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846B1 -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846B1
KR102055846B1 KR1020190059650A KR20190059650A KR102055846B1 KR 102055846 B1 KR102055846 B1 KR 102055846B1 KR 1020190059650 A KR1020190059650 A KR 1020190059650A KR 20190059650 A KR20190059650 A KR 20190059650A KR 102055846 B1 KR102055846 B1 KR 102055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group
safety
rack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하
Priority to KR102019005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7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 대한 승강장 플랫폼 또는 검수기지 플랫폼에 설치되는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전난간의 단위 세트는, 선로 플랫폼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면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베이스 앵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되되, 일단이 상기 베이스 앵글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일군의 종대; 상기 일군의 종대 타단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 횡대; 및 상기 일군의 종대를 스탠드업(stand-up) 상태의 제1 위치와 레이다운(lay-down)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난간의 단위 세트가 동작되는 범위를 단위 구간으로 할 때, 상기 단위 구간 내일군의 종대는 제1 위치로 스탠드업한 상태에서 지주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 횡대는 상부 가드레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에 따르면, 안전난간이 동작할 단위 구간 내에 철도차량이 정차한 지 여부를 기준으로 스탠드업 및 레이다운의 2가지 상태 사이에서 전동식으로 자동 전환될 수 있는 가드레일형 안전난간을 제공함으로써, 설계 및 시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운전과정에 보조 인력이 필요 없으며, 또한 검수기지용 플랫폼 및 승강장용 플랫폼 모두에서 플랫폼 자체의 용도를 저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플랫폼으로부터 선로 쪽으로 추락하는 등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SAFETY FENCE FOR RAILWAY PLATFROM }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위한 안전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차량의 승강장용 플랫폼이나 검수기지용 플랫폼에 설치될 수 있는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 대한 승강장 또는 검수기지에는 선로 바닥으로부터 상당한 높이를 갖는 플랫폼이 마련된다. 선로 플랫폼에서는 철도차량이 입고되어 정차하기 전까지는 작업자 또는 이용객이 추락할 위험이 상존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종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으로는 주로 지하철 승강장의 플랫폼에 설치되는 자동개폐문을 구비한 격벽형 안전난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격벽형 안전난간은 구조가 복잡하고 격벽은 물론 자동문 개폐시설에 대한 설계 및 시공 비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승하차시 정차한 철도차량의 출입구와 안전난간의 자동개폐문 간 정렬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철도차량 규격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격벽형 안전난간은 격벽이 설치된 구간에서는 플랫폼으로부터 선로 안쪽에 정차된 철도차량으로 측면 접근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승강장용 플랫폼 외에 철도차량 검수기지용 플랫폼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주로 철도차량 검수기지용 플랫폼에 설치되는 또 다른 형태의 안전난간으로서 가드레일형 안전난간이 있다. 가드레일형 안전난간은 플랫폼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 복수의 종대와 종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횡대로 이루어진 단순 프레임 구조물로서, 전체 설치구간 대부분에서 프레임 구조물이 상시 직립된 상태로 유지되며, 검수될 철도차량의 정차시 그 출입구에 대응하는 일부 설치구간에서만 슬라이딩 또는 여닫이 방식의 수동식 출입구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단순 고정식의 가드레일형 안전난간의 경우 설계 및 시공 비용이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고, 프레임 구조물이기 때문에 구조물 틈을 통해 플랫폼으로부터 선로 안쪽에 정차된 철도차량으로의 측면 접근이 어느 정도는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가드레일형 안전난간의 경우, 프레임 구조물이 상시 직립되어 간섭하기 때문에 플랫폼에 있은 검수 작업자가 철도차량 외부측면 전체에 대해 자유롭게 접근하기에는 여전히 충분하지 않다. 또한 플랫폼에 정차된 상태에서 철도차량 출입구를 통해 작업자가 승하차하기 위해서는 정차한 철도차량의 출입구와 안전난간에 별도로 마련된 출입구 상호간에 정확한 정렬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철도차량 정차 작업이나 안전난간의 출입구 개폐 작업을 위해 별도의 보조 인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술한 격벽형 안전난간과 유사하게 검수될 철도차량의 규격, 특히 철도차량 출입구의 위치에 따라 안전난간의 출입구에 대한 설계 및 시공이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종래 고정식의 가드레일형 안전난간을 개선하여 설계 및 시공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전동식으로 동작하는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도차량의 규격에 상관없이 검수기지용 플랫폼 및 승강장용 플랫폼 모두에 설치 가능하고, 운전시 추가 인력이 생략될 수 있는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바와 동일한 아래의 내용이다.
