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205B1 -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205B1
KR102056205B1 KR1020180010228A KR20180010228A KR102056205B1 KR 102056205 B1 KR102056205 B1 KR 102056205B1 KR 1020180010228 A KR1020180010228 A KR 1020180010228A KR 20180010228 A KR20180010228 A KR 20180010228A KR 102056205 B1 KR102056205 B1 KR 102056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financial institution
remittance
information
exchang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145A (ko
Inventor
강영철
이병렬
한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to KR102018001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205B1/ko
Priority to CN201810162564.3A priority patent/CN110084696A/zh
Publication of KR2019009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Abstract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은 거래 국가의 환율 정보를 제공하는 금융 기관과 연동되는 환율 정보 제공부 및 거래 국가에 속한 금융 기관과 연동되어 금융 거래 서비스에 소요되는 수수료 정보를 제공하는 수수료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수취 단말 및 수취 단말과 연계된 금융 기관의 계좌 정보를 특정하지 않고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에 송금을 요청하는 송금 단말을 포함한다. 본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OVERSEAS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본 발명은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외 금융 거래에 관한 종래의 해외 송금 프로세스(가령, 대한민국에서 필리핀)를 살펴보면, 송금인은 원화(KRW) 계좌에서 송금액을 특정하여 송금 금융 기관에 송금을 요청한다. 송금 금융 기관은 현재시점의 환율 및 송금 금융 기관의 수수료를 산출하여 송금인의 원화 계좌에서 인출하고, 동시에 US 달러로 송금하라는 송금 지급지시 전문을 수취 금융 기관에 전송한다. 그러면, 수취 금융 기관은 수취인의 계좌에 US 달러로 송금한다.
만약, 수취인이 수취금을 페소화(PHP)로 바꾸기 위해 수취 금융 기관에 요청하면 수취 금융 기관은 현재의 환율 정보 및 수수료 정보에 기초하여, US 달러 송금액에서 소정의 금액을 제하고 수취인의 수취 페소화 계좌에 입금한다.
살핀 바와 같이, 종래의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의 경우, 송금인이 수취인의 계좌를 특정해서 송금을 해야하고, 송금시에 수취국의 통화 금액으로 수취금이 확정 되지 않으며, 수취인의 송금 내역 확인에 시일이 소요되며, 금융 기관의 영업 외 시간에는 송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한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가 필요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9290호(공개일 : 2006.7.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송금인이 수취인의 수취 계좌를 특정하지 않아도 송금이 가능한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송금시점에 수취 금액을 확정하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송금시점에 수취인이 송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금융 기관의 영업 외 시간에도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거래 국가의 환율 정보를 제공하는 금융 기관과 연동되는 환율 정보 제공부 및 거래 국가에 속한 금융 기관과 연동되어 금융 거래 서비스에 소요되는 수수료 정보를 제공하는 수수료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수취 단말; 및 상기 수취 단말과 연계된 금융 기관의 계좌 정보를 특정하지 않고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에 송금을 요청하는 송금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송금 단말은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에 특정 금액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는 상기 환율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수수료 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집된 환율 정보 및 수수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금 단말과 연계된 송금 금융 기관의 계좌에서 인출될 인출 금액 정보, 수취국으로 송금될 송금 금액 정보 및 수수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송금 금융 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송금 금액 정보 또는 수취 금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수취 단말과 연계된 수취 금융 기관에 제공하며, 상기 수취 단말은, 상기 송금 금융 기관에서 지급지시 명령이 상기 수취 금융 기관으로 발송되면, 상기 수취 금융 기관을 통해 송금 금액 또는 수취 금액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는 상기 송금 금융 기관에서 상기 수취 금융 기관으로 지급지시 명령이 발송되기 이전에, 상기 송금 금융 기관의 인출금액, 송금 금액 및 수수료 금액, 수취 금융 기관의 수취 금액을 확정하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송금 단말은, 상기 수취 단말의 전화 번호 정보를 특정하여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에 송금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특정 금액 정보는, 송금인에 대응되는 송금 계좌에서 인출될 인출 금액, 상기 송금 금융 기관에서 상기 수취 금융 기관으로 송금될 송금 금액 또는 수금인이 실제로 수령할 수취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송금 단말은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의 제공 웹페이지에 로그인하며,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는 상기 송금 단말 및 송금인을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는 송금에 대응되는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송금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송금 단말은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와 무관하게 상기 고유 번호를 상기 수취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는, 문자 메시지 또는 PUSH 메시지를 통해 송금 예고 정보 또는 송금 완료 정보를 알림으로 제공하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첫째, 송금인이 수취 계좌를 특정하지 않아도 송금이 가능한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으며, 현물 화폐의 분실 위험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셋째, 송금시점에 수취 금액이 확정될 수 있으므로, 송금 거래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가 제고될 수 있다.
