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743B1 -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743B1
KR102056743B1 KR1020180041178A KR20180041178A KR102056743B1 KR 102056743 B1 KR102056743 B1 KR 102056743B1 KR 1020180041178 A KR1020180041178 A KR 1020180041178A KR 20180041178 A KR20180041178 A KR 20180041178A KR 102056743 B1 KR102056743 B1 KR 10205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tube
length
hub
cathe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046A (ko
Inventor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74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3Weakening parts of a catheter tubing, e.g. by making cuts in the tube or reducing thickness of a layer at one point to adjust the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4Connecting a tube to a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61M39/281Automatic tube cut-off devices, e.g. squeezing tube on detection of air
    • A61M2039/282Automatic tube cut-off devices, e.g. squeezing tube on detection of air including severing of the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된 유로를 형성하는 카테타튜브와; 일단부가 상기 카테타튜브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카테타튜브와 연통되며, 상기 카테타튜브의 외부로 노출된 중앙 영역에 커팅블레이드가 형성된 길이조절튜브와; 상기 카테타튜브의 말단이 내부에 지지되는 카테타튜브지지부와, 상기 길이조절튜브의 타단부가 내부에 지지되는 길이조절튜브지지부와, 상기 카테타튜브지지부 및 상기 길이조절튜브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커팅블레이드 형상에 따라 함몰된 커팅블레이드지지부를 갖는 카테타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타허브를 상기 카테타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커팅블레이드가 상기 카테타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카테타튜브를 커팅하여 상기 카테타튜브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카테타허브 내의 커팅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환자의 조건에 맞춰 카테타튜브의 커팅을 통해 카테타튜브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카테타튜브의 길이 문제로 인해 카테타를 재시술하여 낭비가 되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하고 환자와 시술자 모두 시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Length adjustable catheter assembly using cutting}
본 발명은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테타허브 내의 커팅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환자의 조건에 맞춰 카테타튜브의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타(catheter)는 액체를 체내로 주입하거나 체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료 기구로, 시술 또는 침습 과정에서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카테터는 예를 들어 환자의 체내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병변 지점까지 밀어넣은 후 주사기로 약물을 카테터에 공급하여 병변 지점으로 약물을 주입하도록 구성된다.
카테타는 길고 가느다란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카테타튜브(catheter tube)와, 카테타튜브의 말단에 결합된 카테타허브(catheter hub)로 이루어진다. 이 중 카테타튜브는 목표한 병변 지점으로 접근하는 일단의 원위부 끝(distal tip) 및 타단에 해당하는 근위부 끝(proximal tip)으로 형성되며, 근위부 끝에는 다른 기구와 연결이 가능한 카테타허브가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카테타는 목적에 맞는 크기, 길이 및 모양을 가지고 있고 이 중 모양은 필요에 따라서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크기와 길이는 조절이 되지 않기 때문에 카테타의 크기와 길이는 사용 목적에 맞게 설계되어 제작되어지고 있다.
특히 카테타의 크기와 길이 중 길이는 환자의 키, 나이 또는 혈관의 상태 등의 환자 조건에 따라 혈관 내 시술이나 치료에 부적합하게 짧거나 길 수 있다. 환자에게 맞지 않는 길이의 카테타를 사용할 경우 환자의 체내에서 카테타를 제거하고 다시 다른 길이의 카테타를 사용해야 하며, 이 경우 한 번 사용한 카테타를 재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고가의 카테타로 인한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카테타를 여러 번 시술할 경우 환자와 시술자 모두 시술을 힘들어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테타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혈관 내 시술 또는 치료의 경우, 가능한 짧은 길이의 카테타가 시술에 유리하며 설치 후 최대한 카테타의 길이를 짧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카테타의 길이 조절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1997-0073618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8-000955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타허브 내의 커팅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환자의 조건에 맞춰 카테타튜브의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된 유로를 형성하는 카테타튜브와; 일단부가 상기 카테타튜브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카테타튜브와 연통되며, 상기 카테타튜브의 외부로 노출된 중앙 영역에 커팅블레이드가 형성된 길이조절튜브와; 상기 카테타튜브의 말단이 내부에 지지되는 카테타튜브지지부와, 상기 길이조절튜브의 타단부가 내부에 지지되는 길이조절튜브지지부와, 상기 카테타튜브지지부 및 상기 길이조절튜브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커팅블레이드 형상에 따라 함몰된 커팅블레이드지지부를 갖는 카테타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타허브를 상기 카테타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커팅블레이드가 상기 카테타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카테타튜브를 커팅하여 상기 카테타튜브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테타허브는 커팅된 상기 카테타튜브의 말단이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상기 카테타허브의 내부에서 외부로 접근가능하게 관통된 