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521B1 -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521B1
KR102056521B1 KR1020170111283A KR20170111283A KR102056521B1 KR 102056521 B1 KR102056521 B1 KR 102056521B1 KR 1020170111283 A KR1020170111283 A KR 1020170111283A KR 20170111283 A KR20170111283 A KR 20170111283A KR 102056521 B1 KR102056521 B1 KR 10205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clined support
support plate
rea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359A (ko
Inventor
이태현
이회열
Original Assignee
이태현
이회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현, 이회열 filed Critical 이태현
Priority to KR102017011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5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4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서 핸들 혹은 첨부 도면의 실시 예와 같이 다양하게 거치하여 테이블 용도로 사용하거나, 책상에서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 기능을 겸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은, 받침판(110) 하단 두께 측면에 "J"자형고리(120, 120a) 설치와, 뒤에는 테이블 혹은 독서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경사지지대(130)가 설치되고, 받침판(110)과 연결된 연결부재(140)는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의 착지 중앙부에 연결부재고정걸이(150)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연결부재(140)의 걸림 길이를 조절하여 받침판(110)을 원하는 각도로 거치할 수 있고, 독서대 용도로 사용할 때는 "J"자형고리(120, 120a)를 책상 위에 안치하여 책을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독서대 및 테이블의 복합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얇게 접을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TABLE THAT CAN BE USED AS READING DESK}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핸들 혹은 좌석 뒤에 거치하거나, 첨부 도면과 같이 간이용 테이블{table}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책상 혹은 일반 탁자에서 독서대{reading desk}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얇게 접을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는,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발전에 따라 자동차 보유 대수 증가와 더불어 자동차 이용 빈도 및 자동차 내에서 머무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으며, 자동차 내에서 휴식할 때 취식, 독서, 전자기기 사용, 메모 등 내용물을 올려놓거나 휴대 기기를 안정된 자세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사용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학교를 비롯하여 도서관 이용 등 독서를 하는 데 있어서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독서대는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특히, 외출할 때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독서대 겸 테이블 기능을 겸비한 다용도의 효용성 있는 제품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테이블이나 독서대는 각각 단일 기능의 용도로만 사용하며, 특히, 자동차용 테이블의 경우는 자동차 핸들에 거치하여 자동차 안에서 물건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되고, 독서대의 경우 테이블 혹은 책상에 거치하여 독서를 하는 용도에 한해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한계가 있어서, 본 발명은 한 복합 제품으로 2가지 제품의 기능을 만족시켜 보다 효용성을 향상시키는데 발명의 배경이 있다.
또한, 기존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자동차용 테이블은 대부분 핸들 손잡이 외경 상단에 거치 되거나, 자동차용 단순한 테이블은 자동차핸들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거치상태가 불안정하고, 휴대와 제한된 공간에서 보관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독서대의 경우는 대부분 책 지지대 및 각도 조정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며 부분적인 돌출부로 인해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서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기존의 테이블과 독서대에 있어서 각각 단일기능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한계를 개선하여, 한 제품으로 테이블과 독서대의 2가지 제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의 