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313B1 -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313B1
KR102058313B1 KR1020190043845A KR20190043845A KR102058313B1 KR 102058313 B1 KR102058313 B1 KR 102058313B1 KR 1020190043845 A KR1020190043845 A KR 1020190043845A KR 20190043845 A KR20190043845 A KR 20190043845A KR 102058313 B1 KR102058313 B1 KR 10205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lens
manufacturing
frame
sat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철
Original Assignee
유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철 filed Critical 유지철
Priority to KR102019004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313B1/ko
Priority to PCT/KR2020/005009 priority patent/WO20202139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은,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써 전면 일 측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양 측단에 결합되며 일 단부가 상기 착용자의 귀 일 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 제조 단계;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렌즈를 준비하는 렌즈 준비 단계;
상기 렌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
그라데이션 처리된 상기 렌즈를 상기 삽입홀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Recognition Device Enhancing Target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렌즈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인식 장치에 있어 한 쌍의 렌즈에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표적에 대한 타격 수행 시 표적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격경기에는 소총, 권총, 클레이, 러닝타켓 등의 다양한 종목이 있으며, 각 경기종목에 따라 규정된 총기, 실탄, 복장 및 사격용 안경 등의 사격 장비를 구비하게 된다.
이 때 사격 장비의 일종으로써 사격을 수행하는 유저의 안구를 보호하고, 사격 시 표적 식별을 강화하기 위해 표적 식별의 인식을 강화하는 장치, 다시 말해 사격용 안경을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사격경기에 참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격장비들 중 사격용 안경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105062호의 "사격용안경의 렌즈조정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격용 안경은 대부분 표적을 조준하는 한쪽 눈의 시력보정을 위한 렌즈와, 표적을 조준하지 않는 다른 한쪽 눈을 가려주기 위한 블라인드 및 코받침대가 결합되는 전면프레임이 구비되고; 집중력 향상을 위한 블라인드가 결합되고, 전면프레임 양단에 힌지결합되는 측면프레임(안경다리)이 구비된다.
나아가 이를 개선한 형태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51946호의 "사격용 안경"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사격용 안경은 렌즈와 블라인드 및 코받침대의 위치와, 측면프레임의 길이를 눈의 위치 또는 얼굴 크기에 맞도록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자의 시력과 취향에 맞는 렌즈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품의 견고성과 제조 및 사용의 편리성을 갖는 사격용 안경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시력보정을 위한 렌즈(30)와 한쪽 눈을 가려주기 위한 제 1 블라인드(40) 및 코받침대(50)가 결합되는 전면프레임(10)과, 눈의 측방을 가려주기 위한 제 2 블라인드(27)가 결합되고 전면프레임(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사격용 안경에 있어서, 전면프레임(10)의 양측에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되어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제 1 블록(11) 및 제 2 블록(12)과; 전면프레임(10)의 중앙에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되어 좌, 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제 3 블록(13)을 포함하되; 제 1 블록(11)에는 렌즈(30)를 승강가능토록 결합하고, 제 2 블록(12)에는 제 1 블라인드(40)를 승강가능토록 결합하며, 제 3 블록(13)에는 코받침대(50)를 승강가능토록 결합하여, 렌즈(30)와 제 1 블라인드(40) 및 코받침대(5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사격용 안경들의 경우 착용의 편리성만을 강조하였을 뿐, 실제 타격의 대상이 되는 표적에 대한 식별 인식 강화 기능에 대해서는 별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렌즈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인식 장치에 있어 한 쌍의 렌즈에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표적에 대한 타격 수행 시 표적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렌즈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인식 장치에 있어 한 쌍의 렌즈에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표적에 대한 타격 수행 시 표적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물 식별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표적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렌즈의 그라데이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렌즈의 그라데이션 처리 시 착용자의 미간 거리를 반영하여 그라데이션 설정 정도, 즉 채도의 최대값을 결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안구의 돌출도를 수치화하고 수치화한 값에 미간 거리 및 안구의 길이 등을 반영하여 그라데이션 처리될 채도의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은,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써 전면 일 측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양 측단에 결합되며 일 단부가 상기 착용자의 귀 일 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 제조 단계;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렌즈를 준비하는 렌즈 준비 단계; 상기 렌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 그라데이션 처리된 상기 렌즈를 상기 삽입홀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한 쌍의 상기 렌즈에 서로 다른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하나의 상기 렌즈에 적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 및, 다른 하나의 상기 렌즈에 녹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은,
1) 한 쌍의 렌즈에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표적에 대한 타격 수행 시 표적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2) 사물 식별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표적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렌즈의 그라데이션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3) 렌즈의 그라데이션 처리 시 착용자의 미간 거리를 반영하여 그라데이션 설정 정도, 즉 채도의 최대값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그라데이션 예시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그라데이션 예시 전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는 장치프레임(10) 및 렌즈(20)로 구성된다. 렌즈(20)는 장치프레임(10) 중 전면프레임(11)의 일 측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12)에 끼움 결합된다.