(1) 철도차량에 대한 승강장 플랫폼 또는 검수기지 플랫폼에 설치되는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으로서, 상기 안전난간의 단위 세트는, 선로 플랫폼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면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베이스 앵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되되, 일단이 상기 베이스 앵글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일군의 종대; 상기 일군의 종대 타단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 횡대; 및 상기 일군의 종대를 스탠드업(stand-up) 상태의 제1 위치와 레이다운(lay-down)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난간의 단위 세트가 동작되는 범위를 단위 구간으로 할 때,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일군의 종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일군의 종대에 피봇 고정된 상기 메인 횡대는 승하강하게 되고, 상기 단위 구간 내 일군의 종대는 제1 위치로 스탠드업한 상태에서 지주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 횡대는 상부 가드레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2) 상기 단위 구간 내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의 정차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2개의 감지센서가 동시에 철도차량을 감지한 경우에만 동일한 단위 구간에 속하는 상기 일군의 종대가 제2 위치로 레이다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3) 복수의 종대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이 서로 이웃하는 종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중간 횡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군의 종대가 제1 위치로 스탠드업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중간 횡대는 중간 가드레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4) 상기 종대에는 힌지 연결되는 연결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횡대의 단부가 상기 연결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5)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일군의 종대 중 어느 하나의 종대가 베이스 앵글에 결합되는 지점과 동일한 지점에서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형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앵글에서 연결 지점을 공유하는 종대의 단부가 상기 호형 회전 기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6)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호형 회전기어에 맞물려 직선 운동하는 래크; 및 상기 래크의 직선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7)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호형 회전기어에 맞물려 회전 운동하는 주축기어; 및 상기 주축기어의 회전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8) 상기 모터는 웜기어조립 모터 또는 감속형 기어드 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9) 상기 호형 회전기어의 회전 운동 및 상기 래크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슈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슈트 어셈블리는 상기 호형 회전기어 및 래크의 양 측면에 밀착되는 한쌍의 가이드판; 및 상기 래크의 저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10) 상기 단위 구간의 적어도 일측에는 경계주이 구비되고, 상기 경계주의 상단과 상기 메인 횡대의 단부에 연결되는 스트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상기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본 발명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에 따르면, 안전난간이 동작할 단위 구간 내에 철도차량이 정차한 지 여부를 기준으로 스탠드업 및 레이다운의 2가지 상태 사이에서 전동식으로 자동 전환될 수 있는 가드레일형 안전난간을 제공함으로써, 설계 및 시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운전과정에 보조 인력이 필요 없으며, 또한 검수기지용 플랫폼 및 승강장용 플랫폼 모두에서 플랫폼 자체의 용도를 저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플랫폼으로부터 선로 쪽으로 추락하는 등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용 안전난간의 동작 전후 사시도.
도 3은 상기 안전난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감지동작에 따른 안전난간의 동작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의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에 관한 도면.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라고 할 때, 해당 실시예에 대한 균등물로 대치 또는 치환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용 안전난간(10)(이하, '안전난간(10)'으로 약칭함)의 동작 전후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상기 안전난간(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구동장치(400)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 및 설명의 편의상 도 4의 구동장치(400)를 구성하는 모터(430) 등의 일부 부품 요소는 생략하였고, 도 4에서 안전난간(10)의 프레임 요소 중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10)은 주로 철도차량(30)의 검수기지용 플랫폼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그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철도차량(30)의 승강장용 플랫폼으로서 지하 또는 지상에 제공되는 철도차량(30)의 승강장용 플랫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난간(10)은 단위 세트로 제공되며, 안전난간(10)의 단위 세트가 전체 플랫폼 길이에 따라 복수로 시공될 수 있는 것을 예정한다. 안전난간(10)의 단위 세트가 동작되는 영역을 '단위 구간'으로 한다.
