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13912A1 -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13912A1
WO2020213912A1 PCT/KR2020/005009 KR2020005009W WO2020213912A1 WO 2020213912 A1 WO2020213912 A1 WO 2020213912A1 KR 2020005009 W KR2020005009 W KR 2020005009W WO 2020213912 A1 WO2020213912 A1 WO 20202139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arer
lens
manufacturing
target identification
sat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0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지철
Original Assignee
유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철 filed Critical 유지철
Publication of WO20202139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139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ment recognition device, and in more detail, in a recognition device consisting of a lens and a frame, a color is gradated on a pair of lenses to more easily recognize a target when a target is hit.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ment recognition device that enables it to be performed.
  • a device that enhances the awareness of target identification to protect the eyeball of the user performing shooting, and to strengthen the target identification during shooting, that is, to wear glasses for shooting, and participate in shooting competitions. do.
  • Most of such conventional shooting glasses are provided with a front frame in which a lens for vision correction of one eye aiming at a target, a blind for covering the other eye not aiming at a target, and a nose rest are combined; Blinds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re combined, and side frames (glass legs) that are hinged to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are provided.
  • the shooting glasses can be worn by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lenses, blinds and nose rests, and the length of the side frame to suit the position of the eyes or the size of the face, and a lens suitable for the wearer's vision and taste can be easily installed. While making it possible, it provides shooting glasses with product robustness and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and us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frame 10 to which a lens 30 for vision correction, a first blind 40 for covering one eye, and a nose rest 50 are combined, and a second blind for covering the side of the eye (27)
  • the shooting glasses consisting of side frames (2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10), it is slid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10) so tha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can be adjusted.
  • a first block 11 and a second block 12 It includes a third block 13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frame 10 so as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 the first block 11 is coupled to allow the lens 30 to be lifted, the second block 12 is coupled to the first blind 40 to be liftable, and the third block 13 has a nose rest 5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lens 30, the first blind 40, and the nose rest 50 by combining so as to be elevating.
  • a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ment recognition device in more detail, in a recognition device consisting of a lens and a frame, the color is gradated on a pair of lenses so that the target can be more easily recognized when a target is hi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arget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recognition device that enables it to occur.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ment recognition device, and in more detail, in a recognition device consisting of a lens and a frame, color gradation processing on a pair of lenses Therefore, it is a main object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ment recognition device that enables the target to be more easily recognized when performing a strike against the targe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gradation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enhancing target recognition without deteriorating object identification capabilit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determining a gradation setting degree, that is, a maximum value of saturation, by reflecting the distance between a wearer's eyebrows during gradation processing of a lens.
  •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maximum value of the saturation to be processed to be gradated by digitizing the protrusion of the eyeball and reflecting the glabellar distance and the length of the eyeball to the digitized value.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arget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recognition device includes a front frame including a pair of insertion holes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of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side
  • an assembly step of fitting and coupling the gradation-treated lens to the insertion hole includes a front frame including a pair of insertion holes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of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side
  • the gradation processing step includes gradation processing of red on one lens and gradation processing of green on the other lens.
  • the degree of gradation setting that is, the maximum value of saturation, can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earer's ey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d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d recogn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gradient example of the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ment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d recogn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d recogni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a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d recogni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d recogni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d recogni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device frame 10 and a lens 20. .
  • the lens 20 is fitted into an insertion hole 12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front frame 11 of the device frame 10.
  • the device frame 10 includes a front frame 11 positioned in front of the wearer's eyeball, and a pair of side frames that are coupled to both side ends of the front frame 11 and have one end seated on one side of the wearer's ear ( 13).
  • the side frame 13 and the front frame 11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to be an integrated device frame 10, but preferably, a pair of side frames 13 are hinged to both side ends of the front frame 11 It is based on being able to rotate.
  • the wearer wears the facial expression identification enhancement recogni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front frame 11 on the front of the eye by placing a pair of side frames 13 on each ear, which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glasses. Therefo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front frame 11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wearer's eyeball.