장치프레임(10)은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전면프레임(11) 및, 상기 전면프레임(11)의 양 측단에 결합되어 일 단부가 착용자의 귀 일 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다. 측면프레임(13) 및 전면프레임(11)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일체형 장치프레임(10)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3)이 전면프레임(11)의 양 측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전면프레임(11)을 안구 전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측면프레임(13)을 각각 귀에 걸어 본 발명의 표정 식별 강화 인식 장치(1)를 착용하게 되며, 이는 종래의 안경과 유사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면프레임(11)은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한다고 하였는데, 이 때 한 쌍의 안구 전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삽입홀(12) 한 쌍이 전면프레임(11)의 일 측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면프레임(11)의 삽입홀(12) 각각에는 렌즈(20)가 끼움 결합되며, 즉 한 쌍의 삽입홀(12) 각각에 렌즈(20)가 결합된 구조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렌즈(20)라 함은 기본적으로 착용자의 표적 식별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시력 향상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표적을 식별하는 표적 식별 강화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한 쌍의 렌즈(20)에 색상이 입혀진 일종의 색상 렌즈(20), 즉 선글라스의 렌즈(20)와 유사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여기서 렌즈(20)에 색을 그라데이션하여 입힘으로써 사격 시 표적을 보다 분명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이용되는 색상에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나 기본적으론 적색이나 녹색을 그라데이션하여 렌즈(20)에 색상 그라데이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여기서 적색이나 녹색을 그라데이션하여 입힐 때, 한 쌍의 렌즈(20)에 있어 하나의 렌즈(20)는 적색 그라데이션, 다른 하나의 렌즈(20)는 녹색 그라데이션을 수행하여 한 쌍의 렌즈(20)가 각기 다른 색을 나타내도록, 즉 한 쌍의 상기 렌즈(20)에 서로 다른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예시가 도 3에서 나타나 있다. 이 때 렌즈(20)에 적용되는 그라데이션의 경우 상기 착용자의 코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귀 측으로 진행될수록 채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렌즈(20)를 그라데이션 처리함으로써 최대한 자연 상태 그대로 사물의 색을 인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적색 계통 빛, 다시 말해 레이저 사격시의 표적은 보다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도 1 및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로 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1. 프레임 제조 단계(S100)
가장 먼저 수행되는 프레임 제조 단계(S100)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를 구성하는 장치프레임(1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장치프레임(10)의 재질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메탈,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의 물질들이 장치프레임(10)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다시 설명하면 안경테에 이용되는 다양한 재질들이 장치프레임(10)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장치프레임(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11) 및 측면프레임(13)으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프레임 제조 단계(S100)는 한 쌍의 삽입홀(12)이 관통 형성된 전면프레임(11)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13)을 각각 제조하고 이를 결합하여 장치프레임(10)을 만들게 된다. 이 때 전면프레임(11) 및 측면프레임(13) 각각의 제조 방법이나 전면프레임(11) 및 측면프레임(13)의 결합 방식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2. 렌즈 준비 단계(S200)
장치프레임(10)의 제조가 완료되면 장치프레임(10) 중에서도 전면프레임(11)의 삽입홀(12)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렌즈(20)를 준비하게 된다. 이 때 렌즈(20)는 기본적으로 시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므로 렌즈 준비 단계(S200) 시 시력 측정 기구들을 통해 착용자의 시력을 측정하고 착용자의 시력에 맞춘 렌즈(20)를 준비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 때 준비되는 렌즈(20)의 재질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구에 대한 보호성을 높임이 바람직하다.