넷째, 송금시점에 수취인이 송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으며, 거래 예측이 수월할 수 있다.
다섯째, 금융 기관의 영업 외 시간에도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금 또는 수취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1000)은 국가 간의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는 해외 송금 서비스, 환율 및 수수료 산출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의 일 예인 해외 송금 서비스를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1000)은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 제1 국가(송금국)의 송금 단말(200A), 제2 국가(수취국)의 수취 단말(200B), 제1 국가의 송금 금융 기관(300A), 제2 국가의 수취 금융 기관(300B)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제1 국가의 송금 금융 기관(300A)과 제2 국가의 수취 금융 기관(300B)는 각각의 국가의 환율 정보를 제공하는 환율 제공 서버(400A, 400B)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10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10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구성요소들간의 연결관계도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율 제공 서버(400A, 400B)는 금융 기관들(300A, 300B) 외에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먼저,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국가 간에 해외 송금 서비스를 제어하는 장치이며, 환율 및 수수료를 산출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송금 금융 기관(300A) 또는 수취 금융 기관(300B)이 실시간 또는 소정의 주기로 환율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한 환율 정보를 수신하여 환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국가 별 환율 정보를 소정의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시마다 환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아울러,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각 국가별 금융 기관들의 수수료 정보를 소정의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송금 단말(200A)의 요청에 따라 송금인(UA)이 이용하는 송금 금융 기관(300A)의 송금인(UA) 계좌에서 수취인(UB)이 이용하는 수취 금융 기관(300B)의 수취인(UB) 계좌로 소정의 금액을 송금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송금인(UA)의 사용자 정보, 이용하는 금융 기관 정보, 금융 기관 계좌 정보 등을 보유할 수 있으며, 수취인(UB)의 사용자 정보, 이용하는 금융 기관 정보, 금융 기관 계좌 정보, 연락처 정보 등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금인(UA)은 수취인(UB)의 계좌 정보를 모르더라도 수취인(UB)의 대체 정보 가령, 연락처 정보, 이메일 정보, SNS(Social Network Service)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를 통해 송금할 수 있다.
특히, 수취인(UB)은 수취인(UB)과 연계된 계좌가 없더라도 수취인(UB)의 정보(예를 들면, 연락처 정보)만으로 수취 금융 기관(300B), 수취 금융 기기(미도시) 등에서 소정의 금액을 인출할 수 있다. 다만, 인출시에 특정의 보안 정보(가령, 해당 송금의 보안코드)가 더 필요할 수는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송금 단말(200A)을 통해 송금을 수행하는 소정의 시점에 수취 단말(200B)에 연계된 금융 계좌에 얼마의 금액이 송금될지 미리 알 수 있다. 즉,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송금시의 환율 정보, 수수료 정보 등에 기초하여 수취국의 수취인이 수령할 수취금을 확정할 수 있다. 미리 수취할 통화종(원화, 달러화, 페소화, 파운드화 등)만 결정되면 수취금은 확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금 단말 또는 수취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다만, 송금시의 송금 단말(200)을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의 도면 부호를 함께 참고하기로 한다.
도 2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모바일 웹페이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면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화면 상단에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명(“1Q Transfer”, 210)과 로그인 메뉴(213)가 배치될 수 있다.
