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73618A - 고성능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카테터 - Google Patents

고성능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73618A
KR970073618A KR1019960014612A KR19960014612A KR970073618A KR 970073618 A KR970073618 A KR 970073618A KR 1019960014612 A KR1019960014612 A KR 1019960014612A KR 19960014612 A KR19960014612 A KR 19960014612A KR 970073618 A KR970073618 A KR 970073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ribbon
tubular member
segment
enh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샘슨 진
Original Assignee
에릭티. 엥겔슨
타겟 쎄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티. 엥겔슨, 타겟 쎄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릭티. 엥겔슨
Priority to KR101996001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73618A/ko
Publication of KR97007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618A/ko

Links

Landscapes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신체내의 조직 표적, 전형적으로 맥관계(vascular system)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표적에 접근하는데 적합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점은 조절가능한 강성을 가진 카테터를 생성시키는 방법으로 카테터 본체내에 감겨진 전형적으로 금속성의 강화 리본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강화 리본은 가요성 외부 관상부재에 접착 결합되어 매우 유연하지만 비틀림 저항이 큰 카테터 단편을 생성시킨다.

Description

고성능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카테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전형적인 3단편 카테터(three section catheter)의 측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한 단편의 내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제10A도는 카테터에 대한 임계 굴곡부 직경(critical bend diameter)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Claims (40)

  1. (a) 폭 및 두께를 갖고, 좌우상(handedness)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감겨져 기단부와 말단부사이로 연장하는 내부 관강을 한정하는 통로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제로 코팅된 외부 강화제 표면을 형성하는 제1리본 강화제(first ribbon stiffener), 및 (b)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리본 강화제의 외부에 접촉 결합된 하나 이상의 관형 부재를 포함하며, 기단부와 말단부를 가진 연장된 관형 부재 및 상기 말단부들 사이로 연장하는 내부 관강(inner lumen)을 한정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catheter section).
  2. 제1항에 있어서, 상시 카테터 단편이 3.5mm 이하의 임계 굴곡 직경을 작는 카테터 단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가 금속재인 카테터 단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가 초탄성 합금인 카테터 단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가 니티놀(nitinol)인 카테터 단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가 스테인레스강인 카테터 단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가 백금-텅스텐 합금인 카테터 단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가 그의 물성이 실질적인 손상 없이도 방사선 멸균 가능한 카테터 단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의 나선형 선회부사이에서 동축상에 감긴 동일한 좌우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2리본 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관형 부재가 기단부와 말단부사이에 하나 이상의 가변 강성 영역을 갖는 카테터 단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가 기단부와 말단부사이에서 변화하는 피치를 갖는 카테터 단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가 0.5 내지 2.5mil의 두께 및 2.5 내지 8.0mil의 폭을 가진 리본을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본 강화제가 0.75 내지 2.5mil의 두께 및 2.5 내지 8.0mil의 폭을 가진 리본을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가 상기 제1리본 강화제상에서 열-수축될 수 있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가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중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상기 관형 부재의 열수축 온도보다는 높지만 상기 관형 부재의 용융온도보다는 낮은 연화온도를 갖는 카테터 단편,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가 EVA를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상기 관형 부재의 내면상에 위치되어 있는 카테터 단편.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카테터 단편을 조립하는 도중에 동일반응계에서 상기 관형 부재로부터 유출되는 카테터 단편.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적어도 상기 감겨진 제1리본 강화제의 외면상에 위치되어 있는 카테터 단편.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카테터 단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종에서 선택된 카테터 단편.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가 방사선에 불투명한 카테터 단편.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내의 인접한 선회부가 서로 접촉하는 카테터 단편.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본 강화제내의 인접한 선회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카테터 단편.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의 외부에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미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플루오로중합체, 예를 들면 PTEE, FEP,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 알로이,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설폰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단편의 내부에 위치하고,상기 단편과 미끄러질 수 있는 관계에 있는 제거가능하고 미끄러질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단편의 내부에 제거가능하고, 미끄러질 수 있고, 육안으로 볼수 없게 위치하며, 상기 단편과 미끄러질 수 있는 관계에 있는 내부 카테터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카테터 내부에 위치하고 미끄러질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단편.
  32. 기단부 및 말단부를 가진 연장된 관형 부재 및 상기 단부들사이로 연장하는 내부 관강을 한정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된 관형 부재가, (a) 비교적 강성인 기부 세그먼트(segment), 및 (b) (i) 폭 및 두께를 갖고, 좌우상(handedness)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감겨져 기단부와 말단부사이로 연장하는 내부 관강을 한정하는 통로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제로 코팅된 외부 강화제 표면을 형성하는 제1리본강화제(first ribbon stiffener), 및 (ii)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리본 강화제의 외부에 접촉 결합된 하나 이상의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비교적 유연한 말단 세그먼트를 갖는 카테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세그먼트 단편이 3.5mm 이하의 임계 굴곡 직경을 갖는 카테터.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세그먼트가 기부 커버 물질을 포함하는 제2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2커버가 상기 관형 부재 및 상기 제1리본 강화제의 기부 연장부의 외부에 있는 카테터,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및 기부 세그먼트 가요성의 중간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중간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세그먼트가 상기 비교적 강성인 기부 세그먼트와 상기 비교적 유연한 말단 세그먼트사이의 통로를 한정하는 카테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 세그먼트가 상기 관형 부재와 상기 제1리본 강화제의 연장부로 구성된 카테터.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기단부가 상기 제1리본 강화제의 나선형 선회부 사이에서 동축상에 감긴 동일한 좌우상을 갖는 제2리본 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테터.
  38. 제35항에 있어서, 상시 카테터의 중간부가 상기 제1리본 강화제의 나선형 선회부 사이에서 동축상에 감긴 동일한 좌우상을 갖는 제2리본 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테터.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기단부가 금속석 소관(hypotube)을 포함하는 카테터.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기단부가 상기 금형 부재 및 상기 제1리본 강화제와 기부에 근접하여 접촉하는 중합체 튜브에 포함하는 카테터.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14612A 1996-05-06 1996-05-06 고성능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카테터 KR970073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612A KR970073618A (ko) 1996-05-06 1996-05-06 고성능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612A KR970073618A (ko) 1996-05-06 1996-05-06 고성능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618A true KR970073618A (ko) 1997-12-10