상기 안전난간(10) 단위 세트는 베이스 앵글(100), 일군의 종대(200), 메인 횡대(300) 및 구동장치(4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구동장치(4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서(700)나 또는 단위 구간 경계에 제공되는 경계주(800) 및 스트링(90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앵글(100)은 안전난간(10)의 단위 세트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요소들이 설치되는 기초를 제공하며, 선로 플랫폼(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면에 평행하게 고정된다. 베이스 앵글(100)은 예컨대 단면 'ㄱ' 형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안전난간(10) 단위 세트를 이루는 베이스 앵글(100)은 하나로 제공되거나 분리된 복수가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ㄱ' 형강을 베이스 앵글(100)로 사용함으로써 철도시설물 안전규격에 따른 발끝막이판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앵글(100)의 소정 부위에는 슬릿(120)이 형성되며, 슬릿(1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장치(400)를 구성하는 호형 회전기어(420)의 회동을 위해 마련된다.
일군의 종대(200)는 가드레일형 안전난간(10)에서 지주에 대응되는 요소로서, 일군의 종대(200) 각각의 하단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베이스 앵글(100)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종대(200) 하단은 베이스 링크(110)를 매개로 하여 베이스 앵글(10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피봇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일군의 종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장치(400)을 매개로 하여 스탠드업(stand-up) 상태의 제1 위치와 레이다운(lay-down)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독립 종대(210)이고, 독립 종대(210)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각도는 대략적으로 90도이다.
이 경우 일군의 종대(200)의 각각의 타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횡대(300)에 힌지 결합되기 때문에, 구동장치(400)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독립 종대(210)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 동작은 메인 횡대(300)를 매개로 하여 종속 종대(220)의 회동 동작을 싱크시키게 된다. 도 1은 일군의 종대(200)가 제1 위치로 스탠드업 됨으로써 안전난간(10)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일군의 종대(200)가 제2 위치로 레이다운 되어 안전난간(10)이 접혀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메인 횡대(300)는 상기 가드레일형 안전난간(10)의 가드레일에 대응되는 요소로서, 상기 베이스 앵글(100)과 평행하게 배설되며 상기 일군의 종대(200) 각각의 타단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피봇 가능하게 연결 고정된다. 이 경우 종대(200) 상단은 상부 링트(310)를 매개로 하여 메인 횡대(30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피봇 가능하게 된다. 하나의 안전난간(10) 단위 세트를 이루는 메인 횡대(300)는 베이스 앵글(100)과 마찬가지로 하나로 제공되거나 분리된 복수가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0)는 일군의 종대(200), 특히 독립 종대(210)를 탠드업(stand-up) 상태의 제1 위치와 레이다운(lay-down)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독립 종대(210)의 회동 동작은 메인 횡대(300)에 의해 매개되어 다른 종속 종대(220)들의 회동 동작을 유인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장치(400)는 특히 상기 일군의 종대(200) 중 어느 하나의 종대, 즉 독립 종대(210)가 베이스 앵글(100)에 결합되는 지점과 동일한 지점에서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형 회전기어(42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앵글(100)에서 연결 지점을 공유하는 독립 종대(210)의 단부가 상기 호형 회전기어(4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400)는 동력전달 수단으로서 전동식 모터(430)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 따른 구동장치(400)에서 호형 회전기어(420)의 회동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래크(410) 및 전달 스크류(4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모터(430) 및 전달 스크류(440)는 래크(410)에 대한 동력 전달원이다. 실시예에서 모터(430)는 베이스판(450) 측부에 구비된 장착판(490)에 설치되며, 전달 스크류(440)의 일단은 래크(4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유동이 방지되도록 베이스판(450) 후방에 구비된 백플레이트(480)의 관통공에 피봇 지지된다. 모터(430)는 양방향으로 동작되며 이에 따라 전달 스크류(440)는 래크(410)를 전진시키는 순방향 또는 후퇴시키는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달 스크류(440)의 순방향 동작에 의해 일군의 종대(200)가 제2 위치로 되고, 반대로 역방향 동작에 의해 제1 위치로 된다. 모터(430)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 동작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철도차량(30)의 단위 구간 내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700)를 통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래크(410)는 직선기어로서 모터(430) 동력에 의해 전후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래크(410)의 상면에는 소정 범위에 걸쳐 잇빨이 형성되어 있으며, 래크(410) 잇빨은 호형 회전기어(420)의 호형 기어부(422)에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호형 회전기어(420)는 1/4 호로 이루어진 호형 기어부(422) 및 독립 종대(210)와 결합되는 연결부(424)로 이루어진다. 