효용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독서대 혹은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각 제품 특성별 기능을 만족하면서도 사용상 설치(거치)가 용이하고, 사용 후 이동할 때 얇게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므로 휴대와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이블과 독서대 역할을 하는 4각 판 형상의 세로 하단 두께 측면 중심에 서로 대칭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조립되고,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2개의 "J"자형고리(120, 120a)가 구비된 받침판(110)과, 받침판(110)을 자동차용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핸들 손잡이 안쪽으로 걸림 기능을 하여 거치할 수 있고, 독서대 용도로 사용할 때는 책을 받쳐주고 지지해주는 복수의 기능을 하는 "J"자형고리(120, 120a), 받침판(110)의 뒷면에 구비되어 테이블 및 책상에서 독서대를 거치할 때 경사각을 이루고, 경사 지지대 역할을 하는 다각으로 성형 된 경사지지대(130), 받침판(110)과 경사지지대(130)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 조절 요소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 기능을 하는 체인{chain} 형태의 유연성{flexibility}이 있는 선형의 연결부재(140), 연결부재(140)의 한쪽 끝단을 받침판(110)에 일체화하기 위한 2개로 분리된 연결부재고정부쉬(143), 및 연결부재고정부쉬(143)에 구속된 연결부재(140)의 한쪽 끝단이 받침판(110)에 조합(고정)되어 경사지지대(130)와 연결 길이 조절을 통해 받침판(110)의 경사각이 조정되며, 이때 연결부재(140)의 고정(걸림) 기능을 하는 연결부재고정걸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받침판(110)은 테이블 혹은 독서대 용도로 사용할 때 받침판 역할을 하는 기능을 하며, 받침판(110) 뒷면에 "J"자형고리너트구멍(113, 113a) 및 경사지지대조립홈(114, 114a)과 측면으로는 경사지지대힌지구멍(115, 115a) 혹은 도 4의 E-E(단면도)와 같이 받침판(110)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경사지지대(130)를 조립 시, 힌지{hinge} 구멍이 구비된 경사지지대고정리벳(137, 137a)을 삽입하여 경사지지대고정와셔(138, 138a)로 고정할 수 있고, 받침판(110) 앞면에는 연결부재고정부쉬구멍(116)이 부가되며, 받침판(110) 하단 측면에는 "J"자형고리구멍(112, 112a)이 구비되어 있어, 관련 부품을 조립하였을 때 거치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받침판(110) 앞면에는 "V"자 형 책받침홈(111, 111a)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J"자형고리(120, 120a)는 받침판(110)을 자동차핸들에 거치(설치)하여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자동차핸들 손잡이 크기(직경) 및 핸들형태에 따라 좌, 우로 회동시켜 테이블이 수평을 이루도록 "J"자 형 고리형상의 조립(돌출) 길이를 조절하고, 독서대 용도로 사용할 때는 "J"자 형 고리형상에 책을 거치하여 받쳐주고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며, 책을 거치한 상태에서 "J"자형고리(120, 120a)를 좌, 우로 돌려 책장이 넘어가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받침판(110)의 "J"자형고리너트구멍(113, 113a)에 삽입되어 "J"자형고리(120, 120a)와 조립되는, 너트{nut} 역할을 하며 회전저항 토크를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J"자형고리너트(123, 123a)를 더 포함하고, 받침판(110)에 조립된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는 자동차핸들(2)에 거치 시 "J"자 형 고리부분을 핸들 안쪽으로 삽입하여 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지지대(130)는 양단에 힌지가 구비되어 받침판(110)에 조립되었을 때 지지대 축의 역할을 하며, 철재의 다각으로 성형이 되어 테이블 혹은 책상에서 독서대 용도로 거치할 수 있으며,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 중앙위치에 연결부재(140)을 고정(잠금)할 수 있는 연결부재고정걸이(150)가 구비되어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경사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경사지지대(130)가 받침판(110)에 조립되어 회동탄성력에 의해 펼쳐지고 펼침이 유지되도록 하며, 연결부재(140)가 연결부재고정걸이(150)로부터 쉽게 해제(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좌)(131) 와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우)(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40)는 체인 형태의 유연성이 있는 선형의 부재로서, 연결부재손잡이(141)와 일체형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받침판(110)의 하단 중심부 혹은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의 중앙 어느 한쪽에 일체형으로 고정(조합)되고, 다른 한쪽은 경사지지대(130) 혹은 받침판(110)에 조립된 연결부재고정걸이(150)에 의해 고정(걸림)되며, 연결부재(140)의 길이 조절을 통해 받침판(110)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고정부쉬(143)는 