카테타튜브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블레이드는 상기 카테타튜브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팅블레이드는 상기 길이조절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카테타허브는 상기 카테타튜브와 상기 길이조절튜브가 서로 연통되는 영역에 상기 카테타튜브지지부로부터 연장된 허브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타튜브의 길이조절 후 상기 카테타튜브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카테타허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고정부는 상기 카테타튜브와 접촉하는 내부가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허브고정부는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허브고정부의 외부에 결합되는 허브고정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고정너트의 조절을 통해 상기 카테타허브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테타허브와 상기 길이조절튜브는 서로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카테타허브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튜브가 함께 이동하며, 상기 길이조절튜브는 상기 카테타튜브보다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데, 상기 길이조절튜브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테타튜브는 상기 길이조절튜브보다 연질의 FRP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테타허브 내의 커팅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환자의 조건에 맞춰 카테타튜브의 커팅을 통해 카테타튜브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카테타튜브의 길이 문제로 인해 카테타를 재시술하여 낭비가 되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하고 환자와 시술자 모두 시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타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카테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커팅블레이드가 카테타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카테타튜브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허브고정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catheter assembly, 100)는, 카테타튜브(catheter tube, 110), 길이조절튜브(130) 및 카테타허브(catheter hub, 150)를 포함한다. 카테타튜브(110)는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병변 지점에 도달하는 구성으로, 시술자가 손으로 만지는 정도의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카테타튜브(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된 유로를 형성한다.
길이조절튜브(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된 유로를 형성하며, 일단부가 카테타튜브(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카테타튜브(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길이조절튜브(130)의 타단부를 통해 약물 또는 캐뉼라(cannular)를 삽입하여 길이조절튜브(130)의 유로를 지나 연통된 카테타튜브(110)의 유로를 통해 병변 지점으로 약물 또는 캐뉼라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될 경우 체액이 카테타튜브(110)의 유로를 지나 길이조절튜브(130)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길이조절튜브(130)는 상기 카테타튜브(110) 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카테타튜브(110)보다 강성의 재질을 사용하며,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카테타튜브(110)의 외부로 노출된 길이조절튜브(130)의 중앙 영역에는 커팅블레이드(cutting blade, 131)가 형성된다. 커팅블레이드(131)는 카테타튜브(110)를 커팅하여 카테타튜브(1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커팅이 용이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팅블레이드(1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타튜브(1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카테타튜브(110)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카테타튜브(110)의 내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카테타튜브(110)의 말단과 근접한 영역은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고, 카테타튜브(110)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여 카테타튜브(110)가 쉽게 커팅되도록 형성된다.
커팅블레이드(131)는 길이조절튜브(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한 쌍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정확히는 한 쌍의 커팅블레이드(131)가 서로 180°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커팅블레이드(131)가 네 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커팅블레이드(131)가 서로 90°로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카테타허브(150)는 카테타튜브지지부(151), 길이조절튜브지지부(153) 및 커팅블레이드지지부(155)를 포함한다. 카테타튜브지지부(151)는 카테타튜브(110)의 말단이 내부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길이조절튜브지지부(153)는 길이조절튜브(130)의 타단부가 내부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카테타튜브지지부(151) 및 길이조절지지부(153) 사이에는 커팅블레이드지지부(155)가 형성되며, 커팅블레이드(131)의 형상에 따라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카테타터허브(150)를 카테타튜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커팅블레이드(131)가 카테타튜브(11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카테타튜브(110)를 커팅하여 카테타튜브(110)의 길이가 조절된다. 즉 길이조절튜브(130)의 일단부가 카테타튜브(1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커팅블레이드(131)가 카테타튜브(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카테타허브(150)를 카테타튜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게 되면 카테타허브(150)에 의해 길이조절튜브(130)가 카테타튜브(110) 내부로 점점 밀려들어가게 되면서 커팅블레이드(131)가 함께 카테타튜브(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카테타튜브(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커팅블레이드(131)는 날카로운 형상으로 이루어져 카테타튜브(110)를 길이방향으로 커팅하게 되며 이를 통해 카테타튜브(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카테타허브(150)와 길이조절튜브(130)는 서로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카테타허브(150)의 이동에 따라 길이조절튜브(130)가 함께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결합될 경우 카테타허브(150)의 이동에 따라 길이조절튜브(130)가 일체형으로 함께 이동된다. 