wire 100 has flexibility to bend in an infinite orbit along the guide roller 101, and the tensile strength to maintain the appropriate tension to circulate the plurality of bowls 200 at the same time It is desirable to have

이와 같은 와이어(100)는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이, I자 형상으로 길이를 다양하게 변경시켜서 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T자 형상이나 H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18, the wire 100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I shape,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 shape or an H shape as necessary.

그 결과, 한정된 길이나 면적의 공간 내에서 와이어(100)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구성할 수 있음으로써, 주스재료(1)의 투입으로부터 주스의 제조 시간이나 믹싱 보울(210)의 세척 시간을 길게 확보하거나, 주스의 제조를 보조하기 위한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wire 100 can b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long in a space having a limited length or area, thereby ensuring a long production time of the juice and a washing time of the mixing bowl 210 from the input of the juice material 1.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configure other components to assist in the production of juice.

이때, 미도시한 원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100)를 직접 순환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다르게 원동모터의 출력축을 상기 안내 롤러(101)의 회전축에 연결하여 상기 안내 롤러(101)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와이어(100)를 순환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drive the wire 100 by using a non-illustrated motive motor, otherwise the output shaft of the motive motor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guide roller 101 through the guide roller 101 It may be possible to indirectly drive the wire 100 indirectly.

이와 함께, 원동모터와 상기 와이어(100) 사이에는 미도시한 별도의 변속부재를 두어 상기 원동모터의 회전속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부재를 통해 상기 와이어(100)의 순환 속도를 증감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a separate transmission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motive motor and the wire 100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wire 100 through the transmission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ive motor is maintained uniformly. It will also be possible.

이와 다르게, 자체적으로 회전속도의 증감 제어가 가능한 원동모터를 마련하여 상술한 별도의 변속부재 없이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직접 원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감시켜 상기 와이어(100)의 순환 속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wire 100 by direct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iv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control signal by providing a motive mot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rotational speed by the separate transmission member described above. It will be possible.

다음으로, 보울부(200)는 믹싱 보울(210)과 링크(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믹싱 보울(210)은 그 내부에 주스재료(1)를 투입하여 혼합 및 분쇄함으로써 주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지닌 용기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bowl part 200 includes a mixing bowl 210 and a link 220, and the mixing bowl 210 may prepare juice by injecting and mixing and pulverizing the juice material 1 therein. As a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so as to be able to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도 5에는 저면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원형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져 회전 칼날(211)에 의한 혼합 및 분쇄 시 주스재료(1)가 회전 칼날(211)을 향하여 집중될 수 있는 형상을 지닌 믹싱 보울(21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5 is a mixing bowl having a shape in which the juice material 1 can be concentrated toward the rotary blade 211 during mixing and pulverization by the rotary blade 211 to have a circular shape gradually narrowing toward the bottom. 210 is shown by way of example.

도시하진 않았지만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단면을 지닌 보울로 상기 믹싱 보울(210)이 이루어져도 좋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the mixing bowl 210 may be made of a bowl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이러한 보울부(2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하나의 와이어(100)에 다수가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100)의 순환 구동에 따라 다수의 보울부(200)들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순환할 수 있는 것이다.The bowl part 2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s 100 at intervals as shown in FIGS. 1 to 4, so that the plurality of bowl parts 200 ar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circular driving of the wire 100. It can be cycled at a spaced interval.

이와 같은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은 주스재료(1)나 주스가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을 지니도록 테프론 등의 재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200 is preferably coated with a material such as Teflon to prevent the juice material 1 or the juice from sticking to the surface and to have corrosion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이와 더불어, 상기 믹싱 보울(210)의 내부 저면에는 도 5와 같이 회전 칼날(211)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상기 회전 칼날(2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 내에 담겨 있는 주스재료(1)를 고르게 혼합 및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ner blade of the mixing bowl 210 is provided with a rotary blade 211 rotatably as shown in Figure 5,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20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blade 211. It is possible to evenly mix and pulverize the juice material 1 contained in).

이때, 상기 회전 칼날(211)은 통상 정지한 상태로 있다가 주스재료(1)의 혼합 및 분쇄가 요구되는 소정의 구간, 예를 들어 믹싱 구간에서만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회전 칼날(211)은 고강도를 지니면서 내부식성을 지닌 금속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ry blade 211 is normally stopped and then driven only in a predetermined section, for example, a mixing section, where mixing and pulverization of the juice material 1 is required. )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회전 칼날(211)의 회전 속도가 주스재료(1)에 따라 보다 빠르게 회전하거나 보다 느리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blade 211 may be controlled to rotate faster or slower according to the juice material 1.

그리고, 상기 회전 칼날(21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구동모터(230)가 상기 보울부(200)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보울부(200)의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 칼날(211)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a driving motor 230 may be provided in the bowl part 200 as a driving source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211. Alternatively, the rotary blade 211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outside of the bowl part 200. It will also be possible to rotate the blade 211.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 내에 기밀이 유지되는 별도의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 내에 구동모터(230)와, 이 구동모터(2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40)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in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part 200, a separate isolated space in which airtightness is maintained is formed, and the driving motor 230 and the driving motor 230 are formed in the space. A battery 240 may be provided to supply power.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배터리(240)가 상기 구동모터(23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230)가 구동하여 회전 칼날(211)을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attery 240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motor 230, the driving motor 230 may be driven to rotate the rotary blade 211.

이때,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에는 상기 구동모터(230)의 회전 여부는 물론 분당회전수를 증감 조절하기 위한 무선제어유닛(250)을 추가로 마련하여, 상기 무선제어유닛(250)이 외부에 마련된 컨트롤러로부터 전기적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 받아 상기 구동모터(23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unit 2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reless control unit 250 to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minute, as well as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30, the wireless control unit It will be possibl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230 by receiving an electrical control signal wirelessly from the controller 250 provided outside.

이와는 다르게,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으로 상기 보울부(200) 내에 마련된 배터리(240)를 무선으로 충전 가능한 무선 충전 패드(110)가 도 1 및 도 2와 같이 믹싱 구간에 한정하여 와이어(100)의 주변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Unlike this, the wireless charging pad 110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240 provided in the bowl part 200 in a magnetic resonance method or a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limited to the mixing sec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around.