로그인 메뉴(213)가 클릭되면 송금 단말(200)은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에 로그인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회원 가입시에 송금인(UA)의 연결 계좌 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자주 송금하는 계좌 정보, 연락처 정보, SNS 정보, 이메일 정보 등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송금 단말(200)은 송금인(UA)이 송금을 선호하는 국가, 국가 금융 기관이 입력되면 해당 국가 및 금융 기관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메인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송금 단말(200)은 송금 빈도수가 높은 국가, 수취인을 화면의 메인에 배치(221, 220)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송금 가능한 국가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로그인 메뉴(213)의 하단에는 바로 하단에는 송금 메뉴(215)와 수취 메뉴(217)가 배치될 수 있다. 그 아래에는 거래 내역 조회 메뉴(231), 수수료 안내 메뉴(233), 이용 가이드 메뉴(235) 및 쿠폰 정보 메뉴(24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송금 단말(200)은 처음 가입한 회원, 우수 회원 등에게 다양한 쿠폰을 제공하여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 사용 촉진을 장려할 수 있다. 아울러, 송금 단말(200)은 사용 횟수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으며, 회원 등급에 차등을 두어 쿠폰 등을 지급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상술한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부(110)는 거래 국가의 금융 기관의 서버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송금 단말(20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부 및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부는 송금인으로부터 제 1 국(예를 들어, 한국)의 금융 기관에서 제 2 국(예를 들어, 필리핀)의 금융 기관으로의 송금요청을 수신하며, 송금요청은 적어도 제 2 국에 있는 수취인의 연락처 정보 및 송금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는 가입자로부터 송금 확정 신호를 수신하면, 확정된 송금 금액 및 수수료 정보와 이에 기초하여 계산된 총 인출 금액을 제 1 국 금융 기관에 전송하고, 확정된 송금 금액 및 수취 금액 정보를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송신부는 송금 금액 및 수취 금액 정보를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 전송하면서 송금 금액을 수취 금액으로 환산환 환율 정보에 따라 수취 금액에 해당하는 제 3 국의 화폐를 매도하고 수취 금액만큼 제 2 국의 화폐를 매입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을 수행함에 따라, 본 기술은 제 1 국에서 송금 시에 제 2 국에서의 수취 금액을 명확하게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한편, 환율 변동에 따라 금융 기관이 가질 수 있는 환리스크를 줄일 수 있게 해준다.
디스플레이(120)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구성으로 현재 거래되는 국가 정보, 거래 국가의 금융 기관들, 환율 고시 정보, 거래 금융 기관들의 수수료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구현시 디스플레이(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사용자 정보, 환율 정보, 수수료 정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구현시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2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140)은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모듈로, 환율 정보 제공부(141), 인증부(143), 수수료 정보 제공부(145) 및 가입자 관리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율 정보 제공부(141)는 거래 국가의 환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들(가령, 금융 기관들)과 통신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의 주기(가령, 1시간)로 환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정보는 매매 기준율, 매도/매입시의 커버 환율, 매입/매도시의 대고객 환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율 정보는 주간에 사용하는 환율 및 야간에 사용하는 환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율 정보 제공부(141)는 거래 국가 별로 환율 고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거래 국가는 대한민국, 캐나다/중국/인도네시아의 현재법인, 필리핀, 호주 등의 동남아 ROC, 영국 등의 구주 RO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인증부(143)는 사용자 인증, 단말 인증, 거래 금융 기관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인증부(143)는 송금 단말이 인증된 단말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으며, 접속한 송금인, 수취인이 인증된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수수료 정보 제공부(145)는 거래 국가의 거래 금융 기관들의 수수료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령, 환전 수수료, 거래 수수료 등의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의 주기로 수집할 수 있다.
가입자 관리부(147)는 가입자들을 관리하는 모듈로, 가입자 정보 등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저장시에 보안을 고려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추가로 금액 계산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금액 계산부는 제 1 국(예를 들어, 한국) 금융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1 국과 제 3 국(예를 들어, 미국) 화폐의 제1환율 정보(예를 들어, 한국 원과 미국 달러의 환율)와, 상기 제 2 국(예를 들어, 필리핀) 금융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2 국과 제 3 국 화폐의 제2환율 정보(예를 들어, 필리핀 페소와 미국 달러의 환율)를 검색하고, 상기 제 1 국 금융 기관 및 제 2 국 금융 기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수수료 정보 및 상기 제1환율 정보와 제2환율 정보에 따라 제 2 국의 화폐 단위로 수취 금액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1000)의 구동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1000)의 구동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1000)의 구동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송금 단말(200A)은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에 로그인 및 송금을 요청한다(S410).
여기서, 송금 단말(200A) 송금 요청시에 송금인(UA)의 송금 계좌에서 인출될 금액 정보, 수취 금융 기관(300B)에 송금될 송금액 정보 또는 수취인(UB)이 수령할 수취금 정보 등을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미리 수취인(UB)이 수취하고자 하는 통화 종류(원화, 달러화, 파운드화)에 대한 정보를 수취 단말(200B) 또는 송금 단말(200A)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송금 단말(200A) 및 송금인(UA)을 인증한다(S415).
그 후에,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송금인(UA) 또는 송금 단말(200A)과 연계된 송금 금융 기관(300A)에 계좌 출금 및 별단 입금을 요청한다(S420).
그 다음,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수취 금융 기관(300B)에 송금액만큼의 미지급금 처리를 요청한다(S425).