좌, 우로 분리되고, 분리된 면에는 연결부재(140)의 한쪽 끝 형상과 같은 형태의 홈{groove}을 구비하여 연결부재(140)와 한 쌍으로 조합되어 받침판(110)에 별도의 추가부품 없이 조립(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고정걸이(150)는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의 중앙 위치 혹은 받침판(110) 하단 중심부에 조립되고, 연결부재(140)의 고정(걸림)부는 고리형상을 하여 체인이 일정한 간격으로 자유롭게 걸림(고정)과 해제(풀림)를 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고정걸이(150)의 좌, 우 혹은 어느 한쪽은 손잡이 형태가 부가되어 연결부재고정걸이손잡이캡(151)과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에 조합되는 경사지지대튜브(133, 133a) 및 "J"자형고리(120, 120a)에 조합되는 "J"자형고리튜브(121, 121a)는 사용 시 거치 되는 상대제품(핸들, 책상 등)에 스크래치{scratch} 손상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 혹은 합성고무로 착지부위에 삽입되거나 몰딩{molding} 될 수 있으며,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 중앙에 조립된 연결부재고정걸이(150)가 좌, 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재고정걸이지지튜브(153)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받침판(110) 상면 중앙위치에 "V"자 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책을 펼쳤을 때, 도 7과 같이 책의 뒤꿈치 턱을 "V"자 형 홈에 거치하여 자동차용 테이블에서도 독서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책받침홈(111, 111a)이 더 부가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받침판(110)은 목재로 제작되거나, 합성수지로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차 뒷좌석에서 앞좌석 뒤 머리받침대에 거치하여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경우, 도 8과 같이 테이블고정봉(160)을 머리받침대 높이조절 부품(봉)에 걸림을 이룬 상태에서 "J"자형고리(120, 120a)의 반원부위에 체결(걸림)하여 고정(거치)할 수 있고, 도 13과 같이 벽걸이용 선반 혹은 테이블 용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 후,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의 경사지지대(130)와 "J"자형고리(120, 120a)를 접었을 때, 도 5와 같이 경사지지대꺾임성형부(135, 135a)와 "J"자형고리(120, 120a)는 서로 간섭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있어 휴대 시 사용자의 펼침 없이는 경사지지대(130)가 스스로 펼쳐지지 않도록 걸림 기능을 하며, 테이블과 독서대 용도로 사용 후 받침판(110) 두께 측면과 일직선상으로 얇게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에 있어, 기존 제품의 경우는 각각 단일기능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한 제품으로 테이블과 독서대의 2가지 제품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효용성과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는, 테이블과 독서대의 복합기능을 함에도 구조가 단순하고, 구성된 제품의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접었을 때 부분적인 돌출 형상이 없이 두께가 얇은 4각형의 판 형상이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 용적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소재 사용에 있어 목재로 제작 가능하며,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할 경우 목재로 제작하는 것보다 얇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에 있어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자동차 핸들에 거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이 사용 후 접혀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자동차용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자동차 핸들에서 노트북을 거치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자동차용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자동차 핸들에서 책을 거치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자동차 좌석의 머리받침대에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거치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에, 테이블고정봉(160)이 포함되어 접혀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 예를 나타낸 독서대로 사용할 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 예를 나타낸 독서대에 책을 거치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 예에 있어, 독서대에 뒷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 예를 나타낸 선반으로서, 벽에 거치한 사시도.