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198B1 -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 Google Patents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198B1
KR102521198B1 KR1020210047048A KR20210047048A KR102521198B1 KR 102521198 B1 KR102521198 B1 KR 102521198B1 KR 1020210047048 A KR1020210047048 A KR 1020210047048A KR 20210047048 A KR20210047048 A KR 20210047048A KR 102521198 B1 KR102521198 B1 KR 10252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frame
desk
mirro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261A (ko
Inventor
김점성
Original Assignee
김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성 filed Critical 김점성
Publication of KR2022007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47B2009/04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with means connecting the spindles of the various leg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관한 것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바닥에 놓여지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의 상방으로 각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장되고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에 배치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책상부; 상기 다리부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옷을 걸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행거부; 및 상기 다리부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거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책상의 고유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가능하고, 실내공간 뿐만 아니라 실외공간에서도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 MULTIPURPOSE DESK WITH HANGER AND MIRROR }
본 발명은 다용도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용자가 공부 또는 독서를 하거나 다양한 업무를 보기 위한 가구로 각 가정 및 사무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책상의 사용자가 어린아이 또는 성인과 같이 신체조건이 다를 경우 자신의 신체조건에 알맞는 책상을 별도로 구입해야만 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1432호(2021.03.24.공고,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는 높이조절책상을 개시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책상의 사용자가 승강 조작을 통해 높이조절을 함으로써, 책상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작하여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책상의 높이조절의 기능을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책상의 높이조절만 가능할 뿐으로, 책상에 다양한 기능이 마련되지 않아 사용자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314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 고유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 또는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 뿐만 아니라, 야외 또는 해변과 같은 실외공간에서도 다양한 업무가 가능한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바닥에 놓여지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의 상방으로 각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장되고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에 배치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책상부; 상기 다리부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옷을 걸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행거부; 및 상기 다리부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거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바닥과 수직되게 일단이 상기 바닥프레임과 연결되며 타단부 외면에 복수의 구멍이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수직프레임;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고 외면에 복수의 구멍이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복수 개의 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복수 개의 구멍 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높이를 결정하는 높이결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어느 일부에 상기 바닥프레임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책상프레임; 상기 책상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책상판; 및 상기 책상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제1책상판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을 공유하도록 배치되는 제2책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프레임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체; 및 막대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책상판을 연결하며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한 가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는,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외면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1가변부재;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가변부재의 타단을 통해 상기 제1가변부재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책상판의 하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가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제1가변부재의 회동각도와 상기 제2가변부재의 슬라이딩 위치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책상프레임의 외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체; 일단이 상기 지지체와 이어지고 타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회동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상기 책상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책상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가변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책상판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가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제2가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에 회동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에 대하여 수직되게 고정되는 상기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회동되고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직되게 고정되는 상기 책상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의 지지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책상프레임의 어느 일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책상프레임을 지지하는 상기 제1가변부재는 절첩되어 이동세트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제2책상판은, 하면에 상기 가변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된 장공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위치가 조절되고 물건을 거치가능한 선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가로지지부재;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상기 가로지지부재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선반지지부재; 및 상기 선반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선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상기 행거부와 상기 거울부가 각각 회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제1회동지지부재; 및 상방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상기 제1회동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행거부 또는 상기 거울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상방을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행거부 또는 상기 거울부가 