3. 안면 스캐닝 단계(S300)
렌즈(20)가 준비되면, 착용자에게 해당 렌즈(20)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렌즈(20)에 그라데이션 처리되는 색상의 조절을 위해 착용자의 안면을 스캐닝하여 착용자의 안면 특성을 검출해내게 된다. 이 때 안면 특성은 기본적으로 미간 거리, 안구의 길이, 나아가 안구의 돌출도라 할 수 있다. 이 때 각 특성에 대해 스캐닝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1. 미간 거리 측정 단계
안면 스캐닝 단계(S300)에 포함되는 미간 거리 측정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양 눈 사이의 거리, 즉 미간 거리를 측정한다. 이 때 미간 거리 측정을 위해서는 종래의 자 등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얼굴을 3차원 안면 촬영기 등을 통해 3차원으로 촬영하고 양쪽 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미간 거리로써 측정하도록 한다. 이 때 미간 거리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cm일 수 있으나, 보다 세밀한 측정을 위해 mm단위로 측정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3.2. 안구 길이 측정 단계
안면 스캐닝 단계(S3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안구 길이 측정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양안 가로 길이를 측정한다. 이 때 양쪽 눈의 가로 길이가 다를 수 있음은 기본이며, 이 경우 양쪽 눈의 가로 길이를 각각 측정한 다음 그의 산술평균값을 구하여 착용자의 안구 가로 길이를 측정하게 된다. 이 때 안구 가로 길이 측정이라 함은 안구의 한쪽 끝, 즉 코 방향 끝 지점에서 귀 방향 끝 지점까지의 길이의 폭이라 할 수 있다. 즉 안구의 양 측방향 종결지점 사이의 거리라 할 수 있다. 단위는 기본적으로 cm 혹은 mm일 수 있다. 이 때 안구 가로 길이 측정 역시 자로 측정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얼굴을 3차원 안면 촬영기 등을 통해 3차원으로 촬영하고 양쪽 안구 각각에 대해 가로 길이를 측정하여 이를 안구의 가로 길이로써 이용한다.

4. 채도 조절 단계(S400)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안면 스캐닝 단계(S300) 및 하위 단계를 통해 착용자의 안면에 대한 스캐닝이 완료되면, 스캐닝된 착용자의 안면에 따라 상기 렌즈(20)에 적용될 색상 및 해당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 때 색상 및 채도 조절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1. 색상 결정 단계
먼저 각각의 상기 렌즈(20), 즉 한 쌍의 렌즈(20)에서 각각에 그라데이션 될 색상을 결정하게 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렌즈(20)의 경우 적색, 다른 하나의 렌즈(20)는 녹색으로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때 좌안을 적색으로 처리할 것인지, 우안을 적색으로 처리할 것인지 등을 색상 결정 단계에서 결정하게 되며, 이 때 색상 결정은 착용자에 의해 선택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
4.2. 세부 조절 단계
색상의 결정이 완료되면, 측정된 상기 착용자의 미간 거리, 안구의 가로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 상기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는 그라데이션 되는 색상에 있어서 색상의 채도 최대값을 조절하여 그라데이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채도 최대값이 클수록 그라데이션 정도의 차이가 커지며, 채도의 최대값이 작을수록 그라데이션 정도의 차이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5.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S500)
렌즈(20)의 준비 및 색상 결정, 채도 최대값 결정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게 된다. 이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한다 함은 한 쌍의 렌즈(20)에 서로 다른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하나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가 두 가지의 색상을 나타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5.1.1. 적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
먼저 하나의 상기 렌즈(20)에 적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한다. 이 때 적색은 일반적인 렌즈(20) 착색용 컬러인 적색일 수도 있으나(별도의 제한 없이 적색의 영역 안에 포함되는 다양한 색상일 수 있음), 상술한 설명에서처럼 채도의 최대값이 지정된 적색일 수 있다. 이 때 그라데이션 처리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자의 코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귀 측으로 진행될수록 채도가 높아지도록 하되, 귀 측 말단부가 설정된 채도의 최대값이 되도록 상기 렌즈(20)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사물 식별 능력을 떨어트리지 않으면서도 표적에 대한 인식률은 높일 수 있도록 한다.
5.1.2. 녹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
다음으로 다른 하나의 상기 렌즈(20)에 녹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한다. 이 때 적=녹색은 일반적인 렌즈(20) 착색용 컬러인 녹색일 수도 있으나(별도의 제한 없이 녹색의 영역 안에 포함되는 다양한 색상일 수 있음), 상술한 설명에서처럼 채도의 최대값이 지정된 녹색일 수 있다. 이 때 그라데이션 처리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자의 코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귀 측으로 진행될수록 채도가 높아지도록 하되, 귀 측 말단부가 설정된 채도의 최대값이 되도록 상기 렌즈(20)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사물 식별 능력을 떨어트리지 않으면서도 표적에 대한 인식률은 높일 수 있도록 한다.