  • a pair of insertion holes 12 ar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front frame 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front of the pair of eyes, respectively.
  • the lens 20 is fit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holes 12 of the front frame 11,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s 20 is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insertion holes 12.
  • the len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pair of lenses 20 to help improve vision so as to enhance the wearer's target identification ability, and to further improve the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ment function for identifying the targ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imilar to a kind of color lens 20, that is, a lens 20 of sunglasses. However, by applying a color gradient on the lens 20, the target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when shooting. There is no separate limitation on the color used at this time, but basically, a color gradation process is performed on the lens 20 by gradating red or green.
  • the pair of lenses 20 when applying red or green gradation here, in the pair of lenses 20, one lens 20 performs a red gradation, and the other lens 20 performs a green gradation, so that the pair of lenses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olors are gradated on the pair of lenses 20 so as to represent different colors.
  • FIG. 3 Such an example is shown in FIG. 3.
  • the lens 20 is subjected to gradation processing so that the saturation increases from the nose of the wearer to the ear of the wearer, so that the color of the object can be recognized as it is in its natural state.
  • the red light that is, the target when shooting a laser, can be better recognized.
  •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d recogni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ment recogni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long with FIGS. 1 and 3 described above.
  • the first frame manufacturing step (S100) is a step of manufacturing the device frame 10 constituting the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d recogni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material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and plastic may be used as the device frame 10
  • various materials used for the eyeglass frames are used as the device frame ( 10) can be used.
  • the device frame 10 is composed of the front frame 11 and the side frame 13 as described above, so the frame manufacturing step (S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frame having a pair of insertion holes 12 formed therethrough. (11) and a pair of side frames 13, respectively, are manufactured and combined to make the device frame 10.
  • a pair of lenses 20 that are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 of the front frame 11 among the device frames 10 are prepared.
  • the lens 20 is basicall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eyesight,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wearer's eyesight through the vision measuring devices in the lens preparation step (S200) and prepare a lens 20 suitable for the wearer's eyesight.
  • the material of the prepared lens 20 is not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protection for the wearer's eyes by using a polycarbonate material.
  • the wearer's face is scanned to detect the wearer's facial characteristics so that the lens 20 can be optimized, in other words, to adjust the color gradation-processed on the lens 20. do.
  • facial characteristics can be basically referred to as the distance between the eyeballs, the length of the eyeball, and even the protrusion of the eyeball.
  • the scanning method for each characteristic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of the wearer is measured.
  • a conventional ruler or the like may be used to measure the glabellar distance, but preferably, the wearer's face is photographed in 3D through a 3D facial imager,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yes is measured and measured as the glabellar distance. do.
  • the unit of the glabellar distance may basically be cm, bu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measurement in mm for more detailed measurement.
  • the horizontal length of both eyes of the wearer is measured.
  • the width of the eyeball of the wearer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width of both eyes, respectively, and then calculating the arithmetic mean value.
  • the measurement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eyeball can be referred to as the width of one end of the eyeball, that is, the length from the tip in the nose direction to the tip in the ear direction. That is, it can be said to be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points in both sides of the eyeball.
  • the unit can basically be cm or mm.
  •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eyeball may also be measured with a ruler, but preferably, the wearer's face is photographed in three dimensions using a three-dimensional face imager, etc.,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each eyeball is measured, and this is used a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eyeball.
  • each of the lenses 20, that is, a color to be gradated to each of the pair of lenses 20 is determined.
  • one lens 20 is gradated to red
  • the other lens 20 is to be gradated to green.
  • whether to treat the left eye as red or the right eye to red is determined in the color determination step, and at this time, the color may be selected by the wearer.
  • the saturation of the color is adjus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distance between the wearer's eyes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eyeball. This allows the degree of gradation to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maximum saturation value of the color in the gradation color, an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gradation increases as the maximum value of saturation increases. will be.
