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817B1 -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817B1
KR102056817B1 KR1020180080361A KR20180080361A KR102056817B1 KR 102056817 B1 KR102056817 B1 KR 102056817B1 KR 1020180080361 A KR1020180080361 A KR 1020180080361A KR 20180080361 A KR20180080361 A KR 20180080361A KR 102056817 B1 KR102056817 B1 KR 102056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indow
closing device
water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246A (ko
Inventor
윤홍익
Original Assignee
윤홍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익 filed Critical 윤홍익
Priority to KR102018008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8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물의 익일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은, 건물의 각각의 층에 위치되는 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창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과 통기되고 건물의 외부와 통기되는 상층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상층문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 및 상기 상층문과 통기되는 곳에 위치되는 중간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중간문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 개폐장치, 상기 상층문 개폐장치 및 상기 중간문 개폐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창 개폐장치, 상기 상층문 개폐장치 및 상기 중간문 개폐장치를 개방하여 각각의 창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더운 공기는 상기 상층문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야간에 자연환기 방식으로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여 최대한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 익일 냉방시작점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 {Night Purge operating method using natural ventilation}
본 발명은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절기에 건물에 축열되는 에너지는 온·습도차에 의한 영향보다는 일사량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특히, 일사량은 풍향, 건물의 방위, 건물 외피, 건물의 내부 구조에 따라 달라지고, 건물 내로 전달되는 축열량은 건물의 단열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건물의 유리창을 통해 투과된 복사에너지는 건물구조체에 흡수되고, 흡수된 열에너지는 전도의 정도에 따라 내부로 축열된다. 이러한 축열에너지는 야간에도 지속적으로 건물 내부에 남아있게 되고, 익일 아침에 냉방기 가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투과된 복사에너지의 열특성을 예측하여 건물 내로 축열되는 에너지를 익일 운전시간 전에 퍼지하면 냉방시작점 부하를 낮출 수 있어 저부하운전이 가능하게 되고, 공조기기의 운전 부담을 덜어주면서 냉방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종래에 냉방운전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냉방운전이 시작되기 전인 새벽시간에 온도가 낮은 외기를 실내에 도입하여 실내를 미리 냉각시키는 나이트 퍼지 운전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나이트 퍼지 운전은 주로 냉방기기 운전담당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외기를 실내로 팬을 이용해 강제 도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운전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절감효과는 운전 담당자의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고, 외기를 실내로 강제 도입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나이트 퍼지 운전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를 충분히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야간에도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와 같이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방식에 의해 냉방부하 절감효과가 크지 않은 경우, 냉방부하를 절감할 수 있는 다른 운전 방식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88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야간에 자연환기 방식으로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여 최대한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 익일 냉방시작점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야간에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 자연환기 외에 증발열을 이용하여 실내의 축열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익일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은, 건물의 각각의 층에 위치되는 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창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과 통기되고 건물의 외부와 통기되는 상층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상층문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 및 상기 상층문과 통기되는 곳에 위치되는 중간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중간문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 개폐장치, 상기 상층문 개폐장치 및 상기 중간문 개폐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창 개폐장치, 상기 상층문 개폐장치 및 상기 중간문 개폐장치를 개방하여 각각의 창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더운 공기는 상기 상층문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건물의 각각의 층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창과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창이 설치되고, 상기 창 개폐장치는 상기 하부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하부창 개폐장치와, 상기 상부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상부창 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중간문 개폐장치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창 개폐장치와 상기 상부창 개폐장치를 개방하여 상기 하부창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더운 공기는 상기 상부창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익일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은, 건물의 각각의 층에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창과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창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하부창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상부창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창 개폐장치 및 상기 상부창 개폐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하부창 개폐장치와 상기 상부창 개폐장치를 개방하여 상기 하부창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더운 공기는 상기 상부창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익일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건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건물 주변의 풍향과 풍속을 알 수 있는 풍향풍속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물분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야간에 상기 풍향풍속계에 의해 감지된 풍향과 풍속에 따라 상기 물분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풍속의 크기에 따라 상기 물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을 다르게 조절한다.