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되었으나 실물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에 있어,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자동차 핸들에 거치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테이블(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테이블의 분해도, 도 4는 테이블의 단면도, 도 5는 테이블의 사용 후 접혀진 상태도, 도 6은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자동차용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자동차 핸들에서 노트북을 거치한 사시도, 도 7은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자동차용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자동차 핸들에서 책을 거치한 사시도, 도 8은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자동차 좌석의 머리받침대에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거치한 사시도, 도 9는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에 테이블고정봉(160)이 포함되어 접혀진 상태도, 도 10은 제5 실시 예를 나타낸 독서대로 사용할 때 사시도, 도 11은 제6 실시 예를 나타낸 독서대에 책을 거치한 사시도, 도 12는 제6 실시 예에 있어, 독서대에 뒷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제7 실시 예를 나타낸 선반으로서, 벽에 거치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 내지 도 13의 실시 예와 같이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받침판(110), 상기 받침판(110)을 자동차 핸들 원주 손잡이에 거치할 때 걸림 고리 기능을 하는 "J"자형고리(120, 120a)에 "J"자형고리튜브(121, 121a)가 끼워진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 와 받침판(110) 하단 두께 측면 중심에 서로 대칭이 되게 체결하기 위한 "J"자형고리너트(123, 123a), 상기 받침판(110)의 수평 유지와 지지대 역할을 하는 뒷면에 조립된 경사지지대(130), 상기 경사지지대(130)의 경사각 조정 후 경사각 유지를 위한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좌)(131)와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우)(132),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 거치(설치) 시 미끄럼 방지 및 상대 제품의 접촉부위에 손상(스크래치)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지지대튜브(133, 133a), 및 "J"자형고리튜브(121, 121a), 상기 받침판(110)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경사지지대(130)와 연결하여 걸림 길이 조절을 통한 수평 유지와 지지대 역할을 하는 받침판(110) 하단 부근 중앙 위치에 조립되는 연결부재(140)와 연결부재손잡이(141) 가 조합된 연결부재결합체(142), 연결부재(140)의 한쪽 끝단을 받침판(110)에 고정하기 위한 2개로 분리된 연결부재고정부쉬(143), 연결부재(140)의 걸림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잠금) 기능을 하는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의 중앙부에 위치한 연결부재고정걸이(150)에 연결부재고정걸이손잡이캡(151)이 조합된 연결부재고정걸이결합체(152) 및 좌, 우, 이동 방지를 위한 연결부재고정걸이지지튜브(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 8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고정봉(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에 있어,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자동차 핸들에 거치한 사시도 이며,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자동차핸들(2) 손잡이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자동차핸들(2)에 거치함에 있어, 도 1과 같이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의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를 핸들 손잡이 안쪽으로 삽입하여 바깥쪽으로 돌려 걸림을 이루도록 하고, 받침판(11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를 자동차핸들(2) 하단에 걸치도록 한 다음, 연결부재고정걸이결합체(152)의 연결부재고정걸이손잡이캡(151) 부분을 손으로 잡고 연결부재결합체(142)의 연결부재손잡이(141)를 잡아당겨 연결부재(140)의 걸림 길이를 조절하여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 중앙부에 위치한 연결부재고정걸이(150)에 고정(잠금)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핸들(2)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를 좌, 우로 돌려 조립거리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연결부재고정걸이(150)와 연결부재(140)의 고정(잠금)상태 상세도와 같이 연결부재(140)의 보-올 형상 턱을 이루는 부분에 연결부재고정걸이(150)의 고리부위에 안정되게 고정(잠금)할 수 있다.