  • the lens 20 is subjected to a gradation process of at least one color.
  • the gradation processing of at least one color means that different colors are gradated on the pair of lenses 20 so that one target identification enhancement recognition device 1 displays two colors. In more detail, it is as follows.
  • red is gradated on one of the lenses 20.
  • the red may be red, which is a color for coloring the general lens 20 (it may be various colors included in a red area without any limitation), but as described above, the maximum value of saturation may be red.
  • the gradation processing method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the saturation is increased as it progresses from the nose of the wearer to the ear of the wearer, but the lens 20 is gradated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ear becomes the maximum value of the set saturation. By processing, the recognition rate for the target can be increased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to identify objects.
  • red green may be green, which is a color for coloring the general lens 20 (it may be various colors included in the green area without any limitation), but as described above, the maximum value of saturation may be green. have.
  • the gradation processing method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the saturation is increased as it progresses from the nose of the wearer to the ear of the wearer, but the lens 20 is gradated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ear becomes the maximum value of the set saturation.
  • the lens 20 is prepared, and the gradation processing is completed, a pair of gradation-treated lenses 20 are inserted into each insertion hole 12 to enhance target identifi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lete the device (1) Thi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r color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glasses is gradated, and the ability to identify objects is not degraded, but the recognition rate for the laser target is maximized in shoo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은,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써 전면 일 측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양 측단에 결합되며 일 단부가 상기 착용자의 귀 일 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 제조 단계;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렌즈를 준비하는 렌즈 준비 단계; 상기 렌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 그라데이션 처리된 상기 렌즈를 상기 삽입홀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렌즈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인식 장치에 있어 한 쌍의 렌즈에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표적에 대한 타격 수행 시 표적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격경기에는 소총, 권총, 클레이, 러닝타켓 등의 다양한 종목이 있으며, 각 경기종목에 따라 규정된 총기, 실탄, 복장 및 사격용 안경 등의 사격 장비를 구비하게 된다.
이 때 사격 장비의 일종으로써 사격을 수행하는 유저의 안구를 보호하고, 사격 시 표적 식별을 강화하기 위해 표적 식별의 인식을 강화하는 장치, 다시 말해 사격용 안경을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사격경기에 참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격장비들 중 사격용 안경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105062호의 "사격용안경의 렌즈조정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격용 안경은 대부분 표적을 조준하는 한쪽 눈의 시력보정을 위한 렌즈와, 표적을 조준하지 않는 다른 한쪽 눈을 가려주기 위한 블라인드 및 코받침대가 결합되는 전면프레임이 구비되고; 집중력 향상을 위한 블라인드가 결합되고, 전면프레임 양단에 힌지결합되는 측면프레임(안경다리)이 구비된다.