또한, 건물의 벽면 상층부에 물을 공급하는 벽면 물공급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야간의 소정 시간에 벽면 상층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 물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익일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건물의 벽면 상층부에 물을 공급하는 벽면 물공급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건물 주변의 풍향과 풍속을 알 수 있는 풍향풍속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벽면 물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야간에 상기 풍향풍속계에 의해 감지된 풍향과 풍속에 따라 벽면 상층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 물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에 자연환기 방식으로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여 최대한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 익일 냉방시작점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창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하부창과 상부창을 통해 나이트 퍼지 운전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장치와 벽면 물공급장치를 통해 건물의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나이트 퍼지 운전을 수행하지 않을 때의 건물의 일사부하와 축열부하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나이트 퍼지 운전을 수행했을 때의 건물의 일사부하와 축열부하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창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하부창과 상부창을 통해 나이트 퍼지 운전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장치와 벽면 물공급장치를 통해 건물의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은 창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켜 외기가 실내의 더운 공기와 함께 건물 상부의 상층문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는 자연환기 방법을 통해 건물의 축열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익일의 냉방부하를 감소시켜 냉방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에너지를 점감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을 위해 건물은 창 개폐장치(111, 112), 중간문 개폐장치(120), 상층문 개폐장치(140), 제어부를 포함한다.
창 개폐장치(111, 112)는 건물의 각각의 층에 위치되는 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이다.
건물의 창은 하부창과 상부창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창 개폐장치(111)는 하부창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이고, 상부창 개폐장치(112)는 상부창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부창은 하부창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층문 개폐장치(140)는 건물의 외부와 통기할 수 있도록 옥상과 같은 건물의 상층(또는 최상층)(135)에 설치되는 상층문을 개폐하기 위한 장치이다.
중간문 개폐장치(120)는 창 및 상층문과 통기되는 곳에 위치되는 중간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중간문은 실내(110)로 들어가는 입구에 설치되는 문이고, 이러한 중간문이 개방되면 중앙 계단을 형성하는 환기통로(130)와 통기될 수 있다.
창 개폐장치(111, 112), 중간문 개폐장치(120) 및 상층문 개폐장치(140)는 모터 구동 또는 유압 구동에 의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익일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의 각각의 층에 위치되는 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창 개폐장치(111, 112)를 설치하고, 창과 통기되고 건물의 외부와 통기되는 상층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상층문 개폐장치(140)를 설치하고, 창 및 상층문과 통기되는 곳에 위치되는 중간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중간문 개폐장치(120)를 설치한다.
또한,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도시안됨)를 설치하고, 창 개폐장치(111, 112), 상층문 개폐장치(140) 및 중간문 개폐장치(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다.
제어부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창 개폐장치(111, 112), 상층문 개폐장치(140) 및 중간문 개폐장치(120)를 개방하여 각각의 창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더운 공기는 상층문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창 개폐장치(111, 112)는 하부창 만을 개방하거나 하부창과 상부창을 모두 개방할 수 있다.
창 개폐장치(111, 112), 상층문 개폐장치(140) 및 중간문 개폐장치(120)가 개방되면, 창, 중간문, 상층문으로 이어지는 환기통로가 생기고 별도의 강제환기 없이도 자연환기에 의해 외기는 창을 통해 유입되어 상층문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운 공기는 밀도차에 의해 위로 상승하고, 창, 중간문, 상층문으로 이어지는 기류가 생기면 더운 공기가 건물의 상층부로 올라가서 자연환기에 의해 건물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에 따라,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외기온도가 낮을 때, 창, 중간문, 상층문을 개방하는 정도의 에너지 투입만으로 자연환기가 발생되고, 여름에 낮 동안에 실내(120)에 축적된 더운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고, 외부의 상대적으로 찬 공기가 실내(120)로 유입되어 채우게 된다.
이와 같이, 적은 에너지의 투입만으로 여름철에 낮 동안에 축적된 축열부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익일 오전에 저부하 운전으로 운전해도 실내온도는 빨리 원하는 온도로 수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름철의 냉방부하를 낮춰 에너지를 절감하면서 장시간의 고부하 운전에 의해 냉방기기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익일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의 각각의 층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창과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창을 설치하고, 하부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하부창 개폐장치(111)를 설치하고, 상부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상부창 개폐장치(112)를 설치한다. 또한,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하부창 개폐장치(111) 및 상부창 개폐장치(1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다.