이러한 경우, 무선 충전 패드(110)가 설치된 구간 내에서만 보울부(200)에 마련된 배터리(240)가 무선으로 충전되도록 하여, 와이어(100)를 따라서 무선 충전 패드(110)가 설치된 구간 내에서만 구동모터(230)가 구동하여 회전 칼날(211)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battery 240 provided in the bowl 200 is wirelessly charged only in the section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pad 110 is installed, and is driven only in the section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pad 110 is installed along the wire 100. It will be possible for the motor 230 to drive to rotate the rotary blade 211.

즉, 상기 믹싱 보울(210) 내에 마련되는 회전 칼날(2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된 배터리(240)의 자체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무선제어유닛(250)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무선 충전 패드(110)를 통한 충전이 이루어질 때에만 회전 칼날(211)이 회전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the rotary blade 211 provided in the mixing bowl 210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wireless control unit 250 when using the self-power of the built-in battery 240 as described above, wireless The rotary blade 211 may rotate only when charging is performed through the charging pad 110.

하지만 이러한 구성 이외에, 상기 배터리(240)가 외부로부터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직접 전달 받아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addition to such a configuration, the battery 240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in a wired or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directly from the outsi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 저면 아래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직선형 링크(220)가 마련되며, 이 링크(220)가 도 6과 같이 상기 와이어(10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울부(200)가 상기 와이어(10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5, a straight link 220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of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part 200, and the link 220 is formed as shown in FIG. 6. By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wire 10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owl 200 may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wire 100.

이러한 보울부(200)가 피봇 가능하게 와이어(100)에 연결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bowl 20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wire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상기 와이어(100)와 보울부(200)의 링크(220) 사이에는 원주방향 베어링(222)이 마련되어 있어, 이 원주방향 베어링(222)에 의해 상기 와이어(10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보울부(200)가 피봇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circumferential bearing 222 is provided between the wire 100 and the link 220 of the bowl part 200, and the wire 100 is formed by the circumferential bearing 222. The bowl par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pivotable center.

이에 따라, 상기 보울부(200)는 링크(220)를 통해 상기 와이어(10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여기에서 상기 보울부(200)의 피봇이란 상기 와이어(100)를 기준으로 믹싱 보울(210)의 경사 각도, 즉 피봇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bowl part 20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wire 100 through a link 220, wherein the pivot of the bowl part 200 is a mixing bowl based on the wire 100. It means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210, that is, the pivot angle is adjusted.

마지막으로, 피봇 조절 레일(300)은 상술한 보울부(200)의 피봇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와이어(100)의 궤적을 따르되 설치면으로부터 지지 높이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거나 혹은 점차적으로 하강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울부(200)와 접촉하게 된다.Finally, the pivot adjustment rail 300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pivot angle of the bowl 20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1 to 4, but the support height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as shown in Figs. It is arranged to ascend or descen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wl 200.

다시 말해,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은 상기 보울부(200)들이 각 구간에 따라 요구되는 소망하는 경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 높이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ivot adjustment rail 300 is arrang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200 can maintain the desired tilt angle according to each section.

이에 따라, 와이어(100)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다수의 보울부(200)들 각각은 피봇 조절 레일(300)의 상대 높이에 따라 해당 구간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피봇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each of the plurality of bowl parts 200 connected to and moving on the wire 100 may maintain an appropriate pivot angle required in a correspon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relative height of the pivot control rail 300.

즉, 예를 들어 도 6의 상부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의 높이가 와이어(100) 보다 높은 구간에서는 상기 보울부(200)에 있어서 믹싱 보울(210)의 개구가 상방향을 향하게 된다.That is, for example,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the upper portion of FIG. 6, in the bowl portion 200, the opening of the mixing bowl 210 is opened in the section in which the height of the pivot adjusting rail 300 is higher than the wire 100. Facing upwards.

하지만, 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의 높이가 와이어(100) 보다 낮은 구간에서는 상기 믹싱 보울(210)의 개구가 하방향을 향하게 될 것이다.However, as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 6, the opening of the mixing bowl 210 will face downward in a section in which the height of the pivot adjusting rail 300 is lower than the wire 100.

이에 따라, 재료 투입 구간이나 믹싱 구간에서는 믹싱 보울(210)의 개구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믹싱 보울(210) 내에 주스재료(1)를 투입하고 혼합 및 분쇄를 실시하여 주스를 제조하며, 주스 배출 구간에서는 제조가 완료된 주스를 상기 믹싱 보울(210)로부터 별도의 빈 컵(2)에 옮겨 담는 등이 가능할 것이다.Accordingly, in the material input section or the mixing section, the juice material 1 is introduced into the mixing bowl 210 with the opening of the mixing bowl 210 facing upward, and mixed and pulverized to prepare juice. In the juice discharge section,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finished juice from the mixing bowl 210 to a separate empty cup 2 and the like.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피봇 조절 레일(300)을 소정 구간 배제하여 도 6의 하부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부(200)에 있어서 믹싱 보울(210)의 개구가 수직하게 아래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믹싱 보울(210) 내부의 세척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if necessary, the opening of the mixing bowl 210 in the bowl 200 is vertically downward as shown by the dotted line at the bottom of FIG. The inside of the mixing bowl 210 may be washed.

이를 위해,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은 상기 와이어(1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100)와 함께 일주하여 배치되되, 단턱 없이 하나로 완만하게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o this end, the pivot control rail 300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wire 100 and is disposed around the wire 100, it will be preferable to be formed so as to continue smoothly without one step.

이때, 상기 보울부(200)는 피봇 조절 레일(300)에 접촉하여 적절한 피봇 각도를 유지하면서 와이어(100)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보울부(200)와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 상호 간에는 지속적으로 마찰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존재한다.At this time, since the bowl part 200 moves along the wire 100 while maintaining the proper pivot angle in contact with the pivot adjusting rail 300, the bowl part 200 and the pivot adjusting rail 300 are mutually separated. There is a concern that friction will continue to occur.

이러한 마찰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보울부(200)에 있어서 믹싱 보울(210)이 링크(22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uch friction, the mixing bowl 21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k 220 in the bowl part 200.

물론,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이 링크(220)를 기준으로 회전 불가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보울부(200)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다.Of course, even if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200 is connected to the link 220 so as not to rotate, it will not affect the function of the bowl 200.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상기 링크(220)가 상기 믹싱 보울(210)의 저면에 회전 불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은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 또는 링크(220)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link 2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bowl 210 as shown in FIG. 5, the pivot adjusting rail 300 i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ivot adjusting rail 300. The bowl 200 will be in contact with the mixing bowl 210 or the link 220.