도 3은 테이블의 분해도 이고, 도 2는 테이블의 사시도 이며, 자동차핸들(2)에 거치하기 전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같이 테이블(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과, 도 3의 테이블 분해도 에서, 받침판(110)은 뒷면에 "J"자형고리너트구멍(113, 113a) 및 경사지지대조립홈(114, 114a)과 측면으로는 경사지지대힌지구멍(115, 115a)이 부가되고, 받침판(110) 앞면에는 연결부재고정부쉬구멍(116)이 부가되며, 받침판(110) 하단 측면에는 "J"자형고리구멍(112, 112a)이 구비된다. 아울러, 받침판(110) 앞면에는 "V"자형책받침홈(111, 111a)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J"자형고리너트구멍(113, 113a)은 관통 혹은 일정 깊이 카운터보-어{counterbore}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 형성된 경사지지대힌지구멍(115, 115a) 대신, 도 4의 E-E(단면도)와 같이 경사지지대(130)를 조립 시, 힌지 구멍이 구비된 경사지지대고정리벳(137, 137a)을 삽입할 수 있도록 받침판(110)을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또한, 도 9의 A-A(단면도)와 같이 연결부재고정부쉬구멍(116)과, 도 4의 A-A(단면도)와 같이 "J"자형고리구멍(112, 112a)은 카운터보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J"자형고리(120, 120a)의 직선부위는 나사의 나선을 형성하고, "J"자 형 고리형상 끝 모양은 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J"자형고리너트(123, 123a)는 도 3과 같이 외경의 중앙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너트의 수직방향 일측에는 나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홈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지지대(130)는 양단에 힌지가 구비되고, 다각으로 성형 된 철재의 바{bar} 혹은 판재에 각을 이룬 각 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지지대(130)의 펼침 기능을 하는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좌)(131),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우)(132)는 동일한 탄성력의 회동 토-크가 작용 되지만,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좌, 우)(131, 132)의 버팀 레버{lever}부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140)는 체인 형태의 부재로서, 보-올 체인{ball chain} 혹은 다양한 형태의 유연성이 있는 선형형태를 하고 일정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걸림(고정)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테이블 혹은 독서대 용도로 사용할 때,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재고정걸이(150)는 와이어{wire} 재 혹은 판재로 성형 될 수 있으며, 와이어 재로 성형 될 경우 도 2와 같이 연결부재(140)의 걸림(고정) 부위는 고리형상을 하여, 연결부재(140)의 보-올{ball}이 연결부재고정걸이(150)에 걸림(고정)이 이루어질 때, 고리형상의 원호는 180도(210도 내, 외 바람직) 이상으로 성형 되어 안정적인 걸림(고정)이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해제하지 않을 경우 스스로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판재로 성형 될 경우 걸림(고정) 기능을 만족하기 위해 고리형상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볼-올 체인이 아닌, 다른 체인 형태의 연결부재(140)인 경우, 연결부재(140)의 걸림(고정) 부위는 고리형상이 아닌 후-크{hook} 형태 혹은 쐐기형태의 걸림(고정) 역할을 하는 와이어 재 혹은 판재로 성형 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테이블(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결합(조립)관계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테이블 혹은 독서대의 책 받침판 역할을 하는 받침판(110)의 "J"자형고리구멍(112, 112a)에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를 삽입하고, "J"자형고리너트구멍(113, 113a)에 "J"자형고리너트(123, 123a)를 삽입하여 조립하며, 조립 후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는 자유롭게 360도 이상 회동할 수 있고, 조립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받침판(110)의 수평 유지와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경사지지대(130)는 받침판(110)의 뒷면 힌지에 조립되며,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 중앙위치에 연결부재고정걸이결합체(152)와 연결부재고정걸이지지튜브(153)가 삽입되고, 경사지지대(130)의 양단에 힌지 부위에 경사지지대회동탄성부재(131, 132)가 삽입되어 받침판(110)의 경사지지대힌지구멍(115, 115a)에 조립되며, 이 경우 경사지지대회동탄성부재(131, 132)의 끝단은 각각 받침판(110) 뒷면과 경사지지대(130)에 지지되며,
이때, 받침판(110) 측면에 경사지지대힌지구멍(115, 115a) 대신에 경사지지대(130) 양단 힌지 위치 받침판(110)에, 도 4의 E-E(단면도)와 같이 받침판(110)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경사지지대(130)를 조립 시, 힌지 구멍이 구비된 경사지지대고정리벳(137, 137a)을 삽입하고 경사지지대고정와셔(138, 138a)로 고정하여 조립할 수 있다.
