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797B1 - 치과용 구강 견인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구강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797B1
KR102055797B1 KR1020180076371A KR20180076371A KR102055797B1 KR 102055797 B1 KR102055797 B1 KR 102055797B1 KR 1020180076371 A KR1020180076371 A KR 1020180076371A KR 20180076371 A KR20180076371 A KR 20180076371A KR 102055797 B1 KR102055797 B1 KR 102055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coupling
retractor
ea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강 견인기는 반원 형상으로서, 상부 돌출부(111A)와 하부 돌출부(113A)가 중간부(112A)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몸체부(110A)가 구비된 구순안착부(100); 및 일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 몸체부 결합부(120)와 체결되는 귀걸이부 결합부(2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귀를 감싸도록 둥글게 형성된 굴곡부(230)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탄성부(220)가 구비된 귀걸이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구강 견인기{ORAL RETRACTOR FOR DENTAL TREATMENT}
본 발명은 치과용 구강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귀걸이부가 구비된 치과용 구강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구강 견인기(oral retractor)는 종래부터 구강 검진이나 치과치료를 시행할 시, 뺨과 입술 등의 연조직으로부터 치아를 격리시켜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구강내 사진(intraoral photograph)의 촬영을 용이하게 하고 원활한 검진 및 치료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도 1 및 도 2 참조).
치의학 분야에 디지털 기술이 급속도로 적용됨에 따라 최근에는 디지털 구강내 스캐너(digital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채득(digital impression making)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아졌다. 이러한 디지털 인상채득 시, 치과용 미러(dental mirror)를 사용하여 뺨이나 입술 등의 연조직을 격리할 경우, 치과의사(치료자)가 양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며, 단단한 치과용 미러가 환자의 잇몸에 닿을 때 환자에게 불편감을 일으킬 수 있어서 종래의 구강 견인기(oral retractor)를 장착하고 디지털 인상채득을 수행하는 방법이 추천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구강 견인기는 신체에 견고하게 고정이 되는 부위가 없어 입을 크게 벌리거나 다무는 행위와 같은 동적인 움직임을 시행할 때 탈락되거나 견인기의 지지가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8048호(2009.12.15)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강 견인기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치과의사(치료자)가 치과 치료 등을 할 때, 한 손이 자유로워지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구강 견인기의 귀걸이부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셋째, 구강 견인기의 견인력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강견인기는 반원 형상으로서,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가 중간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몸체부가 탄성부를 갖는 브릿지로 결합된 구순안착부; 및 일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 몸체부 결합부와 체결되는 귀걸이부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귀를 감싸도록 둥글게 형성된 굴곡부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탄성부가 구비된 귀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강견인기는 중공의 원통 형상 몸체부를 가지며, 탄성 재질의 상부 링과 하부 링의 중간은 유연 재질의 중간 커버로 구비된 구순안착부; 일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 몸체부 결합부와 체결되는 귀걸이부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귀를 감싸도록 둥글게 형성된 굴곡부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탄성부가 구비된 귀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 결합부와 귀걸이부 결합부는 탈착가능한 암수 결합구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 결합부는 홀 결합부가 구비되고, 귀걸이부 결합부는 돌기부 또는 결합끈이 구비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귀걸이부의 탄성부는 길이 연장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귀걸이부의 굴곡부는 귀의 하측에서 상향 형성된 굴곡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굴곡부는 귀 앞쪽에서 상향 굴곡되거나, 귀 뒷쪽에서 상향굴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굴곡부의 단부에는 마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쌍의 몸체부는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상부 링의 탄성력이 상기 하부 링의 탄성력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 커버는 흡습성 재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강 견인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치과의사(치료자)가 구강검진, 치과 치료 및 디지털 인상채득 등을 하면서, 한 손이 자유로워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구강 견인기의 귀걸이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귀걸이부의 탄성부를 이용하여 구강 견인기의 견인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귀걸이부의 굴곡부가 상향되도록 형성시켜, 구강 견인기의 견인력 방향이 구순안착부에 수평되게 작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좌우 한 쌍의 몸체부로 구비되는 종래 구강 견인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부링과 하부링으로 구비되는 종래 구강 견인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반원형상 몸체부를 갖는 구순안착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원통형상 몸체부를 갖는 구순안착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부와 구순안착부가 결합되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는 원통형상 몸체부를 갖는 구순안착부에 좌우 방향으로 견인력이 가해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순안착부(100)는 2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한 쌍의 반원형상 몸체부(110A)를 갖는 실시예이다(도 3 참조). 