도 6에는 피봇 조절 레일(300)이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에는 피봇 조절 레일(300)이 보울부(200)의 링크(220)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pivot adjustment rail 300 is disposed to contact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part 200, and FIG. 7 shows that the pivot adjustment rail 300 is a link 220 of the bowl part 200. The stat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contact with) is shown.

이러한 경우,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 또는 링크(220)나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의 접촉 부위에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테프론 필름과 같은 적절한 마찰저감부재를 마련하거나 내마모성 코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in order to reduce frictional force at the mixing bowl 210 or the link 220 of the bowl part 200 or the contact portion of the pivot control rail 300, an appropriate friction reducing member such as a Teflon film or an anti-wear coating is provide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implement.

이뿐 아니라,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 또는 링크(220)에 추가적인 구름 롤러(201)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additional rolling roller 201 in the mixing bowl 210 or the link 220 of the bowl 200.

예를 들어,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에 구름 롤러(201)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상기 믹싱 보울(210)과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8, the mixing roller 21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200, so that the mixing bowl 210 and the pivot control rail 300 are ro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iction force from occurring.

이때, 상기 구름 롤러(201)는 상기 믹싱 보울(210)에 브래킷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rolling roller 201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mixing bowl 210 through a bracket or the like.

게다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울부(200)의 링크(220) 중단에 구름 롤러(201)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상기 링크(220)와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by providing the roller roller 201 rotatably at the stop of the link 220 of the bowl 200, between the link 220 and the pivot control rail 300.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friction force from occurring.

이와 같은 구름 롤러(201)는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의 단면 반경 보다 다소 큰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Such rolling roller 201 may be made of a concave roller having a radius somewhat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radius of the pivot control rail (300).

이와는 다르게, 상기 보울부(200)에 마련된 링크(220)가 상기 믹싱 보울(21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울부(200)의 이동 시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에 따라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이 자연스럽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Unlike this, when the link 220 provided in the bowl part 2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ixing bowl 210, the pivot control rail 300 moves to the bowl part 200.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part 200 to rotate naturally according to the friction generated by contact.

이러한 경우,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울부(200)에 있어서 상기 링크(220)에 축방향 베어링(221)을 마련하는 것으로써, 상기 믹싱 보울(210)이 상기 링크(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0 and 11, by providing the axial bearing 221 in the link 220 in the bowl part 200, the mixing bowl 210 is connected to the link ( 2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이에 따라, 상기 피봇 조절 레일(300)은 상기 보울부(200)에 있어서 믹싱 보울(210)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믹싱 보울(210)은 이동에 따라 스스로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pivot control rail 300 is in contact with the mixing bowl 210 in the bowl portion 200, the mixing bowl 210 will be able to rotate itself according to the movement.

위에서는 상기 보울부(200)의 링크(220)가 원주방향 베어링(222)을 통해 와이어(100)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보울부(200)의 피봇이 가능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믹싱 보울(210)의 피봇은 상술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가동자(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link 220 of the bowl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wire 100 through the circumferential bearing 222, so that the pivot of the bowl part 200 is possibl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of the mixing bowl 21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nd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cludes the mover 5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기본적으로 재료 투입 구간에서는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을 상방향으로 피봇하여 주스재료(1)를 믹싱 보울(210) 내에 투입하며, 믹싱 구간에서는 회전 칼날(211)을 회전시켜 주스재료(1)의 혼합 및 분쇄가 가능하고, 주스 배출 구간에서는 믹싱 보울(210)을 하방향으로 피봇하여 제조된 주스를 컵(2)에 옮겨 담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ivots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part 200 upward in the material input sec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to the mixing bowl 210, the rotating blade 211 is rotated in the mixing section is possible to mix and pulverize the juice material (1), in the juice discharge section is manufactured by pivoting the mixing bowl 210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juice can be transferred to the cup 2.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의 본 발명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것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below to add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is basic configuration.

우선, 와이어(100)와 보울부(200)의 연결에 관한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 100 and the bowl 200 will be described.

앞에서는 와이어(100)와 보울부(200) 사이에 원주방향 베어링(222) 및/또는 축방향 베어링(221)에 지지되는 직선형 링크(220)가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다.In the above, the linear link 220 supported by the circumferential bearing 222 and / or the axial bearing 221 is provided between the wire 100 and the bowl part 200.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경우 보울부(200)의 피봇 반경이 커지거나, 상기 와이어(100)에 비교적 큰 하중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the pivot radius of the bowl part 200 may increase, or a relatively large load may act on the wire 100.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00)의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00)과; 상기 와이어(100)에 클램핑 되며 상기 가이드레일(400) 상에서 안내되어 함께 순환하되, 상기 보울부(200)를 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자(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2 and 13, the guide rail 400 dispos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wire 100; The wire 100 is clamped and guided on the guide rail 400 and circulated together, 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a mover 500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bowl portion 200.

즉, 와이어(100)와 피봇 조절 레일(300) 사이에 상기 와이어(100)와 동일한 높이로 가이드레일(400)을 배치하게 된다.That is, the guide rail 400 is disposed between the wire 100 and the pivot control rail 300 at the same height as the wire 100.

이와 같은 가이드레일(400)은 바람직하게 바깥쪽과 안쪽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가이드레일(400)에 가동자(500)가 안착하여 안내되도록 배치된다.Such a guide rail 40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air of outer and inner rails, and is arranged such that the mover 500 is seated and guided to the guide rail 400.

이러한 가동자(500)는 몸체(501), 클램프(502), 롤러(503), 그리고 피봇 샤프트(50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is mover 500 may include a body 501, a clamp 502, a roller 503, and a pivot shaft 504.

우선, 상기 몸체(501)는 상기 가동자(500)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하 두 장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 body 501 forms a basic skeleton of the mover 500, and may be formed of two upper and lower plat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이와 같은 몸체(501)에는 와이어(100)에 클램핑 가능한 클램프(502)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502)가 와이어(100)에 클램핑 됨으로써, 상기 와이어(100)의 순환 시 가동자(500)가 가이드레일(400)에 안내되어 일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clamp 502 which can be clamped to the wire 100 is formed in the body 501 such that the clamp 502 is clamped to the wire 100, thereby the mover 500 when the wire 100 is circulated. Is guided to the guide rail 400 to be able to move integrally.