또한 카테타허브(150)와 길이조절튜브(130)가 결합되도록 카테타허브(150) 및 길이조절튜브(130) 사이에 패킹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카테타허브(150)는 커팅된 카테타튜브(110)의 말단이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카테타허브(150)의 내부에서 외부로 접근가능하게 관통된 카테타튜브배출부(157)를 포함한다. 커팅블레이드(131)를 통해 커팅된 카테타튜브(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1/2 또는 1/4로 나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커팅된 카테타튜브(110)가 카테타허브(150) 내부에 머무를 경우 카테타허브(150)의 이동이 제약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커팅된 카테타튜브(110)는 외부로 배출되어 카테타튜브(1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커팅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테타튜브배출부(157)는 커팅블레이드(131)의 개수에 따라 그 개수가 결정되며, 복수 개의 커팅블레이드(131)가 배치된 영역 사이의 영역에 카테타튜브배출부(157)를 형성하여 커팅된 카테타튜브(110)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타허브(15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허브고정부(159)를 포함하는데, 허브고정부(159)는 카테타튜브(110)와 길이조절튜브(130)가 서로 연통되는 영역에 카테타튜브지지부(151)로부터 연장되며, 카테타튜브(110)의 길이조절 후 카테타튜브(110) 방향으로 가압하여 카테타허브(1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카테타허브(150)를 이동시켜 카테타튜브(110)가 원하는 길이에 배치되면 시술 중 카테타튜브(110)의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카테타허브(150)를 카테타튜브(110)에 고정시켜야 한다. 이에 허브고정부(159)를 이용하여 카테타허브(150)를 카테타튜브(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카테타허브(150)가 이동시에는 허브고정부(159)는 카테타튜브(110)와 이격되어 있어 마찰없이 용이하게 카테타허브(150)를 이동 가능하며, 카테타튜브(110)가 고정될 위치가 정해지면 허브고정부(159)를 외부에서 카테타튜브(110) 방향으로 가압하여 허브고정부(159)와 카테타튜브(110)가 접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카테타허브(150)가 카테타튜브(11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도 5와 같이 허브고정부(155)는 카테타튜브(110)와 접촉하는 내부가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져 카테타허브(15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브고정부(159)는 도 6과 같이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허브고정부(159)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허브고정부(159)의 외부에 결합되는 허브고정너트(159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허브고정너트(159a)를 회전시켜 위치 조절을 통해 카테타허브(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허브고정부(159)가 카테타튜브(110)와 병변 지점에 가까운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허브고정너트(159a)를 병변 지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할 경우 허브고정부(159)가 점점 직경이 줄어들어 카테타튜브(110)와 접촉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허브고정부(159)는 2 내지 4개 정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종래기술에 따른 카테타는 환자의 키, 나이 또는 혈관의 상태 등의 환자 조건에 따라 카테타의 길이가 혈관 내 시술이나 치료에 부적합하게 짧거나 길 수 있어 시술에 어려움이 많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카테타 어셈블리(100)의 경우에는 카테타허브(150)를 이용하여 환자의 조건에 맞춰 카테타튜브(11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카테타의 길이 문제로 인해 카테타를 재시술하여 낭비가 되는 문제점 및 환자와 시술자 모두 시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카테타 어셈블리
110: 카테타튜브
130: 길이조절튜브
131: 커팅블레이드
150: 카테타허브
151: 카테타튜브지지부
153: 길이조절튜브지지부
155: 커팅블레이드지지부
157: 카테타튜브배출부
159: 허브고정부
159a: 허브고정너트

Claims (10)

  1.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된 유로를 형성하는 카테타튜브와;
    일단부가 상기 카테타튜브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카테타튜브와 연통되며, 상기 카테타튜브의 외부로 노출된 중앙 영역에 커팅블레이드가 형성된 길이조절튜브와;
    상기 카테타튜브의 말단이 내부에 지지되는 카테타튜브지지부와, 상기 길이조절튜브의 타단부가 내부에 지지되는 길이조절튜브지지부와, 상기 카테타튜브지지부 및 상기 길이조절튜브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커팅블레이드 형상에 따라 함몰된 커팅블레이드지지부를 갖는 카테타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타허브를 상기 카테타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커팅블레이드가 상기 카테타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카테타튜브를 커팅하여 상기 카테타튜브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타허브는 커팅된 상기 카테타튜브의 말단이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상기 카테타허브의 내부에서 외부로 접근가능하게 관통된 카테타튜브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블레이드는 상기 카테타튜브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블레이드는 상기 길이조절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타허브는 상기 카테타튜브와 상기 길이조절튜브가 서로 연통되는 영역에 상기 카테타튜브지지부로부터 연장된 허브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타튜브의 길이조절 후 상기 카테타튜브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카테타허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고정부는 상기 카테타튜브와 접촉하는 내부가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테타허브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고정부는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허브고정부의 