Family

ID=6621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612A KR970073618A (ko) 1996-05-06 1996-05-06 고성능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736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037A (ko) 2018-03-07 2019-09-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KR20190118046A (ko) 2018-04-09 2019-10-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037A (ko) 2018-03-07 2019-09-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KR20190118046A (ko) 2018-04-09 2019-10-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팅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테타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5863B1 (en) Catheter
US5891112A (en) High performance superelastic alloy braid reinforced catheter
US6152912A (en) Optimized high performance spiral-wound vascular catheter
AU684980B2 (en) Kink-free spiral-wound catheter
US6258080B1 (en) Kink-free spiral-wound catheter
US5951539A (en) Optimized high performance multiple coil spiral-wound vascular catheter
EP0952863B1 (en) Reinforced catheter with a formable distal tip
JP2965940B2 (ja) 遠位側に孔を備える、ねじれ耐性を有する編み組みカテーテル
EP0808637B1 (en) Multi-layer distal catheter section
US6165163A (en) Soft-tip performance braided catheter
EP0782463B1 (en) High performance braided catheter
US5405338A (en) Helically wound catheters
EP0930910B1 (en) Guide catheter with enhanced guidewire tracking
US6824553B1 (en) High performance braided catheter
CA2518582C (en) Catheter with limited longitudinal extension
KR970073618A (ko) 고성능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카테터
US6203534B1 (en) Catheter with protective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