제어부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중간문 개폐장치(120)를 폐쇄한 상태에서 하부창 개폐장치(111)와 상부창 개폐장치(112)를 개방하여 하부창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더운 공기는 상부창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장치와 벽면 물공급장치를 통해 건물의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자연환기와 더불어 사용되거나, 외기 온도가 높아 자연환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건물에는 지붕 또는 옥상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장치(150)를 설치하고, 건물 주변의 풍향과 풍속을 알 수 있는 풍향풍속계(170)를 설치하고, 물분사장치(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다.
제어부는 야간에 풍향풍속계(170)에 의해 감지된 풍향과 풍속에 따라 물분사장치(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는 풍향풍속계(170)에 의하지 않고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풍향과 풍속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에 물분사장치(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풍속의 크기에 따라 물분사장치(150)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분사장치(150)에 의해 바람이 부는 쪽으로 지붕 또는 옥상에 물을 분사하면, 바람에 의해 분사된 물이 증발되면서 증발잠열에 해당하는 열을 건물로부터 뺏어가게 된다. 그에 따라, 건물의 지붕 또는 옥상의 온도는 낮아지고, 낮아진 온도는 전도에 의해 건물 전체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바람의 양이 많은 경우, 물의 증발이 쉽게 일어나므로 물분사장치(150)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을 분사한다. 바람의 양이 적은 경우, 물의 증발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물분사장치(150)에 의해 더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하여 증발이 잘 일어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서는, 건물의 벽면 상층부에 물을 공급하는 벽면 물공급장치(160)를 설치하고, 건물 주변의 풍향과 풍속을 알 수 있는 풍향풍속계(170)를 설치하고, 벽면 물공급장치(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다.
제어부는 야간의 소정 시간에 벽면 상층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벽면 물공급장치(16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풍향풍속계(170)에 의해 감지된 풍향과 풍속에 따라 벽면 상층부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는 풍향풍속계(170)에 의하지 않고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풍향과 풍속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에 벽면 물공급장치(1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쪽으로 바람이 불거나 풍량이 많을 때, 벽면 물공급장치(160)를 통해 벽면을 따라 물(10)을 흘려보내면, 바람에 의해 물(10)이 증발되면서 건물 벽면의 열을 빼앗아 가게 된다.
이와 같이, 건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 물을 분사하거나 벽면에 물을 분사하여 물의 증발과정에서 건물의 축열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에서는, 자연환기를 이용하는 방법, 건물 상층부에 물을 분사하는 방법, 건물의 벽면에 물을 분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이러한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건물 상층부에 물을 분사하면 기류가 생기고, 이러한 기류는 자연환기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나이트 퍼지 운전을 수행하지 않을 때의 건물의 일사부하와 축열부하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나이트 퍼지 운전을 수행했을 때의 건물의 일사부하와 축열부하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점선은 일사부하를 나타내고, 실선은 건물의 축열부하를 나타낸다. 일사부하는 풍향, 건물의 방위, 건물 외피, 건물의 내부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열량이고, 축열부하는 일사부하에 의해 건물 내로 전달되는 열량으로 건물의 단열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사부하에 의해 건물에 전달된 열이 건물에 축적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일반적으로 축열부하는 약간의 시간차는 있지만 일사부하와 비슷한 형태의 그래프를 갖게 된다.
8시부터 18시까지의 주간에 건물에 축적되는 축열부하는 냉방장치의 가동으로 제거될 수 있지만, 18시 이후에 냉방 가동은 중지되므로 축열부하는 제거되지 않고 건물에 축적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냉방을 가동하지 않는 야간 동안에 축적된 축열부하는 익일 9시전에 냉방장치의 가동으로 제거되어야 하는데, 축열부하의 양이 많아서 냉방장치를 최대로 가동해도 실내의 온도는 일정한 시간 동안 매우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익일 냉방시작 시점에 냉방장치를 최대로 가동함에 따라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많은 에너지가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실내온도는 여전히 높은 상태로 유지되어 불편을 느끼고, 고부하운전에 따른 냉방장치의 수명 저하의 문제가 있다.