제2 실시예는 중공의 원통형상 몸체부(110B)를 갖는 실시예이다(도 4 참조).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반원 형상으로서, 상부 돌출부(111A)와 하부 돌출부(113A)가 중간부(112A)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몸체부(110A)가 탄성부(115A)를 갖는 브릿지(114A)로 결합된 구순안착부(100); 및 일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 몸체부 결합부(120)와 체결되는 귀걸이부 결합부(2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귀를 감싸도록 둥글게 형성된 굴곡부(230)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탄성부(220)가 구비된 귀걸이부(2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를 살펴보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원형상으로 된 한 쌍의 몸체부(110A)는 2개의 대향형 구조로서, 중간부(11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111A)와 하부 돌출부(113A)를 가지면서, 오목한 공간이 발생된다. 환자의 구순(口脣) 즉 입술 둘레가 오목한 공간에 안착되고, 구순안착부를 좌우로 견인하게 된다(도 1b 참조). 이 경우, 대향되게 배치된 반원형상의 몸체부는 도 3b에 도시된 브릿지(114A)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114A)는 반원 형상의 몸체부가 양 쪽으로 견인되면서 이동되는 것이 인가되도록 탄성부(115A)가 구비된 브릿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한쌍의 몸체부(110A)는 형상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견인되어도 형상이 유지되는 견고한(rigid) 소재가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탄성 재질의 상부 링(111B)과 하부 링(113B)의 중간은 유연 재질의 중간 커버(112B)로 구비된 구순안착부(100); 일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 몸체부 결합부(120)와 체결되는 귀걸이부 결합부(2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귀를 감싸도록 둥글게 형성된 굴곡부(230)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탄성부(220)가 구비된 귀걸이부(2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를 살펴보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통 형상의 몸체부(110B)는 1개의 일체형 구조로서, 유연(flexible)한 재질의 중간 커버(112B)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탄성소재로 된 상부 링(111B)과 하부 링(113B)이 구비된다. 하부 링(113B)을 구강 내부에 배치하고, 상부 링(111B)을 구강 외부에 배치한 후 상부 링(111B)을 견인하면, 중간 커버(112B)가 입술 둘레를 감싸게 되면서, 구강이 견인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110B)의 상부 링(111B)의 탄성력이 하부 링(113B)의 탄성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 방향으로 견인할 때, 구강 내부에 배치된 하부 링은 최대한 형태를 유지하여, 하부 링의 높이(H)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c 참조). 반면에, 상부 링은 좌우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어 좌우 길이(L)이 많이 확보되는 것이 치과치료 및 디지털 인상채득 등을 시행할 때 더 유리하다(도 8b 참조).
한편, 중간 커버(112B)는 흡습성 재질이 채택될 수 있다. 이는 타액 등이 구강 내에 고이지 않고 흡수되는 것이 구강검진이나 디지털 인상채득 등을 비롯한 치과치료를 시행하는 데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순안착부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귀걸이부(200)와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 결합부(120)와 귀걸이부 결합부(210)는 탈착가능한 암수 결합구조(120a,210a)로 결합될 수 있다(도 7a 참조). 암 구조와 수 구조는 몸체부 결합부(120)와 귀걸이부 결합부(210) 양 쪽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면 충분하다. 즉 몸체부 결합부에 암 구조가 구비되고, 귀걸이 결합부에 수 구조가 구비될 수도 있고, 그 반대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 결합부(120)는 홀 결합부(120b)가 구비되고, 귀걸이부 결합부(210)는 돌기부(210b) 또는 결합끈(201c)이 구비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7b 및 도 7c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부(200)의 탄성부(220)는 길이 연장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는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견인력을 증가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탄성부의 길이가 연장되면 탄성력이 강화되어 견인력도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부(200)의 굴곡부(230)는 귀의 하측에서 상향 형성된 굴곡부로 구비될 수 있다. 굴곡부(230)의 굴곡은 일반적인 안경 다리의 구조와 유사하게, 귀의 상측에서 하향형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구순안착부(100)에 견인력을 가하는 방향이 수평방향이 아니라, 경사진 방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순안착부(100)의 형태가 뒤틀어져서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부의 굴곡부(230)는 귀의 하측에서 상향 형성되는 굴곡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굴곡부(230)는 귀 앞쪽에서 상향 굴곡되는 실시예(도 6 참조) 또는 귀 뒷쪽에서 상향굴곡되는 실시예(도 5 참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구순안착부에 가해지는 견인력이 수평방향에 가깝게 가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수평방향으로 견인력이 가해질 때, 구순안착부가 구강 내에 잘 유지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굴곡부(230)의 단부에는 마찰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마찰부(240)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돌기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구순안착부
110A : 한 쌍의 반원형상 몸체부 111A : 상부 돌출부
112A : 중간부 113A : 하부 돌출부
110B : 중공의 원통형상 몸체부 111B : 상부 링
112B : 중간 커버 113B : 하부 링
114A : 브릿지 115A : 탄성부
120 : 몸체부 결합부 120a : 암수결합구조