회전가능한 제2회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일단이 상기 바닥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행거연결대; 상기 행거 연결대의 타단과 연결되는 행거바닥프레임; 상기 행거바닥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배치되는 제1행거세로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행거세로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옷걸이가 걸리는 행거걸이봉; 상기 행거걸이봉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행거세로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행거세로프레임; 및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제2행거세로프레임과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행거회동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행거연결대와 상기 행거회동연결대가 회동하며 상기 행거부 전체가 상기 다리부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하측에 상기 바닥과 접하여 이동시 마찰을 감소시키는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는, 상기 거울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거울프레임; 및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거울프레임과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거울회동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울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거울회동연결대가 회동하며 상기 거울부 전체가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가 배치되는 측의 상기 책상프레임에 연결되고 물품을 거치가능한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책상프레임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는 제1거치프레임; 미리 정해진 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어느 일부가 상기 제1거치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고 바닥프레임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2거치프레임; 및 미리 정해진 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2거치프레임의 양단부에 상기 제2거치프레임과 수직되고 바닥과 평행하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거치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제3거치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에 마련된 지지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재는,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지지고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리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파라솔을 포함하는 파라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책상의 고유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에 의하면, 실내공간 뿐만 아니라, 실외공간에서도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다리부와 책상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가변부재의 이동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선반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행거부 또는 거울부의 회동지지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다리부와 책상부의 측면도이며,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가변부재의 이동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선반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의 행거부 또는 거울부의 회동지지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은 다리부(100)와 책상부(200), 행거부(400) 및 거울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100)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20), 수직프레임(130) 및 회동지지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20) 및 수직프레임(130)은 각각 미리 정해진 크기의 파이프 또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바닥프레임(110)은 한 쌍이 상호 평행하게 바닥에 놓여지고, 바닥프레임(110) 양단부 하측에는 바닥과 이격시키며 수평을 유지하도록 수평맞춤부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수평맞춤부재(111)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며 바닥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되면서 바닥프레임(110)과 바닥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20)은 한 쌍의 바닥프레임(1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10)은 일측에 지지고리(미도시)가 마련되어, 후술하는 파라솔부(미도시)의 지지대(미도시)가 관통삽입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30)은 한 쌍의 바닥프레임(11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30)은 바닥프레임(110)에 수직되도록 상방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수직프레임(130)은 제1수직프레임(131)과 제2수직프레임(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131)과 제2수직프레임(132)은 상호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131)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중공의 파이프 또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131)은 바닥 또는 바닥프레임(110)과 수직되게 일단이 바닥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131)은 외면에 복수 개의 구멍(131a)이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구멍(131a)은 상호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직프레임(132)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수직프레임(132)은 제1수직프레임(131)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될 수 있다. 제2수직프레임(132)은 제1수직프레임(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즉, 제2수직프레임(132)은 제1수직프레임(131)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2수직프레임(132)은 외면에 복수 개의 구멍(132a)이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구멍(132a)은 상호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결정부재(133)는 제1수직프레임(131)의 복수 개의 구멍(131a) 중 어느 하나와 제2수직프레임(132)의 복수 개의 구멍(132a) 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제2수직프레임(132)의 복수 개의 구멍(132a) 중 어느 하나와 제1수직프레임(131)의 복수 개의 구멍(131a) 중 어느 하나를 서로 대응되게 맞추도록 선택하고, 높이결정부재(133)로 상기 선택된 구멍(131a, 132a)에 동시에 관통하여 조여줌으로써 수직프레임(130)의 높이는 결정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140)는 수직프레임(130), 즉 제2수직프레임(132)에 배치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140)는 제1회동지지부재(141)와 제2회동지지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140)는 후술하는 행거부(400)와 거울부(500)가 수직프레임(13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14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책상부(200)는 다리부(100)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1수직프레임(131)과 제2수직프레임(132)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이동됨에 따라 책상부(200) 역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책상부(200)는 책상프레임(210)과 제1책상판(220) 및 제2책상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책상프레임(210)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진 파이프 또는 막대형상으로 수직프레임(130)의 어느 일부에 바닥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책상프레임(210)과 제2수직프레임(132)이 'T'자로 연결될 수 있고, 책상프레임(210)과 제2수직프레임(132)의 연결을 보강하는 보강부재(134)가 설치될 수 있다.
책상프레임(210)은 제2수직프레임(132)의 개수에 대응하여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책상프레임(210)은 레일(211)과 이동체(212) 및 가변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책상프레임(210)은 서로 마주보는 일면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211)이 형성될 수 있다.
책상프레임(210)에는 레일(211)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체(212)가 마련될 수 있다.