도 6에서, 점선은 일사부하를 나타내고, 실선은 건물의 축열부하를 나타내고, 빗금으로 표시된 면적(S)은 본 발명의 나이트 퍼지 운전에 따라 야간 동안에 제거된 축열부하의 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나이트 퍼지 운전에 따라 야간에 축열부하가 제거되면, 익일 9시 전에 냉방을 시작할 때 저부하운전이 가능하게 되고, 짧은 시간 동안에 원하는 냉방온도에 도달하여 실내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부하운전으로 냉방장치의 수명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실내공간
111 : 하부창
112 : 상부창
120 : 중간문
130 : 환기통로
135 : 옥상
140 : 상층문
150 : 물분사장치
160 : 벽면 물공급장치
170 : 풍향풍속계

Claims (3)

  1. 건물의 익일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에 있어서,
    건물의 각각의 층에 위치되는 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창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과 통기되고 건물의 외부와 통기되는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되는 상층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상층문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 및 상기 상층문과 통기되는 곳에 위치되는 중간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중간문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건물에는 지붕 또는 옥상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건물 주변의 풍향과 풍속을 알 수 있는 풍향풍속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 개폐장치, 상기 상층문 개폐장치 및 상기 중간문 개폐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물분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창 개폐장치, 상기 상층문 개폐장치 및 상기 중간문 개폐장치를 개방하여 각각의 창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더운 공기는 상기 상층문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며,
    야간에 풍향풍속계에 의해 감지된 풍향과 풍속에 따라 물분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풍향과 풍속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에 물분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풍속의 크기에 따라 물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을 다르게 조절하되,
    바람의 양이 많은 경우 물의 증발이 쉽게 일어나므로 물분사장치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을 분사하고. 바람의 양이 적은 경우 물의 증발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물분사장치에 의해 더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하여 증발이 잘 일어나게 하여,
    바람에 의해 분사된 물이 증발되면서 증발잠열에 해당하는 열을 건물로부터 뺏어갈 뿐만 아니라 건물 상층부에 분사된 물로 기류가 발생되어 자연환기를 극대화시키는,
    건물의 익일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0361A 2018-07-11 2018-07-11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 KR102056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361A KR102056817B1 (ko) 2018-07-11 2018-07-11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361A KR102056817B1 (ko) 2018-07-11 2018-07-11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003 Division 201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246A KR20190073246A (ko) 2019-06-26
KR102056817B1 true KR102056817B1 (ko) 2019-12-17

Family

ID=6710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361A KR102056817B1 (ko) 2018-07-11 2018-07-11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8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273B1 (ko) * 2006-10-02 2008-02-28 조병남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JP2009085583A (ja) 2007-09-10 2009-04-23 Satoshi Ishihara 外気導入式気化冷房
JP2011127295A (ja) * 2009-12-16 2011-06-30 Toyota Home Kk 建物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887B1 (ko) 2012-12-14 2014-09-23 현대건설 주식회사 나이트 퍼지 시스템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273B1 (ko) * 2006-10-02 2008-02-28 조병남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JP2009085583A (ja) 2007-09-10 2009-04-23 Satoshi Ishihara 外気導入式気化冷房
JP2011127295A (ja) * 2009-12-16 2011-06-30 Toyota Home Kk 建物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246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947B2 (en) Thermogenic augmentation system
US9933182B2 (en) System for optimising an environmental parameter of an enclosed space
US10830464B1 (en) Air cooling system for sealed attic building structures
US8556689B2 (en) Building heating and cooling system
JP2007120861A (ja) 換気調温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08180414A (ja) 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
JP2018080905A (ja) 温熱環境制御装置
JP4392508B2 (ja) 自然対流式床下暖房換気システム
JP5926711B2 (ja) 暖房システム
JP7081124B2 (ja) 制御装置及び農業用ハウス
JP5502699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
KR102056817B1 (ko) 자연환기를 이용한 나이트 퍼지 운전방법
WO2017134913A1 (ja) 制御装置および農業用ハウス
JP6783072B2 (ja) 制御装置および該制御装置を備えた構造物の通気方法
JP4334887B2 (ja) 通気住宅および冷気溜りの形成方法
JP2005273970A (ja) 建物空調システム
EP3220068A1 (de) Belüftungssystem zur erzeugung eines luftstroms in einem gebäude
JP5715448B2 (ja) 建物の空調システム
KR102483052B1 (ko) 결로방지를 위한 제어가 가능한 지중구조물
JP4758017B2 (ja) 冷房システム
JP2018080904A (ja) 都市型パッシブデザイン
KR200407076Y1 (ko) 모듈라식 건축물의 통기시스템
JP3747208B2 (ja) 建造物
JP2000320031A (ja) 建 物
EP4379282A1 (en) Hybrid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venti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