이와 함께, 상기 가동자(500)의 몸체(501)에는 다수의 롤러(50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롤러(503)들은 가이드레일(400)에 접촉하여 구르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ollers 503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501 of the mover 500, and these rollers 503 roll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400.

예를 들어, 상기 가동자(500)에는 바깥쪽 가이드레일(400)의 상측, 내측, 그리고 하측에 각각 접촉하여 구르는 롤러(503)가 마련되고, 안쪽 가이드레일(400)의 상측, 내측, 그리고 하측에 각각 접촉하여 구르는 롤러(503)가 마련되어 있다.For example, the mover 500 is provided with rollers 503 roll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the inn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outer guide rail 400, respectively, and the upper side, the inner side, and the inner guide rail 400. The roller 503 which rolls in contact with a lower side, respectively is provided.

이에 따라, 가동자(500)가 한 쌍의 가이드레일(400) 상에서 유격이나 마찰의 발생 없이 상술한 와이어(100)와 함께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mover 500 can stably and smoothly move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wire 100 without generating play or friction on the pair of guide rails 400.

그리고, 상기 가동자(500)의 몸체(501) 상부에는 피봇 샤프트(504)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피봇 샤프트(504)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굴절되어 그 말단에 상술한 보울부(200)가 연결된다.In addition, a pivot shaft 504 is pivotal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501 of the mover 500, and the pivot shaft 504 is refracted into an approximately L shape and the bowl portion (described above) is terminated. 200) is connected.

이때, 상기 피봇 샤프트(504)와 보울부(200) 사이에도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 베어링(221)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믹싱 보울(210)은 상기 피봇 샤프트(50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an axial bearing 221 is provided between the pivot shaft 504 and the bowl part 200 as shown in FIGS. 14 and 15, so that the mixing bowl 210 rotates on the pivot shaft 504. It could possibly be supported.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봇 샤프트(504)의 말단이 상기 보울부(200)에 회전 불가하게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 마찰저감부재나 구름 롤러(201)를 상기 피봇 샤프트(504)나 상기 믹싱 보울(210)에 추가적으로 부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istal end of the pivot shaft 504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owl portion 200 in a rotatable manner, and in this case,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or the rolling roller 201 may be connected to the pivot shaft 504. Or in addition to the mixing bowl 210.

이러한 가동자(500)의 구성에 따라, 상기 보울부(200)의 피봇 반경을 작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 아니라, 특히 상기 와이어(100)에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보울부(200)가 피봇 가능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ver 500, not only the pivot radius of the bowl 200 can be designed to be small, but also a large load does not act on the wire 100, and the bowl 200 It become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ivot.

그 결과, 도 13 및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00) 보다 피봇 조절 레일(300)이 높게 위치하는 재료 투입 구간이나 믹싱 구간에서는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의 개구가 상방향을 향하게 되며, 이러한 재료 투입 구간 중간에서 주스재료(1)를 믹싱 보울(210) 내에 투입하거나 주스재료(1)를 혼합 및 분쇄하여 주스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3 and FIG. 15A, the mixing bowl of the bowl part 200 in the material input section or the mixing section in which the pivot adjusting rail 30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guide rail 400 is shown. The opening of the 210 is directed upward, and the juice material 1 may be introduced into the mixing bowl 210 in the middle of the material input section, or the juice material 1 may be mixed and pulverized to prepare the juice.

또한, 도 13 및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00) 보다 피봇 조절 레일(300)이 낮게 위치하는 주스 배출 구간에서는 믹싱 보울(210)의 개구가 하방향을 향하게 되고, 이러한 주스 배출 구간에서 주스를 빈 컵(2)에 옮겨 담는 것이 가능해진다.13 and 15 (b), the opening of the mixing bowl 210 is directed downward in the juice discharge section in which the pivot control rail 300 is lower than the guide rail 400. In this juice discharge section, it becomes possible to transfer the juice to the empty cup (2).

게다가,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 조절 레일(300)이 없는 세척 구간에서는 믹싱 보울(210)의 개구가 수직하게 하방향을 향하게 됨으로써, 믹싱 보울(210)의 세척 또한 가능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c) of FIG. 13, in the washing section without the pivot adjustment rail 300, the opening of the mixing bowl 210 is vertically directed downward, so that the mixing bowl 210 can also be cleaned. Become.

다음으로, 회전 칼날(21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30)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상기 회전 칼날(211)에 회전력을 직접 전달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motor 230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211 from the outside or direct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blade 211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400)의 일부 구간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 레일(410)이 마련되며, 상기 가동자(500)에는 상기 단자 레일(410)에 접촉하여 통전되는 단자 롤러(510)가 마련되고, 상기 보울부(200)에는 상기 단자 롤러(51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회전 칼날(21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a terminal rail 410 for supplying power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guide rail 400, and the mover 500 contacts the terminal rail 410.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roller 510 to be energized is provided, and the bowl part 20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230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terminal roller 510 to rotate the rotary blade 211. .

즉, 회전 칼날(211)의 회전이 요구되는 구간, 예를 들어 믹싱 구간에는 가이드레일(400)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단자 레일(410)이 상기 가이드레일(400)을 감싸 추가로 마련되거나, 혹은 가이드레일(400) 없이 상기 가이드레일(400)을 대신하여 단자 레일(410)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a terminal rail 410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guide rail 400 to surround the guide rail 400 in a section requiring rotation of the rotary blade 211, for example, a mixing section, or The terminal rail 410 may be provided in place of the guide rail 400 without the guide rail 400.

이때, 2개의 단자 레일(410)은 교류 전원일 수 있으며, 직류 전원인 경우 하나의 단자 레일(410)은 +극성으로, 다른 하나의 단자 레일(410)은 -극성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two terminal rails 410 may be an AC power source. In the case of a DC power source, one terminal rail 410 may be positively polarized and the other terminal rail 410 may be negatively polarized. will be.

그리고, 상기 단자 롤러(510)는 상술한 가동자(500)에 있어서 롤러(503)를 대신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상술한 단자 레일(410)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보울부(200) 내에 마련된 구동모터(23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roller 510 is provided in place of the roller 503 in the mover 500 described above, and is driven in the bowl part 200 while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rail 410 described above.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230.

따라서, 단자 레일(410)과 단자 롤러(510)를 통하여 유선으로 보울부(200) 내에 마련된 구동모터(230)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ly power to the drive motor 230 provided in the bowl part 200 by wire through the terminal rail 410 and the terminal roller 510.