가변부재(213)는 이동체(212)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변부재(213)는 막대형상으로 수직프레임(130)과 후술하는 제2책상판(230)을 연결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가변부재(213)는 수직프레임(130)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도록 일단이 제1수직프레임(131)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지지체(미도시)와 제1가변부재(213a) 및 제2가변부재(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변형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3의 (a)와 (b)를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책상프레임(210)은 수직프레임(130)의 일측에 회동되게 연결된 상태일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닥프레임(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책상프레임(210)의 외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도 3의 (a)와 (b)에서는 이동체(212)를 상기 지지체로 대체하여 인식할 수 있다.
제1가변부재(213a)는 일단이 상기 지지체와 회동 가능하게 이어지고 타단이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하단부에 회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변부재(213a)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책상프레임(210)에 고정됨으로써 책상프레임(21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가변부재(213b)는 일단이 제2책상판(230)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가변부재(213a)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가변부재(213a)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제2가변부재(213b)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2책상판(2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덧붙여서, 바닥프레임(110)과, 바닥프레임(110)에 회동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닥프레임(110)에 대하여 수직되게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30), 수직프레임(130)에 회동되고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수직프레임(130)에 수직되게 고정되는 책상프레임(210) 및 일단이 수직프레임(130)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의 지지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책상프레임(210)의 어느 일부에 고정됨으로써 책상프레임(210)을 지지하는 제1가변부재(213a)는 절첩되어 이동세트를 이룰 수 있다. 즉,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30) 책상프레임(210) 및 제1가변부재(213a)는 회동이 가능하여 서로 절첩됨으로써 부피를 줄여 이동이 쉽도록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책상프레임(210) 상부에는 제1책상판(220)과 제2책상판(2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책상판(220)은 책상프레임(2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수직프레임(132)과도 끝단이 접할 수 있다.
제2책상판(230)은 제1책상판(220)과 마찬가지로 책상프레임(2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책상판(230)은 제1책상판(220)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책상판(230)은 제1책상판(220)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즉 상면 또는 하면을 공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책상판(230)의 하면에는 장공부재(231)가 마련될 수 있다. 장공부재(231)는 장공(231a)이 형성되며 가변부재(213)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즉, 가변부재(213)는 한 쌍의 가변부재(213)의 개수와 타단의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책상판(230)은 가변부재(213)의 길이가변에 의해 가변부재(213)가 장공(231a)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도면에는 제2책상판(230)과 책상프레임(210)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회동부(미부호)가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회동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존재하지 않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제2책상판(230)은 회동되어 테두리 일측이 바닥에 접할 수 있다.
가변부재(213)는 제1가변부재(213a)와 제2가변부재(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변부재(213a)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수직프레임(130), 즉 제1수직프레임(131)의 하단부 외면에 회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가변부재(213b)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제1가변부재(213a)의 타단을 통해 제1가변부재(213a)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2가변부재(213b)의 타단은 제2책상판(230)의 하측, 즉 장공부재(231)와 연결될 수 있고, 장공(23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가변부재(213b)는 제1가변부재(2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212)는 제1가변부재(213a)의 회동각도와 제2가변부재(213b)의 슬라이딩 위치에 의해 레일(211)을 따라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선반부(300)는 책상부(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물건을 거치가능하다.
선반부(300)는 가로지지부재(310)와 수직부재(320), 선반지지부재(330) 및 선반(3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지지부재(31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막대형상으로,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132)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후술하는 수직부재(320) 및 선반(340)을 지지할 수 있다. 가로지지부재(310)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공은 양단부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직부재(320)가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은 후술하는 파라솔부(미도시)의 지지대(미도시)가 관통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수직부재(32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가로지지부재(310)에 수직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수직부재(32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로지지부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선반지지부재(330)는 수직부재(320)에 전방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선반지지부재(330)는 수직부재(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선반(340)은 선반지지부재(3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동지지부재(140)는 제1 및 제2회동지지부재(141, 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동지지부재(141)는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132)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회동지지부재(141)는 회동지지편(141a)과 고정체(141b), 고리볼트(141c) 및 고정볼트(141d)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지지편(141a)은 편체가 'ㄷ'자로 절곡되어 제2수직프레임(132)에 접촉할 수 있다.