더불어,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 양쪽에 경사지지대튜브(133, 133a)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 혹은 합성고무로 착지 부위에 몰딩(Molding) 될 수 있고, 이때, 경사지지대(130)는 경사지지대회동탄성부재(131, 132)의 탄성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결합체(142)는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 중앙위치에 연결부재고정걸이결합체(152)의 고리형상부 안으로 통과시켜서 끝단은 연결부재고정부쉬(143)에 구속하여, 받침판(110)의 연결부재고정부쉬구멍(116)에 삽입 및 고정하며, 연결부재손잡이(141)를 잡아당겨 연결부재고정걸이(150)와 고정(걸림)하여 경사지지대(13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된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의 받침판(110) 상부면 구석에는, 도 1의 테이블마-크(117)와 독서대마-크(118)가 서로 대칭이 되게 음각 마-킹{marking} 되며 표시방향은 설치용도 방향과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기타 제품사양 관련 내용은 받침판(110) 뒷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테이블의 사용 후 접혀진 상태도로서, 자동차핸들(2)에서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해체하여 경사지지대(130)와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자동차핸들(2)에서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해체할 때는, 연결부재고정걸이(150)와 연결부재(140)을 서로 해제하거나, 경사지지대(130)를 받침판(110)에 밀착시켜 접은 상태에서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를 수직으로 돌려서 받침판(110)을 핸들의 위쪽으로 들러 올리면 이탈되어 해체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확대 상세도와 같이, 경사지지대꺾임성형부(135, 135a)와 "J"자형고리(120, 120a)가 서로 간섭을 이루어, 경사지지대(130)가 스스로 펴지지 않도록 하여 받침판(110) 두께 측면과 일직선상으로 얇게 접을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자동차 핸들에서 노트북(5)을 거치한 사시도 이며, 자동차핸들(2)에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거치하여, 받침판(110) 위에 노트북(5)을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노트북(5)의 모니터 경사각은 자동차핸들(2)의 경사각만큼 확보할 수 있으며, 노트북(5)을 전, 후로 이동하여 경사각을 더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자동차 핸들에서 책을 거치한 사시도 이며, 자동차핸들(2)에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거치하여, 받침판(110) 위에 책(4)을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도 7의 확대 상세도에서, 책받침홈(111)과 같이 받침판(110) 상면 중앙위치에 "V"자 형 홈이 구비되어 책(4)을 펼쳐 뒤꿈치 턱을 책받침홈(111, 111a)에 안착시켜 독서대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책장이 넘어가지 않도록 책갈피용 독서 크립을 책장과 책장 사이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뒷좌석에서 사용할 때, 앞좌석의 머리받침대에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테이블고정봉(160)은 도 8과 같이 머리받침대에 걸어 "J"자형고리(120, 120a)의 반원부위에 고정(걸림)할 수 있도록, 바{bar} 혹은 판재로 성형 될 수 있으며, 테이블고정봉(160)의 한쪽 끝은 "○"형 고리를 형성하여 "J"자형고리(120, 120a)의 반원부위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자동차좌석등받이(3) 및 머리받침대의 형태, 크기에 따라 테이블고정봉(160)과 "J"자형고리(120, 120a)의 반원부위에 고정(걸림)하는 거리가 다를 수 있으므로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를 좌, 우로 돌려 조립 길이를 조절하고, 연결부재고정걸이결합체(152)의 연결부재고정걸이손잡이캡(151) 부분을 손으로 잡고 연결부재결합체(142)를 잡아당겨 길이를 조절하여 연결부재고정걸이(150)에 고정(잠금)시킬 수 있다.
도 9는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에 테이블고정봉(160)이 포함되어 받침판(110) 두께 측면과 일직선상으로 얇게 접혀진 상태의 도면으로서, 경사지지대(130)와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가 접혀진 상태에서 테이블고정봉(160)이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에 구속되어 일체화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자동차좌석등받이(3)에서 해체할 때는 우선,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의 "J"자 형 고리 형상을 좌, 우로 돌려 테이블고정봉(160)을 머리받침대와 분리시켜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확대도 A-A(단면도)는 연결부재(140)와 조합된 연결부재고정부쉬(143)가 받침판(110)에 조립되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5 실시 예를 나타낸 독서대로 사용할 때, 사시도 이며, 책상에서 독서대로 사용할 때, 받침판(110) 세로 하단 두께 측면 중심에 서로 대칭의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된, 2개의 "J"자형고리(120, 120a)가 책상 위쪽으로 돌려져 안정적으로 거치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10과 같이, 경사지지대(130)와 받침판(110)의 경사각은 연결부재(140)의 한쪽 끝단이 받침판(110)에 고정되고,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에 조립된 연결부재고정걸이(150)에 연결된 연결부재(14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원하는 경사각을 맞출 수 있다.