여기서, 미지급금은 아직 송금되지 않았으나, 수취 금융 기관(300B)이 송금 금융 기관(300A)에 송금받을 금액이 있음을 나타낸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송금 거래에 대해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생성하여 송금 단말(200A)에 제공한다(S430, S435).
여기서, PIN 정보는 1회성으로 송금을 위해 대응되는 보안 정보일 수 있으나, 구현시에는 송금 단말(200A)에 대응되어 1회성이 아닌 보안 정보도 가능하다.
그러면,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수취 단말(200B)로 송금이 진행중임을 알린다(S440).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환율 정보 및 수수료 정보들을 보유하는 바, 수취 단말(200B)이 요구하는 수취금 금액을 특정의 유통화폐의 종류(원화, 페소, 달러, 파운드 등)에 상관없이 확정시킬 수 있다.
즉, S440 단계에서 얼마의 금액이 어떤 통화로 지급될 것인지 수취 단말(200B)은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금 단말(200A)은 수취 단말(200B)에 PIN 정보를 제공한다(S445).
PIN 정보는 문자 메시지 또는 푸쉬 메시지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의 제어없이 송금 단말(200A)이 자발적으로 수취 단말(200B)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IN 정보는 수취인(UB)이 수취 단말(200B)을 이용한 모바일 뱅킹으로 수취금을 찾을 때 또는 수취인(UB)이 직접 특정 공간(은행 또는 특정 상점 등)에서 수취금을 찾을 때도 필요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수취 단말(200B)은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에 로그인하고 PIN 정보를 입력한다(S450).
그 후,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별단 출금 및 당발송금 처리를 송금 금융 기관(300A)에 요청한다(S455).
즉,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별단에 입금된 금액이 수취 금융 기관에 송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송금 금융 기관(300A)은 수취 금융 기관(300B)에 송금 지급 지시 명령을 전송한다(S460).
송금 전문을 발송하는 방법으로 송금 지급 지시 명령이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수취 금융 기관(300B)은 타발송금 접수 및 미지급금에서 출금을 수행한다(S465). 그리고, 수취 금융 기관(300B)은 출금이 수행되었음을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 및 수취 단말(200B)에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S470, S475).
한편, 도 5는 한국 원화(KRW) 계좌에서 송금액을 달러화(USD)로 송금하며, 필리핀에서는 페소화(PHP)로 수취인(UB)에게 수취되게 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송금 단말(200A)은 원화로 인출금액을 특정하여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한다(S510).
여기서 송금 단말(200A)은 인출될 금액 또는 송금할 송금액으로 특정하여 송금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렴,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환율 정보, 수수료 정보에 기초하여 송금액(USD) 및 수수료(KRW)를 산출한다(S520).
아울러,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환율 정보, 수수료 정보에 기초하여 수취 금액(PHP, 페소)을 산출한다(S530).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각국의 금융 기관들로부터 환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구현시에 해외 환율 제공 서버에서 다이렉트로 환율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100)는 송금 정보를 송금 단말(200A), 송금 금융 기관(300A)에 전송하고(S535, S540), 수취 금융 기관(300B) 및 수취 단말(200B)에 수취 정보를 전송한다(S545, S550).
상기 단계에서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는 수취 금융 기관이 외환 거래에서 스퀘어 포지션을 맞추도록 송금 확정시에 수집된 환율 정보에 기초하여 수취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수취 금융 기관이 속하는 국가의 화폐로 매입할 것을 수취 금융 기관에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을 수행함에 따라, 본 기술은 송금 시에 명확한 수취 금액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한편, 금융 기관이 가질 수 있는 환리스크를 줄일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단계를 통해 수취인(UB) 또는 수취 단말(200)은 송금 단계에서 수취인이 수취 금액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송금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송금인(UA)은 인출될 금액, 송금될 금액, 수취될 금액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송금 단계에서 알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으며, 금융 거래의 투명화가 제고될 수 있다.
그러면, 송금 금융 기관(300A)은 수취 금융 기관(300B)에 지급지시 명령을 전송한다(S560).
그러면, 수취 금융 기관(300B)은 수취인의 계좌에 페소화(PHP)로 입금한다(S570).