나아가 이를 개선한 형태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51946호의 "사격용 안경"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사격용 안경은 렌즈와 블라인드 및 코받침대의 위치와, 측면프레임의 길이를 눈의 위치 또는 얼굴 크기에 맞도록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자의 시력과 취향에 맞는 렌즈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품의 견고성과 제조 및 사용의 편리성을 갖는 사격용 안경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시력보정을 위한 렌즈(30)와 한쪽 눈을 가려주기 위한 제 1 블라인드(40) 및 코받침대(50)가 결합되는 전면프레임(10)과, 눈의 측방을 가려주기 위한 제 2 블라인드(27)가 결합되고 전면프레임(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사격용 안경에 있어서, 전면프레임(10)의 양측에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되어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제 1 블록(11) 및 제 2 블록(12)과; 전면프레임(10)의 중앙에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되어 좌, 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제 3 블록(13)을 포함하되; 제 1 블록(11)에는 렌즈(30)를 승강가능토록 결합하고, 제 2 블록(12)에는 제 1 블라인드(40)를 승강가능토록 결합하며, 제 3 블록(13)에는 코받침대(50)를 승강가능토록 결합하여, 렌즈(30)와 제 1 블라인드(40) 및 코받침대(5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사격용 안경들의 경우 착용의 편리성만을 강조하였을 뿐, 실제 타격의 대상이 되는 표적에 대한 식별 인식 강화 기능에 대해서는 별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렌즈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인식 장치에 있어 한 쌍의 렌즈에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표적에 대한 타격 수행 시 표적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렌즈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인식 장치에 있어 한 쌍의 렌즈에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표적에 대한 타격 수행 시 표적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물 식별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표적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렌즈의 그라데이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렌즈의 그라데이션 처리 시 착용자의 미간 거리를 반영하여 그라데이션 설정 정도, 즉 채도의 최대값을 결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안구의 돌출도를 수치화하고 수치화한 값에 미간 거리 및 안구의 길이 등을 반영하여 그라데이션 처리될 채도의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은,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써 전면 일 측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양 측단에 결합되며 일 단부가 상기 착용자의 귀 일 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 제조 단계;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렌즈를 준비하는 렌즈 준비 단계; 상기 렌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 그라데이션 처리된 상기 렌즈를 상기 삽입홀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한 쌍의 상기 렌즈에 서로 다른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하나의 상기 렌즈에 적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 및, 다른 하나의 상기 렌즈에 녹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은,
1) 한 쌍의 렌즈에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표적에 대한 타격 수행 시 표적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2) 사물 식별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표적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렌즈의 그라데이션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3) 렌즈의 그라데이션 처리 시 착용자의 미간 거리를 반영하여 그라데이션 설정 정도, 즉 채도의 최대값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그라데이션 예시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그라데이션 예시 전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는 장치프레임(10) 및 렌즈(20)로 구성된다. 렌즈(20)는 장치프레임(10) 중 전면프레임(11)의 일 측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12)에 끼움 결합된다.
장치프레임(10)은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전면프레임(11) 및, 상기 전면프레임(11)의 양 측단에 결합되어 일 단부가 착용자의 귀 일 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다. 측면프레임(13) 및 전면프레임(11)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일체형 장치프레임(10)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3)이 전면프레임(11)의 양 측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전면프레임(11)을 안구 전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측면프레임(13)을 각각 귀에 걸어 본 발명의 표정 식별 강화 인식 장치(1)를 착용하게 되며, 이는 종래의 안경과 유사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면프레임(11)은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한다고 하였는데, 이 때 한 쌍의 안구 전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삽입홀(12) 한 쌍이 전면프레임(11)의 일 측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면프레임(11)의 삽입홀(12) 각각에는 렌즈(20)가 끼움 결합되며, 즉 한 쌍의 삽입홀(12) 각각에 렌즈(20)가 결합된 구조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렌즈(20)라 함은 