외부에 결합되는 허브고정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고정너트의 조절을 통해 상기 카테타허브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타허브와 상기 길이조절튜브는 서로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카테타허브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튜브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튜브는 상기 카테타튜브보다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튜브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테타튜브는 상기 길이조절튜브보다 연질의 FRP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KR1020180041178A 2018-04-09 2018-04-09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KR10205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78A KR102056743B1 (ko) 2018-04-09 2018-04-09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78A KR102056743B1 (ko) 2018-04-09 2018-04-09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46A KR20190118046A (ko) 2019-10-17
KR102056743B1 true KR102056743B1 (ko) 2019-12-17

Family

ID=6842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178A KR102056743B1 (ko) 2018-04-09 2018-04-09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8280B2 (en) * 2018-04-24 2024-03-26 Traceless Biopsy, Llc Catheter
DE102021205602A1 (de) * 2021-06-02 2022-12-08 B. Braun Melsungen Aktiengesellschaft Schlauchverbinder für medizinische Schlauchleitung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8341A (ja) 1997-01-14 2001-06-26 テラメッ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管腔内挿入後に調節された長さの移植片を形成する方法
US20030105451A1 (en) 2001-12-04 2003-06-05 Cardiac Pacemakers, Inc. Adjustable length catheter assembly
US20040143240A1 (en) 2003-01-17 2004-07-22 Armstrong Joseph R. Adjustable length catheter
JP2005058775A (ja) 2003-08-18 2005-03-10 Codman & Shurtleff Inc 切断可能な検出用カテーテル
US20080306465A1 (en) 2007-06-05 2008-12-11 Cook Incorporated Adjustable Length Catheter
US20140171913A1 (en) 2012-04-27 2014-06-19 Teleflex Medical, Inc. Catheter with adjustable guidewire exit 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618A (ko) 1996-05-06 1997-12-10 에릭티. 엥겔슨 고성능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카테터
KR101874558B1 (ko) 2016-07-19 2018-07-04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요도 카테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8341A (ja) 1997-01-14 2001-06-26 テラメッ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管腔内挿入後に調節された長さの移植片を形成する方法
US20030105451A1 (en) 2001-12-04 2003-06-05 Cardiac Pacemakers, Inc. Adjustable length catheter assembly
US20040143240A1 (en) 2003-01-17 2004-07-22 Armstrong Joseph R. Adjustable length catheter
JP2005058775A (ja) 2003-08-18 2005-03-10 Codman & Shurtleff Inc 切断可能な検出用カテーテル
US20080306465A1 (en) 2007-06-05 2008-12-11 Cook Incorporated Adjustable Length Catheter
US20140171913A1 (en) 2012-04-27 2014-06-19 Teleflex Medical, Inc. Catheter with adjustable guidewire exit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46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0807B2 (en) Puncturing device and anchoring device
EP1957142B1 (en) Flexible needle
EP1727582B1 (en) Variable depth injection device
US10363389B2 (en) Micro-fabricated guidewire devices having varying diameters
US9616195B2 (en) Micro-fabricated catheter devices having varying diameters
US9067333B2 (en) Micro-fabricated guidewire devices having elastomeric fill compositions
US9950137B2 (en) Micro-fabricated guidewire devices formed with hybrid materials
US9072873B2 (en) Micro-fabricated guidewire devices having elastomeric compositions
EP3154454B1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drug delivery mechanism
KR102246515B1 (ko) 개선된 카테터 강성 조절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04522A1 (en) Infusion device
US20100256603A1 (en) Micro-fabricated Catheter Devices Formed Having Elastomeric Fill Compositions
US20100256604A1 (en) Micro-fabricated Catheter Devices Formed Having Elastomeric Compositions
CN106264709B (zh) 一种导引导管
JP2017531544A5 (ko)
KR102056743B1 (ko)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JP2020529271A (ja) ニードルおよびカテーテル挿入デバイス
US10105518B2 (en) Soft lock wire guide and neuro-surgery assembly using same
US20110288533A1 (en) Tip Controllable Guidewire Device
KR102053207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JP6105931B2 (ja) カテーテルハブ
EP3056134B1 (en) Endoscope needle guide for injections at an angle into the walls of tubular organs to the predetermined depth
US10874554B2 (en) Ophthalmic surgical instrument
CN210871926U (zh) 穿刺针及穿刺针组件
JP2012170550A (ja) 止血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