이와는 다르게,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00)의 궤적을 따르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래크(610)와; 상기 래크(610)에 치합하여 상기 보울부(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칼날(21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62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7, the rack 610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ction along the trajectory of the wire 100; It is possible to include a pinion 620 that is engaged with the rack 61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blade 21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owl 200.

이러한 경우, 상기 보울부(200)가 와이어(100)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고정되어 있는 래크(610)에 상기 보울부(200)에 마련된 피니언(620)이 치합하여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력을 다수의 회전 샤프트를 통해 보울부(200) 내에 마련된 회전 칼날(211)까지 전달하는 것이다.In this case, as the bowl part 200 moves by the wire 100, the pinion 620 provided in the bowl part 200 engages with the fixed rack 610 and rotates. It is to deliver to the rotary blade 211 provided in the bowl 200 through a plurality of rotary shafts.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 공급이나 구동모터(230)를 마련할 필요 없이, 단순히 보울부(200)가 와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보울부(200)에 마련된 회전 칼날(211)까지 전달함으로써, 회전 칼날(211)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ithout the need for providing a separate power supply or drive motor 230, the rotary blade (200) provided in the bowl 200 to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simply moving the bowl 200 along the wire 100 ( By transmitting to 211,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rotary blade 211 rotate.

이에 따라, 회전 칼날(21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30)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상기 회전 칼날(211)에 회전력을 직접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특히 소망하는 믹싱 구간에서만 회전 칼날(211)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drive motor 230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211 from the outside, or to directl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blade 211, and in particular, only the desired mixing section. It will be possible to have 211 rotate.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 내에 주스재료(1)를 투입 가능한 호퍼(700)와; 상기 와이어(100)의 순환 속도와 동일 속도로 구동하면서 컵(2)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800)와;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노즐(900)이 추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pper 700 capable of injecting the juice material (1) into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portion 200; A conveyor (800) for transferring the cup (2) while driving at the same speed as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wire (100);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cleaning nozzle 900 for cleaning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part 200 is further configured.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재료 투입 구간에 호퍼(700)를 마련하여 상기 보울부(200)의 믹싱 보울(210) 내에 주스재료(1)를 자동으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pper 700 may be provided in the material input section to automatically inject the juice material 1 into the mixing bowl 210 of the bowl 200.

이때, 호퍼(700)가 설치되는 위치는 믹싱 구간 이전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며, 도 13 및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믹싱 보울(210)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개폐에 따라 그 내부에 미리 넣어 놓은 주스재료(1)가 자중에 의해 믹싱 보울(210) 안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hopper 700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before the mixing section, and as shown in (a) of FIG. 13 and FIG. It will be good to allow the juice material (1) previously put into the mixing bowl 210 by its own weight.

또한, 미도시 하였지만, 주스의 제조에 적절한 크기로 손질된 주스재료(1)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별도의 카트리지에 넣어 놓으면, 제조하고자 하는 주스에 따라 다양한 주스재료(1)의 적정 중량을 계량하여 상기 호퍼(700)에 공급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호퍼(700)를 개폐하는 것으로 아래에 위치한 믹싱 보울(210)에 다양한 주스재료(1)를 짧은 시간 내에 한 번에 투입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f the juice material (1) trimmed to a suitable size for the production of juice is divided into types and put in a separate cartridge, by measuring the appropriate weight of various juice materials (1) according to the juice to be prepared By supplying the hopper 700 and finally opening and closing the hopper 700, it is possible to inject various juice materials 1 into the mixing bowl 210 located below at once in a short time.

특히, 이와 같이 주스재료(1)를 믹싱 보울(210)에 투입하는 호퍼(700)를 POS 시스템에 접속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음료 매장에 마련된 매장의 단말기를 통해 손님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결제가 완료되거나, 혹은 손님이 보유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직접 주문하고 결제하면, 주문된 주스에 따라 적절한 주스재료(1)를 선별하고 계량하여 상기 호퍼(700)로 자동 공급하고, 상기 호퍼(700)로부터 믹싱 보울(210)에 주스재료(1)를 투입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In particular, by connecting the hopper 700 for injecting the juice material 1 into the mixing bowl 210 in this way to the POS system, for example, the customer receives an order from a customer through a terminal of a store provided in a beverage store, and payment is completed. Or, if the customer directly orders and pays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the appropriate juice material (1) is selected and weighed according to the ordered juice and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hopper 700, from the hopper 700 It is also possible to inject the juice material 1 into the mixing bowl 210.

여기에서 POS 시스템(point of sale system)이란, 금전등록기와 컴퓨터 단말기의 기능을 결합한 시스템으로 매상금액을 정산해 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소매경영에 필요한 각종정보와 자료를 수집·처리해 주는 시스템으로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인 것이다.The point of sale system is a system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a cash register and a computer terminal, which not only calculates the amount of sales but also collects and processes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retail management. It is a management system.

이에 따르면, 주스 종류별 판매흐름을 단위품목별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제품과 판촉제품의 판매경향과 시간대, 매출부진 상품, 유사품이나 경쟁제품과의 판매경향 등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판매가격과 판매량과의 상관관계, 주요공략 대상, 광고계획 등의 마케팅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도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not only the sales flow for each juice type can be identified by unit item, but also the sales trend and time period of new products and promotional products, sluggish sales, sales trends of similar products or competitive products, etc.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correlation, key targets, and advertising plan can be effectively established.

또한, 일일이 사람의 손을 필요로 했던 재고·발주·배송관리 체계를 단순화·표준화시켜 원가절감을 기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by simplifying and standardizing the inventory, ordering, and delivery management system that required human hands.

이에 따르면, 손님이 취향에 따라 주문을 직접 실시하여, 손님이 선호하는 특정 주스재료(1)를 추가로 투입하거나 혹은 손님이 선호하지 않는 특정 주스재료(1)를 배제하여 주스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이와는 다르게 믹싱 구간의 혼합 및 분쇄 시간을 손님이 직접 선택하여 주스재료(1)의 알갱이가 약간 크게 주스를 제조하거나 혹은 주스재료(1)의 알갱이가 매우 작게 주스를 제조하는 등도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for the customer to make an order directly according to the taste, and to add the specific juice material 1 preferred by the customer or to prepare the juice by excluding the specific juice material 1 not preferred by the customer. Alternatively, the customer may select the mixing and pulverization time of the mixing section by hand, and the juice of the juice material 1 may be made slightly larger, or the juice of the juice material 1 may be made very small.