6. 조립 단계(S600)
장치프레임(10)의 준비 및 렌즈(20)의 준비, 그리고 그라데이션 처리가 완료되면 그라데이션 처리된 한 쌍의 렌즈(20)를 각각의 삽입홀(12)에 끼움 결합하여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를 완성한다. 이는 종래의 안경과 유사한 형태이나 색상이 그라데이션 처리되어 있으며, 사물을 식별하는 능력을 떨어뜨리진 않으나 사격에 있어 레이저 표적에 대한 인식률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인식 장치 10 : 장치프레임
11 : 전면프레임 12 : 삽입홀
13 : 측면프레임 20 : 렌즈
S100 : 프레임 제조 단계 S200 ; 렌즈 준비 단계
S300 : 안면 스캐닝 단계 S400 : 채도 조절 단계
S500 :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 S600 : 조립 단계

Claims (11)

  1.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써 전면 일 측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양 측단에 결합되며 일 단부가 상기 착용자의 귀 일 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 제조 단계;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렌즈를 준비하는 렌즈 준비 단계;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스캐닝하는 안면 스캐닝 단계; 및,
    스캐닝된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따라 상기 렌즈에 적용될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는 채도 조절 단계;
    상기 렌즈에 상기 착용자에 대해 채도가 조절된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
    그라데이션 처리된 상기 렌즈를 상기 삽입홀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한 쌍의 상기 렌즈에 서로 다른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하나의 상기 렌즈에 적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 및,
    다른 하나의 상기 렌즈에 녹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코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귀 측으로 진행될수록 채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렌즈를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스캐닝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미간 거리를 측정하는 미간 거리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도 조절 단계는,
    각각의 상기 렌즈에 그라데이션 될 색상을 결정하는 색상 결정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착용자의 미간 거리에 따라 결정된 상기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는 세부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스캐닝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안구의 가로 길이를 측정하는 안구 길이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부 조절 단계는,
    측정된 상기 착용자의 미간 거리 및 안구의 가로 길이에 따라 결정된 상기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43845A 2019-04-15 2019-04-15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5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45A KR102058313B1 (ko) 2019-04-15 2019-04-15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PCT/KR2020/005009 WO2020213912A1 (ko) 2019-04-15 2020-04-14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45A KR102058313B1 (ko) 2019-04-15 2019-04-15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313B1 true KR102058313B1 (ko) 2019-12-20

Family

ID=6906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45A KR102058313B1 (ko) 2019-04-15 2019-04-15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8313B1 (ko)
WO (1) WO20202139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12A1 (ko) * 2019-04-15 2020-10-22 유지철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1058A (ja) * 2011-10-20 2014-11-20 オー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彩度強調を伴う眼鏡
JP6431591B1 (ja) 2017-12-15 2018-11-28 株式会社シャルマン 三次元顔画像の基準正面の設定方法、それを用いた眼鏡の選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カルテの作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2069A (en) * 1980-08-29 1982-05-06 Aisin Seiki Co Ltd Dc current detector
KR101851481B1 (ko) * 2014-01-31 2018-04-23 칼 짜이스 비전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스포츠 양궁 과녁을 시각적으로 겨누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한 렌즈 및 방법
JP6991135B2 (ja) * 2015-10-15 2022-01-12 エシロール・アンテルナシオナル 累進レンズの光学系を判定する方法
KR102058313B1 (ko) * 2019-04-15 2019-12-20 유지철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1058A (ja) * 2011-10-20 2014-11-20 オー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彩度強調を伴う眼鏡
JP6431591B1 (ja) 2017-12-15 2018-11-28 株式会社シャルマン 三次元顔画像の基準正面の設定方法、それを用いた眼鏡の選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カルテの作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12A1 (ko) * 2019-04-15 2020-10-22 유지철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12A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3694A1 (zh) 人体实际距离测量及眼镜架的定制方法
US7083499B2 (en) Method for deciding a bevel curve,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us of a bevel, method for processing a len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lens
CN103384847B (zh) 用于在自然姿势下确定至少一个与眼镜片在眼镜架内的安装相关联的几何/相貌参数的方法
AU2019214536C1 (en) Eyewear and lenses with multiple molded lens components
KR20140009384A (ko)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안경테에 안과용 렌즈를 장착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하학적/인상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JP6833674B2 (ja) 選択された眼鏡フレームの画像データに基づいた使用者データの決定
EP2392962A1 (en) Spectacle lens selection method and spectacle lens selection system
CN108605120A (zh) 基于关于显示器的眼调节的观看设备调整
US20180214022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detecting a corneal vertex
EP3454722B1 (en) Method for measuring a subject's eye movement and scleral contact lens
KR102058313B1 (ko)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US10775624B2 (en) Binocular device comprising a monocular display device
US701140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pectacles with lenses
WO2020239104A1 (zh) 一种色度增强光学制品及其在镜片领域的应用
JP2002511956A (ja) 患者の眼鏡用のプログレッシブレンズ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5074541B (zh) 眼镜镜片及其制造方法以及镜片供给系统
JP2021159998A5 (ko)
US20220019090A1 (en) Lineup Glasses
TWM575151U (zh) Eyeglass lens system device
KR102499864B1 (ko) 사용자 맞춤용 누진렌즈 설계 장치 및 그의 누진렌즈 설계 방법
US20220413320A1 (en) Activity specific contact lenses
JP2011030627A (ja) 視線移動量測定方法
WO2015181099A2 (en) Contact lens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