도 11은 제6 실시 예를 나타낸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에 있어서 독서대용도로 책(4)을 거치한 사시도로서, "J"자 형 고리형상에 책(4)을 거치하여 받쳐주고 지지해 주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11과 같이 받침판(110)은 책(4)을 뒤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J"자형고리결합체(122, 122a)는 책(4)을 거치한 상태에서 "J"자 형 고리 하단을 좌, 우로 돌려 책장이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도 12는 제6 실시 예에 있어, 독서대에 뒷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며, 받침판(110) 위에 책(4)이 안치되고, 경사지지대(130)와 연결부재결합체(142)에 의한 경사지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7 실시 예를 나타낸 선반으로서, 벽에 거치한 사시도 이며, 벽걸이용 선반 혹은 테이블 용도로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품을 디스플레이{display} 하거나 테이블 용도로 물건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1: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
2: 자동차핸들
3: 자동차좌석등받이
4: 책
5: 노트북
6: 벽걸이
110: 받침판 111, 111a: 책받침홈
112, 112a: "J"자형고리구멍 113, 113a: "J"자형고리너트구멍
114, 114a: 경사지지대조립홈 115, 115a: 경사지지대힌지구멍
116: 연결부재고정부쉬구멍 117: 테이블마-크
118: 독서대마-크 120, 120a: "J"자형고리
121, 121a: "J"자형고리튜브 122, 122a: "J"자형고리결합체
123, 123a: "J"자형고리너트 130: 경사지지대
131: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좌) 132: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우)
133, 133a: 경사지지대튜브 134, 134a: 경사지지대힌지부
135, 135a: 경사지지대꺽임성형부 136: 경사지지대착지단부
137, 137a: 경사지지대고정리벳 138, 138a: 경사지지대고정와셔
140: 연결부재 141: 연결부재손잡이
142: 연결부재결합체 143: 연결부재고정부쉬
150: 연결부재고정걸이 151: 연결부재고정걸이손잡이캡
152: 연결부재고정걸이결합체 153: 연결부재고정걸이지지튜브
160: 테이블고정봉

Claims (8)

  1.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에 있어서,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때 물건을 올려놓거나, 독서대에 책을 거치할 경우 받침 역할을 하는 판 형상의 받침판(110);
    상기 받침판(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세로 하단 두께 측면 중심에서 좌, 우로 대칭을 이루고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되어 회전 가능하며, 테이블 용도로 거치할 때 걸림 기능을 하고, 독서대로 사용할 때는 책을 받쳐주며, 좌, 우로 회동하여 책의 페이지를 고정해 주는 기능을 하는 "J"자형고리(120, 120a);
    상기 받침판(110)의 후면에 구비되어 테이블 혹은 독서대로 거치할 때, 상기 받침판(110)의 경사각을 이루고 경사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경사지지대(130);
    걸림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의 중앙 위치에 한쪽 끝 부분이 상기 받침판(110) 혹은 상기 경사지지대(130)에 조립 또는 고정되어 지지각도 및 상기 받침판(110)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연결부재(140);
    상기 연결부재(140)의 걸림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110)의 경사각이 조정되도록 상기 연결부재(140)를 구속하거나, 고정하는 요소의 연결부재고정걸이(150);
    상기 경사지지대(130)가 상기 받침판(110)에 조립되어 회동탄성력에 의해 펼쳐지고 펼침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140)가 상기 연결부재고정걸이(150)로부터 쉽게 풀림 혹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 토크가 작용하는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좌)(131), 경사지지대회동탄성체(우)(132);
    상기 경사지지대착지단부(136) 양쪽에 삽입되며, 기설정된 범위의 마찰계수를 갖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소재로 형성되는 경사지지대튜브(133, 133a); 및
    독서대로사용가능한테이블(1)을 자동차 좌석에 거치하는 경우, 머리받침대 높이조절 지지봉과 결합하여 상기 "J"자형고리(120, 120a)의 "J"자 일측 고리 형상부에 고정핀이 걸림을 이루도록 하는 테이블고정봉(160);
    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110)은,
    책의 뒤꿈치 턱을 안착시키도록 2개의 "V"자형 책받침홈(111)이 전면 상측 중앙부와 전면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고, 전면 일측에 테이블마크(117)와 독서대마크(118)가 서로 대칭이 되게 음각으로 마킹(marking)되며, 후면의 경사지지대조립홈(114, 114a) 측면에 경사지지대힌지구멍(115, 115a) 혹은 상기 받침판(110)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경사지지대(130)를 조립할 때, 힌지(hinge) 구멍이 구비된 경사지지대고정리벳(137, 137a)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J"자형고리(120, 120a)는,
    일측에 나선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 "J"자 형태 혹은 다각의 고리 형태로 성형되어 있으며, "J"자형고리너트(123, 123a)와 조립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J"자 하단 고리 형상부의 조립 돌출 길이를 조절한 후, 테이블의 거치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경사지지대(130)는,