즉, 손님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주스 레시피의 조절도 가능해지며, 미리 손님의 개인정보를 등록해 놓는 것으로, 선호하는 주스 종류나 추천 주스를 손님에게 권유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한번 손님이 등록해 놓은 레시피로 주스가 자동 제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In other words, various juice recip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needs, and by registering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in advance, it is also possible to recommend the preferred juice type or recommended juice to the customer, and the recipe once registered by the customer.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juice automatic.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에는 상기 와이어(100)의 순환 속도와 동일 속도로 구동하면서 주스를 담아내기 위한 컵(2)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800)가 마련되어 있어, 제조가 완료된 주스를 믹싱 보울(210)로부터 도 13 및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빈 컵(2)으로 옮겨 담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veyor 800 for transporting the cup 2 for containing juice while driving at the same speed as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wire 100, the production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juice from the mixing bowl 210 to the empty cup 2 as shown in FIG. 13 and FIG. 15B.

이와 같은 컨베이어(800)의 구동 속도는 상술한 보울부(200)의 이동 속도와 동일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컨베이어(800)는 믹싱 구간을 통해 주스재료(1)의 혼합 및 분쇄가 완료된 직후의 주스 배출 구간에 마련된다.The driving speed of the conveyor 800 should be the same as the moving speed of the bowl 200 described above, and the conveyor 800 is a juice immediately after mixing and grinding of the juice material 1 through a mixing section. It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section.

이때, 상기 컨베이어(800)의 인근에는 미도시한 컵(2) 이재기가 위치하여, 빈 컵(2)을 적재해 놓으면, 상기 이재기가 빈 컵 중 최상단의 하나를 다관절 암으로 집어 들고, 상기 믹싱 보울(210)의 접근 시점에 맞춰 컨베이어(800) 상의 적절한 위치에 옮겨 놓는 것이 가능해진다.At this time, the transfer of the cup (2) not shown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nveyor 800, when the empty cup (2) is loaded, the transfer machine picks up one of the top of the empty cup with the articulated arm, It is possible to move it to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conveyor 800 in accordance with the approach point of the mixing bowl 210.

이와는 다르게, 다수의 빈 컵(2)을 적재해 놓으면, 최하단의 컵(2)을 적절한 시점에 맞춰 하나씩 컨베이어(800)의 상부에 낙하시키는 컵(2) 배출부재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lternatively, if a plurality of empty cups 2 are loaded,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a cup 2 discharge member for dropping the lowermost cups 2 one by one at an appropriate time.

이를 위해, 상기 믹싱 보울(210)의 접근 시점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비접촉식 센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비접촉식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컵(2) 이재기 또는 배출부재가 작동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o this end, a non-contact sens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accurately detect the approach time of the mixing bowl 210, and the cup 2 transfer or discharge member may be operated based on the signal of the non-contact sensor.

이와 더불어, 상기 컨베이어(800)에 경사지게 오목한 컵(2) 안착홈을 적정 간격으로 형성해 놓음으로써, 믹싱 보울(210)의 진행 속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위치에 컵(2)이 놓이는 것을 돕는 한편, 컨베이어(800) 상에서 컵이 넘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recesses in which the cup 2 is inclined concave in the conveyor 800 at appropriate intervals, the cup 2 is assisted to be plac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mixing bowl 210, and the conveyor It will also be possible to prevent the cup from falling over on 800.

게다가, 도면에는 상기 컨베이어(800)를 한정된 길이로 예시하였으나, 예를 들어 음료 매장의 각 테이블로 주스가 담긴 컵(2)을 서빙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 및 형태로 연장하여 배치하거나, 혹은 주스의 제조 공간으로부터 손님이 주스를 받아갈 수 있는 카운터의 소정 위치로 주스가 담긴 컵(2)을 이송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yor 800 is illustrated in a limited length, for example, each of the tables in the beverage store may be extended to a suitable length and shape so as to serve the cup 2 containing the juice, or It is also possible to transfer the cup 2 containing the juice from the manufacturing spac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ounter where the customer can take the juice.

이에 따르면, POS 시스템으로 주스를 주문할 때, 매장 내에 배치된 소망하는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거나 혹은 손님이 앉아 있는 테이블에 마련된 POS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손님이 POS 시스템으로 주스를 주문한 후, 착석하는 테이블의 시트에 마련된 압력식 센서나 혹은 음료 매장 내부 전체를 촬상하는 광학식 카메라 등으로 검출하여, 해당 주스의 제조가 완료되면 해당 테이블로 주스가 담긴 컵(2)이 컨베이어(800)를 통해 자동으로 서빙되는 것도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when ordering juice with the POS system, it is possible to enter a desired table number arranged in the store or use the POS system provided at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sits, and after the customer orders the juice through the POS system, It is detected by a pressure sensor provided on a table seat or an optical camera for capturing the entire inside of a beverage store, and when the production of the juice is completed, the cup 2 containing the juice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table through the conveyor 800. It can also be served.

이때, 매장 배치정보를 미리 입력해 놓은 드론이나 기타 서빙로봇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주스를 소망하는 위치로 서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it may be possible to serve the juice prepared by using drones or other serving robots, which have previously inputted the store arrangement information, to a desired position.

특히, POS 시스템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토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배포함으로써, 손님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손님은 본인 소유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술한 POS 시스템에 접속함으로써, 주스의 주문은 물론 결제까지 무선으로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by installing and distributing an application that enables wireless connection to a POS system, when the customer installs the application on a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the customer, the customer runs the application on his / her own portable terminal and the POS system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to, you can also order juice as well as payment wirelessly.

이뿐 아니라, 본 발명에 있어서 주스의 제조에 사용된 상기 믹싱 보울(210)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 노즐(900)이 추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ning nozzle 900 is further configured to wash the mixing bowl 210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juice.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세척 구간에는 싱크대인 수조(90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조(901)의 내부에는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으로 세척수나 세제를 분사할 수 있는 세척 노즐(900)을 마련함으로써, 주스의 제조를 마친 믹싱 보울(210)에 대한 자동 세척도 가능해진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section may be provided with a sink 901, which is a sink, and inside the tank 901, the washing water or the detergent may be sprayed at a high pressure as shown in FIG. By providing the washing nozzle 900,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wash the mixing bowl 210 is finished manufacturing the juice.