원통형의 고정체(141b)는 상단과 하단에 고리볼트(141c)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리볼트(141c)는 회동지지편(141a)과 제2수직프레임(132)을 관통하며 별도의 너트(미부호)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고정체(141b)와 고리볼트(141c)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볼트(141d)가 고리볼트(141c)의 머리부분과 고정체(141c)의 양단에 삽입될 수 있다.
제2회동지지부재(142)는 원통형의 회동축수용체(142a)와 회동축(142c)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축수용체(142a)는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공간(142b)이 형성된 원통형일 수 있다. 회동축수용체(142a)는 외면이 제1회동지지부재(141)의 고정체(141b)의 외면과 연결 또는 연장될 수 있다. 회동축수용체(142a)의 내부공간(142b)에는 회동축(142c)이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회동축(142c)은 후술하는 행거회동연결대(460) 또는 거울회동연결대(520)가 연결되고, 회동축(142c)을 중심으로 행거부(400)와 거울부(500)는 회전 또는 회동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행거부(400)는 다리부(100)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1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옷을 걸 수 있다.
행거부(400)는 행거연결대(410)와 행거바닥프레임(420), 제1행거세로프레임(430), 행거걸이봉(440), 제2행거세로프레임(450) 및 행거회동연결대(460)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연결대(410)와 행거바닥프레임(420), 제1행거세로프레임(430), 행거걸이봉(440), 제2행거세로프레임(450) 및 행거회동연결대(460)는 모두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막대형상일 수 있다.
행거연결대(410)는 일단이 바닥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행거바닥프레임(420)은 행거연결대(41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행거바닥프레임(420)은 하측에 바퀴(470)가 마련되어 바닥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행거부(400)가 회동시 바닥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고, 회동지지부재(140)에 걸리는 하중을 조금이나마 완화할 수 있다.
제1행거세로프레임(430)은 행거바닥프레임(42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행거걸이봉(440)은 일단이 제1행거세로프레임(43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가로로 배치될 수 있고, 옷걸이가 걸릴 수 있다.
제2행거세로프레임(450)은 행거걸이봉(440)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1행거세로프레임(43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행거회동연결대(460)는 양단이 제2행거세로프레임(450)과 회동지지부재(140)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다.
행거부(400)에 외력이 가해지면 행거연결대(410)와 행거회동연결대(460)가 회동하며, 행거부(400) 전체가 다리부(10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평면적으로 바라보면, 행거연결대(410)가 바닥프레임(110)에 연결된 지점과 회동지지부재(140)는 서로 배치된 지점이 일치하지 않지만, 제2행거세로프레임(450)과 행거회동연결대(460)에 의해 행거부(400)의 회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거울부(500)는 책상부(200)와 선반부(300)를 중심으로 행거부(400)와 반대되는 다리부(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거울부(500)는 회동지지부재(1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거울부(500)는 거울프레임(510)과 거울회동연결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울프레임(510)은 거울(미부호)의 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다. 도면에는 거울과 거울프레임(510)이 4각의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일환일 뿐으로, 특별히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거울회동연결대(52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막대형상일 수 있다. 거울회동연결대(520)의 양단이 거울프레임(510)과 회동지지부재(140)에 연결될 수 있고 거울부(500)는 회동가능하다. 즉, 거울부(500)에 외력이 가해지면 거울회동연결대(520)가 회동하며 거울부(500) 전체가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은 거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600)는 거울부(500)가 배치되는 측의 책상프레임(210)에 연결될 수 있다. 거치부(600)는 물품 거치가 가능하다. 이때 물품은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일 수 있다.
거치부(600)는 제1거치프레임(610)과 제2거치프레임(620) 및 제3거치프레임(6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거치프레임(610)과 제2거치프레임(620) 및 제3거치프레임(630)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막대형상일 수 있다.
제1거치프레임(610)은 일단이 책상프레임(210)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을 수 있다.