기본적으로 착용자의 표적 식별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시력 향상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표적을 식별하는 표적 식별 강화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한 쌍의 렌즈(20)에 색상이 입혀진 일종의 색상 렌즈(20), 즉 선글라스의 렌즈(20)와 유사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여기서 렌즈(20)에 색을 그라데이션하여 입힘으로써 사격 시 표적을 보다 분명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이용되는 색상에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나 기본적으론 적색이나 녹색을 그라데이션하여 렌즈(20)에 색상 그라데이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여기서 적색이나 녹색을 그라데이션하여 입힐 때, 한 쌍의 렌즈(20)에 있어 하나의 렌즈(20)는 적색 그라데이션, 다른 하나의 렌즈(20)는 녹색 그라데이션을 수행하여 한 쌍의 렌즈(20)가 각기 다른 색을 나타내도록, 즉 한 쌍의 상기 렌즈(20)에 서로 다른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예시가 도 3에서 나타나 있다. 이 때 렌즈(20)에 적용되는 그라데이션의 경우 상기 착용자의 코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귀 측으로 진행될수록 채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렌즈(20)를 그라데이션 처리함으로써 최대한 자연 상태 그대로 사물의 색을 인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적색 계통 빛, 다시 말해 레이저 사격시의 표적은 보다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도 1 및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로 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1. 프레임 제조 단계(S100)
가장 먼저 수행되는 프레임 제조 단계(S100)는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를 구성하는 장치프레임(1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장치프레임(10)의 재질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메탈,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의 물질들이 장치프레임(10)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다시 설명하면 안경테에 이용되는 다양한 재질들이 장치프레임(10)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장치프레임(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11) 및 측면프레임(13)으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프레임 제조 단계(S100)는 한 쌍의 삽입홀(12)이 관통 형성된 전면프레임(11)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13)을 각각 제조하고 이를 결합하여 장치프레임(10)을 만들게 된다. 이 때 전면프레임(11) 및 측면프레임(13) 각각의 제조 방법이나 전면프레임(11) 및 측면프레임(13)의 결합 방식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2. 렌즈 준비 단계(S200)
장치프레임(10)의 제조가 완료되면 장치프레임(10) 중에서도 전면프레임(11)의 삽입홀(12)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렌즈(20)를 준비하게 된다. 이 때 렌즈(20)는 기본적으로 시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므로 렌즈 준비 단계(S200) 시 시력 측정 기구들을 통해 착용자의 시력을 측정하고 착용자의 시력에 맞춘 렌즈(20)를 준비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 때 준비되는 렌즈(20)의 재질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구에 대한 보호성을 높임이 바람직하다.
3. 안면 스캐닝 단계(S300)
렌즈(20)가 준비되면, 착용자에게 해당 렌즈(20)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렌즈(20)에 그라데이션 처리되는 색상의 조절을 위해 착용자의 안면을 스캐닝하여 착용자의 안면 특성을 검출해내게 된다. 이 때 안면 특성은 기본적으로 미간 거리, 안구의 길이, 나아가 안구의 돌출도라 할 수 있다. 이 때 각 특성에 대해 스캐닝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1. 미간 거리 측정 단계
안면 스캐닝 단계(S300)에 포함되는 미간 거리 측정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양 눈 사이의 거리, 즉 미간 거리를 측정한다. 이 때 미간 거리 측정을 위해서는 종래의 자 등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얼굴을 3차원 안면 촬영기 등을 통해 3차원으로 촬영하고 양쪽 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미간 거리로써 측정하도록 한다. 이 때 미간 거리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cm일 수 있으나, 보다 세밀한 측정을 위해 mm단위로 측정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3.2. 안구 길이 측정 단계
안면 스캐닝 단계(S3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안구 길이 측정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양안 가로 길이를 측정한다. 이 때 양쪽 눈의 가로 길이가 다를 수 있음은 기본이며, 이 경우 양쪽 눈의 가로 길이를 각각 측정한 다음 그의 산술평균값을 구하여 착용자의 안구 가로 길이를 측정하게 된다. 이 때 안구 가로 길이 측정이라 함은 안구의 한쪽 끝, 즉 코 방향 끝 지점에서 귀 방향 끝 지점까지의 길이의 폭이라 할 수 있다. 즉 안구의 양 측방향 종결지점 사이의 거리라 할 수 있다. 단위는 기본적으로 cm 혹은 mm일 수 있다. 이 때 안구 가로 길이 측정 역시 자로 측정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얼굴을 3차원 안면 촬영기 등을 통해 3차원으로 촬영하고 양쪽 안구 각각에 대해 가로 길이를 측정하여 이를 안구의 가로 길이로써 이용한다.