호형 회전기어(420)의 중심은 상기 베이스 앵글(100)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지점은 상기 독립 종대(210)가 베이스 앵글(100)에 연결되는 지점과 동일하다. 호형 기어부(422)는 직선운동하는 래크(410)와 맞물린다. 연결부(424)는 예컨대 기어부(422) 반대쪽에서 돌출된 구조일 수 있으며, 중공형 독립 종대(210)의 단부가 상기 연결부(424)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연결부(424) 주위에는 봉상의 보조부(426)가 마련되며, 연결부(424)와 독립 종대(21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보조 지지하게 된다. 호형 회전기어(420)의 회동 동작은 베이스 앵글(100)에 구비된 슬릿(120)을 통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호형 회전기어(420)를 매개로 하여 래크(410)의 직선운동을 독립 종대(210)의 회전 동작을 구현하게 되면, 단순히 래크(410)의 단부를 독립 종대(210)의 단부에 피봇 연결하여 회전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회전 동작시 래크(410)와 독립 종대(210) 간 불필요한 응력이나 뒤틀림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고, 래크(410)의 상하 유동이 억제됨으로써 효율적인 힘전달이 가능하여 부품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고, 또한 호형 회전기어(420)의 회전각도에 따라 독립 종대(210)의 회전각도도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어 유리하다.
한편 래크(41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래크(410) 쳐짐으로 인해 호형 회전기어(420)와의 맞물림이 좋지 않아 힘전달과정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래크(410)와 호형 회전기어(420) 간 맞물림이 좌우로 이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호형 회전기어(420)의 회전 운동 및 상기 래크(41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슈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슈트 어셈블리는 한쌍의 가이드판(460)과 가이드판(460) 사이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 베이스(4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쌍의 가이드판(460)은 호형 회전기어(420) 및 래크(410)의 양 측면에 밀착하여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베이스(470)는 래크(410) 저면에 밀착하여 래크(410)의 쳐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쌍의 가이드판(460), 가이드 베이스(470) 및 베이스판(450) 간의 결합은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한쌍의 가이드판(460)의 가장자리 일단이 회전기어(420)의 회전 중심과 함께 베이스 앵글(100)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10)은 상기 단위 구간 내에 설치되어 철도차량(30)의 정차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감지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4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구간 내에 철도차량(30)이 정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2개의 감지센서(700)가 물체를 감지한 것으로 인정되면, 이러한 감지센서(700)의 신호에 따라 모터(430)가 순방향으로 동작하여 일군의 종대(200)는 레이다운 상태의 제2 위치에 놓이게 되어 안전난간(10)이 플랫폼(20) 바닥쪽으로 뉘여진다. 이와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구간 내에 철도차량(30)이 정차하였으나 하나의 감지센서(700)만 물체를 감지하거나 또는 철도차량(30)이 단위 구간을 단순히 통과하여 2개의 감지센서(700)가 물체를 감지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이거나 또는 철도차량(30)이 없는 경우에는, 모터(430)가 역방향으로 동작하여 일군의 종대(200)는 스탠드업 상태의 제1 위치에 놓이게 되어 안전난간(10)이 플랫폼(20)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지게 된다. 이 경우 단위 구간 내에 센서(700)가 설치되는 위치나 간격은 플랫폼(20)에 정차되는 철도차량(30) 중 최소 길이를 갖는 철도차량(30)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최소 길이 차량(30)이 단위 구간 내 정차시 2 개의 센서(700)가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10)은 복수의 종대(200)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이 서로 이웃하는 종대(20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중간 횡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횡대(500)는 안전난간(10)이 세워진 상태에서 메인 횡대(300)가 플랫폼(20) 지면으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됨으로써 그 사이로 추락되는 위험을 완화하고 또한 안전난간(10)이 세워진 상태에서 프레임 구조물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일군의 종대(200)가 제1 위치로 스탠드업 되어 안전난간(10)이 세워진 상태에 놓이게 되면, 상기 중간 횡대(500)는 중간 가드레일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 중간 횡대(500)를 이웃한 종대(200)와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설계하는 경우, 중간 횡대(500)의 길이는 동일 평면에 놓이는 종대(200) 두께로 인해 종대(200)가 제1 위치로 세워진 상태에서 보다 제2 위치로 뉘여진 상태에서 더 길어야 한다. 