제2거치프레임(620)은 어느 일부가 제1거치프레임(61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고 바닥프레임과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거치프레임(620)의 중앙부분에 제1거치프레임(610)의 타단이 연결되어 무게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거치프레임(63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3거치프레임(630)은 일단이 제2거치프레임(620)의 양단부에 제2거치프레임(620)과 수직되고 바닥과 평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3거치프레임(630)은 상부에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와 같은 물품이 거치될 수 있다.
제3거치프레임(630)의 타단에는 스토퍼(640)가 마련되어 거치되는 물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파라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라솔부는 캠핑과 같은 야외에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미도시)와 파라솔(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막대형상으로, 다리부(100)의 연결프레임(110)에 마련된 지지고리(미도시)와, 선반부(300)의 가로지지부재(310)에 마련된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할 수 있다.
파라솔은 지지대의 상단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다리부 110 : 바닥프레임 111 : 수평맞춤부재
120 : 연결프레임 130 : 수직프레임 131 : 제1수직프레임
131a : 구멍 132 : 제2수직프레임 132a : 구멍
133 : 높이결정부재 134 : 보강부재 140 : 회동지지부재
141 : 제1회동지지부재 141a : 회동지지편 141b : 고정체
141c : 고리볼트 141d : 고정볼트 142 : 제2회동지지부재
142a : 회동축수용체 142b : 내부공간 142c : 회동축
200 : 책상부 210 : 책상프레임 211 : 레일
212 : 이동체 213 : 가변부재 213a : 제1가변부재
213b : 제2가변부재 220 : 제1책상판 230 : 제2책상판
231 : 장공부재 231a : 장공 300 : 선반부
310 : 가로지지부재 320 : 수직부재 330 : 선반지지부재
340 : 선반 400 : 행거부 410 : 행거연결대
420 : 행거바닥프레임 430 : 제1행거세로프레임 440 : 행거걸이봉
450 : 제2행거세로프레임 460 : 행거회동연결대 470 : 바퀴
500 : 거울부 510 : 거울프레임 520 : 거울회동연결대
600 : 거치부 610 : 제1거치프레임 620 : 제2거치프레임
630 : 제3거치프레임 640 : 스토퍼

Claims (20)

  1.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바닥에 놓여지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의 상방으로 각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에 배치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책상부;
    상기 다리부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옷을 걸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행거부; 및
    상기 다리부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거울부;
    를 포함하고,
    상기 책상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어느 일부에 상기 바닥프레임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책상프레임;
    상기 책상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책상판; 및
    상기 책상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제1책상판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을 공유하도록 배치되는 제2책상판;
    을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바닥과 수직되게 일단이 상기 바닥프레임과 연결되며 타단부 외면에 복수의 구멍이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수직프레임;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고 외면에 복수의 구멍이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복수 개의 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복수 개의 구멍 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높이를 결정하는 높이결정부재;
    를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프레임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체; 및
    막대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책상판을 연결하며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한 가변부재;
    를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는,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외면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1가변부재;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가변부재의 타단을 통해 상기 제1가변부재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책상판의 하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가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가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제1가변부재의 회동각도와 상기 제2가변부재의 슬라이딩 위치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위치가 결정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책상프레임의 외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체;
    일단이 상기 지지체와 이어지고 타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회동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상기 책상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책상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가변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책상판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가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제2가변부재;
    를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에 회동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에 대하여 수직되게 고정되는 상기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회동되고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직되게 고정되는 상기 책상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의 지지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책상프레임의 어느 일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책상프레임을 지지하는 상기 제1가변부재는 절첩되어 이동세트를 이룰 수 있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책상판은,
    하면에 상기 가변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된 장공부재;
    를 더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9. 삭제
  10.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바닥에 놓여지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의 상방으로 각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에 배치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책상부;
    상기 다리부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옷을 걸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행거부;
    상기 다리부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거울부; 및
    상기 책상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위치가 조절되고 물건을 거치가능한 선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가로지지부재;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상기 가로지지부재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선반지지부재; 및