4. 채도 조절 단계(S400)
상술한 안면 스캐닝 단계(S300) 및 하위 단계를 통해 착용자의 안면에 대한 스캐닝이 완료되면, 스캐닝된 착용자의 안면에 따라 상기 렌즈(20)에 적용될 색상 및 해당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 때 색상 및 채도 조절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1. 색상 결정 단계
먼저 각각의 상기 렌즈(20), 즉 한 쌍의 렌즈(20)에서 각각에 그라데이션 될 색상을 결정하게 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렌즈(20)의 경우 적색, 다른 하나의 렌즈(20)는 녹색으로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때 좌안을 적색으로 처리할 것인지, 우안을 적색으로 처리할 것인지 등을 색상 결정 단계에서 결정하게 되며, 이 때 색상 결정은 착용자에 의해 선택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
4.2. 세부 조절 단계
색상의 결정이 완료되면, 측정된 상기 착용자의 미간 거리, 안구의 가로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 상기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는 그라데이션 되는 색상에 있어서 색상의 채도 최대값을 조절하여 그라데이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채도 최대값이 클수록 그라데이션 정도의 차이가 커지며, 채도의 최대값이 작을수록 그라데이션 정도의 차이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5.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S500)
렌즈(20)의 준비 및 색상 결정, 채도 최대값 결정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게 된다. 이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한다 함은 한 쌍의 렌즈(20)에 서로 다른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하나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가 두 가지의 색상을 나타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1.1. 적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
먼저 하나의 상기 렌즈(20)에 적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한다. 이 때 적색은 일반적인 렌즈(20) 착색용 컬러인 적색일 수도 있으나(별도의 제한 없이 적색의 영역 안에 포함되는 다양한 색상일 수 있음), 상술한 설명에서처럼 채도의 최대값이 지정된 적색일 수 있다. 이 때 그라데이션 처리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자의 코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귀 측으로 진행될수록 채도가 높아지도록 하되, 귀 측 말단부가 설정된 채도의 최대값이 되도록 상기 렌즈(20)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사물 식별 능력을 떨어트리지 않으면서도 표적에 대한 인식률은 높일 수 있도록 한다.
5.1.2. 녹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
다음으로 다른 하나의 상기 렌즈(20)에 녹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한다. 이 때 적=녹색은 일반적인 렌즈(20) 착색용 컬러인 녹색일 수도 있으나(별도의 제한 없이 녹색의 영역 안에 포함되는 다양한 색상일 수 있음), 상술한 설명에서처럼 채도의 최대값이 지정된 녹색일 수 있다. 이 때 그라데이션 처리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자의 코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귀 측으로 진행될수록 채도가 높아지도록 하되, 귀 측 말단부가 설정된 채도의 최대값이 되도록 상기 렌즈(20)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사물 식별 능력을 떨어트리지 않으면서도 표적에 대한 인식률은 높일 수 있도록 한다.
6. 조립 단계(S600)
장치프레임(10)의 준비 및 렌즈(20)의 준비, 그리고 그라데이션 처리가 완료되면 그라데이션 처리된 한 쌍의 렌즈(20)를 각각의 삽입홀(12)에 끼움 결합하여 본 발명의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1)를 완성한다. 이는 종래의 안경과 유사한 형태이나 색상이 그라데이션 처리되어 있으며, 사물을 식별하는 능력을 떨어뜨리진 않으나 사격에 있어 레이저 표적에 대한 인식률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써 전면 일 측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양 측단에 결합되며 일 단부가 상기 착용자의 귀 일 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 제조 단계;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렌즈를 준비하는 렌즈 준비 단계;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스캐닝하는 안면 스캐닝 단계; 및,
    스캐닝된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따라 상기 렌즈에 적용될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는 채도 조절 단계;
    상기 렌즈에 상기 착용자에 대해 채도가 조절된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
    그라데이션 처리된 상기 렌즈를 상기 삽입홀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한 쌍의 상기 렌즈에 서로 다른 색상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하나의 상기 렌즈에 적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 및,
    다른 하나의 상기 렌즈에 녹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처리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코 측에서 상기 착용자의 귀 측으로 진행될수록 채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렌즈를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스캐닝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미간 거리를 측정하는 미간 거리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도 조절 단계는,