이는 경질의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중간 횡대(500)가 이웃한 종대(200)의 동작 위치와 상관 없이 그 양단에서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제한은 상기 종대(200)에는 힌지 연결되는 연결대(600)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횡대(500)의 단부가 연결대(6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종대(200)와 연결대(600) 간 힌지 결합은 중간 링크(510)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간 링크(510)는 종대(2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중간 횡대(500)의 단부와 연결대(600) 간 슬라이딩 결합은 예컨대 연결대(600)가 중공형 중간 횡대(50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10)은 일방향으로 뉘여지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안전난간(10)이 세워지더라도 뉘여지는 방향의 맨 가장자리 부분에서 가드레일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선로쪽으로 추락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7에 따른 또 다른 실시형태의 안전난간(10)이 선택적으로 제안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10)의 경우, 단위 구간의 적어도 일측에는 경계주(800)가 구비되고, 상기 경계주(800)의 상단과 상기 메인 횡대(3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스트링(9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링(900)은 체인과 같은 유연성 부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안전난간(10)이 세워진 상태에서 이러한 스트링(900)에 의해 단위 구간의 경계에서도 추락 위험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트링(900)은 유연성 부재이기 때문에 안전난간(10)이 누여지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10)에 따르면, 안전난간(10)이 동작할 단위 구간 내에 철도차량(30)이 정차한 지 여부를 기준으로 스탠드업 및 레이다운의 2가지 상태 사이에서 전동식으로 자동 전환될 수 있는 가드레일형 안전난간(10)을 제공함으로써, 설계 및 시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운전과정에 보조 인력이 필요 없으며, 또한 검수기지용 플랫폼 및 승강장용 플랫폼 모두에서 플랫폼(20) 자체의 용도를 저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플랫폼(20)으로부터 선로 쪽으로 추락하는 등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에서 회전기어(420)의 회동 동작이 직선 운동을 하는 래크(410) 및 전달스크류(440)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회전기어(420)의 회동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도 4의 래크(410) 및 전달스크류(440) 대신에, 회전기어(420)에 맞물리는 주축기어(412)를 죠커플링(442)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도 8의 웜기어조립 모터(432) 또는 도 9의 감속형 기어드 모터(434)를 장작하는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고, 이러한 도 8 및 도 9에 따른 대체 방식은 도 4의 방식 대비 배열단위 범위 및 동력전달 범위가 축소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따른 방식에서 주축기어(412)의 양측에는 유니트 베어링(475)가 구비되어, 도 4에서 래크(410)를 안내 지지하기 위한 슈트 어셈블리와 유사하게 주축기어(412)를 안내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청허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100: 베이스 앵글
110: 베이스 링크
120: 슬릿
200: 종대
210: 독립 종대
220: 종속 종대
300: 메인 횡대
310: 상부 링크
400: 구동장치
410: 래크
412: 주축기어
420: 회전기어
422: 호형 기어부
424: 연결부
426: 보조부
430: 모터
432: 웜기어조립 모터
434: 기어드 모터
440: 전달 스크류
442: 죠커플링
450: 베이스판
460: 가이드판
470: 가이드 베이스
475: 유니트 베어링
480: 백플레이트
490: 장착판
500: 중간 횡대
510: 중간 링크
600: 연결대
700: 센서
800: 경계주
900: 스트링
20: 플랫폼
30: 철도차량

Claims (5)

  1. 철도차량에 대한 승강장 플랫폼 또는 검수기지 플랫폼에 설치되는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으로서,
    상기 플랫폼의 전체 길이는 복수의 단위 구간으로 분할 구획되고, 각 단위 구간별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단위 세트의 안전난간이 전체 플랫폼 길이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세트의 안전난간 각각은, 선로 플랫폼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면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베이스 앵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되되, 일단이 상기 베이스 앵글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일군의 종대; 상기 일군의 종대 타단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 횡대; 상기 일군의 종대를 스탠드업(stand-up) 상태의 제1 위치와 레이다운(lay-down)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및 철도차량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2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정차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전동식 모터; 상기 전동식 모터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래크; 상기 베이스 앵글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래크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일군의 종대 중 어느 하나의 종대를 회동시키는 호형 회전기어; 및 상기 래크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슈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호형 