도면에는 수조(901) 내에 하나의 세척 노즐(900)이 마련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지만, 둘 이상의 세척 노즐(900)을 마련하고, 예를 들어 첫 번째 세척 노즐(900)에서는 액상 세제를 분사하고, 그 이후의 세척 노즐(900)에서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등도 가능하다.Although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washing nozzle 900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901, two or more washing nozzles 900 are provided, for example, the first washing nozzle 900 is sprayed with a liquid detergent. After that, the washing nozzle 900 may spray the washing water.

이와는 다르게, 예를 들어 세척 노즐(900)을 믹싱 보울(210)의 이동 속도에 맞춰서 동일하게 무한궤도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를 추가로 부가하여 믹싱 보울(210)의 이동 속도에 따라서 세척 노즐(900)이 수조(901) 내에서 이동하면서 믹싱 보울(210)을 세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Unlike this, for example, by additionally adding a moving member that can move the washing nozzle 900 through the caterpillar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speed of the mixing bowl 210, the washing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mixing bowl 210 It will also be possible to clean the mixing bowl 210 as the nozzle 900 moves within the bath 901.

지금까지는 하나의 와이어(100)에 다수의 보울부(200)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상술한 세척 구간과 재료 투입 구간 사이에 보울부(200)에 대한 별도의 스테이션을 두고, 이 스테이션 상에서 보울부(200)에 연결된 가동자(500)의 클램프(502)를 와이어(100)에 선택적으로 클램핑 하거나 혹은 언클램핑 하는 클램핑 장치와 함께 이재기를 마련한다면, 항상 다수의 보울부(200)가 와이어(100)에 의해 불필요하게 구동될 필요가 없다.Until now,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so that a plurality of bowls 200 are completely fixed to one wire 100. However, for example, a separate portion of the bowl 200 is dispos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washing section and the material input section. With a station of the station, if a clamp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clamping device for selectively clamping or unclamping the wire 100 on the clamp 502 of the mover 500 connected to the bowl 200 on this station, The bowl portion 200 does not need to be unnecessarily driven by the wire 100.

즉, 손님의 주문에 따라 클램핑 장치가 보울부(200) 중 하나를 와이어(100)에 클램핑 함으로써, 해당하는 주스의 제조가 시작되며, 이후 다른 주문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해당 보울부(200)만이 와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according to the customer's order, the clamping device clamps one of the bowls 200 to the wire 100, so that the manufacture of the corresponding juice is started, after which only the bowl 200 until another order occurs. It becomes possible to move along the wire 100.

이에 따르면, 주문에 따라 주스의 제조가 필요한 보울부(200)만을 스테이션에서 와이어(100)에 클램핑 하여 구동시키거나, 혹은 주문이 없는 상황에서는 와이어(10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크게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only the bowl 200 which requires the production of juice according to the order is driven by clamping the wire 100 at the station, or when there is no order, the driving of the wire 100 is stopped to greatly increase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긴 길이의 I자형 배치가 가능하며, 이에 따르면 비교적 긴 믹싱 구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Finally, the arrangement of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ure 18 (a) it is possible to form a relatively long length I-shaped, thereby forming a relatively long mixing section It becomes possible.

또한,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T자형 배치의 경우 I자형 배치 보다 긴 믹싱 구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H자형 배치의 경우 한정된 공간 내에서 I자형 배치나 T자형 배치 보다 긴 믹싱 구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무선 충전 패드(110)를 일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18, in the case of the T-shaped arrangement, a mixing section longer than the I-shaped arrangement may be formed, and in the case of the H-shaped arrangement,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form a mixing section longer than the I-shaped arrangement or T-shaped arrangement within, and in particular has the advantage that the wireless charging pad 110 can be used in p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손님이 음료 매장에 방문하여 미리 정해진 카운터 혹은 테이블에 마련된 POS 시스템이나, 본인 소유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스를 선택하고 결제하면, 해당 주문에 따라 보울부(200)가 와이어(100)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When a customer visits a beverage store and selects and pays juice at a POS system or a portable terminal owned by a predetermined counter or table, the bowl unit 200 circulates along the wire 100 according to the order. .

우선, 재료 투입 구간에서는 호퍼(700)를 통해 주스재료(1)가 믹싱 보울(210) 내에 투입되며, 이후 믹싱 구간을 지나면서 보울부(200)에 있어서 믹싱 보울(210) 내의 회전 칼날(211)이 회전하면서 주스재료(1)를 혼합 및 분쇄하면서 주스의 제조가 이루어진다.First, in the material input section, the juice material 1 is introduced into the mixing bowl 210 through the hopper 700, and thereafter, the rotating blade 211 in the mixing bowl 210 in the bowl 200 passes through the mixing section. The juice is produced while the juice material 1 is mixed and pulverized while rotating.

이때, 주스의 종류, 보다 상세하게는 주스재료(1)에 따라 회전 칼날(211)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이 적절하게 가감 조절되어 주스의 제조가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and the rotation time of the rotary blade 211 is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juice, more specifically, the juice material 1 to produce the juice.

이후, 보울부(200)가 믹싱 구간을 통과하여 주스의 제조가 완료되면, 믹싱 보울(210)의 접근을 검출하여 이재기 혹은 컵(2) 배출부재가 컨베이어(800) 상에 빈 컵(2)을 적절한 타이밍에 맞춰 올려놓게 되며, 믹싱 보울(210)로부터 주스가 컵(2)으로 옮겨진다.Then, when the bowl part 200 passes through the mixing section and the preparation of the juice is completed, the approach of the mixing bowl 210 is detected so that the transfer machine or the cup 2 discharge member is empty on the conveyor 800. Is placed at an appropriate timing, and juice is transferred from the mixing bowl 210 to the cup 2.

컵(2)으로 옮겨진 주스는 테이크 아웃을 위한 카운터로, 혹은 손님이 앉은 테이블까지 컨베이어(800)를 통해 자동으로 서빙하게 되며, 이때, 드론이나 기타 서빙로봇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juice transferred to the cup 2 is automatically served by the counter 800 for the take-out or the table where the guest sits, and at this time, it may be possible to use drones or other serving robots.