    각각의 상기 렌즈에 그라데이션 될 색상을 결정하는 색상 결정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착용자의 미간 거리에 따라 결정된 상기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는 세부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스캐닝 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안구의 가로 길이를 측정하는 안구 길이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부 조절 단계는,
    측정된 상기 착용자의 미간 거리 및 안구의 가로 길이에 따라 결정된 상기 색상의 채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PCT/KR2020/005009 2019-04-15 2020-04-14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WO20202139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45A KR102058313B1 (ko) 2019-04-15 2019-04-15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9-0043845 2019-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12A1 true WO2020213912A1 (ko) 2020-10-22

Family

ID=6906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009 WO2020213912A1 (ko) 2019-04-15 2020-04-14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8313B1 (ko)
WO (1) WO2020213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313B1 (ko) * 2019-04-15 2019-12-20 유지철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591B2 (ko) * 1980-08-29 1989-06-27 Aisin Seiki
JP2014531058A (ja) * 2011-10-20 2014-11-20 オー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彩度強調を伴う眼鏡
KR20160135706A (ko) * 2014-01-31 2016-11-28 칼 짜이스 비전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스포츠 양궁 과녁을 시각적으로 겨누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한 렌즈 및 방법
US20180299694A1 (en) * 2015-10-15 2018-10-18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cal system of a progressive lens
KR102058313B1 (ko) * 2019-04-15 2019-12-20 유지철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1591B1 (ja) 2017-12-15 2018-11-28 株式会社シャルマン 三次元顔画像の基準正面の設定方法、それを用いた眼鏡の選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カルテの作成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591B2 (ko) * 1980-08-29 1989-06-27 Aisin Seiki
JP2014531058A (ja) * 2011-10-20 2014-11-20 オー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彩度強調を伴う眼鏡
KR20160135706A (ko) * 2014-01-31 2016-11-28 칼 짜이스 비전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스포츠 양궁 과녁을 시각적으로 겨누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한 렌즈 및 방법
US20180299694A1 (en) * 2015-10-15 2018-10-18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cal system of a progressive lens
KR102058313B1 (ko) * 2019-04-15 2019-12-20 유지철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313B1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4184B1 (en) Custom eyeglass manufacturing method
CN110377385B (zh) 一种屏幕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3384847B (zh) 用于在自然姿势下确定至少一个与眼镜片在眼镜架内的安装相关联的几何/相貌参数的方法
WO2020213912A1 (ko) 표적 식별 강화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US8531507B2 (en) Enhancement of visual perception IV
CA3020325A1 (en) Method for measuring actual distance of human body and customizing spectacle frame
CN101542522B (zh) 眼睛颜色校正装置
CN106503644B (zh) 基于边缘投影及颜色特征的眼镜属性检测方法
EP3454722B1 (en) Method for measuring a subject's eye movement and scleral contact lens
WO2021091017A1 (ko) 맞춤형 안경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ishto The colour stereoscopic effect
CN107505668A (zh) 一种色弱矫正光学滤波片
CN107111136A (zh) 包括单眼显示装置的双眼装置
JP5110760B2 (ja) 色盲補正メガネおよび色盲補正メガネの製造方法
WO2019117336A1 (ko) 융합력 및 인식력 훈련이 가능한 시력훈련장치
US20230020160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value of at least one geometrico-morphological parameter of a subject wearing an eyewear
CN107018398B (zh) 一种用于光场三维显示量化标定的方法
US67091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ocular muscular fatigue
CN109961477A (zh) 一种空间定位方法、装置及设备
CN213248978U (zh) 一种同视机画片
JP3050063U (ja) ゴルファー用眼鏡のためのレンズ及びゴルファー用眼鏡
WO2024106760A1 (ko) 사용자 맞춤형 누진렌즈 설계 시스템
Luria et al. Vision through various scuba facemasks
CN214751156U (zh) 一种用于红绿色盲的矫正眼镜
CN108230287A (zh) 一种眼前节图像的晶体区域的检测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20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920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