그 후에, 수취 금융 기관(300B)은 수취 단말(200B)로 해당 정보를 알림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수취인(UB)은 수월하게 수취금을 입금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를 구현하는 해외 금융 거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의 수신부는 송금인으로부터 제 1 국 금융 기관에서 제 2 국의 금융 기관으로의 송금요청을 수신하고, 송금요청은 적어도 수취인의 연락처 정보 및 송금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의 금액 계산부는 제 1 국 금융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1 국과 제 3 국 화폐의 제1환율 정보(예를 들어, 한국 원과 미국 달러의 환율)와,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2 국과 제 3 국 화폐의 제2환율 정보(예를 들어, 필리핀 페소와 미국 달러의 환율)를 검색하고, 제 1 국 금융 기관 및 제 2 국 금융 기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수수료 정보 및 제1환율 정보와 제2환율 정보에 따라 제 2 국의 화폐 단위로 수취 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의 송신부는 송금인으로부터 송금 확정 신호를 수신하면, 확정된 송금 금액 및 수수료 정보와 이에 기초하여 계산된 총 인출금액을 제 1 국의 금융 기관에 전송하고, 확정된 송금 금액 및 수취 금액 정보를 제 2 국의 금융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영업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제1환율 정보 또는 제2환율 정보를 영업 중인 제 1 국 금융기관 또는 제 2 국 금융기관으로부터 수신하여 송금요청 수신시 정보로 사용하지만, 상기 송금요청 수신 시간이 제 1 국 또는 제 2 국 금융 기관의 영업시간 이후인 경우에는, 상기 제1환율 정보 및 제2환율 정보는 제 1 국 또는 제 2 국 금융 기관의 마감 환율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각국의 은행은 영업시간에는 변동하는 환율시장에서의 환율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영업을 마감하면서는 자체의 예측 등을 통해 영업 마감 후 익일 영업 개시 전까지 사용되는 마감 환율을 결정하여 고시한다.
송신부는 송금 금액 및 수취 금액 정보를 제 2 국의 금융 기관으로 전송할 때, 송금 금액을 수취 금액으로 환산환 환율 정보에 따라 수취 금액에 해당하는 제 3 국의 화폐를 매도하고 상기 수취 금액만큼 제 2 국의 화폐를 매입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제 2 국의 금융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 1 국 금융 기관에서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의 송금을 중개하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방법으로서,
    송금인으로부터 제 1 국 금융 기관에서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의 송금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송금요청은 적어도 수취인의 연락처 정보 및 송금 금액을 포함하는, 송금요청 수신 단계;
    상기 제 1 국 금융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1 국과 제 3 국 화폐의 제1환율 정보와, 상기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2 국과 제 3 국 화폐의 제2환율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 1 국 금융 기관 및 제 2 국 금융 기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수수료 정보 및 상기 제1환율 정보와 제2환율 정보에 따라 제 2 국의 화폐 단위로 수취 금액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송금인으로부터 송금 확정 신호를 수신하면, 확정된 송금 금액 및 수수료 정보와 이에 기초하여 계산된 총 인출금액을 제 1 국의 금융 기관에 전송하고, 확정된 송금 금액 및 수취 금액 정보를 제 2 국의 금융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환율 정보 및 제2환율 정보는 모두 상기 송금요청 수신시 정보이고, 상기 송금요청 수신 시간이 제 1 국 또는 제 2 국 금융 기관의 영업시간 이후인 경우, 상기 제1환율 정보 및 제2환율 정보는 제 1 국 또는 제 2 국 금융 기관의 마감 환율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송금 금액 및 수취 금액 정보를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송금 금액을 수취 금액으로 환산환 환율 정보에 따라 상기 수취 금액에 해당하는 제 3 국의 화폐를 매도하고 상기 수취 금액만큼 제 2 국의 화폐를 매입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취인 또는 수취 단말은, 상기 제1 국 금융 기관에서 지급지시 명령이 상기 제2 국 금융 기관으로 발송되기 전에 상기 수취 금액 정보를 제공받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방법.