120b : 홀 결합부
200 : 귀걸이부 210 : 귀걸이부 결합부
210a : 암수결합구조 210b : 돌기부
210c : 결합끈 220 : 탄성부
230 : 굴곡부 240 : 마찰부

Claims (11)

  1. 반원 형상으로서,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가 중간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몸체부가 탄성부를 갖는 브릿지로 결합된 구순안착부; 및
    일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 몸체부 결합부와 체결되는 귀걸이부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귀를 감싸도록 둥글게 형성된 굴곡부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탄성부가 구비된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2. 중공의 원통 형상 몸체부를 가지며, 탄성 재질의 상부 링과 하부 링의 중간은 유연 재질의 중간 커버로 구비된 구순안착부;
    일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 몸체부 결합부와 체결되는 귀걸이부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귀를 감싸도록 둥글게 형성된 굴곡부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탄성부가 구비된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결합부와 상기 귀걸이부 결합부는 탈착가능한 암수 결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결합부는 홀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귀걸이부 결합부는 돌기부 또는 결합끈이 구비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의 탄성부는 길이 연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의 굴곡부는 귀의 하측에서 상향 형성된 굴곡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귀 앞쪽에서 상향 굴곡되거나, 귀 뒷쪽에서 상향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단부에는 마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몸체부는 형상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부 링의 탄성력이 상기 하부 링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커버는 흡습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 견인기.
KR1020180076371A 2018-07-02 2018-07-02 치과용 구강 견인기 KR102055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71A KR102055797B1 (ko) 2018-07-02 2018-07-02 치과용 구강 견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71A KR102055797B1 (ko) 2018-07-02 2018-07-02 치과용 구강 견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797B1 true KR102055797B1 (ko) 2019-12-13

Family

ID=6884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371A KR102055797B1 (ko) 2018-07-02 2018-07-02 치과용 구강 견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813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에이치디아이 에어석션배럴 일체형 리트렉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0501U (ko) * 1985-10-24 1987-05-06
US20040242970A1 (en) * 2003-05-28 2004-12-02 Burns Lance 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racting the soft tissues of the mouth
US20070037120A1 (en) * 2005-07-29 2007-02-15 Kurt Ritter Facial support device
JP2007282698A (ja) * 2006-04-13 2007-11-01 Dentech:Kk 歯科用開口器
KR20090128048A (ko) 2008-06-10 2009-12-1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치과용 구강 리트랙터
KR20150004077U (ko) * 2014-04-30 2015-11-09 박용철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0501U (ko) * 1985-10-24 1987-05-06
US20040242970A1 (en) * 2003-05-28 2004-12-02 Burns Lance 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racting the soft tissues of the mouth
US20070037120A1 (en) * 2005-07-29 2007-02-15 Kurt Ritter Facial support device
JP2007282698A (ja) * 2006-04-13 2007-11-01 Dentech:Kk 歯科用開口器
KR20090128048A (ko) 2008-06-10 2009-12-1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치과용 구강 리트랙터
KR20150004077U (ko) * 2014-04-30 2015-11-09 박용철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813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에이치디아이 에어석션배럴 일체형 리트렉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7535A1 (en) Cheek and lip expansion device and method
EP0845962B1 (fr) Dispositif intrabuccal
US5711667A (en) Orthodontic bite jumping device
KR101706648B1 (ko)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
KR102128655B1 (ko) 치아 교정기
KR100938107B1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KR102055797B1 (ko) 치과용 구강 견인기
JP2021531911A (ja) 顎角度保持用補助具及びこれを含む顎角度矯正装置
JP2014113241A (ja) リップバンパー
JP6274685B1 (ja) 上顎牽引装置
EP1318762B1 (fr) Appareil orthodontique a bielles
KR101594926B1 (ko) 개구기
US20220249200A1 (en) Improved Lip And Cheek Extender
KR101129136B1 (ko) 치열 교정용 와이어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
JPH0742406Y2 (ja) 口角開拡器
EP1175874A3 (en) Palatal facial bow
KR0178104B1 (ko) 치과 교정용 악 정형장치
CN218010000U (zh) 一种压低磨牙的隐形牙套及隐形牙套组件
KR102262419B1 (ko) 팔자 주름 개선 장치
KR101883343B1 (ko)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JP2019000290A (ja) 部分義歯
JP2006095245A (ja)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JP3027299U (ja) 鼾防止装置
KR20150026153A (ko) 웃음 보조 기구
JPH11197106A (ja) 内視鏡用マウス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