그 동안, 주스의 제조에 사용된 믹싱 보울(210)은 세척 구간을 통과하면서 세척 노즐(900)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되며, 이후 주문 시 다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meantime, the mixing bowl 210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juice is automatically washed by the washing nozzle 900 while passing through the washing section, and may be used again when order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는 회전 칼날(211)이 마련된 다수의 믹싱 보울(210)이 순환하면서 다양한 혼합 재료의 주스를 빠르게 무인 제조하는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인력 없이도 주스의 제조에서 믹싱 보울(210)의 세척까지 가능하여 인건비의 발생 없이 음료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주스의 제조가 수행됨으로써 항상 균일한 양질의 주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for rapidly unmanned production of juices of various mixed materials while circulating a plurality of mixing bowls 210 provided with a rotary blade 211,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everage store without incurring labor costs because it is possible to wash the mixing bowl 210 from the manufacture of juice without a separate manpower, and it is possible to always provide a uniform quality juice by producing the ju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cipe. It is an invention with an excellent advantage.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rawings and embodiments.

1 : 주스재료 2 : 컵
100 : 와이어 101 : 안내 롤러
110 : 무선 충전 패드 200 : 보울부
201 : 구름 롤러 210 : 믹싱 보울
211 : 회전 칼날 220 : 링크
221 : 축방향 베어링 222 : 원주방향 베어링
230 : 구동모터 240 : 배터리
250 : 무선제어유닛 300 : 피봇 조절 레일
400 : 가이드레일 410 : 단자 레일
500 : 가동자 501 : 몸체
502 : 클램프 503 : 롤러
504 : 피봇 샤프트 510 : 단자 롤러
610 : 래크 620 : 피니언
700 : 호퍼 800 : 컨베이어
900 : 세척 노즐 901 : 수조
1: juice material 2: cup
100: wire 101: guide roller
110: wireless charging pad 200: bowl
201: Cloud Roller 210: Mixing Bowl
211: rotary blade 220: link
221: axial bearing 222: circumferential bearing
230: drive motor 240: battery
250: wireless control unit 300: pivot control rail
400: guide rail 410: terminal rail
500: mover 501: body
502: clamp 503: roller
504: pivot shaft 510: terminal roller
610: rack 620: pinion
700: Hopper 800: Conveyor
900: washing nozzle 901: water tank

Claims (5)

삭제delete 궤적을 따라 안내되어 순환하는 와이어와;
내부 저면에 회전 칼날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믹싱 보울과, 상기 믹싱 보울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함께 순환하는 보울부와;
상기 와이어의 궤적을 따르되 높이 차이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보울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보울부의 피봇 각도를 위치에 따라 제어하는 피봇 조절 레일과;
상기 와이어의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와이어에 클램핑 되며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안내되어 함께 순환하되, 상기 믹싱 보울을 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
A wire guiding and circulating along the trajectory;
A bowl portion connected to the wire and circulated together, including a mixing bowl having a rotary blade rotatably provided at an inner bottom thereof, and a link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mixing bowl;
A pivot adjusting rail dispos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wire and having a height difference to control the pivot angle of the bowl according to the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bowl;
A guide rail dispos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wire;
And a mover clamped to the wire and guided on the guide rail to circulate together, pivotally supporting the mixing bow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부 구간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가동자에는 상기 단자 레일에 접촉하여 통전되는 단자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보울부에는 상기 단자 롤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회전 칼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3. The terminal rail of claim 2, wherein a portion of the guide rail is provided with a terminal rail for supplying power, the mover is provided with a terminal roll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rail, and the bowl par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terminal roller. Receiving a circulation type automatic juice pro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is provi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궤적을 따르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치합하여 상기 보울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칼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rack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ction along the trajectory of the wire;
And a pin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rack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blad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owl part.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의 믹싱 보울 내에 주스재료를 투입 가능한 호퍼와;
상기 와이어의 순환 속도와 동일 속도로 구동하면서 컵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보울부의 믹싱 보울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노즐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자동 주스 제조장치.
The hopper according to claim 3 or 4, further comprising: a hopper capable of injecting juice material into the mixing bowl of the bowl portion;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 cup while driving at the same speed as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wire;
Recirculating automatic juice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nozzle for cleaning the mixing bowl of the bowl is further configured.
KR1020190044634A 2019-04-17 2019-04-17 Automatic juice mixer of circulation type KR1020585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634A KR102058545B1 (en) 2019-04-17 2019-04-17 Automatic juice mixer of circulation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634A KR102058545B1 (en) 2019-04-17 2019-04-17 Automatic juice mixer of circulation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545B1 true KR102058545B1 (en) 2019-12-23

Family

ID=6905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634A KR102058545B1 (en) 2019-04-17 2019-04-17 Automatic juice mixer of circulation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5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7275A (en) * 2020-01-16 2020-06-05 阜阳佰恩得新材料技术有限公司 Continuous high-efficient epidermis treatment facility of garlic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19Y1 (en) * 2008-09-09 2009-10-28 유영석 A sorter of an abal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19Y1 (en) * 2008-09-09 2009-10-28 유영석 A sorter of an abal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7275A (en) * 2020-01-16 2020-06-05 阜阳佰恩得新材料技术有限公司 Continuous high-efficient epidermis treatment facility of garl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001B1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of circulation type
US11412884B2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
US10729281B2 (en) Increasing throughput of food and beverage preparation robots with concurrent transport of workpieces along multiple axes
CN10359647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ed and espresso drink generation
KR102058545B1 (en) Automatic juice mixer of circulation type
CN109475247A (en) Automatic canteen production system and equipment
JP2002367023A (en) Cup type drink vending machine
JP2015061576A (en) Vertical biaxial food mixer
US20190090691A1 (en) Product dispenser and lift unit
WO2019156622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of preparing a food product
KR102074998B1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of circulation type
CN205788527U (en) One makes and sell sugarcoated haws on a stick device automatically
CA1267567A (en) Pasta preparation apparatus
CN110639399A (en) Medical treatment is agitating unit for pharmacy
CN111185428A (en) Cell-phone glass frosting polishing cleaning system
US2953144A (en) Device for washing and rinsing drinking-vessels
JP3372981B2 (en) Cleaning equipment
CN212143614U (en) Cell-phone glass frosting polishing cleaning system
KR102657383B1 (en) Apparatus for boiling noodle
CN210175829U (en) Commodity distribution device for sports field
KR102672738B1 (en) Cup transfer device for automatic coffee machine
KR100925786B1 (en) Automatic display device
JP2002288734A (en)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CN218996092U (en) Bowl-packaged food automatic production and network selling integrated machine
JP2004208553A (en) Apparatus for dishing up semi-solid foo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