회전기어는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호형 기어부; 상기 베이스 앵글에서 연결지점을 공유하는 종대의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삽입된 종대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봉상의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슈트 어셈블리는 한쌍의 가이드판과 가이드판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세트의 안전난간 각각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일군의 종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일군의 종대에 피봇 고정된 상기 메인 횡대는 승하강하게 되고 상기 단위 구간 내 일군의 종대는 제1 위치로 스탠드업한 상태에서 지주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 횡대는 상부 가드레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세트의 안전난간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위치로의 동작 제어가 상기 정차 감지 수단을 구성하는 2개의 감지센서가 동시에 철도차량을 감지한 경우에만 수행됨으로써 플랫폼 전체 길이에 대한 안전난간의 운전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9650A 2019-05-21 2019-05-21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KR102055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50A KR102055846B1 (ko) 2019-05-21 2019-05-21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50A KR102055846B1 (ko) 2019-05-21 2019-05-21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846B1 true KR102055846B1 (ko) 2019-12-13

Family

ID=6884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650A KR102055846B1 (ko) 2019-05-21 2019-05-21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8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93A (ko) * 2012-09-07 2014-03-17 조대훈 자동 접이식 다리 난간
JP2014162241A (ja) * 2013-02-21 2014-09-08 Nippon Signal Co Ltd:The 昇降式ホーム安全柵開閉システム
KR101630189B1 (ko) * 2015-01-21 2016-06-1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플렉시블 펜스
KR101693766B1 (ko) * 2016-04-08 2017-01-18 (주)강토이앤씨 난간 절첩식 재해 방지용 스윙교
KR101901099B1 (ko) * 2018-06-01 2018-09-20 방남석 수평 머시닝센터용 가공대상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93A (ko) * 2012-09-07 2014-03-17 조대훈 자동 접이식 다리 난간
JP2014162241A (ja) * 2013-02-21 2014-09-08 Nippon Signal Co Ltd:The 昇降式ホーム安全柵開閉システム
KR101630189B1 (ko) * 2015-01-21 2016-06-1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플렉시블 펜스
KR101693766B1 (ko) * 2016-04-08 2017-01-18 (주)강토이앤씨 난간 절첩식 재해 방지용 스윙교
KR101901099B1 (ko) * 2018-06-01 2018-09-20 방남석 수평 머시닝센터용 가공대상물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6238C (en) Retractable access platform
US4576539A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EP0072361B1 (en) A movable foot-step for a vehicle
RU2460656C2 (ru) Ворота платформы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станций
US20050217039A1 (en) Adaptable cab floor engagement assembly for commuter and conventional jet aircraft
US5806245A (en) Vertical lift gate assembly
KR101213324B1 (ko) 아치형 구조물의 이동 점검차
KR101815286B1 (ko) 교량의 이동식 점검 장치
US7069681B2 (en) Sliding sign
US4832210A (en) Boat lift
KR101815288B1 (ko) 교량의 이동식 점검차 진출입 장치
KR102055846B1 (ko) 선로 플랫폼용 안전난간
KR101815285B1 (ko) 교량의 이동식 점검 장치
RU2701367C1 (ru)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адения пассажиров с платформ метрополитена и железной дороги
JP5616199B2 (ja) ゲート装置
US2923981A (en) Overhead garage door assemblies
JP7438842B2 (ja) ホームドア装置
GB2146065A (en) Safety gates for safety barriers
KR200368582Y1 (ko)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장치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WO2011048391A1 (en) Platform screen door system
RU2701078C1 (ru) Барьер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пассажи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метрополитена и железной дороги
RU2763062C1 (ru) Платформенное раздвижное ограждение для станций метрополитена
KR100563267B1 (ko)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
CA2283623A1 (en) Chair-lift installation with a conveying belt for conveying skiers into the boarding region of this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