    상기 선반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선반;
    을 더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11. 삭제
  12.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바닥에 놓여지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의 상방으로 각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에 배치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책상부;
    상기 다리부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옷을 걸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행거부;
    상기 다리부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 회동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거울부; 및
    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부는,
    일단이 상기 바닥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행거연결대;
    상기 행거연결대의 타단과 연결되는 행거바닥프레임;
    상기 행거바닥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배치되는 제1행거세로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행거세로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옷걸이가 걸리는 행거걸이봉;
    상기 행거걸이봉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행거세로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행거세로프레임; 및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제2행거세로프레임과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행거회동연결대;
    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행거연결대와 상기 행거회동연결대가 회동하며 상기 행거부 전체가 상기 다리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13. 제1항과 제10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하측에 상기 바닥과 접하여 이동시 마찰을 감소시키는 바퀴;
    를 더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14. 제1항과 제10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는,
    상기 거울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거울프레임; 및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거울프레임과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거울회동연결대;
    를 포함하고,
    상기 거울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거울회동연결대가 회동하며 상기 거울부 전체가 회동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가 배치되는 측의 상기 책상프레임에 연결되고 물품을 거치가능한 거치부;
    를 더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책상프레임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는 제1거치프레임;
    미리 정해진 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어느 일부가 상기 제1거치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고 바닥프레임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2거치프레임; 및
    미리 정해진 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2거치프레임의 양단부에 상기 제2거치프레임과 수직되고 바닥과 평행하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거치프레임;
    을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거치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에 마련된 지지고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재는,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지지고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
    을 더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리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파라솔을 포함하는 파라솔부;
    를 더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20. 제1항과 제10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상기 행거부와 상기 거울부가 각각 회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제1회동지지부재; 및
    상방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상기 제1회동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행거부 또는 상기 거울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상방을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행거부 또는 상기 거울부가 회전가능한 제2회동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KR1020210047048A 2020-11-30 2021-04-12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KR102521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556 2020-11-30
KR20200163556 202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261A KR20220076261A (ko) 2022-06-08
KR102521198B1 true KR102521198B1 (ko) 2023-04-13

Family

ID=8198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048A KR102521198B1 (ko) 2020-11-30 2021-04-12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1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642B1 (ko) * 2013-02-19 2014-06-03 송홍섭 높이 조절형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071A (ko) * 2004-04-08 2005-10-13 이기범 높낮이 조절 브라켓
KR101221356B1 (ko) * 2010-01-15 2013-01-11 오서연 가변선반책상
KR101254021B1 (ko) * 2011-04-21 2013-04-12 황민홍 거울이 구비된 간이 옷걸이
KR101707298B1 (ko) * 2015-02-24 2017-02-17 진향순 행거 장치
KR102231432B1 (ko) 2019-11-04 2021-03-24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높이조절책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642B1 (ko) * 2013-02-19 2014-06-03 송홍섭 높이 조절형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261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1897C (en) Adjustable desk and footrest assembly
US9687080B1 (en) Adjustable stool
CN103431653A (zh) 桌凳一体化椅
US4148264A (en) Table having multiple table top elevations
CN203483106U (zh) 桌凳一体化椅
CN209884908U (zh) 医用吊瓶挂架
KR102521198B1 (ko) 행거와 거울이 구비되는 다용도 책상
KR101353076B1 (ko) 침대 프레임에 연결된 테이블
KR101755304B1 (ko)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US2600759A (en) Combination foot lounge
US4491363A (en) Combination foldable table and bench unit
RU2614967C1 (ru) Мольберт
CN210796982U (zh) 一种折叠晾晒架
CN220255957U (zh) 一种折叠野营桌
US4177739A (en) Vertically adjustable table
TWM590007U (zh) 可調整高低、傾斜角度之書桌
JPH0744172Y2 (ja) リバーシブルテーブル
TWI824989B (zh) 可收合的組合桌連椅
CN215913722U (zh) 一种学习桌
RU113931U1 (ru) Стол
CN219206244U (zh) 一种午休式课桌
CN211833367U (zh) 一种床上书桌
JPS5837324Y2 (ja) テ−ブル
KR101254021B1 (ko) 거울이 구비된 간이 옷걸이
KR100938827B1 (ko)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