    봉 또는 각형 소재 양단에 힌지가 구비되어 다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에 경사지지대꺾임성형부(135, 135a)를 포함하되, 지지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140)는,
    다수의 볼과 상기 다수의 볼을 관통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선형 체인 구조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일부분이 상기 연결부재고정걸이(150)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140)의 걸림 또는 고정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받침판(110)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며,
    상기 연결부재고정걸이(150)는,
    상기 연결부재(140)를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도록 걸림 부위의 상단은 원호로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원호의 양끝단에서 직선으로 연결되되, 상기 원호의 중심각은 180도 내지 240도 범위로 마련되며 좌, 우 혹은 어느 한쪽은 손잡이 형태가 부가되고,
    상기 경사지지대(130)를 상기 받침판(110)에 밀착시켜 접은 후, 상기 "J"자형고리(120, 120a)를 방향에 관계없이 수직으로 회동시켜 상기 경사지지대꺾임성형부(135, 135a)에 결착시키고, 상기 테이블고정봉(160)을 "J"자형고리(120, 120a)에 구속시켜 상기 받침판(110) 두께 측면과 일직선 상으로 접히되,
    상기 경사지지대가 상기 받침판에 밀착된 경우, 상기 "J"자형고리(120, 120a)는 상기 경사지지대(130)가 스스로 펼펴지지 않도록 상기 경사지지대꺾임성형부에 결착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11283A 2017-08-31 2017-08-31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 KR10205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283A KR102056521B1 (ko) 2017-08-31 2017-08-31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283A KR102056521B1 (ko) 2017-08-31 2017-08-31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59A KR20190024359A (ko) 2019-03-08
KR102056521B1 true KR102056521B1 (ko) 2019-12-16

Family

ID=6580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283A KR102056521B1 (ko) 2017-08-31 2017-08-31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5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451A (ja) * 2002-05-28 2003-12-02 Hachiro Sasaki ページを押さえる棚を備えた書見台
US20100006735A1 (en) * 2008-07-14 2010-01-14 Rish Reinen Portable Multipurpose Platfor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451A (ja) * 2002-05-28 2003-12-02 Hachiro Sasaki ページを押さえる棚を備えた書見台
US20100006735A1 (en) * 2008-07-14 2010-01-14 Rish Reinen Portable Multipurpose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59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827B2 (en) Tripod structure of stand
US6412425B1 (en) Foldable steering wheel table
US6010101A (en) Automatic golf bag support stand
US20140151527A1 (en) Multi-legged stand with stabilizers
US20050121567A1 (en) Hinged stand with breakaway action
US4355779A (en) Collapsible stand for sheet music and the like
US20080054133A1 (en) Supporting arm for a monitor screen
US8690470B2 (en) Adjustable connector for tubular frames
US7900566B1 (en) Portable chair tray
CN104544977A (zh) 折叠式可调支架
US8291841B2 (en) Motorcycle support
KR102056521B1 (ko)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
US20160066709A1 (en) Built-in Mobile Arm for a Crib
US10434961B2 (en) Adjustable license plate brackets
US8464448B2 (en) Mobil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0442592Y1 (ko) 접이식 pop스탠드
KR101791360B1 (ko) 접이식 독서대
US6994031B2 (en) Folding table for wheelchair
KR200455787Y1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CN211862488U (zh) 一种轴连接支撑脚架和衣帽架
JP3366084B2 (ja) アームセ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ハンガー掛け
CN217471460U (zh) 一种阅读架
KR102521198B1 (ko)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CN211459206U (zh) 一种可旋转折叠的小提琴谱架
US11998111B2 (en) Frame with outwardly slanted legs and table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