  9. 제 1 국 금융 기관에서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의 송금을 중개하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로서,
    송금인으로부터 제 1 국 금융 기관에서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의 송금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로서, 상기 송금요청은 적어도 수취인의 연락처 정보 및 송금 금액을 포함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국 금융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1 국과 제 3 국 화폐의 제1환율 정보와, 상기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2 국과 제 3 국 화폐의 제2환율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 1 국 금융 기관 및 제 2 국 금융 기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수수료 정보 및 상기 제1환율 정보와 제2환율 정보에 따라 제 2 국의 화폐 단위로 수취 금액을 계산하는 금액 계산부; 및
    상기 송금인으로부터 송금 확정 신호를 수신하면, 확정된 송금 금액 및 수수료 정보와 이에 기초하여 계산된 총 인출금액을 제 1 국 금융 기관에 전송하고, 확정된 송금 금액 및 수취 금액 정보를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환율 정보 및 제2환율 정보는 모두 상기 송금요청 수신시 정보이고, 상기 송금요청 수신 시간이 제 1 국 또는 제 2 국 금융 기관의 영업시간 이후인 경우, 상기 제1환율 정보 및 제2환율 정보는 제 1 국 또는 제 2 국 금융 기관의 마감 환율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금 금액 및 수취 금액 정보를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 전송하면서 상기 송금 금액을 수취 금액으로 환산환 환율 정보에 따라 상기 수취 금액에 해당하는 제 3 국의 화폐를 매도하고 상기 수취 금액만큼 제 2 국의 화폐를 매입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제 2 국 금융 기관으로 전송하며,
    상기 수취인 또는 수취 단말은, 상기 제1 국 금융 기관에서 지급지시 명령이 상기 제2 국 금융 기관으로 발송되기 전에 상기 수취 금액 정보를 제공받는,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 장치.
KR1020180010228A 2018-01-26 2018-01-26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56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28A KR102056205B1 (ko) 2018-01-26 2018-01-26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CN201810162564.3A CN110084696A (zh) 2018-01-26 2018-02-26 提供海外金融交易服务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28A KR102056205B1 (ko) 2018-01-26 2018-01-26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45A KR20190091145A (ko) 2019-08-05
KR102056205B1 true KR102056205B1 (ko) 2019-12-16

Family

ID=6741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228A KR102056205B1 (ko) 2018-01-26 2018-01-26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6205B1 (ko)
CN (1) CN110084696A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715B2 (en) * 1998-03-30 2004-04-13 Martin A. Nemzow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izing currency valuation independent of the original and objective currencies
KR20050091226A (ko) * 2004-03-11 2005-09-15 공영수 인터넷을 이용한 해외송금 시스템 및 방법
KR100711844B1 (ko) 2004-12-30 2007-05-02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통신망을 통해 인증번호를 이용해서 결제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CN101241570A (zh) * 2008-02-15 2008-08-13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银行汇款方法、银行支付信息处理装置及其系统
KR20100005632A (ko) *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계좌이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100130712A (ko) * 2009-06-04 2010-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화폐 송금 시스템 및 전자화폐 송금 방법
US10803430B2 (en) * 2011-07-29 2020-10-13 Hsbc Technology & Services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lobal transfers
WO2012069256A1 (en) * 2011-10-14 2012-05-31 J. Toft Aps Multi currency transaction system
KR20140021124A (ko) * 2012-08-08 2014-02-20 주식회사 우리은행 무계좌 송금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3903129B (zh) * 2012-12-28 2017-11-24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短信方式实现的汇款系统及方法
WO2016028031A1 (ko) * 2014-08-18 2016-02-25 김찬영 해외 송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해외 송금 서비스 방법
KR20170075614A (ko) * 2015-12-23 2017-07-03 김의준 수수료 기반의 송금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678617A (zh) * 2015-12-31 2016-06-15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面向多个汇款代理商的个人国际速汇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84696A (zh) 2019-08-02
KR20190091145A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15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 of sale deposits
US20230385797A1 (en) System and method of payment of merchants on behalf of payment card system transaction acquirers
US20230169586A1 (en) Shared expense management
US106575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financial transactions
US862665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electronic cross-border payments
CA3038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yptographic transactions
US20120078781A1 (en) Automatic Bill-Pay Setup
US20090061831A1 (en) Mobile remittances/payments
US20140156435A1 (en) Providing money transfer using a money transfer platform
US119724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 of sale deposits
US20140214649A1 (en) Pay to any account service
US20120078764A1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Bill-Pay Clients
US20140236811A1 (en) Efficient inter-bank funds transfers
KR20210095121A (ko) 신용 계좌를 사용한 이체
JP2015141597A (ja) 電子マネーを利用した支払い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213172A (zh) 通过数字钱包访问ach交易功能
US202102013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Electronic Currency
KR20170037445A (ko) 매출채권의 유통을 중개하는 은행서버 및 그 방법
JP7195863B2 (ja) 外為取引制御装置、外為取引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56205B1 (ko) 해외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CA3048263C (en) Network payment method and system
US111385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on-demand substitute checks
US11699157B1 (en) Dynamic generation of digital messages with unique links for direct-to-merchant payments
US20190080302A1 (en) Payment system for facilitating delivery transactions
JP2016181299A (ja) 電子マネーを利用した支払い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